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재인 정부 자치분권정책의 성과와 한계: ‘분권’ 영역에 대한 실적을 중심으로

        주인석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1

        This study aims at assessing results and limits of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with a focus on actual achievement in ‘decentralization’ area. This evaluation of the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policy with a view of attaining ‘federal system level’ decentralization and advancing to a decentralized nation through a constitutional amendment has some academic significance in foreseeing a possibility of transforming into a decentralized nation in the future and seeking for a better policy enforcement direction.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shown some achievement in terms of legal preparation for decentralization including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local government act, the prior consultation system on autonomous decentralization, the enactment of the Omnibus Decentralization Act, the enactment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Cooperation Assembly Act. But, considering the concrete outputs in ‘decentralization’ area concerning official task handover and financial decentralization, it is hard to assess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an as an ‘epochal’ progress as it promulgated. In the case of official task transfer, the numbers implemented are fewer than those of former administrations though the importance lies in contents not in tally. For financial decentralization, net revenue for local governments to use has not substantially increased. Financial dependency of local governments on state government still has not been improved. Though the comprehensive policy outcomes will be reassessed in many years to come, the policy direction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is thought to be properly set up. Some achievement will be a stepping stone for the next administration to drive their own policies. The next government are recommended to inherit Moon Jae-in Administration’s will and direction, examine critically limits of ‘decentralization’ area and then attain the fruit of transferring tasks, functions and actual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 ‘자치분권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분권’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실적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연방제 수준’의 지방분권과 헌법개정을 통한 지방분권국가로의 이행을 목표로 삼았던 자치분권정책에 대한 평가는 향후 지방분권 국가로의 전환 가능성을 전망하고, 보다 나은 정책추진 방향을 모색해 본다는 점에 학술적 의미가 있다. 문재인 정부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 자치분권 사전협의제, 지방일괄이양법 제정, 중앙지방협력회의법 제정 등 분권을 위한 법제의 정비 측면에서 일정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사무이양과 재정분권을 중심으로 하는 분권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실적을 보면, 대통령 직속 자치분권위원회가 공언한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었다고 평가하기는 힘들다. 사무이양의 양적인 건수보다는 그 내용이 중요하지만, 일단 양적인 측면에서 문재인 정부에 들어와서 완료된 사무이양의 건수는 역대 정부와 비교하여 적은 편이다. 재정분권에 있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가용할 수 있는 지방재원의 순확충분이 실질적으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지방의 중앙에의 재정의존성은 개선되지 못하였다. 다만 전체적인 정책 성과는 상당한 시일이 지난 후에 재평가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선 문재인 정부의 정책방향은 적합하게 설정되었으며 향후의 정책추진을 위한 징검다리를 놓았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차기 정부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방향과 의지를 계승하되 ‘분권’ 영역에서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지방정부로의 사무․기능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권한까지 이양하는 성과를 도출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지방의회와 집행부의 정보비대칭에 대한 검토 -전문위원의 전문성과 서류제출요구권을 중심으로-

        이용재,박경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1

        The general revision of the local government act provided new opportunity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local councils, such as the independence of the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of local councils and the employment of specialists for supporting policy making. But there is a lack of interest in operating committees in the local council to enhance the expertise with the democratic representation. The committee deliberate on the agenda and submit to a plenary session, and the vote for a scheme with respect to the committee’s deliberation. that is a respect for the expertise of the committee, which is accumulating the experience of that field with acting on council. However, despite of this importance, the rank and number of the expert advisor in the committee are limited by the presidential decree. and many expert advisors sent from the administration and execute personnel transfers for short terms. In addition, the request for the submission of reference by a committee is not recognized. the asymmetric information between the council and the executive cause to the lack of expertise of committee make the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and conflict, increasing social cost and expanding residenter’s distrust of the municipality.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asymmetry information and establish the correct municipality, this study is about the ways to secure the autonomy of the local council over the rank and the number of expert members in the committee, enough service period for accumulating the expertise and the right of access to the policy data making by the execute.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을 통해 지방의회의 인사권 독립과 정책지원전문인력 도입 등 지방의회 역량강화를 위한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지방의회가 가지는 민주적 대표성과 함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원회 운영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미흡하다. 위원회에서 안건을 심의하여 본회의에 상정하면, 본회의는 위원회 심의결과를 존중하여 의결한다. 이는 전문위원을 두고 소관업무에 대한 지속적인 의정활동을 통해 확보한 위원회의 전문성에 대한 존중이다. 지방자치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 지역상황에 맞는 위원회의 역할이 필요함에도 지방의회 전문위원의 직급과 정수는 대통령령으로 제한하고, 집행부에서 파견된 전문위원은 갖은 인사이동을 하고 있으며 집행부에 대한 전문위원의 자료제출요구는 인정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위원회 구성 및 운용의 어려움과 전문위원의 전문성 부족 등으로 발생하는 의회와 집행부 사이의 정보비대칭은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을 초래하여 갈등비용을 늘리고, 지방자치제에 대한 주민불신을 확산시킨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방의회와 집행부의 정보비대칭을 극복하고, 지방자치제를 올바르게 확립하기 위해 전문위원 직급과 정수에 대한 지방의회의 자율성 확보, 전문위원의 전문성 축적, 집행부 자료에 대한 정당한 접근권한의 확보 등의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탄소중립과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의 딜레마- 한국 발전 부문에서의 에너지 전환 -

        한형근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1 지역과 정치 Vol.4 No.2

        Carbon neutrality is required to prevent global warming by climate change. 27% of greenhouse gases are emitted in the process of making electrical energy. 37% of greenhouse gases are emitted during electricity production in Korea. Carbon neutrality is a far-fetched task unless we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electricity generation. The Korean government intends to drastically reduce coal-fired electricity generation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he nuclear phase-out policy is being pursued in Korea. The shortage of electricity will be filled with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 shift in the energy paradigm could lead to a serious energy gap in Korea. Energy-based industries such as steel, shipbuilding, automobiles, and chemicals are major industries in Korea. As a leading countr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mand for electric energy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addition, as the mobility paradigm shifts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to electric vehicles, the use of electric energy will also continue to increase. As the government claims, it is not easy to increas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that can replace coal-fired generation and nuclear energy.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renewable energy capacity, natural gas or hydroelectricity generation should be actively promoted. Nuclear phase-out policy should be slowed down, and small nuclear reactors such as SMR should be used as an auxiliary means of nuclear phase-out. Plasma fusion power generation, a future energy source, should also be actively fostere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nergy ecosystem such as a smart grid by utilizing ICT. Through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the energy gap on the road to carbon neutrality must be overcome.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탄소중립이 요구되고 있다. 인류가 사용하는 에너지 중 전기에너지가 온실가스의 27%를 배출하고 있으며, 한국은 전력 생산에서 37%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전력 생산에서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지 않는 한 탄소중립은 요원한 과제다. 한국은 전력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 석탄화력 발전을 과감하게 감축하겠다고 한다. 폐기물과 안전성 등의 문제로 탈원전 정책도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그로 인한 전력의 부족분은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채워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에너지 패러다임의 대전환은 한국이 처한 특수성으로 인해 심각한 에너지 수급 문제를 낳을 수 있다. 한국은 철강, 조선, 자동차, 반도체, 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4차 산업혁명의 선도국가로서 전기에너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또한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의 모빌리티 패러다임이 전환되기 시작하면서, 전기에너지 사용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정부의 입장과는 다르게 석탄 발전과 원자력 발전을 대체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발전을 증대시키기는 쉽지 않다. 주민수용성을 전제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여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늘이는데 주력하면서도, 보조적 수단으로 천연가스를 활용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소에너지 발전 등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탈원전의 속도 조절이 필요하고, SMR과 같은 소형원자로를 탈원전의 보조 수단으로 고민해야 한다. 미래 에너지원인 플라즈마 핵융합 발전도 적극 육성해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과실인 ICT를 활용하여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새로운 전력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공공 영역과 민간 영역의 협력과 혁신을 통해 탄소중립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 갭을 극복해야 한다. 블랙아웃의 기억을 되살려 생활 속에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는 것도 탄소중립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여정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정치경제의 변화와 복지국가 형성을 위한 정치제도의 딜레마

        정재환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dilemma that exists in reforming the political system in a direction favorable to the formation of a welfare state in Korea. While the developmental regime was successfully operating, a certain degree of employment stability through economic growth served as a functional equivalent to the welfare system.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Korea was transformed into a production system in which developmental protectionism could no longer operate, and thus economic instability significantly increased, but political demands for a welfare system did not increase proportionately. At the root of this contradiction is the non-correspondence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conceptual environment. Although economic instability is increasing as the past developmental protectionism no longer works, the developmentalist ideational system that economic instability can only be resolved through economic growth is still maintained as the dominant social ideational system. Therefore, in order to form a welfare state in the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above all to break away from the path dependence of the developmental ideational system. One of the element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path dependence of the developmentalist ideational system is the reform of the political system. The basic framework of the current Korean political system is composed of ‘presidential system - majority system - two party system.’ The composition of such a political system reduces the political space of norm entrepreneurs who are a political minority and thus acts as a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to break away from the path dependence of the developmentalist ideatioanl system. The political space of the political minority can be expanded the most in the arrangement of the political system of “parliamentary system – proportional system - multi-party system.” However, given the strong political legitimacy of the presidential system, it is almost impossible to change the presidential system into parliamentary one in Korea. In the case of the ‘presidential system - proportional system - multi-party system,’ the number of veto power actors may increase, resulting in a stalemate in policy making. This stalemate in policy-making will act as a factor that delays the formation of a welfare state. In this respect, the fact that the presidential system has a very high political legitimacy in Korean society is the biggest dilemma in reforming the political system for the formation of a welfare state. 본 논문은 한국정치경제 변화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한국 복지국가 형성에 유리한 방향으로 정치제도를 개혁하는 데 존재하는 딜레마를 논의한다. 한국 발전주의 생산체제에서 경제적 불안정성을 나름대로 극복했던 중요한 방식은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가능했던 고용의 안정성이었다. 발전주의 생산체제가 성공적으로 작동하는 동안에는 경제성장을 통한 일정정도의 고용 안정성이 복지체제에 대한 기능적 등가물의 역할을 하였다. 1997년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더 이상 발전주의적 보호주의가 작동할 수 없는 생산체제로 변모하여 경제적 불안정성이 증가하였지만 그에 비례하여 복지체제에 대한 정치적 요구는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모순의 근저에는 물리적 환경과 관념적 환경의 비조응이 자리 잡고 있다. 과거의 발전주의 보호주의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아 경제적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을 통해서만 경제적 불안정성의 해소가 가능하다는 발전주의 관념체계가 여전히 지배적인 사회적 관념체계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사회에서 복지국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발전주의 관념체계의 경로의존성으로부터 탈피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한국사회에서 발전주의 관념체계의 경로의존성에서 탈피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에 하나는 정치제도의 개혁이다. 현재 한국 정치제도의 기본적인 틀은 ‘대통령중심제-다수대표제-양당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치제도의 구성은 정치적 소수파인 규범 주창자의 정치적 공간을 축소시켜 발전주의 관념체계의 경로의존성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치적 소수파의 정치적 공간은 ‘의원내각제-비례대표제-다당체제’의 정치제도 배열에서 가장 확장될 수 있지만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루어진 민주화 이후 대통령중심제가 가지고 있는 강력한 정치적 정당성으로 인해 대통령중심제를 의원내각제로 변경시키려는 요구는 현실적으로 정치적 지지를 확보하기 어렵다. 하지만 ‘대통령중심제-비례대표제-다당체제’의 경우에는 거부권행위자의 수를 증가시켜 정책결정의 교착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책결정의 교착상태는 복지국가 형성을 지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사회에서 대통령중심제에 대한 정치적 정당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 복지국가 형성을 위한 정치제도 개혁에 있어 가장 큰 딜레마로 작용하고 있다.

      • KCI등재

        지역발전과 국회의원 선거 슬로건의 변화: 충청지역 제7~21대 총선을 중심으로

        이재현 국립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3 지역과 정치 Vol.6 No.2

        이 연구는 슬로건의 정치학 차원에서 지역발전에 대한 정치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 역대 국회의원 선거(제7~21대)에서 나타난 슬로건과 키워드를 중심으로 유형별, 시기별 분석과 키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형별 시기별 분석을 종합해 보면, 첫째, 국가근대화를 위한 시기에는 국가(나라)에 대한 표현과 메시지가 충청지역 유권자들에게 전달되었다. 둘째, 충청지역 유권자들은 당시 정부를 심판해 달라는 정부권력의 견제 역할 메시지에 상대적으로 반응을 보였다. 셋째, 충청지역 역대 총선 슬로건에서 보여진 커뮤니케이션의 화법은 민주화 이후 단어강조형으로 나타나 치열한 선거경쟁에서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소통하려는 행태를 짐작케 한다. 다음으로 키워드를 시각화한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정리하면, 민주화 이전에 ‘나라’, ‘발전’이라는 국가중심적인 메시지에서 민주화 이후 지방분권과 지역발전, 그리고 선진정치문화를 바라는 추세가 다양하게 반영되어 ‘일꾼’, ‘깨끗’, ‘정치’, ‘힘’ 등의 표현이 두드러졌다. 무엇보다 충청지역 기반정당 존재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즉 충청지역에 충청을 대표하는 정당이 있을 경우 지역 유권자들에 ‘충청’이라는 지역을 내세우고 지역발전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충청지역 역대 선거에서 슬로건은 충청지역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으로 특정한 패턴과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거버넌스적 시각에서 바라본 지방정부의 코로나19 대응: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서선영,차재권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1 지역과 정치 Vol.4 No.1

        The impact of the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varies by country and region. This difference also shows large deviations depending on the response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hich play a direct or indirect role in the disaster and safety governance system and disaster response. In a disaster situation, sinc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relevant agencies is of the utmost importance,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actors plays an important ro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VID-19 response system of local governments from a governance perspective, and to present policy recommendations for revitalizing disaster response governance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VID-19 quarantine in Busan Metropolitan City. Disaster management is limited by the capabilities of the public sector in its nature,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governance where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uch as local governments, related organizations, and civil society can cooperate. 코로나19 팬데믹 확산에 따른 영향은 국가별·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재난 안전 거버넌스 체계 및 재난 대응에 직·간접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대응에 따라서도 큰 편차를 보인다. 재난 상황에서는 관계기관 간의 소통 및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행위자 간의 협력적 거버넌스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버넌스적 시각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코로나19 대응체계를 살펴보고, 부산광역시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현황 및 문제점을 통해 재난 대응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재난관리는 특성상 공공부문만의 능력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 유관기관, 시민사회 등 민관과 협력할 수 있는 로컬거버넌스 관점에서 재난관리조직이 구축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2021년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보궐선거 사례 연구: 후보 공약 비교를 중심으로

        허열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1 지역과 정치 Vol.4 No.2

        There was a lot of interest in the by-elections for the mayor of Seoul and Busan in 2021. because of the Democratic Party, which is the ruling party, occupied more than 80% of local seats not only in Seoul but also in Busan in the 2018 local elections and the Democratic Party won the first time in the Busan mayoral election during 32 years. This study analyzed the feasibility of promises by comparing the ten core promises of the candidates of the two major political parties running for mayor of Seoul and Busan and the continuity of the promises of previous mayors. Because of there is criticism that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elected by the by-election is making an impossible promise for the remainder of his term. In conclusion, it seems unlikely that most of the core promises of Candidate Park Young-sun and Oh Se-hoon, who were candidates for mayor of Seoul, will be realized during the remainder of his term. because of in addition to the realistic problem that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to fulfill the promises of the candidat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budget for 2022, there will be confusion with the schedule of the internal party primary in the local elections in June 2022. In particular, in terms of the continuity of the promises made by former Mayor Park Won-soon, Young-sun Park Candidate maintains most of the promises, but Oh Se-hoon candidate seems to be very unlikely to fulfill his promises because of more than 70% of the promises are revised, supplemented, and discarded of former Mayor Park Won-soon. Also, in the case of Kim Young-chun Candidate and Park Hyung-jun, Candidates of Busan mayor's key promises remain in the planning stage and budgeting issues remain. Therefore, it seems impossible for the two candidates to fulfill their promises during remain. 2021년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보궐선거는 매우 관심이 높았다. 왜냐하면 2018년 지방선거에서 서울뿐 아니라 부산 그리고 전국에서 여당인 민주당이 지방의석 80%이상을 차지했고, 부산시장 선거에서는 32년 만에 민주당이 승리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에 출마한 두 거대정당의 후보들의 10대 핵심공약과 전임 시장들의 공약에 대한 지속성에 대한 비교를 통해 공약의 실현가능성을 분석했다. 왜냐하면 보궐선거로 선출되는 단체장은 잔여 임기동안 실현불가능 한 공약을 제시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서울시장 후보였던 박영선 후보의 핵심공약과 오세훈 후보의 핵심 공약 대부분이 잔여임기 동안 실현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왜냐하면 후보들의 공약을 실천하기 위한 재원확보 자체가 2022년 예산책정에서 반영되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문제점뿐만 아니라 실제로 2022년 6월 지방선거가 실시되기 6개월 전부터 당내경선 일정으로 혼란스러울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전 박원순 시장의 공약의 지속성에 있어서는 박영선 후보는 거의 대부분을 지속하고 있지만, 오세훈 후보는 70%이상을 수정 보완 폐기한다면 공약의 이행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그리고 부산시장에 출마한 김영춘 후보와 박형준 후보의 경우도 대부분의 핵심공약이 임기 내 계획수립단계에 머물러 있고 공약들의 예산책정 문제가 남아 있다. 그래서 잔여임기 동안 두 후보의 공약이 실천되기는 불가능해 보인다.

      • KCI등재후보

        자본, 타자, 혼성: 카페 「초량 1941」에서 발견되는 부산의 (시각) 정치성

        황영주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of Busan through the features of café 「Choryang 1941」. This research hypothesizes that the café 「Choryang 1941」, which has recently gained popularity in Busan, highlights the political aspects of Busa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apitalism, other-ness, and hybridity. When looking at the city of Busan from the point of view of capitalism, the accumulation of capitalist expansion creates the spectacle of “Haeundae”, and the transformation of various urban projects through constantly proposed regional developments, are ultimately an expression of the desire for the expansion of capitalism. In terms of other-ness, Busan as a region has a history of having its political and geographical meaning defined by foreign states and others, going back to the opening of the port period to the age of economic development. Moreover, recently, a new internal other has been discovered by creating a dichotomy between “Sanbok Road and Haeundae”. From a view of hybridity, just as many “Jeoksan buildings” (building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been newly discovered and invented, such as 「Choryang 1941」, the city of Busan has developed a hybridity and complex of sports, geographies, and food. This research has simultaneously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oryang 1941」 embody the political nature of Busan by applying analysis of images and visual representations.

      • KCI등재후보

        유권자의 권위주의 성향과 투표 선택: 제20대 대통령 선거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정동준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1

        Amid the rise of authoritarianism all over the globe in recent years, authoritarian attitudes from below that give support to authoritarian leaders draw scholarly attentions. South Korea as well has recently held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where the two leading candidates, Yoon and Lee, are marked as their authoritarian leadership styles. The present survey analyses show that authoritarian attitudes among South Koreans are quite pervasive from comparative perspectives, especially for those in males, younger generations, conservatives and partisans for People Power Party. It is also found that authoritarian attitudes are driven by voters’ negative evaluations of economic situations and the government’s COVID-19 responses. Also, authoritarian attitudes are found to have an independent and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voting for Yoon over Le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uth Koreans’ authoritarian attitudes are strongly related to right conservatism and call for a close attention as they are likely to cause the crisis of their democratic system. 최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권위주의의 대두 속에 권위주의적 지도자에 지지를 보내는 아래로부터 유권자의 권위주의 성향이 주목을 받고 있다. ‘역대급 비호감’ 선거란 오명을 쓴 채 양대 후보의 극단적이고 권위주의적인 면모가 부각된 이번 20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국 유권자들의 선택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개인 차원의 권위주의 성향에 초점을 두고 유권자의 투표 선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비교적 관점에서 적지 않은 수준의 권위주의 성향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성향은 남성, 2030의 젊은 세대, 이념적 보수와 국민의힘 지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권위주의 성향은 경제 상황과 정부의 코로나 대응에 부정적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권위주의 성향은 윤석열 후보에 대한 투표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영향력의 크기 또한 당파성과 이념 변수 다음으로 컸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권위주의 성향이 보수 이념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렇게 높은 수준의 권위주의 성향은 다수의 지지와 민주적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주의에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 KCI등재후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정착 방안에 관한 연구-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

        윤상규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2

        This paper examined the settlement plan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focusing on literature research. Specifically, the significance, status, previous studies, characteristics, an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were analyzed. Through thi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were presented. The problem with the residents'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s that resi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residents'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s low, and information to strengthen residents' expertise is insufficient. In addition, there are issues of representation when selecti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committee, restrictions on the scope of the budget operati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lack of connection with other resident participation organizations and financial systems, and public officials' perception. Suggestions for improvement measures for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When forming a member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Committee, strengthening representation through participation of various classes, expanding the scope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entire budget process, securing participation space for residents not only offline but also online space, strengthening diversity and expertise in budgetary education for residents, listening to opinions from various stakeholders, link to the direct participation system of residents, supporting related ministries, encourage different classes to participate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trengthening policy solidarity between metropolitan council and primary local governments. 본 논문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정착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주민참여와 주민참여예산제의 의의, 현황, 선행연구, 특성, 국내외 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주민참여에산제도의 문제점은 주민참여예산 제도에 대해 주민의 관심과 참여도가 낮고, 주민의 전문성을 강화할 정보제공이 미흡하다. 그리고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선정 시 대표성 문제,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운영하는 예산 범위의 제한, 타 주민참여기구 및 재정 제도와의 연계 부족, 공무원의 인식 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주민참여예산위원회의 위원 구성 시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통한 대표성 강화, 예산 전 과정에서 주민참여의 범위 확대, 오프라인 공간뿐만 아니라 온라인 공간까지 확장하여 주민의 참여공간을 확보, 주민참여예산 교육의 다양성과 전문성 강화,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 청취, 주민 직접 참여제도의 연계, 관계부처의 지원, 지역 특성에 따라 다양한 계층의 참여 유도,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간 정책연대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