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추 抽出物의 抗菌 活性 및 食品에의 利用

        이정아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부추 추출물의 항세균 활성을 검토하고 그 활성의 열안정성 및 pH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균주로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plantarum, Bifidobacterium bifidum 등의 유산균과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Bacillus subtilis를 사용하였다. 부추 추출물의 항세균 활성의 열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열처리한 것과 열처리하지 않은 시료를 준비하였다. 실험 결과로, 열처리하지 않은 부추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에서 항세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열처리 후에도 부추추출물의 항세균 활성이 남아 있었다. 그리고 부추 추출물의 항세균 활성은 산성 pH(2.0)에서도 안정하였으며, 또한 사용한 모든 대상 균주에 대해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첨가한 부추 추출물의 양이 많을수록 실험에 사용한 미생물에 대한 생육 저해 효과가 높았다. 특히, Lactobacillus bulgaricus, Bifidobacterium bifidum 그리고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생육 저해 효과가 뛰어났다. 부추 추출물의 항세균 활성은, 부추 추출물을 투석함으로써 활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저분자 물질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유산 발효균을 이용하는 김치 등의 발효 식품에 부추 추출물을 이용해 발효 제품의 과발효 및 산패를 지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various aspects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leek extract were examined. The thermostability and pH stability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eek were also investigated. Escherichia coli(KCTC No. 1093), Lactobacillus acidophilus(KCTC No. 3164), Lactobacillus bulgaricus(KCTC No. 3188),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No. 3108), Bifidobacterium bifidum (KCTC No. 3202), Staphylococcus aureus(KCTC No. 1916) and Bacillus subtilis (natto)(Takano Foods Co., Miura strain) were used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leek(Allium tuberosum). To investigate the thermostability of leek's antimicrobial activity, leek extract was heated at 98℃ for 20min and at 60℃ for 30 min, whereas fresh sample was used as a control. To investigate the pH stability of leek as a antimicrobial agent, the pH of the sample was adjusted into pH 2.0.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1.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eek was most effective when fresh sample was used, dependent upon the amount of sample used, relatively stable at pH 2.0 and confirmed in all bacterial strains examined, specially in Lactobacillus bulgaricus, Bifidobacterium bifidum and Staphylococcus aureus. 2.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eek was not detected after dialysis, which indicate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eek extract seems to be low molecular weight substances. 3. The retard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by addition of leek extract would delay the excessive lactic fermetation and souring of lactic acid fermentation products.

      • 애니메이션으로 각색된 동화 표현 방법 연구 : 안데르센 『눈의 여왕』 중심으로

        이정아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동화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들이 극장에 개봉되고 흥행함에 따라 원작동화에 대한 관심이 쏟아지게 되었다. 이처럼 동화가 애니메이션 으로 각색되면서 시각과 청각적 표현요소를 통해 문자로만 읽고 접해왔던 것이 영상으로 만들어지면서 보고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동화 『눈의 여왕』 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을 통해 애니메이션으로 각색된 동화의 표현방법에 관해서 알아보 았다. 첫째, 동화가 애니메이션으로 각색되면서 줄거리와 결말구조가 바뀌게 됨 에 따라 인물들의 구성에도 변화가 있었다. 『눈의 여왕』 에서는 갑자기 사 라진 친구를 찾아 떠나는 이야기를 통해 외형은 성장했지만 내면의 동심을 지켜나가는 것을 말하고, <겨울왕국>에서는 자신 때문에 떠난 언니를 찾으 러 가는 이야기로 내적인 갈등을 스스로 해결하면서 내면의 성장을 보여주 었다. 또한 친구에서 가족으로의 인물구성의 변화는 관객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문자로 표현되어있던 것을 시각화함으로 동화와 애니메이션의 캐릭 터의 모양, 배경공간의 특정, 삽화 이미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캐릭터의 모양은 동화의 캐릭터를 토대로 새롭게 디자인 되어 각각의 캐릭터의 개성 을 살려 표현했다. 배경의 공간은 『눈의 여왕』 은 다양한 공간에서 이야기 가 진행되지만 <겨울왕국>에서는 한정적으로 표현함으로 관객들을 집중시켰다. 또한 삽화 이미지를 통해 독자가 표현하고자하는 이미지를 담아내면 서 이해를 톱고 있다. 셋째, <겨울완국>은 뮤지컬익 형식인 음악과 춤을 통해 이야기의 전개, 복 선, 캐릭터의 심리를 파악하며 이야기의 흐름을 이끌게 했다. <겨울왕국> 제작진은 실제 배우의 음성연기를 담아내면서 홍보효과와 화제성을 끌었다. 넷째, <겨울왕국>속에 나타나 있는 특수효과들은 동화에서 만들어져 있는 환상적인 요소들을 눈앞에 옮겨지면서 애니메이션의 세계로 빠져들 수 있게 만들어주며 동화의 상상을 극적으로 연출하였다. 동화 『눈의 여왕』 이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으로 각색되면서 시각적으로 보여 지게 되었다, 동화를 읽으면서 상상으로만 해왔던 것들을 직접 보고 듣게 되었고 <겨울왕국>의 뮤지컬형식과 특수효과가 합쳐지면서 애니메이 션은 더욱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고 아이들이 위주가 되었던 동화가 어른들 도 애니메이션에 매료될 수 있는 극적으로 효과를 만들어냈다.

      • 특정직업군의 체질분포에 관한 연구 : 사상체질을 중심으로

        이정아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직업의 종류는 다양하다. 또한 사람이 살면서 자기만의 인생을 만들어 가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바로 그 사람의 직업이라 한다. 동무 이제마가 제시한 사상의학에서는 이러한 직업의 선택은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천명에 의한 결정이라 하였다. 본 연구자는 사상의학에서 제시한 사상인의 체질에 따른 적성직무에 타당성을 갖고 특정 직업군인인 간호장교 집단과 일반 간호사와의 체질분포 비교를 통해 체질에 따른 적성직무의 연관성과 체질의 후천적인 변화에 대한 의미를 파악해 보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2003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간호장교와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험군 100명, 대조군 100명 총 200명을 설정하여 1종류의 사상체질 감별 설문지(QSCCⅡ)를 통해 각각의 체질 구성비를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는 QSCC(Questionnaire of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Ⅱ-121문항의 사상체질 판별 설문지를 통하여 대상자의 체질을 판별하였고 체질 판별에 필요한 일반적 특성 14문항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자료분석은 QSCCⅡ 판별 프로그램을 통하여 각각 체질을 판별하였고 체질 판별 결과와 일반적 특성에서 수집된 자료는 다시 SPSS(Statistic 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간호장교와 일반 간호사의 체질과 체질판별 및 그에 대한 인식, 근무부서에 대한 만족도는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고 이연구의 신뢰도는 (chonbach's α Coefficeint)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별, 혈액형별, 결혼 상태별, 교육정도별, 근부부서별, 직급별 등의 일반적 특성과 체질과의 연관성에 대한 결과는 근무년수와 종교별로 간호장교와 일반간호사간의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모두 체질과의 큰 연관성은 없었다. 둘째, 체질 판별경험에 있어서는 간호체질판별 경험과 체질의 후천적인변화 여부, 체질 인지후 직업선택의 의향, 체질에 맞는 직업이 있다는 인식에 대한 항목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간호장교와 일반간호사 두 집단의 체질 구성비율에 있어서는 간호장교가 일반 간호사 보다 소양인(41.0%)이 많았고 일반간호사에서는 태음인(39.0%)과 소음인(37.0%)의 체질이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간호장교와 일반간호사의 체질 구성비율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특정 직업군인인 간호장교와 일반간호사 두 집단의 체질구성비율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후천적인 체질의 변화 가능성에 대하여서는 두 집단 모두 변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두 집단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업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개인의 체질과 현재의 직업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사상의학에서 제시한 적성직무와 연관된 결과라 생각할 수 있다. 특정 직업군인인 간호장교는 소양인이 일반 간호사들은 소음인과 태음인이 많이 나온 것처럼 사상 체질의 특정 직업에 종사하는 근무자들은 동무 이제마가 제시한 체질에 따른 적성 직무와 직업은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타고난 체질의 후천적인 변화 가능성에 의미를 두고 있는 것 같다. 직업은 타고난 체질에 따라 결정된 선택이라 하였다. 그러나 사상의학에 의한 적성직무가 반드시 자신의 체질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후천적인 성격과 기질이 변하여 결정된 영향이라 할수 있는데 외계의 환경과 매스미디어의 영향, 개인의 가치관, 성격등의 생활의 변수에 의해서 직업 선택의 환경이 변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후천적으로 체질이 변화한다는 것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체질 즉 장부의 대소가 변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인 성격과 기질에 변화가 오기 때문이라 한다. 직업은 평생을 종사해야 하는 관계로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갖고 있다는 것만큼 행복한 것이 없으며 자신의 체질에 맞지 않는 직종에 근무한다는 것만큼 불행한 것도 없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같이 사상인의 체질과 적성직무와는 연관성이 있음을 참고로 하여 자신의 체질의 특성과 장단점을 충분히 파악하여 몸으로 느끼고 있다면 다른 사람보다 쉽게 직장에 적응을 할 수 있고 또한 평생을 즐거움을 가지고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만일 이미 선택된 직업이라면 개인의 체질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느 체질이 좋고 어느 체질이 나쁘다고 이야기 할 수는 없으며 다만 누가 자신의 체질의 특성을 알고 체질에 맞게 자기의 능력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라 생각한다.

      • 전해질과 이온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설명유형 분석

        이정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 물질 단원에서 특히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전해질과 이온에 대한 올바른 개념 형성과 이해를 위해 이 단원의 필수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충북 소재 고등학교 2학년 2개반 6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검사지 문항에 대한 객·주관식 답변을 토대로 설명 유형을 분류한 자료와 특징적인 몇몇 학생들에 대한 인터뷰를 녹음하여 얻은 전사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해질과 이온 단원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7개의 필수 학습 요소 중에서 수용액에서의 전해질의 이온화, 양이온과 음이온의 형성, 전기 분해, 전해질 수용액의 해리 메카니즘, 물질의 성질에 대한 요소에 학생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 단원에서 이처럼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원자·분자·이온의 차이, 이온의 형성, 이온의 이동, 이온 전하, 용해 현상, 전해질의 이온화 현상에 대한 이해 부족이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전해질과 이온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올바른 이온 개념 형성을 위해서는 원자와 분자에 대한 미시적인 입자에 대한 정확한 개념 이해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이온의 형성을 다룰 때는 1가 이온보다는 다가 이온이나 다원자 이온을 다양하게 예를 들어 설명하고, 이온 전하수는 원소 주기율표를 활용하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온의 이동에서는 전하와 전자의 차이점을 바르게 이해하고 전하의 이동이 곧 전류임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해질에서 용매와 용질 입자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용해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수화 현상에 대한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sudents' difficulties in learning electrolytes and ions by focusing on essential contents, conception of electrolytes and ions, science material chapter of high school. Especially, this study emphasized this chapter to form correct concepts and understand because students would tend to be felt difficulties about electrolytes and ions. Research objects were 64 students high school sophomore 2 classes in Chungbuk. Materials for study wer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objective and subjective questions, classified with explanatory patterns and specific students’ interview recordings. According the study, students were hard to understand to study ionization of electrolyte, form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ions, electrolysis, dissociation mechanism of electrolyte, and material disposition factors in the chapter electrolytes and ions. The reason to experiencing difficulties studying this chapter was difficulties of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of atoms, molecules and ions, formations of ions, ions’ movements, electric charge, solution, and phenomenon of ioniz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maximizing effects of studying electrolytes and ions. To making correct ion conception, accurate concept learning about microscopic particles like atoms, molecules is essential. Furthermore, when teacher explain the formation of ions, he or she should use variant examples about polyatomic molecules and ions rather than single ion. Also, the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is efficient to teach electric charge numbers. In part of ions’ movements, students should understand accurately differences between electric charge and electron and recognize the fact, the movement of electric charge equals electric current. In addition to, accurate studying about phenomenon of solution and introducing concepts about hydration is needed because students should understand interaction of solvent and solute particles in dissolutions.

      • 이러닝(e-Learning) 음악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이정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교육 분야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정해진 교육대상, 교육시간, 교육장소 등은 교육의 시·공간 제약이 줄면서 e-Learning 이라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생겨나게 하였다. 이러한 e-Learning의 관심이 집중되어 있는 시점에 음악교육에도 어떠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현재 어떠한 형태의 e-Learning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또한 이러한 음악교육의 문제점이 무엇이며 개선해야 할 점이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e-Learning에 정확한 이해와 전반적인 현황에 대하여 기존 문헌을 통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고, e-Learning 음악교육 콘텐츠나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학습내용에 따라 분류하였다. 학습내용에 따른 분류는 ‘학교음악교육’, ‘음악이론’, ‘악기연주’와 같이 하여 각 분류별 콘텐츠의 운영방법, 교육대상, 음악교육의 특징,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중심적으로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 번째, 운영방법에 있어서 음악교과의 e-Learning 콘텐츠는 국어, 영어, 수학과 같은 과목에 비하여 편파적인 학습 제공으로 교육의 기회 학습자들에게 적게 제공하고 있다. 두 번째, 방법 및 내용은 일반적인 강의법이며 교수-학습 내용은 콘텐츠에서 특정 교육대상에 따라 다른 학습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하고 학습동기유발 요소들을 이끌어내어 진행되는 학습은 찾아보기 힘들고, 획일적이고 일반적인 학습을 제공받고 있었다. 세 번째, e-Learning은 면대면수업과는 달리 학습자가 눈에 직접보이지 않고 수업을 진행되고, 또한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분위기 등을 알지 못한 채 수업이 진행되어져 나간다. 이러한 것들이 가르치는 상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진행하는 강의가 자연스럽지 못하거나 학습을 제대로 이끌어 나가지 못하는 교수자들이 눈에 띄게 발견되었다. 네 번째, 앞서 말한 분석하여 나온 문제점들이 콘텐츠의 질을 저하시킨다는 것이다. 차별적인 학습편성, 교수-학습의 획일적인 방법과 내용, 교수자의 가르치는 기술 부족과 같은 것들을 개선하여 지속적인 e-Learning 음악교육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하여 음악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모색해 나가야 한다. Today, computers and internet developments have been resulted in a considerable change in a part of education. Fixed educational targets, time and places are on the decrease that bring a new educational paradigm, e-learning. In this time, focused on the e-learning, we need to look into the musical education what is learning on. Now, I went deep into the two main study. One is that the fact is what is formed in the e-learning musical education in these days. The other is that I studied the e-learning's problems and the way of the improvement of that education. Also,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classes. To start with I did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as follows the references about an e-learning's exact understanding and the present situation. In addition, I classified the learning substances according to the e-learning contents and portal sites. Categorized the learning substance is that ‘music schooling’, ‘music theory’, and ‘a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which investigated the way of classified contents operation, the subject of education, musical education characteristic, the teaching and learning's matter and method. Here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ork. Firstly, in the managerial method, music course's e-learning contents are less then that an opportunity in comparison with other subjects (e. g Korean, English, Mathematics). Secondly, the manner of lecturing was general in form and matter. Teaching and learning offered the other learning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education object in content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leading progress that brings varieties and the factor of motivation to students. Thirdly, in a different way face to face class, e-learning class made progress invisible. Moreover the class keeps on the course without notice the learners characteristic and learning environment. Regardless of different situations, some professors noticeable discovered that they did not lead students and be natural in their lecturing. Fourthly, as previously stated, the problems that were analyzed and reached a conclusion let fall the quality of contents. In conclusion, as previously stated problems let fall the quality of contents. Discriminative learning formation, standardiz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 lack of teaching skill are needed to be improved. Therefore we try to find a solution that musical education make a step forward for fixations and revitalization of e- learning musical education.

      • 미술교육에서 상상력 발달을 위한 데페이즈망(dépaysement)기법 연구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이정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we are living in the flood of information with endless comparisons and competitions. In such a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world, it is very important to be creative. To be creative, one must also have imagination. Imagination is essential to see things with a fresh vision and it is a fundamental force for creativity. During a child’s development period, the child’s emotion and imagination is very important. The emphasis of art education is around the child's emotion and imagination. The 7th amend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presents the importance of school life and of cultivating the child’s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selecting the subject and content of art. Since children’s art represents their self-expression and reflects their emotion, many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help them express their imagination and emotion. While the emphasis in the children’s art is on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e studen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skill are more important in the middle school art education (at the secondary art education). The students are guide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express the subject effectively by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 and purpose. However, to keep up with the current society, it is importa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continually maintain and develop the their creativity and imagination. Creative thinking was previously considered as being possessed by artists and scientists with extraordinary talent, but today even the general public can enjoy creating images and information through their creative thinking. It seems necessary for all people to have creative ability. In the 20th century, a surrealist used a technique called depaysement as a way to express their dreams and imagination world. The depaysement that played such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imagination has been helping others to view traditional ideas and concepts in new and different ways.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depaysement technique in develop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imagination in art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study indicates its effectiveness in four important ways: First, when students studied art with the work of representative artists using the depaysement technique, they more easily understood surrealisme and the depaysement technique. The student’s curiosity and interest in art was also increased. Second, the use of the depaysement technique, that leads to see beyond the fixed ways, helped students to actively express their own inner-self and emotions. Third, the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their own individual attitude about the subject and art materials by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y in their own unique ways. Lastly, learning activity requiring mixing and recreating images and seeing an object in various ways stimulated the student’s imagination and helped them to improve their creativity. As a result, several creative and uniquely original expressions appeared.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n art education the use of the depaysement technique is effective in developing middle school student’s rich imagin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creating and developing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student’s imagination. 오늘날 우리는 엄청난 정보의 홍수 속에서 끊임없는 비교와 경쟁을 하며 살고 있다. 이처럼 현대는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시대로 창조적 능력을 갖추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창조적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상상력이 필요하다. 상상력이란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창조성의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기에는 아동들의 감정이나 상상력을 중요시하며 흥미로운 미술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은 초등학교 미술과 내용선정에 있어서 학교생활의 장을 중시하며 상상력과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3학년과 4학년의 표현에서 주제는 자유로운 발상을 통하여 표현하며 5학년에서 6학년까지는 주제의 특징과 느낌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아동미술은 그들의 창의적인 자아표현과 정서의 반영이기 때문에 자유롭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동기 상상력과 호기심 강조에 비해 중등교육과정에서는 흥미로운 활동보다 미술에 대한 깊은 지식의 이해와 숙달을 중요시하는 교육이 이루어진다. 중학교 미술과 표현영역의 주제표현은 주제의 특징과 목적 등을 생각하여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여 초등학교보다 심화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 맞는 창의적인 인간육성을 위해서는 아동기뿐만 아니라 청소년기에도 상상력과 같은 창조적인 능력개발이 중요하다. 창의적 사고는 과거 소수의 뛰어난 재능을 가진 예술인이나 과학자와 같은 사람들만의 소유물이었지만, 현대에는 이 능력을 통해 다수의 대중들이 이미지나 정보를 창조해내고 향유하고 있다. 이는 창조적인 능력이야말로 모든 대중들이 갖춰야 할 필수능력임을 의미한다. 20세기 초현실주의자들은 꿈이나 상상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데페이즈망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같은 상상력표현에 큰 역할을 하는 데페이즈망기법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는 눈을 길러주는 것이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사고향상을 위한 데페이즈망기법이 상상 표현 학습에 효과가 있는지 설문 조사하여 작품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생활에서 접해 본 적 있는 대표적인 작가의 작품들과 실제로 데페이즈망기법을 적용한 광고들을 감상한 결과 초현실주의와 데페이즈망기법에 대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학습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고취시켰으며 현대사회에 깊숙이 침투해 있는 상상력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 하였다. 둘째,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대상을 바라볼 수 있게 하는 데페이즈망기법은 평소 관찰 표현 중심인 수업을 지루해하는 학생들 또한 자신의 내면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셋째, 주제나 표현재료에 대해 자기 나름대로 개성 있게 표현해 봄으로써 자기주도적인 자세를 기를 수 있다. 넷째, 이미지를 재조합하거나 사물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을 요구하는 활동은 학생들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창의적인 발상을 할 수 있도록 도왔으며 이 결과로 창조적이고 개성적인 표현이 다수 등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논문은 미술수업에서 꿈이나 상상의 세계를 표현하는데 효과적인 데페이즈망기법을 적용하고, 청소년기 학생들이 풍부한 상상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일상에서 새로운 사고로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학습방법 개발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내용 분석 : 제7차 교육과정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이정아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편리를 위해 많은 개발들이 진행되면서 오늘날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이제 인간의 삶까지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또 환경문제를 사이에 두고 지역 간의 마찰 등 여러 가지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환경문제는 이제 더 이상 어느 특정 지역이나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다. 국제적 문제가 되었다. 이제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해결하고자 온 세계가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주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서 시작되었다. '지속가능발전'의 중요성과 전반적 내용을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왜 『고등학교 10학년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어져야 하는지 이유를 밝히는 것과 함께, 문헌 연구를 통해 사회과 교과서에서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을 설명하는데 경제·사회·환경의 핵심 요소가 골고루 설명되고 있는지, 설명되고 있는 단원 속에서 자연스러운 흐름을 갖추고 있는지, 제7차 사회과 교과서의 특징을 살려 창의적이고 탐구적인 방법으로 학습을 유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용어의 통일과 핵심 내용의 균형 잡힌 설명이 필요하고, 좀 더 학생 주도적이고 탐구적인 학습 전개에 더 힘써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지속가능발전’이란 '미래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위태롭게 하지 않고 현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개발'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경제·사회·환경의 가치가 함께 해야 한다. 이제까지는 환경을 보호하면서 경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로 많이 쓰였지만,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의 의미가 확대되면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도 변화를 맞이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은 환경 보전과 경제 개발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고려되어 지금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국민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국가의 지속가능발전 비전을 달성하기위한 ‘교육’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 특히 미래의 주인공이 될 청소년 대상 교육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즉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입시 위주의 우리 현실에서 제대로 이루어지기가 힘들다. 가장 가까운 내용을 다루는 ‘환경’교과서가 편찬되기는 하나 이를 채택하는 학교의 수도 매우 적다. 그러므로 민주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 목표인 사회과에서 이를 맡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의 대상인 제7차 교육 과정의 『고등학교 10학년 ‘사회’ 교과서』는 지난 9학년까지 배워온 내용을 정리하고 11학년에서 선택할 심화 과정을 준비하는 단계에 있다. 즉,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것이다. 그러므로 제7차 사회과 교과의 특징을 살려 학생 주도적 의사 결정과 탐구적·창의적 능력을 배양하면서 지속가능발전의 올바른 개념 정립을 도모하여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이끌어 갈 세계 시민적 자질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우리 사회를 지속가능한 사회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한다. As many developments are progressed for a human being's convenien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gets serious today and reached a situation now of threatening even a human being's life. Also, severally social problems are taking place such as friction between regions with hav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 between. Environmental problem is now not the one just about any specific region or country any more. It became an international issu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now, the whole world is moving. To initiate this historical flow, this study was started from recognizing importance of sustainable-development education. Importance and general contents in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examined with theoretical background. A reason was clarified why 'sustainable-development education' needs to be addressed in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10th grade of high school』. Also, it examined whether the economically,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core elements are being described uniformly in explaining a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 whether it has a natural flow amid the unit of being described, and whether learning is being induced with a creative and exploratory method by taking advantage of characteristics in the 7th social studies textbook. As a result, the conclusion was made that there is necessity for the standardization in terminology called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balanced description in the core contents, and for striving further to develop the more student-directed and exploratory learning. 'Sustainable development' implies 'development of satisfying a desire in the current generation without making it risky for ability of being able to meet a desire in future generation. Here needs to be together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value. It has been so far much used as a meaning as saying of progressing economic development while protecting environment. However, as a meaning of a concept called 'sustainable' is expanded, even a meaning in 'sustainable development' faced a change. 'Sustainable development'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social aspect as well as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us, there is necessity for being formed in order to manage life in the one-step higher level than now. At this pont of time, a role of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change the people's consciousness and to accomplish the nation's sustainable-development vision. Especially, the education of targeting adolescents, who will become future hero, will need to be paid attenti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namely, 'sustainable-development education' is difficult to be achieved rightly in our reality with the center on entrance examination. 'Environment' textbook of addressing the closest contents is compiled. However, there are very few schools of adopting this. Therefore, it is desirable for the social studies with the aim at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 to assume this.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10th grade of high school』in the 7th curriculum,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in the stage of preparing for the deepening course that will arrange the contents, which have been learnt in the past until the 9th grade and that will select in the 11th grade. In other words, it is the final stage i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in the 7th social-study curriculum are taken advantage. The establishment of a right concept in sustainable development is promoted while cultivating student-directed decision making and exploratory & creative ability. A competent person is trained who is equipped with quality in a global citizen who will proceed with leading knowledge-based society for the 21st century. Our society is allowed to be led to sustainable society.

      • F. Chopin 『24 Prelude Op.28』에 관한 연구

        이정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 프랑스 대혁명 이후 유럽사회는 계몽주의 사상에 반대하여 이성보다는 개인적이고 인간 본연의 감정적인 면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낭만주의 운동은 문학으로부터 비롯되어 독일을 중심으로 프랑스, 영국, 러시아 등지로 퍼져나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면보다는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면을 중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회적&#8228;사상적 성향은 모든 예술 분야에 나타나게 되면서 19세기 낭만주의 음악은 조화, 균형, 질서를 중요시 했던 18세기 고전주의의 전통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형식으로 변함과 동시에 작곡가의 감정이 중시되었다. 낭만주의 시대에 있어서 특히 피아노 음악은 기악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혁명으로 인해 급부상된 시민 계급 과 개인주의의 확산으로 음악은 더 이상 왕실이나 귀족을 위해 만들어지는 음악이 아닌, 예술가 자신 및 일반 청중들을 위해 창작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자본주의 중산층 시민들은 문화적 수준과 개인의 정서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음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고 연주회장이 아닌 가정에서도 음악 활동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피아노 소품 및 독주곡 등이 작곡되기 시작하며 자유로운 형식의 피아노를 위한 소품들인 프렐류드, 녹턴, 에튀드, 즉흥곡 등이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프렐류드는 작품 앞에 연주되는 곡이 아닌 독립적인 성격소품으로 발전하게 된다.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가 1836-1839년 사이에 작곡된 쇼팽(F. Chopin, 1810-1849)의 24개 프렐류드이다. 이 작품은 전반적으로 하나의 모티브에 의해 선율이 여러 번 되풀이 되며, 전체가 상호간의 조화를 이루고 있지만 하나하나가 독립된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흐(J. S. Bach, 1685-1750)의 영향을 받아 24개의 곡은 각각 다른 조성으로 작곡되었으며 선율, 리듬, 화성, 템포 루바토 등 그만의 독특한 작곡 기법이 잘 나타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렐류드의 발전과정을 알아보고 이 작품의 시대적 배경 및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면서 독특한 작곡 기법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와 특징을 바탕으로 쇼팽 프렐류드의 올바른 해석과 효과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도록 연구하고자 한다. After the 19th century French Revolution, the European society started to show a trend to focus on the individual and natural side of human against the Enlightenment move. Such Romanticism movements started from literature and spread to France, England, and Russia from Germany. Therefore, the social and ideological trends to focus on the subjective and emotional side instead of logical and rational acts started to show in all of the artistic areas. The 19th century Romantic music with such influences went away from the Classical traditions of 18th century, where is focused on the feelings of the composer. In the Romantic era, piano music is especially important in instrumental music. This music was starting to be created not for the royal family or the aristocrats, but the composer himself and the audience after the sudden rise of the middle class through the revolution and the spread of individualism. The middle class citizens thought music was a proper way to increase their cultural level and individual emotions and started musical activities not only in the concert halls but also in the homes. Therefore, many independent pieces were composed and Prelude, Nocturne, Etude or free pieces started to develop for the freer form of piano. In this trend, Prelude started to develop as an independent piece, not a piece to be played in front of the main piece. One of the representative pieces is the 24 Preludes by F. Chopin(1810-1849) between 1836 and 1839. This piece repeats the harmony multiple times on one motive and although all of the pieces are well harmonized, each piece is independent. Also, he was affected by J.S. Bach(1685-1750) and composed all of the pieces in different major, which showed his unique composing technique, such as melody, rhythm, harmony, and tempo rubat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Preludes and understand the context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is piece as well as contribute to the correct interpretation and effective playing of Chopin Preludes based on the unique composing techniques that surround the whole structure and give them their own characteristics.

      • 비대칭 결측 자료에서의 효과적인 대체 방법

        이정아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결측 데이터는 관측되지 않는 값을 포함하며 이러한 결측은 다양한 메커니즘으로 표현된다. 결측을 무시하고 분석을 진행하면 분석의 결과가 편향되며 결측률이 높은 경우에는 정보의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값으로 결측값을 추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을 대체 방법이라고 하며 다양한 대체 방법들이 결측 메커니즘에 따라 제안되어 왔다. 본 서에서는 분포를 가정했을 때 대체 방법들의 성능과 효율성을 보이고자 한다. 특히, 치우쳐진 종단 자료 구조에서 가장 효율적인 대체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다. 또한 결측이 존재하는 실제 자료에 방법들을 적용한다. Missing data structure includes unobserved values and these missing data are represented by various mechanisms. If analysis is conducted with ignoring the missingness, then the result of analysis is biased and the loss of information occurs when the missing rate is high. To solve these problem, we have to fill the missing values with proper estimate and it is called imputation method. Several imputa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e types of missing mechanisms. In this thesis, we show the performance and the efficiency of imputation methods under the distribution assumption. In specially, when there exists a skewed longitudinal data structure, we try to suggest most efficient imputation method using simulation. And also, we apply methods to real data which have the missing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