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작업치료의 인지재활 실태 조사

        이희령,김지연,한대성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2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지평가 및 치료 도구, 적용 수가 등 인지재활 치료적 적용에 관한 설문을 통하여, 국내 다양한 작업치료 환경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지재활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1년 8월 20일 대한인지재활학회 학술대회에 참석한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1차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지 분석 후 작업치료실에서 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기관 중 누락된 병원을 대상으로 e-mail 및 우편을 통한 2차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가 인지재활을 위한 평가 및 치료에 참여하고 있는 곳은 조사된 국내 의료기관의 98.2%를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간이정신상태검사와 Lowei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ment(LOTCA)와 같은 비전산화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있었으며, 전산화 인지평가를 사용하는 기관은 14.3%에 불과하였다. 반면 전산화 인지치료를 시행하는 기관은 73.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각 기관의 특성에 따라 각 기관에서는 서로 다른 기준으로 비급여 항목의 평가 및 치료수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국내 작업치료 영역에서 인지재활치료가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인지재활 영역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로서 인지재활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체계적인 평가 및 치료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적정한 수가적용 기준에 대하여 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임상 가이드라인 제시가 요구된다.

      • 국내 인지재활 현황 및 미래발전방안 기초조사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이희령 ( Lee Heeryoung ),김영근 ( Kim Young-geun ),홍승표 ( Hong Seungpyo ),주유미 ( Ju Yumi ),한대성 ( Han Daesu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인지재활의 최근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조사하고, 미래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의 토의를 통해 구성된 개방형 질문을 이용하여 전문가 패널 16명에게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폐쇄형 질문으로 재구성하여 2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 안정도, 수렴도, 합의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04개의 항목이 도출되었고,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CVR 값이 .49 이하의 값을 보인 41개 항목을 제거하여 최종 63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질문별로 가장 높은 내용 타당도 비율을 보인 항목은, 국내 인지재활 발전 영역에서 ‘대학 교육과정에 인지재활 관련 과목 편성’, 현재 인지평가의 문제점 영역에서 ‘표준화된 작업수행기반 인지평가 도구 부족’, 현재 인지중재의 문제점 영역에서 ‘인지요소별 향상과 작업수행 향상 연결 부족’, 현재 제도적인 문제점 영역에서 ‘인지재활 관련 보험수가 부족’, 미래 발전을 위해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 영역에서 ‘작업수행기반 인지장애 평가와 중재 능력’, 새롭게 개발하고 도입해야 할 평가 또는 중재 영역에서 ‘작업 수행기반 인지평가도구’,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확대되어야 할 영역에서는 ‘작업수행기반 인지재활’로 파악되었다. 결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작업치료 내 인지재활의 현황과 미래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사항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국내 인지재활의 발전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to derive necessary matter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Methods: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experts panel using open-ended questions form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s.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y reorganizing the questionnaire into closed-ended question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VR, stability, convergence, and consensus were analyzed with the second Delphi data. Results: As a result of the first Delphi survey, 104 item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econd Delphi survey, 41 items which was less than .49 of CVR value were removed, and 63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he items with the highest content validity ratio for each question were ‘Organization of subjects related to cognitive rehabilitation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Lack of standardized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assessment tools’, ‘Insufficient connection between improvement by cognitive skills and improvement in occupational performance’, ‘Insufficient insurance coverage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bility’,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assessment tool’, and ‘task performa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onclusion: The current state of cognitive rehabilit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matters to be strived for in the future were investigated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gnitive rehabilitation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실행증의 작업치료

        이희령(Hee-Ryoung Lee),우희순(Hee-Soon Woo)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서론: 실행증이란 운동 및 감각 저하, 이해력의 손상, 협응의 문제가 없음에도 이전의 친숙한 과제나 학습된 행동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광범위한 신경학적 증상을 말한다. 이러한 실행증은 클라이언트의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능력, 사회 참여 및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에 부정적 영향을 유발하기 때문에 작업치료의 대상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증 클라이언트의 효과적인 작업치료 시행을 위해 실행증과 관련된 포괄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론: 실행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지시에 따라 흉내 내기, 흉내 내는 것 보고 모방하기, 다단계 작업 완료하기 등 임상 관찰을 통한 평가와 Test of Upper Limb Apraxia (TULIA) 및 Apraxia Screen of TULIA (AST)와 같은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실행증을 위한 대표적인 근거 기반 중재로는 제스처 훈련과 전략 훈련이 있고, 아직까지 근거는 부족하나 가상현실이나 거울을 이용한 중재도 실행증 치료에 도입되고 있다. 최근 작업치료의 인지재활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기능적 인지 개념을 이용한 중재 역시 실행증의 치료로 적용할 수 있다. 기능적 인지 중재로는 작업수행기반의 실행증 평가와 과제/습관 훈련, 전략 훈련, 보호자 교육 및 활동/환경 수정과 같은 간접 중재 등이 있다. 결론: 실행증은 의도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려고 할 때 어려움을 유발하여 클라이언트의 기능적 활동 수행능력을 저하시킨다. 이에 실행증이 있는 클라이언트의 개별 중상에 맞춘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정보는 실행증에 대한 근거 기반 작업치료 시행에 의미있게 사용되길 기대한다. Purpose: Apraxia is a target of occupational therapy because it negatively affects a person ability and independence in performing basic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person’s social participation. We aim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related to apraxia to effectively provide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apraxia. Subjects: Diagnosis of apraxia involves evaluation through clinical observation, such as the ability to pantomime, imitate, and complete multi-step tasks, and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such as the Test of Upper Limb Apraxia (TULIA) and the Apraxia Screen of TULIA (AST).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apraxia include gesture and strategy training. Although evidence is still lacking, interventions using virtual reality or mirrors are also being introduced to treat apraxia. Interventions based on functional cognition concepts can also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apraxia. Functional cognitive interventions include tasks/habits and strategies and indirect interventions. Conclusion: Apraxia can cause difficulties when attempting to perform intentional movements, thereby reducing a participant's ability to perform functional activities. Accordingly, implementing pat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tailored to the special needs of patients with apraxia is necessary.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for the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apraxia.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인지재활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국내 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자를 중심으로

        홍승표,이희령,한대성,주유미,김영근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3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education in cognitive rehabilitation (CR) in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colleges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professional competencie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a questionnaire to professors. The questionnaire extracted items related to professional competencies from the results of a previous Delphi study. A total of 39 respondents from 32 (51.6%) of 62 universities/college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cel 2010 and SPSS 18.0 to analyze the Borich requirements and the priority of education through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 The priority of competency in CR was followed by “clinical reasoning ability to explain cognitive problems from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perspective”, “ability to manage insurance billing for CR”, “ability to establish a CR plan based on outcome evaluation”, “ability to perform occupation-oriented CR”,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that occur during C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Locus for focus model, items such as occupation-based cognitive assessment, intervention, and skills for documentation were high priorities for education. Conclusion : This study is expected to reflect educational competencies for CR and establish a plan for CR specialists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의 작업치료(학)과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지재활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인지재활 관련 주요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전국의 작업치료 전공 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인지재활 교육 현황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의 국내 인지재활 작업치료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중 전문역량과 관련된 항목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전국 총 62개 대학 중 32개(51.6%) 대학의 39명의 교수진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은 엑셀 2010과 SPSS 18.0을 사용하여 인지재활 관련 전문역량에 대한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통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인지재활 관련 주요 역량별 Borich 요구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 ‘인지문제를 작업수행 관점으로 설명하는 임상적 추론 능력’, ‘인지재활 관련 수가 청구 관련 관리 능력’, ‘결과평가에 따른인지재활 계획 수립 능력’, ‘작업중심 인지중재 수행 능력’, ‘인지재활 평가 및 중재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Locus for focus 모형에서는 작업수행에 기초한 인지재활 평가와중재, 기록 작성 등의 항목들이 교육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작업치료(학)과에서 인지재활 교육의 현황을 인지하여 교육과 교과에 교육내용과 역량을 반영하고, 대학 졸업 후 지속되어야 하는 인지재활 전문가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우주방사선의 인체영향 연구 동향

        김미숙,정성철,이희령,김미영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4

        우주개발에 따라 우주왕복선, 우주정거장 체류, 민간 우주여행 등 다양한 형태로 유인 우주여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주여행은 고에너지 입자방사선과 양성자, 중성자 등 우주방사선 노출 위험을 피할 수 없다. 우주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규명과 우주방사선 노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는 향후 우주개발에서 풀어야할 숙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는 우주방사선 프로그램을 통해 우주방사선생물학을 연구해오고 있고, 미국 내의 대학 및 의료기관들과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유럽연합과 일본도 우주방사선의 인체영향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나, 한국은 아직 우주방사선의 인체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우주인 배출, 나로호 발사 이후 국민적 관심과 함께 정부에서도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바, 우주방사선의 인체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s humans have explored space, manned space travel such as space shuttl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private space tourism has been enabled. However, it is accompanied by exposure to the high energy charged particles of galactic cosmic rays and solar particle events, and secondary protons and neutrons. The effects of space radiation on the human body and the risk assessment are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NASA established Space Radiation Program Element and has conducted researches on space radiobiology in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and medical centers. EU and Japan have also conducted researches on the biological effects of space radiation. However, Korea has not established any space radiation research program yet. Along with growing public attention after the Korean Astronaut Program and successful launch of the Korea Space Launch Vehicle-1(the NARO), the Korean government is accelerating the space development which increases the necessity of space radiation research program.

      • KCI등재후보

        부산광역시 지하공간의 CO 대기질 평가

        이화운,박종길,장난심,이희령,김희만 한국환경과학회 200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2 No.1

        With increasing population denities in cities, underground facilities and entertainment are proliferating at a rapid pace in efforts to maximize the use of 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 concentration level of subway stations having underground platforms in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0, over seven times. The places of inquiry include Yongsan-dong station. The samplings were conducted at three point of each station, i.e. gate ticket gates, and platforms. The component of CO concentration is the main elements of indoor air quality evaluation. The total concentrations and average concentration of CO were the higher a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CO were the higher at the Somyon station. The distribution of CO concentrations at each station, generally was higher at gate than ticket gates platforms. The I?O ratios(I-platforms, O-gates) were expressed highly than 1 at the Yongsan-dong station, Busan station, Nampo-dong station and were lower 1 at others.

      • KCI등재후보

        부산광역시 지하철역 지하공간의 대기오염 특성

        이화운,장난심,곽진,이희령,김희만 한국환경과학회 2002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estimate the air quality of subway stations that have the underground platforms in Pusan Metropolitan City,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0, over seventimes. The subjects include Yonsan-dong station, Somyon station, Pusan station, Nampo-dong station, and Tushil station. The samplings were conducted at three points of each station, i.e. gate, ticket gates, and platforms. The major materials for analysis were CO, NO, NO_2, and O_3.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7:00 pm with KIMOTO HS-seven Handy sampler and Tedlar Bag of SKC INC(U.S.A).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station environments, we also measured temperature at each point. The results showed that O_3 average concentration at Yonsan-dong station was higher than others with 38~51 ppb.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NO was high at ticket gate and platform at Somyon station(119 ppb, 122 ppb), Nampo-dong station(102 ppb, 100 ppb).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ir pollution of stations with underground shopping malls was higher than others. At Somyon station having a junction station, NO and NO_2 concentration level of platform-2(noncrowded) was higher than platform-1(crowded). This is most likely due to the accumulation of air pollutants and inadequate ventilation systems.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Allen Cognitive Level Screen; ACLS)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MMSE-K),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 평가(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의 상관관계

        김수경,염희영,황금선,이희령,백영수,정민예 대한작업치료학회 200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ACLS)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작업치료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화된 인지 검사인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MSE-K)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 평가(LOTCA)를 실시하고 수행 점수 간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 2006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서울 소재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MMSE-K, LOTCA, ACLS 평가하였다. 결과 : ACLS와 MMSE-K, LOTCA는 유의한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ACLS는 일상생활의 도움 유무와 생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과는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MSE-K와 LOTCA는 연령과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에서 뇌졸중 환자의 ACLS 수행점수는 MMSE-K와 .605, LOTCA와 .678의 높은 상관관계를, MMSE-K와 LOTCA는 .738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ACLS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인지검사로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Cognitive abilities of persons with stroke are strong predictors of functional outcom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ACLS is an evaluation tool designed to characterize an individual's level of cognition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Although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the ACLS is a useful measurement tool of cognitive function, it has not yet been widely utilized in Korea. Therefore, we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Allen Cognitive Level Screen(ACLS),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MMSE-K) and the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in persons with stroke. Method : We studied thirty people with stroke(16 females and 14 males) who were admitted to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Participants were tested with the ACLS, the MMSE-K and the LOTCA. Result : The MMSE-K highly correlated with the LOTCA(rs = .738, p <.05), the ACLS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e MMSE-K(rs = .605, p < .05) and the LOTCA(rs = .678, p < .05). The ACLS and the MMSE-K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Conclusion : The ACLS, the MMSE-K and the LOTCA are valid and useful measurement tools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of persons with strok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