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축제와 이벤트가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천시와 군산시의 도시재생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홍정수 배재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2021 국내박사

        RANK : 250671

        축제와 이벤트가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천시와 군산시의 도시재생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 홍 정 수 지도교수 정 강 환 배재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대한민국은 급격한 경제성장과 신도시개발로 원도심 지역이 노후화되고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쇠퇴한 원도심 지역을 활성화하고 재생하기 위해 토목, 건축 등 하드웨어 중심의 도시재생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최근 국내ㆍ외에서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반영된 축제ㆍ이벤트, 문화, 예술 등을 활용한 소프트웨어적 접근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축제, 문화, 관광, 도시재생 담당자와 관련 이해관계자들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재생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축제와 이벤트를 통한 도시재생 영향을 살펴보았다. 지역 활성화와 원도심 재생을 위해 전략적으로 기획된 인천시의 인천개항장 문화재야행과 동인천 낭만시장축제, 군산시의 문화재야행과 시간여행축제가 도시재생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역사적, 문화적 배경이 유사한 인천시와 군산시에서 동일한 목적으로 개최하는 축제와 이벤트가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와 이벤트를 통한 도시재생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축제와 같은 소프트웨어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인식변화에 영향을 준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젊은 사람들의 유입을 통해 지역이 대표 관광지로 인식되는 것 또한 중요한 도시재생 요소로 나타났다. 둘째, 축제별 도시재생 영향을 비교한 결과 군산지역은 도시재생 효과 중 젊은 사람들의 유입을 가장 큰 효과로 인식하였으며, 인천지역은 건물 신축과 같은 하드웨어적 접근보다 문화와 축제 같은 소프트웨어적 접근의 도시재생 정책이 필요하다는 인식의 변화가 가장 큰 도시재생 효과로 분석되었다. 셋째, 축제와 이벤트가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4개 구성요인(사회ㆍ문화적 효과, 경제적 효과, 지역특화 효과, 관광적 효과)을 도출하였으며, 4개 구성요인 모두 축제와 이벤트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천과 군산지역 모두에서 주간형 축제보다 야간형 이벤트인 문화재야행의 도시재생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도시재생 영향요인의 인천과 군산지역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경제적 효과, 지역특화 효과, 관광적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요인별 세부 항목을 비교한 결과 14개의 세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군산보다 인천지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공무원 세부 업무에 따른 도시재생 영향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사회ㆍ문화적 효과와 경제적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세부 항목별 차이에서 두 요인 모두 축제ㆍ문화ㆍ관광ㆍ문화재 담당 그룹이 도시개발 및 기반시설 그룹보다 도시재생 영향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도시재생 영향요인의 축제 방문여부에 따른 차이는 사회ㆍ문화적 효과, 경제적 효과, 지역특화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축제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방문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축제와 이벤트를 통한 도시재생 효과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제 참여여부에 따른 차이는 사회ㆍ문화적 효과, 경제적 효과, 지역특화 효과, 관광적 효과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축제와 이벤트에 직ㆍ간접적으로 참여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축제와 이벤트를 통한 도시재생 효과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언할 수 있다. 첫째, 도시재생 관련 정책 및 사업 수립 시 축제와 이벤트 같은 소프트웨어적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시재생 관련부서에 축제, 이벤트, 문화와 관련된 전문 인력들을 채용하고 배치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무원 및 도시재생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축제, 문화, 예술 등이 접목된 소프트웨어 사업의 성공사례에 대한 교육을 통해 도시재생효과에 대한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도시재생 관련 사업예산 편성 시 축제와 이벤트 같은 소프트웨어적 콘텐츠를 위한 예산을 편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도시재생 정책 수립 시 젊은 사람들이 도시재생 지역에 유입될 수 있는 전략을 함께 고민해야 하며 이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마케팅과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여섯째, 도시재생 지역에서 축제 기획 시 전략적으로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반영된 문화재야행과 같은 야간 이벤트를 기획하고, 주간형 축제 개최 시에도 야간형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배치하여 병행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도시재생 사업 추진 시 야간형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야간경제와 야간 관광에 대한 전략적 고민이 필요하다. 여덟째,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반영된 도시재생 계획과 축제ㆍ이벤트의 체계적인 기획은 도시재생 지역을 대표적인 관광지로 발전시키고 방문객을 증가시켜 지역활성화 및 도시재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지역주민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도시재생을 총괄하는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전국의 도시재생 지원센터에 축제와 이벤트 같은 소프트웨어를 담당하는 전문가와 담당부서가 필요하다. 열째, 도시재생 사업 추진 시 관광공사, 문화재단, 축제재단 등 소프트웨어적 사업을 추진하는 기관과의 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축제와 이벤트를 통한 도시재생에 대한 학술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도시재생 영향에 대한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학술적 연구를 깊이 있고 명확하게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존 하드웨어적 도시재생 사업의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이 있으나 축제ㆍ이벤트와 같은 소프트웨어적 접근의 영향 연구가 적어 연구를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분석결과 도출된 결과들을 개최성격과 규모, 기간, 지역, 환경이 다른 축제와 이벤트에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무리가 따를 것이다. 또한 연구대상 축제와 이벤트가 개최기간이 3년에서 8년밖에 되지 않아 축제와 이벤트를 통한 지역의 도시재생 영향을 장기적 관점에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개최기간이 10년 이상 된 규모가 큰 문화관광축제나 향후 개최 예정인 메가이벤트를 통한 도시재생의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하드웨어적 도시재생 사업과 축제ㆍ이벤트를 활용한 소프트웨어적 사업을 통한 도시재생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주요어: 축제(Festival), 이벤트(Event), 야행(夜行), 관광영향(Tourism Impact),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 ABSTRACT A Study on Impacts of Festivals and Events for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urban regeneration areas between the cities of Incheon and Gunsan- Joung-Soo, Hong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Gang-Hoan Jeong) In the Republic of Korea,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new town development, the original downtown area is becoming superannuated and a phenomenon of hollowization is occurring. Hardware-orien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uch as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are being carried out to revitalize and regenerate the deteriorated original urban areas, but they are facing limitations. Recently in and outside of Korea, a software approach using festivals, events, culture, art, etc. that reflects local history and culture has emerged as a new alternativ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festivals and events emerging as new alternatives to urban regeneration in order to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to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charge of festivals, culture, tourism, and urban regeneration and related stakeholders. In order to revitalize the region and regener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we will examine how the Incheon Open Port Culture Night and the Dong Incheon Romance Market compared to Gunsan's Culture Night and the Gunsun Time Travel Festival, which were strategically designed, affect the urban regeneration area. The effects of festivals and events held for the same purpose in Incheon and Gunsan with similar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on urban regeneration were compar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festivals and events,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ed the change in perception that software-based approaches such as festivals were important, and the region wa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through the influx of young people. It also appeared as an important urban regeneration factor.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by festivals, Gunsan recognized the influx of young people as the greatest effect among the urban regeneration effects, and Incheon was analyzed as a city regeneration effect with the greatest change in perception for the need of a software-based approach, such as culture and festivals, rather than a hardware approach, such as building new buildings. Third, four constituent factors (social and cultural effects, economic effects, regional specialization effects, tourism effects) were derived for the effects of festivals and events on urban regeneration. All four componen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festivals and events. Fourth, in both Incheon and Gunsan,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was higher in the Culture Night program than the daytime festival.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Incheon and Gunsan in the factors influencing urban regener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effect, regional specialization effect, and tourism effect. As a result of comparing detailed items for each fact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14 categories, and Incheon was higher than Gunsan in all categories. Sixth,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urban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detailed work of public officia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nd cultural effects and economic effects. In terms of the difference by detailed item, it was found that the group in charge of festivals, culture, tourism, and cultural properties recognized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more than the group in charge of urban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Seventh, the difference of factors influencing urban regener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visit the festiva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and cultural effects, economic effects, and regional specialization effects. People who have visited the festival are more aware of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festivals and events than those who have not visited. Furthermor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and cultural effects, economic effects, regional specialization effects, and tourism effects. It was found that group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d in festivals and events perceived the urban regeneration effect through festivals and events higher than those that did not.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software content such as festivals and events when establishing policies and project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ruit and deploy specialized personnel related to festivals, events, and culture in the department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Third,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perception of urban regeneration effects through education on the successful cases of software projects that incorporate festivals, culture, and arts for public officials and urban regeneration stakehold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budget for software content for festivals and events when organizing a project budget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Fifth, when establishing an urban regeneration policy, a strategy for young people to flow into the urban regeneration area must be considered, and marketing and promotion strategies to attract them are needed. Sixth, when planning festival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it is necessary to strategically plan night events, such as the Culture Night Program, that reflect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and strategically arrange current night programs when holding daytime festivals. Seventh, strategic concerns about the night economy and night tourism are needed when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Eighth, the urban regeneration plan reflect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where local residents participate, and the systematic planning of festivals and events, will develop the urban regeneration region as a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and increase the number of visitors, which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revitalization and urban regeneration. There is a need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s their participation is vital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cess. Ninth, experts and departments in charge of festivals and events are needed in the Ministry of Land's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which oversees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s across the country. Tenth, when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ooperation with organizations such as the Tourism Organization, Cultural Foundation, and Festival Foundation is requir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s in-depth and clear academic research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on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in a situation where academic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through festivals and events is insignificant. However, although there are many prior studies on the impact of the existing hardware-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conducting this research due to few studies on the impact of software approaches, such as festivals and events. It would be difficult to collectively appl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to festivals and events with different nature, size, period, region, and environment.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impact of regional urban regeneration through festivals and events in depth because the festivals and events to be studied have only been held for three to eight years. Therefore, in future studi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a large cultural tourism festival that has been held for more than 10 years or a mega event to be held in the future is needed. In addit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between the hardware-orien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software-oriented project utilizing festivals and events will become a meaningful study.

      • 외국인의 국내 지역축제 선택결정요인 파악에 관한 연구 : 수도권 교환학생과 주한미군을 중심으로

        이준헌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글로벌시대의 세계관광시장에서 국가 간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관광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 전략산업으로 인식되면서 관광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각국의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적 환경은 본격적인 주 5일제로 인해 여가시간 증대, 관광을 통한 삶의 질 향상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로 국내관광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에서 국내관광 활성화의 대안으로 축제를 육성,발전시켜 여러 긍정적인 면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요즘의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주한외국인의 관점에서 지역축제를 참가하는 선택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분석하여 축제발전계획을 수립하는데 참고자료로 쓰여 도움이 조금이나마 될 수 있는 연구논문이 되었으면 하며, 실질적으로 축제의 질적인 발전과 외국인유치를 통하여 외화유치 뿐만 아니라 축제의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하여 세계적 메가이벤트로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설정한 가설에서 항목별 평균분석을 하여 어떠한 요인이 축제를 선택하는데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지를 도출해내었다. 그 주요 결과는 문화에 대한 관심도, 한국에서의 추억 및 경험에 의해서, 해당 축제 주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서 축제에 영향이 미쳐 참여했다는 평균적 분석이 나왔다. 또한 군인, 학생과의 직업별 차이와 미국, 미국외 국적에 따라 선택하는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축제 발전방안 및 외국인 유치 전략으로는 첫째, 체계적인 관광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관광수용시설, 관광자원 및 상품, 관광서비스 체계, 안내체계, 관광정책의 유기적인 협력체계의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바와 같이 직업에 따른, 국적에 따른 대상에 따라 선택요인이 차이가 있어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을 세부적으로 수립함으로서 효율적 홍보 및 광고의 방법을 선택하여 비용 및 시간적인 면에서 절감할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셋째, 지역축제 컨설팅 시스템 구축과 전문가 육성을 통한 지원체계 확립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제시를 통해 우월한 서비스 품질의 제공과 경쟁우위를 접할 수 있는 핵심전략을 만들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며 장기적인 경제적인 면과 그 외에 면에서도 장기적인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넷째, 외국인측면에서 선호여행상품의 개발과 전문적인 지식을 통한 축제관련 분야의 질적인 상품기획을 통해 외국인유치상품을 만들 수 있다. 연구조사에서 나타난 주한 외국인들의 국내지역축제를 선택하는 결정적 요인이 분석되어짐에 따라 축제를 연구하고, 발전을 위한 참고자료로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며 국내관광활성화의 대안으로서 질적인 축제를 육성·발전을 목적으로 외국인을 최대한 유치시키기 위한 관광상품 개발이나 여행상품개발에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 해외여행객의 여행사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조원국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국외관광자를 대상으로 하여 여행사 선택요인을 파악하고 각 요인에 대한 인구통계적 특성을 조사하며, 각 요인이 관광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과 실증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우선 연구이론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관광자만족의 정의와 구조, 여행사 선택요인, 관광자 의사결정과정 등을 살펴보았으며, 선행연구를 통하여 국외관광자의 여행사 선택요인을 위한 측정도구를 도출하였다.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추출된 국외관광자의 여행사 선택요인을 측정변수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조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여행사를 통해 인센티브 여행을 한 국외관광자로 조사기간은 2005년 5월 3일부터 11일까지 총 9일 동안이었다. 설문지는 총 20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190부가 회수되고 응답내용이 부실한 2부가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188부가 유효표본으로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분석기법은 사회과학분야의 통계 패키지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표본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간 인식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 검증(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조사도구의 양호성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여행사 선택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분석을 이용하였다. 여행사 선택요인과 만족, 재이용 여부, 추천의사와의 관계분석을 위해서는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국외관광자의 여행사 선택시 중요도 분석결과, 현지 가이드의 전문성과 친절성, 국외여행인솔자의 전문성과 친절성, 여행 출발 전 설명회, 선택관광의 비용, 관광지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 여행상담원의 전문성, 여행서류 전달 서비스, 여행상담원의 친절성, 국외여행인솔자의 팁, 현지 가이드의 팁, 여행사 근무시간 이외의 이용가능성, 숙박업소에 대한 안내, 여행사의 명성, 여행사의 분위기, 편리한 위치 및 교통, 국외여행상품의 가격, 여행사의 충분한 주차시설의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행사 선택시 고려사항에 대한 중요도 분석결과. 국외관광자들은 여행사선택시에 현지가이드와 국외여행인솔자의 친절성 및 전문성 등 주로 종사원 부분에 대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인센티브 여행사에서는 국외관광자 만족도 제고를 위해 국내종사원과 국외종사원 등 종사원 부분에 중점을 둔 경영전략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여행사의 시설 등에 대한 분석결과, 편리한 위치나 충분한 주차시설 등에 있어서는 다른 요인들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적 서비스에 그리 큰 중요성을 부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추출한 여행사 선택요인은 무수히 많은 요인 가운데 총 열 아홉 항목만 추출한 것으로 전체요인을 전부 포함시킬 수 없었기에 국외관광자의 여행사 선택요인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차후 연구에서는 국외관광자의 선택요인을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변수의 사용이 권장된다고 하겠다. 둘째, 본 연구의 설문조사가 인센티브 관광을 인솔하는 몇몇 국외관광인솔자를 통하여 배포한 후 수거하였으므로 연구의 표본이 일반화가 가능할 정도로 대표성이 있느냐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다음 연구에서는 표본의 대표성 확보를 위해 인센티브 한 팀 당 배포하는 설문지의 수를 미리 정하여 가급적 많은 인센티브 그룹으로부터 설문지를 수거하는 방법 등을 고려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셋째, 측정한 여행사 선택속성은 조사당시의 여러 환경에 따라 충분히 변할 수 있는데 단 한번의 조사로 선택요인을 확정했다는 점이다. 즉, 당시의 기분이나 상황 등에 따라 답변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suggest some management strategies that can be adopted by a travel agency, which wishe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s and to position itself as one of the superior ones in the competitive market. The study purpose were pursued in a documentary and an empirical study. In the documentary study, the theoretical base was set up throuth books, papers and data related to the factors that affect outbound tourist' choice of a travel agency. In the empirical study, a questionnaire was made up based on the choice attributes that derived from the documentary study and preliminary studies. The period of the empirical study covered from January 3, 2005 to January 11, 2005. The area studied was seoul, and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those outbound tourists who had been to foreign countries for sightseeing through a domestic travel agency. Total 190 responses were received and 188 responses were coded. To analyze the data, the SPSS package program was used which has a wide range of use in the social science field as a statistic package. The statistical techniques adopted in the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to verify the accuracy of data input and reliability test using Cronbach's a coefficient to understand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In addition, T-test and variance analysis(ANOVA) were used to test the difference according 쇄 the demographic and tourist character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analyze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the intention to recommend a travel agency, the will to use a travel agency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that the importance factor to affect outbound tourists' choice of a travel agency was employee factor. This study is limited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of all, the choice attributes of a travel agency measured in the study are not of permanence but apt to change according to some causes and environments. The responses of the subjects are also subject to variation, even if the degree is small, under the diverse situation in the time of investigation. In addition, the domestic travel agencies studies were restricted to some of those located in seoul. Therefore, the choice attributes of a travel agency analyzed in the study do not represent those of the whole group of travel agencies but only work within the range of the travel agencies included in the study. In the futur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on investigation methods that enable investigators to keep track of the changes to choice attributes and perception shown by the subject and minimize the errors of responses that tend to vary according to situation. Moreover,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follow-up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measure the whole choice attributes beyond only a part of them found in as certain subject.

      • 문화관광축제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996년 이후의 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

        박범인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금산인삼축제는 1981년에 지역화합형 축제로 태동하여 1996년에 문화관광축제로 전환한 이후 금산 지역경제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인삼약초산업의 발전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고,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문화관광부로부터 6회에 걸쳐 전국 최우수 축제로 선정되는 등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관광축제로 성장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관광축제가 지역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문헌조사 등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문화관광축제의 개념과 전국의 지역축제 현황 및 금산인삼축제의 생성과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금산인삼축제와 관련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그룹인 공무원들과 축제의 최대 수혜그룹으로 알려진 인삼약초상인들 그리고 자원봉사 등을 통하여 축제를 지원하고 있는 그룹인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축제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보완 발전방안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ⅰ - 위 방법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금산인삼축제는 인삼약초 제품의 판매를 증대시키고 5일장에만 문을 열던 인삼약초시장이 소매기능이 대폭 강화된 상설시장으로 변환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등 경제적 측면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인삼약초의 고장으로서의 지역특색 강화, 지역의 공공디자인 수준 향상, 인삼약초시장의 경관 개선, 인삼약초 유통시설의 확충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의 이벤트 능력 향상, 국제교역 성과 증대, 국내외적인 경쟁력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고취 등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축제장 인근지역과 이외 지역간 상권의 격차가 심화되고, 축제장 인근의 토지가격 급등으로 인삼약초와 관련한 공공시설의 설립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가중되- ⅱ -는 등 부정적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직자, 인삼약초상인, 지역주민 등 축제관련 그룹간에 축제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시사점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① 인삼약초 상인들의 축제비용 분담 확대로 축제를 둘러싼 지역의 불만 해소 ② 인삼에 비하여 축제효과가 미약한 약초산업의 진흥방안 마련 ③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를 통한 금산인삼약초 산업의 세계화 촉진 ④ 국제행사 등을 활용한 인삼요리의 국제화 ⑤ 지역상권의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 강화 ⑥ 축제에서 민간 역할의 강화를 위한 축제전문조직 설치 결론적으로 이제 국내 축제의 틀을 벗어나 국제적 축제로의 도약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시점에 와 있는 금산인삼축제는 앞으로 지역 주민들의 화합을 강화하고 인삼약초 소비 영역을 요리, 미용상품, 기념품 등으로 계속 확대시키는 한편 축제 전문조직 설치를 통하여 외국인 관광객의 유치와 세계 수출시장 개척을 촉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글로벌 차원의 홍보 강화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Geumsan Insam Festival has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an Insam-herb Industry, which holds the major part of Geumsan economy, since 1996, when the festival was converted into a cultural tourism festival which originally had started as a local harmony-oriented festival in 1981. Moreover, based on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local residents, it has grown up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tourism festival of Korea, winning the best festival prize as many as six times bestow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the solutions that will positively influence development of the region. For it, first, through a pre-study based on documents, a study on concept of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the current state of the local festivals in the whole country and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Geumsan Insam Festival was done. Next, surveys and analyses on the festival's effects on the local economy and development schemes were made, intended for the public officials, a leading group in the festival; merchants of the Insam-herb, known as the best benefit receiver group; and the residents, a volunteer group. To sum up the result of the study, Geumsan Insam Festival has most positively affected an economic respect. It has increased the sales of Insam-herb products and contributed to switching the Insam-herb markets which used to open every five days to the permanent markets with retail sales enhanced. In addition, it has greatly influenced the intensification of the area features as an Insam-herb area, elevation in the public design level, improvement in the neighboring environment, and expansion in a distribution facility. This study also has shown that Insam festival has not a little effects on advancement in an event-fulfilling ability, enhancement in an outcome of international trade, and awakening on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 power at home and abroad. On the other hand, some negative effects also have been pointed out. A differential in commercial supremacy between neighboring communities to a festival place and other communities has deepened and, due to the increase of the real estate price in neighborhood, Insam herb-related public facility businesses have been faced with difficulty. In addition, a recognition gap regarding the festival's effects on the regional development has been noticed between public officials, merchants, and general residents. Followings are suggestions noteworthy based on the survey result. 1. Solutions for the regional complaints about a festival by expanding division of festival expenditure from merchants of the Insam-herb group. 2. Plans for enhancement of herb business which is relatively weak in terms of festival effects compared to Insam. 3. Promotion for globalization of Geumsan Insam-herb business through the attraction of foreign tourists. 4. Globalization of Insam cuisine hosting utilizing the international events. 5. Efforts to get rid of a gap in commercial supremacy of the region. 6.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organization for a festival to enhance the role of a private sector. In conclusion, It is time that Geumsan Insam Festival take off as an international festival turning away from the domestic festival. Geumsan Insam Festival should push the program development and global-wide publicity through establishing the festival-professional organization with an effort to enhance the harmony of residents and widen the consumption area of Insam-herb to cuisine, cosmetic products, and souvenirs.

      • 쇼핑관광이벤트가 개최지 두바이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Dubai Shopping Festival과 Dubai Summer Surprises의 비교 관점에서

        김배호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를 방문하는 여행자들의 인식 속에 두바이는 현대화된 거대한 쇼핑몰, 세금없는 쇼핑 등의 이미지가 각인되어 있다. 한여름 섭씨 50도를 오르내리는 덥고 습한 최악의 기후 조건 속에서도 두바이가 중동의 쇼핑허브로 도약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의 개방 정책, 더운 날씨로 인하여 실내 위주로 발달한 거대한 쇼핑몰, 쇼핑을 선호하는 인근 중동인들의 두터운 수요 등 여러가지 요인을 들 수 있겠으나, 이러한 두바이의 매력을 널리 홍보하고 단시일에 두바이를 중동의 쇼핑천국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이 바로 두바이의 쇼핑관광이벤트이다. 본 연구는 두바이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육성한 쇼핑관광이벤트인 두바이쇼핑페스티벌(DSF)과 두바이섬머서프라이즈(DSS)에 대하여 문헌적 연구와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상기 행사들이 개최지 두바이에 미친 파급효과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광, 사회·경제, 기타분야(문화 및 부정적 파급효과) 등 다방면에 미친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두 개 행사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상기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쇼핑관광이벤트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실시한 현지 소비자 및 관계자 대상 설문조사 분석 결과, DSF의 경우 전체 조사 가운데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낸 것은 “걸프지역(사우디 등) 관광객을 두바이로 유치하는 데 기여하였다”, “축제홍보설치물 등을 통하여 도시경관에 변화를 주었다”, “주민과 관광객에게 다양한 엔터테인먼트(불꽃놀이 등)를 통한 즐거움을 제공하였다“, "걸프 이외지역(유럽 등) 관광객을 두바이로 유치하는데 기여하였다", "고가명품 선호층 관광객 유치에 기여하였다" 등의 높은 응답 순을 보였다. 한편, DSS의 경우 설문응답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것은 “중동 지역(사우디 등) 관광객을 두바이로 유치하는데 기여하였다”로 DSF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관광업계의 영업 비수기 극복에 기여하였다”,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여행객 유치에 기여하였다", "저렴한 가격을 선호하는 低價 선호층 관광객 유치에 기여하였다", "쇼핑몰이 상품가격 할인 행사에 적극 참여토록 하였다" 등으로 높은 응답 순을 보였다. 설문항목의 부문별 요인분석 결과를 보면 관광효과에 대해서는 DSF 보다 DSS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경제효과에 대하여는 DSF가 DSS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타효과(문화 및 부정적 파급효과)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DSF와 DSS에 대해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섯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쇼핑관광이벤트를 추진함에 있어 쇼핑수요가 풍부한 양질의 근거리 시장을 주요타겟으로 공략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비수기 활성화를 위한 쇼핑관광이벤트가 관광산업 활성화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 셋째, 쇼핑관광이벤트가 개최지에 미칠 수 있는 사회·경제효과는 성수기에 개최되는 대형화되고 선점효과를 가진 행사가 더욱 큰 영향을 준다. 넷째, 쇼핑관광이벤트 개최시 차별화된 전략과 프로그램, 그리고 타겟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 다섯째, 축제가 지향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강력하게 작용할 경우 이에 수반될 수 있는 기타효과(문화와 부정적인 파급효과)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 쇼핑관광이벤트 활성화를 위한 제언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쇼핑관광이벤트의 타겟을 근거리 최대의 시장인 중국과 일본 시장으로 설정하고 이들의 선호 관광지와 쇼핑상품을 중심으로 행사를 개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수기 극복을 위한 쇼핑관광이벤트 활용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쇼핑관광이벤트를 국가적인 육성이 필요한 쇼핑상품을 마케팅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어야 한다. 넷째, 쇼핑관광이벤트 개최시 항공사와 대형여행사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다섯째, 쇼핑관광이벤트를 새로운 쇼핑관광지와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활용하여야 한다. 여섯째, 쇼핑관광이벤트 참가업체의 자발적이고 공격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쇼핑관광이벤트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개최지역과 범위를 소규모로 집중화할 필요가 있다. The tourists who visit Dubai in the United Arab Emirates have an ingrained image of Dubai with its huge, modern shopping malls and tax-free shopping. Despite the inclement weather conditions, such as the unbearable humidity and temperatures over 50 degrees, there are many reasons why Dubai was able to leap forward as a shopping hub, including the open-policies of its government, enormous indoor shopping malls due to the hot weather, and a great demand from people living in the Middle East. A particularly decisive factor behind the reasons why Dubai has been widely praised for their merits and has been a leading shopping paradise is Dubai’s shopping tourism event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Dubai Shopping Festival (DSF), which was promoted as a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he Dubai Summer Surprise (DSS) shopping tourism events, in efforts to assess its impact on the host city, Dubai. To achieve this, the tourism industry, socio-economic factors and other relevant areas (cultural aspects and negative-ripple effects) have been empirically investigated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events was conducted. Also, this study has drawn implications through the aforementioned analysis and has suggested a proposal for vitalization of shopping tourism events in the domestic market. The survey taken for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st average scores, starting with the highest in order, for the DSF among local consumers and tourism officials were attributed to the following reasons: “The DSF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Dubai from the Gulf region.", “The DSF has made changes to the landscape by decorating and installing promotional displays.”, “The DSF has provided the citizens and tourists with a variety of entertainment including performances and fireworks.”, “The DSF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Dubai from the outside of the Gulf Region(ex : Europe).”, “The DSF has contributed to the attraction of travelers looking for premium brand products.” When we examine the DSS survey, the highest average scores, starting with the highest order, were given to the following reasons: “The DSS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Dubai from the Gulf region.”, exhibiting the same result as DSF, and “The DSS has contributed to overcoming the low season of the tourism industry.”, “The DSS has contributed to the attraction of family vacationers travelling with children.”, “The DSS has contributed to the attraction of the travelers looking for low price products.”, “The DSS has contributed to cutting down on the prices of the products in the shopping mall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tems on survey has shown that the DSS is valued higher than the DSS in regards to effects on tourism, and in the case of socio-economic effects, DSF holds more influence compared to the DSS. However, other areas (cultural aspects and negative-ripple effects) convey no differences between the DSF and DSS, as people responded and perceived both tourism events as equals in these areas. There were 5 implications drawn based on the analytical research. Firstly, it is important for shopping tourism events to target a major market where high-quality and plentiful shopping is in high demand. Secondly, shopping tourism events for activation of low season can be relatively effective for invigorating tourism. Thirdly, the events which are larger, held during peak season, and have preoccupancy will have a bigger influence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shopping tourism events. Fourthly, when the shopping tourism events are held, it needs effective marketing that are distinctive strategies programs which target consumers. Fifth, if the festival receives positive effects, the perception of the other effects (cultural aspects and negative-ripple effects) can be lowered. Finally, the proposals for invigorating domestic tourism were suggested. Firstly, shopping tourism events should aim for close range targets and the biggest markets of China and Japan, and need to hold events with preferred tourism attractions and shopping products as the main focus. Secondly, shopping tourism events need to be fully exerted and focused on overcoming the low season. Thirdly, shopping tourism events should be utilized as an opportunity for marketing shopping products under the necessity of national promotion. Fourthly, active support from airlines and travel agency are needed when shopping tourism events are held. Fifthly, shopping tourism events should be used as a chance to make new shopping tourism attractions, as well as for job creation. Sixthly, a voluntary and an aggressive marketing of participating companies are needed. Lastly, the hosting region and scale of shopping tourism events should be focused on a small scale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 방문의해 주요 평가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안지환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세계화, 정보화가 급진전됨에 따라서 국제관광객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이 위치한 동북아시아는 그 성장속도가 제일 빠른 지역으로서 일본, 중국, 홍콩, 태국, 말레이시아 등 주변국가들과의 관광객 유치를 위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들 국가들은 서로 앞다투어 방문의해 지정 및 관광캠페인을 실시하여 국가이미지 향상과 관광객 유치증대를 꾀하고 있다. 한국도 1994년 첫 방문의해를 실시한 이래 벌써 세번째 한국방문의해를 개최해오고 있고, 2001년 한국방문의해를 계기로 정부는 지역경제의 특화발전을 유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2004년 부터 매년 지역방문의해를 순차적으로 지정해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다. 하지만 방문의해 사업이 정부 정책사업 임에도 불구하고, 그 예산규모나 사업의 중요성에 비해서 이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부족할 뿐만 아니라, 결과보고서나 평가보고서 등을 살펴보면 사업 인지도조사, 이벤트 및 관광지 만족도 조사, 경제효과 측정 등 정량적 혹은 부분적인 평가에 그치고 있어서 방문의해 사업담당자들이 사업계획 수립 및 사업수행시에 참고할 만한 종합적인 연구 보고서나 평가시스템이 아직 제대로 수행되고 있지 않은 형편이다. 본 연구는 방문의해와 직․간접으로 관련된 사업 참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방문의해 주요 평가요인들의 조사 및 심층적 분석을 통해 방문의해 관련사업 수행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평가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 하고, 나아가 사업수행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실증연구는 위의 참여자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분석을 위해서 첫째 빈도분석을 실시해 4개 분야 37개 항목중 분야별 상위 4개항목, 총 16개 핵심평가요인을 도출하였고, 둘째 요인분석을 실시해 설문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세째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서 참여경험과 직업에 따라 평가지표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유의수준을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해 방문의해 평가를 위한 4가지 주요분야, 방문의해 활동이 지역관광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정도, 방문의해 관광마케팅활동에 대한 만족도 6개 항목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문의해 평가요인으로는 32개가 규명 되었고, 이들은 다시 4가지 분야로 분류되었다. 4개분야에서 각 분야별 전체평균보다 평균값이 높은 4개항목, 총 16개 항목이 핵심평가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들 16개의 핵심평가요인은 향후 국가 및 지역방문의해 기본․실행계획 수립, 지역방문의해의 지정, 방문의해 사업 관리감독 및 사업수행 또는 방문의해 평가 등 연구활동에 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방문의해 관련분야 참여자들은 이 4가지 분야를 홍보, 방문객 유치, 관광 수용태세 및 인식제고, 운영분야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32개 세부요인은 7점 척도에 최저 5.23 이상의 높은 평균값이 나타나, 평가요인으로서 통계적인 중요도를 갖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개별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요인은 방문의해 계기 집중적인 수용태세 개선노력이고, 그 다음이 홍보분야의 체계적인 홍보계획 수립 및 시행, FIT 대상 별도 수용태세 개선노력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한편으로 카운트 다운형 이벤트 개최, 경제효과 파악을 위한 관광수입 측정노력, 재해사고 등에 대비한 안전관리대책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제일 낮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32개 세부요인으로부터 도출된 4가지 분야와 방문의해 참여경험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운영분야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직업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방문객 유치분야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서 참여경험과 직업에 따라서 운영 및 방문객 유치분야에 대해 각각 인식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4가지 분야와 한국/지역방문의해 활동이 한국 전반 또는 지역관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인지 여부, 이러한 관광마케팅활동에 관한 만족도 6개 항목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광마케팅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운영분야 간에는 서로 영향 관계가 없고, 나머지 항목들은 전부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을 통해서 도출된 주요결론 및 시사점을 근거로 방문의해 사업 수행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대표적인 제언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16개 핵심 평가요인 위주로 사업수행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방문의해 계기 집중적인 수용태세 개선노력이 대폭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FIT 대상의 별도 수용태세 개선노력이 병행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체계적인 홍보계획의 수립과 시행이 필요하다. 다섯째, 외래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전략의 수립 및 시행이 필요하다. 여섯째, 방문객 유치를 위한 특별이벤트 개최, 체험프로그램과 스토리텔링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곱째, 전담기구의 전문성, 관광산업에 대한 이해도, 유관기관과의 협조 유도 능력이 중요하다. 여덟째, 전담기구의 효과 Number of international tourists has rapidly increased, especially in the 21st century due to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 the fastest developing region in the world, the Northeast Asia has witnessed the steepest competition to attract foreign tourists and one of the marketing strategies they employ is the "Designation of Visit Years and Special Campaigns in line with the Visit Years". Japan, China, Hong Kong, Thailand, Malaysia and Korea are among the countries that practiced this marketing strategy to upgrade their tourism infrastructure and improve their destination images in order to increase international tourist arrivals. Korea started its first Visit Korea Year campaign in 1994 and followed by another two-year campaign in 2001-2002 and is now undertaking the 3rd Visit Korea Year Campaign for three years beginning from 2010 to 2012. In addition to this nationwide campaign, local governments have followed the same suit by proclaiming Municipal Visit Year Campaign under the auspice of the government of Korea. Even though Visit Year Campaign is an important tourism policy of central government with an annual budget of more than 10 million dollars, systematic studi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ampaign and especially evaluation researches on this field are very limited. So it is not easy for the ad hoc committee in charge of the marketing campaign of the mega tourism event to find appropriate and sufficient literatures to refer to, due to this paucity of the prior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Visit Year Campaign to help the ad hoc committee in charge of the campaign to fulfil it better. The research methodology adopted in this study is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important evaluation factors, Factor Analysis to 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actors, and One-way ANOVA Analys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gap.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6 factors from 4 dimensions(public relations, attracting visitors, upgrading tourism infrastructure, hospitality service and citizen's tourism awareness, and operation) were identified as key evaluation factors. These 16 important evaluation factors can be used for the future planning of the campaigns either on a national or on local levels. The 3 most important factors among 16 factors are intensive upgrade of tourism infrastructure and hospitality service, setting up the effective P.R. plan and publicity, and seperate pursuit of improving hospitality service for foreign individual traveler(FIT) in order of importance. Secondly, organizing count-down style event, measurement of tourism receipts for economic effect and safety management are relatively less important factors among 32 factors. Thirdly, the degree of importance of attracting visitors sector and operation sector are differently perceiv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 and previous experience of survey participants. This study also noted that the private and academic sector put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ttracting visitors than the government and tourism office. And the more they had the experience in visit year campaign, the more emphasis they put on the importance of the operation sector of the visit year campaign. Finally, this study proposed 9 major marketing insights which could be adopted for the future planning and evaluation of Visit Year Campaign Project.

      • 복분자주의 관광상품적 가치에 관한 연구 : 고창 지역을 중심으로

        권혁례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고창지역은 건강주의 인기상승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복분자주의 시장수요에 힘입어 고창군 일대를 복분자 산업 특구로 지정하고 복분자 축제를 여는 등 농촌 관광자원으로서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금액에 따른 가치는 소비자의 구매 전 단계의 선택행동 뿐 아니라 구매 후 단계의 추천의향 및 재방문 행위에까지도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인지도가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가 구매행동, 구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고, 복분자주의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요인 등을 파악하여 복분자주의 상품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관광 상품으로서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고창군의 관광 상품 개발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5년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적 범위는 전라북도 고창군으로 한정시켜, 고창 선운산 및 국화 축제에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현재 고창의 특산품인 복분자주를 대상으로 하여 향후 그것이 관광 상품으로서 지니고 있는 가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Literature study)와 실증 연구(Empirical study)를 병행하였다. 제2장의 이론적 연구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실증조사의 설계부분으로서 표본의 설계, 가설의 설정,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을 서술하였다. 설문조사는 250부 중 200부가 유효 표본을 얻어 SPSS13.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가설검증을 위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과 차이검증(T-test, One-way ANOVA)을 활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실증조사의 분석으로 응답자의 특성 및 기술통계특성과 인지도와 가치 추정 결과에 관한 실증분석의 결과에 대한 요약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가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인명은 지각된 가치를 평가하는 변수로 설정하였기에 요인 1은 감정적 품질, 요인 2는 평판, 요인 3은 행동가격, 요인 4는 화폐가격으로 명명하였다. 가설 검증결과 가설 Ⅰ, 가설 Ⅱ, 가설 Ⅲ, 가설 Ⅳ, 가설 Ⅴ는 회귀방정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위의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가설 Ⅵ의 복분자주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가설 Ⅵ-1은 기각, 가설 Ⅵ-2는 채택, 가설 Ⅵ-3은 기각되었다 제5장은 결론부분으로 본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 나아가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제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분자주의 관광상품 브랜드화이다. 둘째, 품질 시스템 구축을 통해 고품질 복분자주의 생산이다. 셋째, 고창 복분자주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고창 복분자주에 대한 지리적 표시제의 강화를 통해 복분자주 브랜드 가치의 고급화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고창 복분자 주류의 유통시장의 강화 및 점검이 병행되어야 하며, 이는 홍보/판촉의 측면과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지속적인 품질 증진 노력과, 가격과 함께 가격요인들을 낮출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복분자주 관련 관광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 있어 도출된 한계점은 연구의 대상적 범위에 있어 전라북도 고창군으로 한정시킨 점과, 고창 선운산 및 국화 축제에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정에 따른 짧은 조사기간으로 인한 부족한 표본수와 고창지역의 관광 상품개발에 있어 고창 복분자주의 상품개발만을 제시하고 있어 이를 실행할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고창의 관광 상품 개발의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Owing to the explosively increasing market demand resulting from the popularity of health drink, Gochang area has been recently putting spurs to developing a rural tourist attraction of Bokbunja wine, by appointing the whole area of Gochang county to a special industrial zone and holding the Bokbunja fest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of enhancing the product value of Bokbunja wine and to find out its limitations on being a tourism product, ultimately aiming to propose about Gochang county's tourism product development. For the purpose, the study grasps the influence of awareness on perceived value, the influence of perceived value on purchase behavior and oral transmission, and elements effecting perceived value of Bokbunja wine, on the assumption that value for money not only influences customers' choice behavior at the prepurchase phase but also affects their intention to recommend and return behavior at the postpurchase phase. To achieve the purpose effectively, time scope is set up to 2005 and the subject is limited to Gochang, Jeollabukdo - the tourists who visit Mount Seonun and Chrysanthemum Festival. The content of the study, which is about Bokbunja wine, one of Gochang's specialties, is an analysis of its future value as a tourism product. To attain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study goes side by side with an empirical study. The second chapter is a theoretical research which examines the study setting and preceding studies. The third chapter is a planning of the empirical research which describes hypothesis establishment an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The survey gets 200 valid samples out of 250 questionnaires, and SPSS13.0 is used to appl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hypothe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fourth chapter is an analysis of the empirical research, which presents a summary of respondent characteristic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n awareness and the result of value estim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 factors are drawn out through the factor analysis of perceived value, and the names of the factors are set up by variances evaluating perceived value, so the factor 1 is named emotional quality, the factor 2 reputation, the factor 3 behavior price, and the factor 4 monetary price.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the regression equations of hypothesis Ⅰ, Ⅱ, Ⅲ, Ⅳ, and Ⅴ turn out to be significant, so the hypotheses are all accepted. In consequence of T-test and one-way ANOVA for identifying differences of perceived value of Bokbunja wine in hypothesis Ⅵ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ypothesis Ⅵ-2 is accepted, and hypothesis Ⅵ-1 and Ⅵ-3 are rejected. The fifth chapter is conclusion, which presents a summary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limitat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Followings are the proposals. First, Bokbunja wine should be get a brand as a tourism product. Second, Bokbunja wine should be produced in high quality by constructing a quality system. Third, making the brand value of Bokbunja wine exclusive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strengthening the geographical indication system for Gochang's Bokbunja wine, to increase awareness. Fourth, strengthening and examining of the circulation market of Goghang's Bokbunja drinks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and connected with advertisement and promotion. Fifth, making a continuous effort to improve quality and to decrease pricing factors is necessary. Sixth, other tourism products related to Bokbunja wine need to be developed. The main limitations drawn out while conducting the research are that the study limited the subject scope to Gochang county in Jeollabukdo, that the sample was small because the research sampled only from visitors in Mount Seonun and Chrysanthemum Festival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at the study couldn't accompany more concrete operation program because only Bokbunja wine is suggested for developing Gochang's tourism products. So following studies may have to cover a concrete operation program about development of Gochang's tourism products.

      • 중국관광전문가 관점에서 본 2008 북경올림픽의 관광기대효과

        김하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21세기는 세계 각국의 무역장벽이 완화되고 외국인직접투자가 크게 늘어나는 한편 개혁개방이 가속화됨에 따라 중국경제는 높은 경제성장률을 유지하고 산업경쟁력이 강화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의 2008년 북경올림픽 개최는 중국의 관광시설에 대한 건설투자의 확대, 서비스 산업의 발전 등을 가져옴으로써 향후 중국의 관광시장은 더욱 확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관광관련 대형스포츠이벤트의 개최가 중국의 관광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관심을 나타나는 것이며, 이 연구는 기존에 개최되었던 올림픽의 예를 들어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성과를 확인하고 앞으로 올림픽 개최 후 효과를 재평가여 2008년 올림픽 개최 후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올림픽 관련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대형스포츠이벤트 중심으로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고, 문헌 조사 및 북경올림픽의 행사개요와 올림픽의 경제성과 관광분야의 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올림픽과 관련한 중국 관광활동 및 실적을 확인 한 후 올림픽 후 중국에 사후 파급효과와 관광산업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북경올림픽의 개최 시 관광분야의 성과는 올림픽 관광객의 증가에 따르는 일시적인 관광 진흥뿐만 아니라 전세계인들에게 중국의 문화 및 이미지를 심어주고 관광지로서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계기가 되어 향후 중국관광산업의 도약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북경올림픽의 개최를 계기로 중국내부의 관광기반시설 확충, 국제항로 증설, 특급호텔의 신축확대, 국제 관광여행사의 급증, 관광수용여건 및 공급체계가 크게 향상되는 일대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관광에 미친 영향은 긍정적인 측면에서 관광관련산업의 발전을 촉진을 위한 계기를 마련하여 중국의 관광시장을 세계관광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시장으로 변화 시킬 것으로 보이며, 관광목적지로서 인지도를 고양시키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올림픽과 관련하여 도시개발이나 관광개발로 인한 관광지의 물가 상승, 지가 상승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사회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일부 우려하는 시각도 잃지 말아야 하며, 그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처 방안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올림픽 개최 후 지속적인 관광상품의 사전, 도중, 사후의 단계별 개발을 통하여 관광지로서의 매력도를 강화시켜 지속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 easing of a world trade barrier is happening in 21 century. While the foreign investment is increasing, the reformation evolution in China is also accelerated. In this situation, the Chinese economics is developing day by day and the competitiveness is also getting strengthened. China who will hold the 2008 Olympic Games will expand its construction investment and develop its service industry. So it is expected that Chinese tourism market will be growing a lot.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effects of the mega sports events to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ect the effects of holding the Olympic Games and to give the implications to the effects evaluation after 2008 Olympic Games. In order to research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sample was comprised by 50 university professors, 50 tourism government servants and 50 employees in travel agencies. As a result, 150 questionnaires were effective to be employed in this study.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as data analytic tools. And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literature which was focusing on the mega sports event was reviewed. The preparation of Beijing Olympic Games and the economic effects were examined. And the tourism effects of holding the Olympic Games were also investigated. Holding the Olympic Games can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This increase is not only the flavor of the promotion to the tourism but also can enhance the Chinese culture and the image to the world. So it can become an instrument to develop the Chinese tourism industry. It is also indicated that to hold the Olympic Game can increase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of Chinese tourism infrastructure, international lines, new hotel construction, international travel agencies and other tourism circumstance. The most positive tourism effect of holding the Olympic Game is to be an instrument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and to enhance the image of China as a tourism destination. But holding the Olympic Game can also cause some negative impacts, such as the inflation. To solute this kind of problem, it should establish adequate plans. And after holding the Olympic Gam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lan that can develop the tourism products, the reinforcement of the attractiveness as a tourism destination.

      • 방송 아이템 채택에 관한 축제 홍보 방안 연구 : TV 방송제작자의 방송 아이템 선택기준을 중심으로

        남문희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축제의 효과적인 TV홍보 활동은 성공적인 축제를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효과적인 TV홍보 활동은 축제의 성패를 좌우하는 방문객 모집에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곧 성공적인 축제를 위한 필수요소로 떠오르고 있는 후원과 협찬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홍보는 광고와는 달리 예산을 크게 들이지 않으면서도 대중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얻기 때문에 축제의 기획과 운영에 필수 요소이다. 2000년대 이 후, 인터넷이 축제의 홍보 매체로 급부상하고 있으나, 공익성과 오락성을 두루 갖춘 영상매체인 TV는 동적인 요소와 시각적인 요소가 강한 축제의 효과적인 홍보수단이다. 본 연구는 TV 방송사의 PD, 기자, 작가 그룹이 축제에 관심을 갖는 동기와 목적, 반영 결정 요소 등을 파악, 축제 운영 조직의 기획자나 운영자, 마케터에게 축제의 효과적인 TV홍보를 전략을 제시함으로서 축제 실행조직이 축제의 TV홍보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고자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정의된 조사 모집단은 TV방송 제작에 종사하는 전문가 집단(PD, 기자, 작가)이며, 이에 대한 표본은 KBS와 KBS 대전, MBC와 대전 MBC, TJB 등 공중파 방송사에 근무하는 PD, 기자, 작가로 설정하였다. 설문은 인구통계학적 문항, 선호하는 축제(복수응답)로 구성함과 동시에 기본요건, 기획요건, 부가요건, 제안요건 등 4가지 요건으로 나누어 기획하였고, 가설[1][2][3]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축제를 TV홍보에 효과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방송 아이템 선정의 최 일선에 있는 PD, 기자, 작가 등 방송 제작 실무자들에게 다른 축제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내용이나 시청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획기적인 내용이 들어간 홍보자료를 축제가 시작되기 이전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흥미로운 스토리 발굴, 지속적인 사전 홍보작업, 시각적 효과와 동적인 요소를 지닌 이벤트의 기획도 축제가 TV홍보에 양적, 질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둘째, 4가지 기본, 기획, 부가, 제안요건은 전문가 집단의 성별, 결혼여부, 연령층, 학력에 따른 평균값에 차이는 없다. 이는 TV방송 제작에 있어서 4가지 요건이 모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만 4가지 요건 가운데 근무처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점을 고려하여 방송사의 방송지표와 제작방향에 맞춰 홍보활동의 양상을 달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지역축제의 선호도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성별과 연령대로 판단되어지며, 이는 TV아이템 채택에 있어서도 성별과 연령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방송사 제작 실무자를 대상으로 축제의 홍보활동을 할 경우 방송 제작 실무자 역시 축제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들의 관심 대상을 발굴하여 집중 홍보하는 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문화관광 축제의 기획과 홍보계획 수립에 있어 축제의 TV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TV방송 제작 전문가 그룹이 제안하는 제안요건에 관심을 기울이는 동시에 방송국별로 차별적인 전략을 수립하여 홍보활동을 시행하는 것이 축제 홍보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이며, 이는 지역축제의 사회ㆍ경제적인 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ive public relation of festival using television (TV) is basic and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festival. The success of festival highly depends on number of visitors; it leads to sponsorship and cosponsorship which is emerging essential factor of successful festival. Public relation, rather than advertisement, can get higher reliability from public with less cost, in this point it is essential factor of festival planning and management. After 2000, internet is emerging public relation media, but TV which have publicity and entertainment features is effective public relation media of festival, in terms of inherent dynamics and visual features of fest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are the motive and the key factor of selecting festival item for who produce TV program, which includes TV producers, reporters, and writers, and supply it to festival organizers and marketers to help set up effective strategy for TV public relation. The population defined in this study is consists of specialist group of TV stations, it includes producers, reporters, and writers. The samples for population are established by specialist group of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Munhwa Broadcasting Company (MBC), Taejeon Broadcasting (TJB) in Seoul and Daejeon. The questionnaire is consists of demography items and preference of festival allowing multiple answers, and it was designed to include four factors which are basic requirement, planning requirement, additional requirement, and suggesting requirement, and set up hypothesis [1], [2], and [3]. Based on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 conclusion for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ree fields. First, to expose festival to TV for public relation effectively, festival organizer should continuously provide unique features of festival or invoke curiosity for TV audience to the program producers, since before festival started. In addition, develop exciting stories, continuous public relation, visual and dynamic features of festival plan can be important factors of public relation. Second, average value of basic, planning, addition and suggestion requirement show no difference by sex, marriage, age and scholastic ability. This means that four requirement are very effective on making TV program. But considering difference between job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point, changing the way of public relation, fitting into broadcasting station index and producing way, would be more effective. Third, it is judged that sex and age play an important role on preference of local festival, it is analyzed that selecting TV item is affected by different lifestyles between sex and age. So, it seems necessary to choose the point that, when targeting working group of producing TV program, they also participant of local festival. In conclusion, to make greater effect on public relation for planning local festival and making plan to public relation, it is important to listen to suggestion from expert group of producing TV program and making different strategy in every single broadcasting station will be more effective way of public relation for local festival and it will also effect on social economic achievement.

      • 관광관련전공 대학생의 예절교육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 예절교육 이수 전·후의 차이를 중심으로

        금은주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절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대하여 예절교육전과 예절교육후의 차이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미래를 대변하는 대학생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버팀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관광산업은 국가산업으로 무한 경쟁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것은 차별화된 경쟁력이다. 시대적 변화에 따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관광관련 전공학과에서의 예절 교육은 졸업과 함께 다가오는 경쟁의 대열에서 최선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한 꼭 필요한 긍정적 수단이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교육 서비스 주체자인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예절교육의 필요성과 만족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수업에 반영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인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수집의 방법으로는 대전지역 대학 관광관련 전공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예절교육 실시 전과 후, 두 번에 걸쳐 학생들에게 배포해 회수한 동일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각각 143부,135부가 유효표본을 얻어 SPSSWIN 1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의 파악과 예절관련 교육에 대한 일반적 질문에 대해 설문 전·후의 비교를 위해 각각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필요성 인식 설문항목에 대한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계수를 검증한 후 이들 속성을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하였다. 집단 간의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차이분석인 t-검정(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만족도에 어떠한 필요성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을 최종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관련전공 대학생들의 대학에서의 예절교육은 실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학에서의 예절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서비스직종으로의 취업이 목표인 학과의 특성상 서비스종사자로서의 올바른 인성과 자세를 갖추어 발전된 사회생활을 위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설 검증결과 가설Ⅰ의 관광관련전공 대학생은 예절교육 이수 전·후에 따라 필요성 요인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친구간 예절의 필요”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예절교육 후 필요성 인식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예절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체 24 설문문항 가운데 필요성 인식의 평균값이 높은 항목으로 “취업면접예절의 필요”항목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는 총 24개 항목 가운데 13개 항목인 “이미지메이킹(용모와 복장)의 필요”, “인사예절(인사·악수)의 필요”, “행동예절(자세와 동작)의 필요”, “초대 방문예절의 필요”, “선물예절(경조, 부조)의 필요”, “언어예절(말씨, 호칭, 어법)의 필요”, “직업의식 교육의 필요”, “직장근무예절의 필요”, “복식예절의 필요”, “취업면접 예절의 필요”, “공중도덕예절의 필요”, “여가·문화생활예절의 필요”, “외국인에 대한 예절의 필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설문문항의 신뢰도는 0.919로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요인분석 결과 6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6개의 요인 각각 요인1: 글로벌예절, 요인2: 학교예절, 요인3: 직장예절, 요인4: 가정예절, 요인5: 개인생활예절, 요인6: 커뮤니케이션예절로 각각 명명하였다. 가설Ⅱ의 관광관련전공 대학생의 교육 후에 예절 요인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예절교육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검증으로 위의 6개의 요인 변수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에 요인4: 가정예절은 유의확률 .014과, 요인5: 개인생활예절은 유의확률 .007로 변수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으며, 요인1: 글로벌예절, 요인2: 학교예절, 요인3: 직장예절, 요인6: 커뮤니케이션예절은 다소 낮은 관련성으로 인하여 기각되었다. 또한, 위의 6개의 요인 변수들이 추천의사에 도움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종속변수 요인1: 글로벌예절, 요인4: 가정예절, 요인5: 개인생활예절 변수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요인2: 학교생활, 요인4: 가정예절, 요인5: 개인생활예절 필요성 인식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광관련 전공의 학과 특성상 자기 관리 측면인 개인의 기본예절 교육을 통해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 그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의 예절교육은 일반적으로 기본예절과 신세대들에게 필수적인 현대예절 교육이 이론과 실습을 통해 이루지고 있다. 그러나 관광관련 전공자의 특성에 맞는 예절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서비스직을 주 취업분야로 하는 관광관련전공 대학생들의 예절교과목의 교육내용은 필요성 인식이 높은 항목인 취업예절의 중요성에 따라 면접에 대비한 실질적인 교육을 강화하도록 한다. 즉 면접예절의 내용 중 자기표현 능력과 면접 시 주안점인 용모복장과 인사, 서비스마인드 등의 자질을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교과항목으로 예절교육의 교과내용을 구성한다. 따라서 개인의 이미지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체계화된 예절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예절교육의 교육효과를 검증함으로서 관광관련학과에서 예절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으로써 취업률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대학에서의 예절교육은 캠퍼스 내에서 예절 교과목이 진행됨에 따라 자기계발과 동시에 인성교육을 병행할 수 있다. 이론교육과 행동실습의 교육을 통해 올바른 대학생활과 함께 실생활에서도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관광관련전공 대학생들의 경우 서비스 종사자로서의 매너가 몸에 익숙해져야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인사예절, 대화예절 등의 교과내용을 통해 올바른 인성과 직업의식 등의 자질을 배양하여 우수한 관광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