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현병 환자의 신경과학적 근거에 대한 고찰

        신은식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3 재활치료과학 Vol.2 No.1

        본 연구는 조현병의 신경과학적 연구에 대한 흐름을 알아봄으로써 임상가들에게 조현병 환자 치료의 토대를 제공하고,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조현병 환자의 신경 과학적 연구는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고찰에서는 조현병의 발생에 대한 연구와 조현병으로인한 신경해부학적 기능 이상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조현병의 발생과 관련된 연구는 신경생화학적 이상, 신경발달적 모델, 뇌단백물질, 뇌유래신경영양인자에 대한 근거들을 다루었으며, 조현병의 신경해부학적 기능 이상에 대해서는 주로 신경영상학적 특징들에 근거하였다. 결론적으로, 조현병은 광범위한 기능적 손실을 가져오는 정신과적 질환으로 이제까지 원인과 치료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실행되고 있지만 아직 명백한 결과를 가져오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밝혀진 많은 근거들은 임상가들이 조현병 환자를 치료하고 재활함에 있어서 충분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도 조현병의 원인 규명과 치료에 대한 다양한 신경과학적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신경가소성 원리를 이용한 강제유도운동치료에 대한 고찰

        조상윤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3 재활치료과학 Vol.2 No.1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최근 신경재활 분야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상지 재활 치료방법 중 하나로 하루 6시간씩 주 5일 2주간 강도 높은 훈련을 환측 팔에 제공하고, 건측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깨어 있는 시간의 90%를 구속하는 치료방법이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강제유도운동치료의 임상적 한계를 바탕으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하루 5시간씩 주 5일, 10주 간 건측을 억제하고 하루 30분간 손상측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는 일상생활 수행 평가인 소아 운동 활 동 측정표(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와 상지 질적 평가(Quality of Upper Extremities Skills Test; QUEST), 환측의 상지 기능을 평가하는 멜버른 상지 평가(Melbourne Assessment of Unilateral Upper Limb Function; MAULF), 환측과 건측의 양손 협응을 보기 위한 Assisting Hand Assessment(AHA)를 통해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고찰에서는 강제유도운동치료 적용 후, 신경학적 변화를 살펴본 연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경 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강제유도운동치료 또는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한 결과, 신체 부분의 움직임의 양에 따라 대뇌피질에 나타나는 신체 부위의 크기가 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반대측 운동피질의 활성을 증가시켜주고, 동측 피질의 활성을 감소시켜 신경재조직에 영향을 주기 때문 에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신경가소성의 원리를 이용한 상지 재활 치료 방법이라 하겠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의 효과와 신경학적 기전

        김영조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3 재활치료과학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 보고 임상적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간 밝혀진 정보를 종합하여 거울치료를 통해 발생하는 중재효과를 분석하고 거울치료의 신경학적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거울치료는 뇌졸중 환자들의 손과 팔의 운동기능을 향상시키고, 일상생활 수행기능회복과 통증경감에 효과가 있다. 하지만 시각 무시에 대해서는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아직 분명치 않다. 거울치료는 전운동영역의 신경학적 회복을 유도한다. 전운동영역은 운동 조절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위로서 거울치료에 의해 활성화되면 손상된 일차운동영역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기능회복을 유발한다. 일차운동영역이 완전히 손상된 경우에는 신경 재조직화를 통해 일차운동영역의 기능을 전운동영역이나 보완운동영역이 대체하여 수행한다. 선행연구의 고찰 결과, 거울치료의 효과나 이에 대한 신경학적인 원인에 대한 증거가 아직 부족한 실정 이었다. 거울치료의 효과와 신경학적 기전이 명확히 규명된다면 거울치료는 임상에서 보다 효용성 있는 치료로서 구축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청소년 작업치료에 관한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의 인식도 분석: 대한민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배수빈(Su-Bin Bae),신채림(Chae-Rim Shin),서효원(Hyo-Won Seo),이민경(Min-Gyung Lee),김은택(Eun-Taek Kim),감경윤(Kyung Yoon Kam)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4 재활치료과학 Vol.13 No.1

        목적 :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대한민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들의 청소년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3년 1월 9일부터 동월 13일까지 대한한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학생 각각 5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관련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되어 해당 국가 학생에게 제공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독립표본t-검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 ‘청소년 작업치료를 들어본 적 있는가(Q1)’에 대한 문항에 대한민국 학생은 65.5%가 ‘있다’라고답했고, 미국 학생은 58.2%가 ‘없다’라고 답했다. 양국 학생 모두 ‘청소년 삶의 질에서 청소년 작업치료의 중요성(Q10)’라는 문항에는 높은 평균점수를, 반면 ‘청소년 작업치료의 발전 현황(Q11)’에 대한문항에서는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청소년 작업치료의 향후 발전 가능성(Q12)’에 대해서는 양국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5). 결론 : 양국 학생들은 청소년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발전 가능성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awareness of adolescent occupational therapy (AOT)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O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an online survey. Methods : Th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9 to 13, 2023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bout AOT among 55 students majoring in O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 online survey was formulated in Korean and English.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 independent t-test. Results : In response to the question “Have you ever heard of AOT?”, 65.5% of Korean students answered yes and 58.2% of the United States students answered no. In both countries, the average score for the question “Can AOT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eenagers?” was the highest, while the score for “Is AOT sufficiently advanced in your country?” was the lowest. For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of AOT,” the scores for the two countr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Conclusion : Students in both countries acknowledg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OT, but there were differences noted in terms of prospects of the therapy.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인지재활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국내 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자를 중심으로

        홍승표,이희령,한대성,주유미,김영근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3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education in cognitive rehabilitation (CR) in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colleges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professional competencie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a questionnaire to professors. The questionnaire extracted items related to professional competencies from the results of a previous Delphi study. A total of 39 respondents from 32 (51.6%) of 62 universities/college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cel 2010 and SPSS 18.0 to analyze the Borich requirements and the priority of education through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 The priority of competency in CR was followed by “clinical reasoning ability to explain cognitive problems from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perspective”, “ability to manage insurance billing for CR”, “ability to establish a CR plan based on outcome evaluation”, “ability to perform occupation-oriented CR”,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that occur during C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Locus for focus model, items such as occupation-based cognitive assessment, intervention, and skills for documentation were high priorities for education. Conclusion : This study is expected to reflect educational competencies for CR and establish a plan for CR specialists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의 작업치료(학)과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지재활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인지재활 관련 주요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전국의 작업치료 전공 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인지재활 교육 현황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의 국내 인지재활 작업치료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중 전문역량과 관련된 항목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전국 총 62개 대학 중 32개(51.6%) 대학의 39명의 교수진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은 엑셀 2010과 SPSS 18.0을 사용하여 인지재활 관련 전문역량에 대한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통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인지재활 관련 주요 역량별 Borich 요구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 ‘인지문제를 작업수행 관점으로 설명하는 임상적 추론 능력’, ‘인지재활 관련 수가 청구 관련 관리 능력’, ‘결과평가에 따른인지재활 계획 수립 능력’, ‘작업중심 인지중재 수행 능력’, ‘인지재활 평가 및 중재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Locus for focus 모형에서는 작업수행에 기초한 인지재활 평가와중재, 기록 작성 등의 항목들이 교육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작업치료(학)과에서 인지재활 교육의 현황을 인지하여 교육과 교과에 교육내용과 역량을 반영하고, 대학 졸업 후 지속되어야 하는 인지재활 전문가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대처모델(coping model)을 적용한 작업치료 평가 및 중재계획수립

        이미지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3 재활치료과학 Vol.2 No.1

        목적 : 본 연구는 첫째, 지역사회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대처모델(coping model)을 적용한 작 업치료 평가를 실시한다. 둘째,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중재계획을 수립해 본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지역사회 아동시설에 거주하는 만 7세 남자 아동이다. 대처모델을 바탕으로 2주간 외적 및 내적 요인으로 나누어 평가를 실시하였다. 외적 요인 평가에는 대상자와 주변 환경의 상호작용 및 학교와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내적 요인 평가는 관찰과 구 조화된 평가를 통한 발달 상태와 의학적 상태를 확인하고, 상황에 대한 적절한 기분과 감정 상태에 대 한 관찰이 포함되어 있다. 결과 : 대처모델을 적용하여 작업치료 평가가 이루어진 후, 중재 계획을 수립하였다. 첫째, 시간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지연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운동 영역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셋째, 아동이 조절하지 못하는 행동들에 대한 자기조절방법과 대처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넷째, 시설 내에서 아동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 줄 수 있는 인 적, 물리적 자원에 대해 찾아보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아스퍼거 아동을 대상으로 대처모델을 적용한 작업치료 평가 및 중재계획을 수 립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중재를 통해 실질적인 모델 적용 사례를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영역성 뇌경색에서의 아가트로반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

        이양현,송인욱,김태원,조현지,박정욱,이광수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 2016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지 Vol.9 No.2

        Background: Therapeutic efficacy of argatroban is globally not known yet because few clinical studies in acute ischemic stroke are reported and the sample sizes of these studies is smal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an efficacy and safety in patients with cerebral territory infarction who received argatroban within 48 hours from symptom onset.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territory infarction within 48 hours after stroke onset.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ose receiving argatroban on admission (argatroban group), and those receiving aspirin only (control group). We estimated the subjects’ neurologic deficits and functional outcomes by using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and modified Rankin scale (MRS) prior to argatroban infusion and aspirin administration, on first day and 10th day after initiation of the therapy. Results: In comparison to the aspirin group, the argatroban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NIHSS and MRS among before treatment, first day and 10th day after treat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NIHSS and MRS between the argatroba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t 10th day after initiation of the therapy, which proved superiority of the argatroban group with cerebral territory infarction within 48 hours after stroke onset.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rgatroban has added benefit in early neurological outcomes after acute cerebral territory infarction and provides safe anticoagulation in acute cerebral territory infarction.

      • KCI등재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에 대한 고찰

        이종민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3 재활치료과학 Vol.2 No.2

        강제유도 운동치료는 2주간 건측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깨어 있는 시간의 90%를 제한하는 동시에 환측에 매일 6시간 이상 강도 높은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임상 적용에 있어서 문제점을 보였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고안되었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의 적용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져 왔고, Motor Activity Log(MAL), Fugl-Meyer Assessment(FMA), Wolf Motor Function Test(WMFT), Action Research Arm Test(ARAT),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Stroke Impact Scale(SIS)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기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증명하였다.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 방법으로써 작업치료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급성 심부전의 치료

        최성훈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 2018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지 Vol.11 No.1

        The prevalence of heart failure (HF) is rapidly increasing throughout the world, and is closely associated with serious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rticular, acute HF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especially in elderly individuals. In Korea, the socioeconomic burden of HF is substantial. Because of this, the Korean HF society developed chronic and acute HF management guidelines in 2017, adapted process while including as much data from Korean studies as possible. The scope of the current review, which is based on the Korean HF guidelines, includes the defini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HF with reduced or preserved ejection fractions of various etiologies.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거울치료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백선웅,김종배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6 재활치료과학 Vol.5 No.2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거울치료의 임상적용 가능성 및 효과를 제시하 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05년 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포함기준과 배재기준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9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거울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중재방법으로는 손목과 손의 단순한 움직임과 과제기반 거울치 료가 사용되었다.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지기능, 일상생활동작, 신체적 상태, 삶의 질 평가도구 가 사용되었다. 상지의 기능은 근위부보다 원위부에서 더욱 효과가 있고, 일상생활동작에서도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삶의 질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를 통해 임상 치료사들은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거울치료를 적절하게 사용할 근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다양한 거울치료의 프로토콜로 인해 효율적인 적용방법을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앞으로는 거울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체계화된 치료 프로토콜이 개발되어 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