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남도 일본군 '성노예' 실태 조사 연구 보고

        신영숙,유해정,김미정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2 여성연구논총 Vol.17 No.-

        한국정신대연구소의 지난 2002년 10월 13-24일, 중국 하이난성(해남도)의 일본군 성노예피해자 실태 조사는 해구, 삼아시 등 거의 해남도 전역에 걸쳐 실시되었다. 이 조사는 현지의 하이난성 정치협상회의는 물론, 해구, 삼아시 등 주요 십 여 개 현을 비롯한 시, 진, 촌의 정협 문사자료연구위원들이 함께 당시의 일본군 주둔지와 위안소 등지를 답사하고, 성노예 피해자와 관련자들을 만나는 등 심층 조사로 이루어졌다. 즉 현지의 소수민족인 여족, 묘족 피해 여성 4명과 당시 목격자를 포함한 현지 연구자 등 수 십 명을 만나 증언을 청취하였다. 그러나 안타까웠던 점은 이미 별세한 한국인 피해자 박래순씨의 묘소와 그가 살던 집, 친구들만 만나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97년 중국 조사에 의하면 하이난성의 1939-1945, 피해 상황은 당시 총 인구의 5분의 1에 해당하는 40만명이 사망하였고, 위안소 67개에 성노예 약 1만명이 있었다. 그 중에는 한족과 현지의 소수 민족(여족, 묘족), 특히 조선인을 비롯한 외국인 여성이 다수였다. 즉 해구에 6개소, 삼아의 11개소 등 성노예 수 백명은 모두 주변에서 정기적으로 여성을 강제 동원되었거나 외국 여성 즉 일본, 한국, 대만, 필리핀, 홍콩, 싱가포르 등지에서 끌려온 사람들이었다. 그 중 한국에 귀국한 피해 여성은 현재 3명이 밝혀져 있으나 그 중 1명은 이미 별세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증언자들은 한결같이 한국인 여성이 많았다고 하였으나 현지에 남아 있는 생존자는 찾기 어려웠다. 우리 조사의 두 번째 목적이었던 일본군과 기업의 가해구조의 실상을 밝히는 작업은 비교적 성공적이었다. 즉 해남도에서 일본군과 기업이 긴밀한 연계 아래 철광석 등 자원과 노동력을 수탈하고, 여성을 성노예로 유린한 것은 이미 잘 알려진 바이다. 대표적인 예로 위안부의 징집도 대만의 척식주식회사를 통해 시작되었다. 대척은 대만총독부의 의뢰를 받아 위안소의 건설뿐만 아니라 위안부의 징집과 송출에도 깊게 관여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군부대와 비행장, 광산 등 기업과 그 시설물, 그리고 위안소는 한 곳에 모여 있었고, 그 이용조차 군인, 군속을 위한 군대위안부와 기업위안부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만큼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갖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전 후 해남도에서 계속 살았던 유일한 피해자 고 박래순씨는 호적상 1916년생으로 18세에 한국을 떠나 중국을 거쳐 1942년 26세에 이곳으로 왔다고 한다. 이후 내내 해남도를 떠돌다, 보정현 공로국에서 일하다 퇴직 후 2년 정도의 투병 생활 끝에 1995년 7월 별세하였다. 지금까지 묘소를 돌봐주는 할머니의 친구 등을 만나 감사를 드렸다. 박씨의 국적은 「남조선」으로 외국인 거류증을 가지고 살았다고 한다. 해남도에서 50년 이상 살았어도 그의 조국은 언제나 한국이었고, 그는 한국인으로 살았던 것이다. 현재 마산에 살고 있는 유족으로 큰 조카 며느리와 박씨 집안의 장손을 확인하여 할머니의 소식을 전하였다. 한편 중국의 한족 여성들은 아직도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고 있고, 현지 묘족, 여족 피해자 4명을 만날 수 있었다. 이들의 피해는 어느 곳 여성보다 더 참담했다. 즉 그들은 주로 '전지후근복무대(후방 여성의 근로정신대와 흡사한 의미를 갖는다)'로 '쾌락원', 쾌락방, 낙원 등의 이름으로 불린 위안소(주로 민가 접수, 또는 겨우 야자수 정도로 설치)에서 아주 손쉽게 성노예로 쓰였던 것이다. 일본은 전쟁 말기에 현지 여성을 성노예로 이용하는 일을 노골적으로 행하였고, 이들은 부모와 자신의 생명을 담보로 그같은 상상도 할 수 없는 만행에 희생될 수밖에 없었다. 이들 중 몇 명은 현재 일본 도쿄지방재판소에 일본 국가(대표, 법무대신)를 상대로 전시여성인권 범죄, 즉 자신들이 당한 인권 유린과 트라우마에 대한 일본 국가의 사과와 배상을 청구하는 세계 최초의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 이름하여 「해남도 사죄문 교부 등 청구사건, 돌려달라 나의 명예와 존엄을!!」 소송이 2000년 7월부터 진행 중에 있다. 끝으로 조선보국대 등 강제 징용자의 대표적 학살지, 「조선촌」과 여러 곳의 만인갱을 답사하였다. 문제는 이들의 유골도, 유족도 확인되지 않은 채 구천을 떠도는 조선혼이 해남도의 조선촌, 팔소, 구소, 황류 등 도처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대한 한국 정부나 한국인의 관심은 화려한 관광지 해남도, 골프장이나 신혼 여행지로서의 해남도의 그늘에 영원히 가려 살아날 수 없는 것인지, 역사의 진실과 그 의미를 새삼스레 새겨보게 된다. 나아가 이번 조사가 한중일 3개국이 연대하여 실시됨으로써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한 더욱 깊은 관심과 조사, 연구가 계속하여 심층적으로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

      • Statut et Ro^le des Femmes en Core´e du Sud Evolution en Polotique et E´conomie : 정치와 경제분야에서

        김은희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1 여성연구논총 Vol.16 No.-

        프랑스어권에 한국 여성의 지위와 역할의 변화를 소개하는 본 소고에서 우리는 그 범위를 정치와 경제 분야에 국한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 여성사를 전통사회와 일본 점령기,그리고 해방 이후로 구분하여 간략히 고찰하였다. 남성우위, 남성중심의 가부장제 아래 많은 속라을 감수해야 했던 우리의 여성들이 일제의 고통을 극복하고, 해방 이후의 급변하는 정치와 경제 상황 속에서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되기까지, 우리에게는 여성의 지위의 열파함과 여성조건의 부당함을 인식한 선각자들이 있었고, 여성들에도 남성들과 동등한 교육의 기회가 부여된 전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헌법에 보장된 남녀평등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실현되지 않고 있다. 정치 분야에서는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갖는 여성의 참여가 정부수립 이후와 비교하여 크게 개선되었다고 볼 수 없다. 여성의 참여를 유도하는 제도의 수립과 적용이 실시되고,여성부의 신설로 그 틀을 구축하고 있으나, 여성의 소극적인 사회참여 의식과 낮은 정치의식이 발전을 저해하고 있어,정치활동의 참여운이 다른 국가에 비교하여 극히 저조하다. 여성의 정치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교육과 제도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경제 분야에서 여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 여성들이 지난 10년처럼 적극적으로 대외적인 경제활동에 참여한 적은 역사상 없었다. 여성들의 경제참여는 생계를 위한 과거의 활동과는 다르게 자기 실현의 욕구와 표현이며, 이를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 한다. 그러나 사회에서의 경제활동은 대부분 단순직종이나 여성직종에서 이루어지며, 남성과 동등한 결정권을 갖는 지위에 도달한 여성의 비율은 극히 낮다. 직장에서도 남성에 비하여 불이익을 받게 되는 성차별의 사례가 많다. 또한 여성의 높은 임시직 고용 비율과 대학졸업여성의 심각한 미취업 상태는 여성의 경제활동이 갖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국민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들은 국가 경제를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야 하며,사회의 개혁을 이끌 수 있도록 정치참여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나라를 구성하는 절반의 자원인 여성들의 올바른 역할의 분담이 필요함을 사회가 인식하고,그 실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함께 여성 스스로의 의식이 더욱 필요하다.

      • Statut et Rôle des Femmes en Corée du Sud Evolution en Politique et Économie

        김은희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1 여성연구논총 Vol.16 No.-

        프랑스어권에 한국 여성의 지위와 역할의 변화를 소개하는 본 소고에서 우리는 그 범위를 정치와 경제 분야에 국한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 여성사를 전통사회와 일본 점령기, 그리고 해방 이후로 구분하여 간략히 고찰하였다. 남성우위, 남성중심의 가부장제 아래 많은 속박을 감수해야 했던 우리의 여성들이 일제의 고통을 극복하고, 해방 이후의 급변하는 정치와 경제 상황 속에서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되기까지, 우리에게는 여성의 지위의 열악함과 여성조건의 부당함을 인식한 선각자들이 있었고, 여성들에도 남성들과 동등한 교육의 기회가 부여된 점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헌법에 보장된 남녀평등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실현되지 않고 있다. 정치 분야에서는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갖는 여성의 참여가 정부수립 이후와 비교하여 크게 개선되었다고 볼 수 없다. 여성의 참여를 유도하는 제도의 수립과 적용이 실시되고, 여성부의 신설로 그 틀을 구축하고 있으나, 여성의 소극적인 사회참여 의식과 낮은 정치의식이 발전을 저해하고 있어, 정치활동의 참여율이 다른 국가에 비교하여 극히 저조하다. 여성의 정치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교육과 제도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경제 분야에서 여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 여성들이 지난 10년처럼 적극적으로 대외적인 경제활동에 참여한 적은 역사상 없었다. 여성들의 경제참여는 생계를 위한 과거의 활동과는 다르게 자기 실현의 욕구와 표현이며, 이를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 한다. 그러나 사회에서의 경제활동은 대부분 단순직종이나 여성직종에서 이루어지며, 남성과 동등한 결정권을 갖는 지위에 도달한 여성의 비율은 극히 낮다. 직장에서도 남성에 비하여 불이익을 받게되는 성차별의 사례가 많다. 또한 여성의 높은 임시직 고용 비율과 대학졸업여성의 심각한 미취업상태는 여성의 경제활동이 갖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국민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들은 국가 경제를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야 하며, 사회의 개혁을 이끌 수 있도록 정치참여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나라를 구성하는 절반의 자원인 여성들의 올바른 역할의 분담이 필요함을 사회가 인식하고, 그 실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함께 여성 스스로의 의식이 더욱 필요하다.

      • 여대생을 위한 영양교육 현황 및 제언

        김경원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13 여성연구논총 Vol.28 No.-

        Nutritional problems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cluded having diets deficient in nutrients (e.g., energy, calcium, iron, vitamin C), skipping breakfast, food selection problems, and excessive dieting or necessary weight control.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college students is needed for them to acquire nutritional knowledge and to modify eating behaviors. This study reviews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nd suggests the directions of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 nutrition education for this group included topics such as nutritional management (e.g., healthy eating) and weight management. Nutrition education has been mainly done by group education and using web-based programs. Methods for group education were diverse, including lectures, discussions and hands-on activities. Several researches done in the U.S. indicated that needs assessment and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nutrition behaviors by applying health behavior theories, provided the baseline for plann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With respect to health behavior theories, social cognitive theory and transtheoretical model has been frequently used. Several researches reported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web-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the U.S. Web-based education seemed to be appropriat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ince they can access to the program at any time they want to. In web-based programs, it was possible to provide the customized, tailored messages that met individual needs, based on assessment of stages of change or nutrition assessment. Considering the nutritional problems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 future education, it is recommended to include topics such as eating right, choosing food sensibly, and meal management considering nutrition, taste and price, as well as healthy weight management. It is also needed to help the female college students to build the skills for nutrition behavior change. It is necessary to have nutrition counseling centers or health promotion centers for promoting nutrition education within the university. This will help to build supportive environments for dietary change and health promotion in the university. In addition, it is needed to develop web-based programs and applica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eb-based programs and applications might be developed based on needs assesment or applying constructs suggested in health behavior theories. 여대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에 접어드는 전환기에 있으며 이 시기의 식행동과 건강관련 행동은 장차 성인기의 건전한 생활습관과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청소년기에는 가정과 학교의 보호 속에 입시 준비와 학업에 치중하면서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 되지만, 대학생이 되면서 대학생활 등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고 학업 이외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식생활에서도 부모나 학교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신이 식사나 간식을 선택하게 되고 식사 시간이 불규칙한 경우가 많으며 외식, 인스턴트식품과 패스트푸드의 이용이 늘게 된다. 최근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013), 여대생이 속하는 19세-29세 여성층의 경우 영양섭취 부족자가 24.8%로 우리 국민의 영양섭취 부족자 비율(11.9%)보다 2배 이상 높았고, 19-29세 연령층의 아침식사 결식율은 50.0%에 달하여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았다. 영양소 섭취 실태를 보면, 에너지(에너지필요추정량의 84.3%), 칼슘(권장섭취량의 64.4%), 칼륨(충분섭취량의 68.6%), 철, 비타민 C(각각 권장섭취량의 80.2%, 84.8%)의 섭취가 영양섭취기준보다 낮았으며, 나트륨(충분섭취량의 262.9%), 단백질(권장섭취량의 126.2%)의 섭취는 영양섭취기준을 훨씬 넘었다. 19-29세 여성의 경우 영양섭취기준 미만으로 낮게 섭취하는 영양소는 칼슘(19-29세 여성의 75.5%), 철(60.2%), 비타민 A(51.0%), 리보플라빈(49.5%), 비타민 C ( 57.4%), 에너지(47.1%) 등으로 이들 영양소의 섭취가 특히 부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외에도 여대생들은 마른 체형을 선호하면서 부적절한 방법으로 다이어트를 시도하고 있다. 최경순 등(2008)은 서울지역 여대생 조사에서 대부분의 대상자가 정상체중군(71.3%)또는 저체중군(26.5%)에 속하였고, 저체중군의 경우 균형적인 영양섭취가 필요하며 비만군의 경우 체중을 줄이려고 편식하는 경향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이 연구에서 체중군에 상관없이 여대생들에게 아침결식과 운동부족의 문제도 있었다. 여대생의 식습관은 거주 형태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어서 하숙이나 자취를 하는 학생들은 식사의 규칙성이 부족하였고 아침식사 빈도가 낮았으며 외식 빈도가 높아서 집에서 통학하거나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보다 더 영양문제를 지닌 것으로 보여진다(박정현 등, 2011). 이렇듯 여대생은 아침결식, 에너지, 칼슘과 철, 일부 비타민 등 영양소의 섭취 부족, 무리한 다이어트 등 여러 영양 문제를 지닌 집단으로 사료되며, 이에 영양정보 제공과 식행동 수정을 위한 영양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지난 1년간 영양교육이나 상담을 받은 적이 있는 19-29세 여성은 4.0%에 불과하여 6-11세(20.1%), 12-18세의 청소년기 여성(24.4%)보다 월등히 낮았다(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013). 이는 국내에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학교에서 정기적으로 영양교육과 상담을 받고 있지만, 대학이나 직장 등 20대 여성의 주된 생활터에서는 영양교육의 기회가 적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고에서는 문헌 고찰을 토대로 여대생 대상의 국내외 영양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여대생을 위한 영양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포스트페미니즘 시대, 여성전용 사이버공간의 필요성과 페미니즘의 역할 : 다음카페 <여성시대>를 중심으로

        전혜영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13 여성연구논총 Vol.28 No.-

        Daum cafe <Women’s Generation>(now on WG) opened in september, 2009, claiming to stand for brave and agential of subjectivity of woman-in-twenties-only community. Comparing to Samkook cafe(representative appearance management community and a triple bond of woman majority online cafe), which organizing specific context from early 00’s to now, it is a second mover. It is important to research other woman-only online space besides feminist communities, because there are a lot of languages that presents feminism crisis discourse, for example, post-feminism, anti-feminism, crisis of gender studies and so on, we could find a clue about how to overcome this using what kind of strategy. WG shows how the people who don’t have feminist identity sympathize, learn and practice feminism in certain context. Moreover no other solutions is considered how feminism could intervene actively in daily life area such as media, online space, etc., though there are plenty of concerns and researches about stream minimizing positions in gender ‘studies’, that is, institutional academy fields. Especially Korean feminism, institutionalized fast in official way, doesn’t achieve certain results and still gets huge backlashes in public space. Therefore it means Korean feminism couldn’t handle the crisis, the post-feminism trend, unless they seek any roles hardly outside of academy. Accordingly I, as feminist and member of WG, started this research to find why woman-only space is needed and what kind of role feminism have to do in post-feminism ages. In this research, we could figure out outcomes and influence of feminism in woman-only space in heterosexual system and it functions as a safe crack which could make women learnt and empowered for daily politics. However, it is a critical point that they, the member of Women’s Generation, put distances on feminism or there is ambiguity of category of woman, which using as qualification of membership, fighting back norms selectively, not whole heterosexual systems or compulsory patriarchy. Feminism crisis discourses come to the fore continuously, limited only in institutional education area, research how we get involved public space or what kind of strategy is need to come close to woman-only space is not regarded as our issue. McRobbie(2004) saw the distance about feminism as a potential and asked for new way and strategy which is used for differently merging category of woman and suppression into new language. Also Kim, Sooah(2011) analyzed women feel comfortable with commercial sites for woman and numerous woman’s communities as woman’s space. Because thinking appearance management and household affair labor are contrary to feminism, they hesitate to share their information. It related to identity politics which pointed out as a limit of feminism consecutively. If there’s no other languages except for feminism which explain gender issue effectively, members of WG use it actively. However approaches such as suppression or exploitation on woman are no more persuasive, because patriarchy and neo-liberalism interact and work more intricately as ideology. For example, people looked away when feminism just emphasizing ‘inner beauty’ without explaining how appearance becomes resources in narrative of self-management and this process is part of heterosexaul system. Or without reflecting ambiguity of category of woman, identity politics, only identifying as woman through female body, is no more empowering tools resolved their problems. Then, the key point, switching crisis of feminism over possibility is started at analyzing periodical context of gender issues in intersecting a numbers of variables and drawing out countermeasures on how we shake the system or social structure from the public. 다음 카페 <여성시대>(이하 여성시대)는 당당하고 주체적인 20대 여성전용 커뮤니티를 표방하며 2009년 9월에 개설되었다.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일정한 맥락을 구성해 온 대표적인 외모관리 커뮤니티인 삼국카페에(윤보라, 2011: 13) 비하면 후발주자라고 할 수 있다. 놀이와 (정치) 학습의 장이라는 점에서 삼국카페와 궤를 같이 하지만 공유된 여성의 경험을 언어화하여 현실 세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점에서 차이를 지닌다. 페미니스트 커뮤니티 이외의 여성시대를 비롯한 여성전용 사이버공간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것은 포스트페미니즘, 반여성주의, 여성학의 위기 등 다양한 언어로 페미니즘의 위기 담론이 대두되고 있는 와중에 어떤 전략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핵심적인 열쇠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성시대는 페미니스트 정체성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이 어떤 맥락에서 페미니즘에 공감하고 이를 학습, 실천하는지 반대로 어떤 맥락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거리감을 유지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또한 여성 ‘학’ 즉, 제도 학문 내에서 여성학의 입지가 좁아지는 것에 대한 우려와 연구는 많지만 대중매체와 사이버공간 등 일상의 영역에서 페미니즘이 어떻게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고민은 미비하다. 특히 공적인 영역에서 빠르게 제도화된 한국의 페미니즘이 여전히 대중적인 영역에서는 구체적인 성과를 얻지 못하고 오히려 강한 반발(backlash)을 사고 있다는 점에서 학문 밖 영역에서 페미니즘의 개입 방향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지 않는 것은 포스트페미니즘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페미니스트로서 그리고 여성시대 회원으로서 포스트페미니즘 시대, 한국에서 여성전용 사이버공간이 필요한 이유와 페미니즘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지를 모색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 여성대통령의 불/가능성 :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여성대통령론’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정태윤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13 여성연구논총 Vol.28 No.-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는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후보의 ‘여성대통령론’이었다. 박근혜 후보는 ‘준비된 여성대통령’이라는 슬로건을 통해서 헌정사상 최초의 여성대통령으로서 변화와 혁신을 이룰 것임을 주장했다. 2012년 10월 27일 ‘여성혁명시대 선포식’에 참여한 박근혜 후보는 “남성대통령들이 해결하지 못한 숙제들도 여성이 하면 바로 잡을 수 있다”(『한국일보』2012. 10. 29일자)라고 이야기하며 여성대통령 탄생의 의미를 강조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가 ‘대한민국 남자’라는 슬로건을 시도했던 것 역시 여성대통령론과 맞닿아있다. 여성대통령론에 동의하는 이들은 여성의 정치 세력화 내지 여성적 리더십의 필요성을 꼽는다. 한국의 여성권한척도가 109개국 중 61위(2009년 기준)로 낮은 편이고 여성행정관리직 비율이 세계 최하위권인 상황에서 여성대통령의 등장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는 주장이다. 유정복 새누리당 직능본부장은 여성대통령 탄생을 “정치선진화를 세계에 선포하고 국격과 국가 브랜드가 달라지는 것”이자 “민주주의의 새로운 역사”로 기록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뉴시스』2012. 10. 31일자). 반면 여성대통령론에 반대하는 이들은 박근혜 후보가 지금까지 여성정책을 적극적으로 실현한 여성 정치인 개인이기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뒤를 잇는 딸의 이미지를 내세웠다고 주장한다. 박근혜 후보의 여성대통령론은 ‘가문의 영광’을 위한 수사에 불과하며 여성정치의 급진성을 무화시킨다는 것이다. 제18대 대선을 앞두고 <여성신문>이 실시한 여성정책 평가에서 박근혜 후보는 총체적 공약 평가 7개 분야 모두와 5개 세부 공약에서 문재인 후보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바 있다(『여성신문』2012. 11. 30일자). 그러나 흥미롭게도 일련의 논쟁 속에서 여성이 무엇을 뜻하는지, 여성 범주는 어떻게 구성되는지, 누가 여성을 대표할 수 있는지, 여성은 대표가능한지, 여성과 남성의 차이는 어떻게 정치화되는지 등은 충분히 이야기되지 않고 있다. 여성대통령론을 지지하는 이들은 ‘여성으로 지정받은 존재가 정치하는 것이 여성정치’라는 전제에 기대어 섹스와 젠더가 강제적으로 일치된 여성 기호를 동원하고 있고, 반대하는 이들은 ‘여성 몸을 지닌다는 사실과 여성/주의적 정치는 다르다’는 접근을 통해 섹스와 젠더를 구분하지만 이원 젠더 체계와 여성 범주의 불안정성은 탐문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18대 대선과정에서 나타난 박근혜 후보의 여성대통령론과 관련한 논쟁을 네 가지 주제에 집중해서 비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첫째, 여성대통령론을 지지하는 이들이 여성 범주를 자연화하고 성차를 물화시킨다는 점을 비판한다. 둘째, 여성대통령론에 반대하는 이들의 ‘참 여성 찾기’ 기획이 불가능함을 지적한다. 셋째, 여성대통령론에 대한 페미니스트 진영의 침묵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밝힌다. 넷째, 페미니즘에서 젠더 범주와 성차에 대한 급진적 논의가 확장되어야함을 주장한다. One of the controversial issues in the 18th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was a PARK Geun-Hye's slogan ‘The Prepared Female President.’ She, the presidential candidate for the Saenuri Party, campaigned to make changes and innovations as a first female president. She also promised women’s revolution, stating ‘it will be the greatest political renovation that to elect a female president who can break through the glass ceiling.' Those who agreed with her argumen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aving a female president in terms of women's leadership and political empowerment. They argued that to elect a female president would bring about huge changes and promote gender equal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 ranked the lowest among all OECD countries in regard to the significantly low proportion of women at professional and administrative occupa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 number of people contending that she is just a daughter of PARK Chung-Hee, the former president and harsh dictator. For them, her slogan for the first female president was nothing more than a sugar-coated promise in consideration of her political career far from women's policy and feminist movement in Korea. However, only a few people found the questions related to her argument challenging to answer, such as what femaleness refers to, how gender boundaries are constructed, who can represent women, or how sex differences become politicized. Some people reduced women's or feminist politics to the politics exercised by those who were assigned female at birth. Other people failed to question the compulsory binary gender system even though they separated women's or feminist politics from its female-assigned subject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gender politics by highlighting the underlying assumptions and their implications of her argument. In the first section of the article, I criticize her argument which comes to naturalize femaleness and femininity and reify sex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section, I examine the way gender boundaries are invented, deployed, and enforced and its effects to reaffirm the heteronormative gender dichotomy. I also take a closer look at the overwhelming silence among feminist groups on the issue and figure out what it means. In conclusion, I then want to suggest a radical feminist theory on sex differences and gender boundary.

      • 미술심리치료를 통해 여성건강 체험을 다룬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분석

        장연집;강차연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4 여성연구논총 Vol.19 No.-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women's experiences in art psychotherapies and their contributions towards clinical practices of three qualitative articles with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Subjects of these articles were women who suffered from postpartum depressions, infertilities, and climacteric symptoms. The result of our analysis shows that the art psychotherapies provided opportunities for women able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free art, rediscover their inner powers, connect their inner selves, get in self-healing processes, and ultimately create positive energi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give rise to recognition that it is required for art psychotherapists in medical art psychotherapy to empathize with the topic of art offered by women, select an pertinent art material, and develop individual therapy program. Finally, a suggestion for understanding Korean women with gynecologic disorders psychologically is present in which there is no need for an objective understanding based on the foreign literatures, but rather a subjective understand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 Korean society and culture.

      • 프랑스 여성의 경제활동

        김은희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2 여성연구논총 Vol.17 No.-

        Dans cette étude, préparée suite à 〈l'étude sur le statut et le rôle des femmes coréennes〉, nous voulons présenter le statut économique des femmes françaises. Nous arrivons à remarquer que les fernmes de ces deux pays rencontrent les mêmes diffcultés sociales, c'est-à-dire I'tnégalité entre les sexes dans plusieurs domaines. Pour aborder le sujet, nous avons suivi l'évolution des activités économiques des femmes françaises. C'est à peine 4 décernnies que la situation des femmes vis-à-vis de I'emploi s'est radicalement transformée. Aujourd'hui, environ 80% des femmes âgées de 25 à 49 ans exercent une activité professionnelle, ce qui se rapproche du taux masculin. Cependant, malgré la participation massive des femmes au marché du travail, elles n'ont pas I'égalité professionnelle, bien que I'egalité entre hommes et femmes soit un principe affirmé par la Constitution. Les inégalités réelles concernent autant l'accès à I'école et à la formation professionnelle que I'accés à I'emploi, les formes d'emploi que les rénumérations professionnelles à qualifications identiques, les positions occupées au sein de la division sociale du travail que l'accès à une position sociale détermineee dans l'espace public. En plus, le partage des tâches et des fonctions au sein du couple et de la famille est inégale en défaveur des femmes. Elles sont plus touchées par le chômage, par la précarité et surtout par le temps partiel contraint, forme d'emploi très féminisée, les femmes sont aussi amenées à occuper certains emplois très limités, très sexués et dévalorisés. Les professions massivement occupées par les femmes sont centrées autour de la famille et des enfants. Les inégalités entre sexes présentent un caractère systémique et cumulatif. Elles s'engendrent et se renforcent mutuellement. Pour lutter contre ces inégalités, il faut des politiques d'ordre général et des mesures spécifiques. Basées sur la pahté et I'égalité professionnelle, les politiques de l'emploi en faveur des femmes sont centrées sur l'égalité des chances d'emploi, I'égalité sur les conditions d'emploi (y compris l'équité salariale) et la gestion des temps de vie pour reconcilier la vie familiale et la vie professionnelle. La loi sur la parité de l'an 2000 et les lois Roudy et Génissons jouent un rôle principal. Nous attendons que ce principe passe dans les faits.

      • 고학력 여성인력 개발 및 활용을 위한 평생학습 지원체제 연구

        박승호,유숙영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6 여성연구논총 Vol.21 No.-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of our society is the very low rate of high educated or high skilled women's social participation rate, and limited opportunity in higher value-added businesses for women. Efforts to make human resources of high educated women are so urgent for entering top 10 countries with competitive human power that Korean government enacted laws promoting development and use of them. These steps can be proper only when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ir real situation and their needs. With study on relative documents and survey on high educated women, we made some suggestions for a lifelong learning support system promoting development and use of high educated woman resources. First, the system should be based on woman's needs driven from their places in their life cycles. Second, the system sould be various on the learn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women. Third, collaborative relations between lifelong learning system and the local community need to be built. Forth, woman lerners should be encouraged by emotional supports from other family members and shared household chores. To develop and use high educated woman resources, mor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ommunity should be used for women to learn at any time and in any place. Second, more active supports should be offered through close cooperation among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Woman learners can manage their course of career development with the database on their learning. Third, by database on high educated women, they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get appropriated places for their abilities. Forth, higher value-added business for high educated women should be developed. Finally, more opportunities of grant-type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