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생활문화교육에 관한 교수 모형 :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가 대불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economy, more and more people pay close attention to South Korea. Now,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there is more emphasi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So what is 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if the foreign students come to Korea to live? I think it's communication. Proficient communication skills is not just language skills but also include the ability to culture. This paper from the scope of culture education selected life culture that the foreign students regular contact to research. Hope that foreign students can adapt to Korean life faster and more convenient, and improving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This paper will explore the practical life culture education plans for it. When do the cultural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especially the beginning students , what kind of life cultural content and what kind of way should be selected to achieve effective life cultural's learning? To solve these problems, the author will research on the life culture education plans with everyone. In prior studies, through the examples of the foreign students' disputes and misunderstandings which wa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life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though analyze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items in an early stage, collated the cultural contents for beginning students and selected eight contents relevant to living culture for life cultural items. The specific life cultural items include life specification, social etiquette, dressing eating living ,public facilities and institutions, seasons and weather, geography and transportation, leisure life, economic activity. In chapter Ⅲ,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nts relevant to living culture which how to be compiled in Korean elementary textbooks, this paper selected some Korean elementary textbooks which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and Sun moon University's Language Education Center, then classified and analyzed every textbooks' subject names, the subject contents, the ways that how to show the cultural materials ,and the life cultural items. Finally collated the same life cultural items ,then selected the high frequency life cultural items and some low frequency life cultural items that were essential to the primary learners as the 16 units' contents of life culture education. In chapter Ⅳ, the paper divided the culture class into two parts. The indoor class and outdoor class. In addition, analyzed the ways of culture education in prior studies and found out 5 representative practical ways from it. With the purpose of each unit and according to the life culture items , the 5 representative practical ways will be used for compiling the 16 units' life culture lesson plans. At last, the author selected 2 units 'shopping' and 'film' , and spend 2hours to teach the korean life culture for the beginning students who were admitted into Daebul University in the second half of 2010. The class not only hold full of interest to primary learners, but also improve their language skills by utilize related photos, videos and multimedia materials, and some interactive activities like situational dialogues. 한국 경제가 발달하면서 한국에 관심을 가져가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요즘에 한국어 학습을 위해 한국으로 유학하러 온 외국인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외국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은 중시하게 되었다. 그런데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생활하기 위해 첫 번째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무엇일 까요? 바로 의사소통이라고 생각한다.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이란 언어기능 능력뿐만 아니라 문화적 능력도 요구된다. 본 논문은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문화 교육의 범위를 외국인 유학생들이 자주 접하게 되는 ‘생활문화’를 선정하고 외국인 초급학습자로 하여금 더 빠르고 편리하게 한국생활에 적응하면서 언어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실용적인 생활문화교육 교수모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들 특히 초급학습자에게는 문화교육을 시킬 때 어떤 생활문화내용이 들어가면 적절할 것인지 또한 어떤 방법으로 효율적인 생활문화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한국어 생활문화교육 차원에서의 지도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선행연구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은 문화 차이로 인해 생긴 갈등이나 오해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생활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언급했다. 다음에 초급단계 문화항목에 대한 분류를 통해 초급학습자들이 배워야 할 문화내용이 정리하였다. 본고는 이중에서 생활과 관련된 내용만 찾아서 8가지 생활문화항목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생활문화항목은 언어생활규범, 사회의 예절, 의식주, 공공시설과 제도, 계절과 날씨, 지리와 교통, 취미생활과 여가생활, 경제활동 이 8가지로 포함된다. 제3장에서는 국내의 한국어초급교재에서 다뤄지고 있는 생활문화와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편성되어 있는지를 알기 위해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선문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출판된 초급 한국어 교재와 문화 그 자체만을 다룬 『문화 속 한국어』를 대상으로 과목명, 주제내용, 문화자료 제시방식, 생활문화항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공통된 문화항목을 정리한다. 그 중에서 나타난 빈도가 높은 생활문화항목과 빈도가 낮아도 초급학습자에게는 꼭 필요할 생활문화항목을 선택하여 16개의 단원을 교수요목으로 선정했다. 제4장에서는 먼저 수업구성을 교실 내 수업구성과 교실 외 현장수업 구성을 구분했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문화교육방법을 정리하여 대표적이고 실용성이 높은 방법 즉 시청각 자료의 활용, 문화 현상 설명, 문화현상 비교 , 실내 활동 그리고 현장체험학습을 통합하여 생활문화교육 각 단원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수요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면서 16개의 생활문화교육 지도안을 제시해 보았다. 마지막 “쇼핑”과 “영화” 이 2단원을 선택해서 2010년 하반기 대불대학교에 입학한 한국어학과 초급학습자를 대상으로 2시간을 이용하여 생활문화교육을 실험해봤다. 수업할 때 사진이나 그림을 많이 제시할 뿐만 아니라 역할극을 통해서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언어능력도 신장시켰다. 随着韩国经济的发展,韩国受到越来越多的人的注目。现在随着来韩国留学人数急速增加,因此针对外国人的韩国语教育也越来越受到重视。外国留学生到韩国来生活首先要解决的问题是什么呢?我想应该是沟通交流。熟练的沟通交流能力不仅只是语言能力并且还应该包括文化方面的能力。本论文在韩国语教育必备的文化教育范围内选定了外国留学生经常接触的生活文化进行研究,希望外国学生可以更快更便利地适应韩国生活,从而提高自身的韩国语能力。为此本论文将摸索出实用性的生活文化教育方案。 本论文对外国留学生,特别是初级学习者进行文化教育时,应该选取什么样的生活文化内容及以什么样的方式来实现有效的生活文化课堂学习呢?针对这些问题,笔者将协同大家一起研究探讨关于生活文化的教育方案。 首先,通过先行研究里外国留学生由于文化差异而产生纠纷及误会的事例,强调生活文化教育对外国留学生的必要性及重要性。另外通过对初级阶段文化项目分类的分析,把初级学习者应该学习的文化内容进行了整理,并且在这些内容里选取了和生活文化有关的8项内容作为生活文化项目。具体的生活文化项目包括语言生活规范,社会礼节,衣食住,公共设施与制度,季节和天气,地理和交通,趣味生活和休闲生活, 经济活动共8项内容。 第三章,为了了解韩国的初级韩国语教材里有关生活文化的内容是如何编程的,本论文选取了首尔大学,延世大学,梨花女子大学,西江大学,先文大学语言教育院出版的初级韩国语教材和初级文化教材,将各个教材的科目名,主题内容,文化资料的展现方式及生活文化项目进行了归类分析,最终整理出共同出现的文化项目。在这当中选出那些出现频率高和某些虽然频率低但是对于初级学习者来说必备的生活文化项目,以此选定出16个单元作为教授目录。 第4章,本论文将课堂学习分成室内学习和室外现场实践两部分。此外将先行研究中提及到的文化教育方法进行综合,整理出具有实用性的5个代表性文化教育方案,配合着每个单元的目的根据教授目录进行对16个生活文化项目的教案编成。具体的方法如活用视觉听觉材料,文化现象说明,文化现象比较,室内活动和现场体验学习等。最后选取了“购物”和 “电影” 这2个单元,针对大佛大学2010年下半学年入学的初级留学生,利用2个小时进行现场生活文化教育体验。上课时通过活用相关照片影像等多媒体教材,及情景对话等互动活动不但有效地激发了初级学习者的兴趣,同时也提高了他们的语言能力。

      • 대학교 기숙사 장애인 복지시설의 실태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전남·북 대학교 기숙사를 중심으로

        나준태 대불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오늘날 산업의 발달과 경제성장이 지속되고 인간성 회복 및 구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회환경에 있어서의 불평등한 요소는 장애 그 자체가 극복 불가능의 대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 많은 제약을 초래하고 그것은 결과적으로 그들이 누려야하는 법적 권리까지 보장받지 못하게 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니 대학생에 대한 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대학 Capmus에서 대학생들의 주(住)생활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시설인 기숙사를 대상으로 장애인 복지시설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사함으로서 교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장애를 최소화하는데 그 배경과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장애인은 물리적 이동성에 제약이 많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대상 대학교 기숙사로는 전라북도 지역에서 4개 대학교, 광조.전남지역에서 4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자가 장애인 편의시설 세부기준에 의해 외부공간 과 내부공간으로 나누어 표를 작성하여 조사대상 대학교 기숙사를 방문 직접 실측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먼저 국내외의 문헌을 통해 장애인의 정의 및 장애인의 행동특성, 장애학생을 위한 편의시설에 대한 기존의 연구논문 및 문헌을 조사하고 관련법규(장애인 편의시설 규준, 장앤.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령집 등)를 기준으로 장애인 편의시설 정비를 위한 법적, 제도적 현황을 고찰하였다. 조사대상 기숙사의 복지시설 현화을 파악하기 위하여 복지시설 설치의 유.무와 적.부 상태 형식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조산느 각 대학교의 기숙사에 생활하는 학생 수와 그중 기숙사에 거주하는하는 장애인 수를 조사하였으며 각 대학의 기숙사를 방문하여 기숙사에 설치되어 있는 장애인 복지시설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1년 8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조사하였으며 실측을 위주로 하였고 조사결과를 장애니 시설기준과 비교하여 작성한 다음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개서안을 도출하는 내용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학의 기숙사 건축에 있어서 장애인 시설의 설치에 관한 정책적인 배려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행정적인 측면에서 장애인의 대학입학에 관하여 문호가 개방되어야 할 것이며 이들을 수용하는 기숙사 건축시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조사대상 대다수의 대학이 기존의 기숙사 건축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보완하고 있거나 아니면 전혀 장애인에 대한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따라서 기숙사 건축의 초창기나 아니면 기존의 건물에서 장애인에 대한 리노베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본 연구대상의 기숙사는 처음부터 장애인을 고려한 건물은 아니었으며 중간에 장애인을 고려하여 개.보수하였기 때문에 일반 학생과 장애학생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은 적정하였으나 장애인만을 위한 시설은 매우 열악하였다. 따라서 장애인데 대한 각종 행정적, 재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각 대학 기숙사 건축의 장애인 편의시설에 있어서 기존의 대학 기숙사 건물을 보완하였기 때문에 화장실, 세면실, 방 등의 간단한 장애인 기구를 이용하는 실은 어느 정도 보완이 되었으나 건물의 구조체인 계단, 복도 등은 기존의 건물을 개선 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장애인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기숙사 건축을 신축할 때 장애인 편의시설이 처음부터 계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5. 세부시설의 설치에 있어서 각 대학은 휠체어리프트, 엘리베이터 등의 고가 장비는 대학의 재정으로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따라서 이들 장애인 편의기구의 설치에 관해서는 국가에서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지거나 리스 등의 형태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6. 장애인 편의시설에 있어서 외부에 설치하는 복지시설은 주차장외에는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기구가 고가라는 점과 전체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학 캠퍼스의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시 장애인 시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조선산업 사내하청과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개선에 관한 연구 : 대불산단 사내하청 비정규직 노동자를 중심으로

        서형주 대불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Since the IMF's financial rescue of South Korea in late 1997, temporary workers such as temporary jobs, contractual jobs, internal subcontracting, dispatched workers, and special contract laborers have increased, leading to increased employment uncertainty. Also larger differences in employment conditions between temporary and permanent workers have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Recently, the issue of internally subcontracted laborers who do the same work as permanent workers at the production front of the firms and are forced to work under worse conditions than laborers in the parent firm who are part of the union has come under increasing scrutiny. Because internally subcontracted laborers cannot realistically strive for the most basic of labor rights, creating a labor union is difficult. Also, enterprise labor unions that have become more prominent since 1987 is becoming another obstacle for internally subcontracted laborers to create a union or orchestrate a demonstr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arent firm, the increase in internal subcontracting can lead to greater employment flexibility and reduce labor costs, so it can help the firm gain competitiveness.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internally subcontracted laborer, employment uncertainty in heightened and discriminatory working conditions are forced upon. Therefore, this leads to a negative aspect which is the increasing tensions and frictions with the permanent workers who work under the same conditions Recently, a different type of subcontracting inside the internal subcontracting, in other words, a transformed type of employment called product teamsthat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intrapreneuring is spreading widely among shipping companies in the Daebul Industrial Complex. Because this type of employment of subcontracting inside a subcontract is spreading rapidly throughout the Daebul Industrial Complex, constant back-pay, employment uncertainty, and increased labor costs due to frequent transfer of jobs to other firms is a problem that is recurring. For the case of temporary workers who are internally subcontracted, unlike direct employment by the firm, such as a temporary job or a contractual job, the central contention between labor, management, and company has been how the government pursues its policy on indirect employment. Thus, the important issue becomes how actively the government regulates when the main firm treats equally all laborers working on site and the firm uses internally subcontracted temporary workers to avoid its lawful duty as the one responsible to accept group discussions when the laborers create a union. What can also influence the employment of laborers importantly is the effort the contracted labor union makes to remove discrimination inside the union in opposition to the discriminatory and dual-faced employment strategy of the management. The reasons why a capitalist/manager employs an internally subcontracted temporary worker is: 1) when it believes that indirect management of personnel is more efficient when there is no control over the labor process, 2) when it tries to gain labor flexibility to respond to the uncertainties and instabilities of the capitalist market, 3) when it tries to reduce labor costs through relatively lower wages than permanent employers and by avoiding the application of the law on workers standards, etc. South Korea's shipping industry has made its mark as the world's number one shipyard. It is the signature industry that has led Korea's economic growth and is characterized by its large need to adjust employment according to market demand. This unique character of the shipping industry is one reason why temporary employment such as temporary jobs, day-jobs, and internal subcontracting has been increased. However, even though the increase in internally subcontracted employees can lead to short-term growth of the company, it is clear that it is an obstacle to long-term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ompany through things such as immeasurable increases in labor costs due to frequent jobs transfers to other companies and decreases in company loyalty.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issues and problems of the temporary workers who are internally subcontracted in the shipping industry at the Daelbul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e results, it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how they can live beneficially together.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한국에서는 1997년 말에 있었던 IMF 구제금융 이후 임시직, 계약직, 사내하청, 파견근로자, 특수계약 노동자 등 다양한 형태의 비정규 노동이 증가하면서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에 근로조건의 격차가 갈수록 심화되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특히 동일한 기업의 생산현장에서 정규직과 함께 동일한 작업을 하면서 노동조합이 결성되어 있는 모기업 노동자들에 비해서 열악한 근로조건을 강요당하고 있는 사내하청 노동자들의 문제가 최근 부각되고 있다. 사내하청 노동자들은 사실상 노동기본권조차 권리로서 향유할 수 없어서 이들의 노동조합 결성은 사실상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또한 1987년 이후 더욱 강화된 기업별노동조합은 사내하청노동자의 노동조합 결성이나 노동운동이 극복하기 힘든 또 하나의 장벽으로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내하청 고용의 증가는 모기업 경영자의 입장에서는 고용의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노동비용을 낮출 수 있어서 기업경쟁력의 확보에 도움을 주는 측면이 있지만, 사내하청 비정규직 노동자의 입장에서는 고용의 불안정성과 함께 차별적인 근로조건을 강요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동일한 작업현장 내에서 정규직과의 불화 및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안고 있다. 최근에 대불산단에 산재해 있는 조선업체들에는 물량팀이라는 사내하청 속의 또 다른 형태의 하도급형태, 달리 말하면 소사장제와 대동소이한 변형된 근로 형태가 대불산단 전체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청 속의 하청인 이러한 근로형태가 대불산단 전체로 빠르게 확산되고 잠식되면서 상시적인 체불임금, 고용불안, 다른 업체로의 잦은 이직으로 인한 노동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내하청 비정규직의 경우 임시직, 계약직 등 기업이 직접 고용하는 형태와는 달리 국가가 간접고용관계에 대하여 어떠한 정책과 태도를 취하는가가 언제나 노, 사, 정의 핵심적인 쟁점이 되어 왔다. 즉, 원청 대기업이 자신의 사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균등하게 처우하고,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단체교섭을 요구했을 때 이를 수락해야 하는 실제 사용자로서의 법률적인 의무를 회피하는 수단으로 사내하청 비정규직을 이용하고 있을 경우, 이에 대해 국가가 얼마나 적극적인 규제를 펴느냐가 중요한 쟁점이 된다. 또 원청 노동조합이 경영자들의 차별적이고, 이중적인 고용전략에 대항하여 노동자내부의 차별을 제거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하는 가도 사내하청 노동자의 고용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경영자가 사내하청 비정규 고용을 하는 이유로는 1)노동과정에 대한 통제가 결여된 상태에서 간접적 노무관리가 더 효율적이라고 보는 경우, 2)자본주의 시장관계의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에 대응해 노동탄력성을 확보하려는 경우, 3) 정규직에 대한 상대적인 저임금, 그리고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회피하여 노동비용을 절감하는 경우 등 여러 가지를 들 수 있다. 한국의 조선산업은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가지는 조선산업으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조선산업은 한국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대표적인 산업으로서 시장수요에 따른 고용조절의 필요성이 다른 산업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런 조선 산업만의 고유한 특징이 조선산업에서 임시직, 일용직, 사내하청 등의 비정규 고용형태가 증가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내하청 고용의 증가가 단기적으로는 기업의 성장을 가져올 수는 있으나 잦은 이직으로 인한 계량하기 힘든 노동비용증가, 기업에 대한 충성심의 악화 등의 문제가 계속적으로 발생함으로서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가로막는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불산단에 종사하는 조선산업 사내하청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조선산업과 근로자가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관용표현 교육의 수준별 목록 선정 방법

        장정정 대불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 관용표현 교육에 대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목록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관용표현은 두 개 이상의 구성 요소를 가지면 그 의미를 각 구성 요소 의미의 합으로 파악할 수 없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한 나라 사람들의 언어습관 및 사고, 생활양식, 전통문화 등을 반영하는 독특한 표현이기 때문에 한국어 관용표현을 교육할 때 학습자에게 단순한 언어 교육을 할 뿐만 아니란 상호 민족성, 생활환경, 습과의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고려하면서 진해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아직까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관용표현 내용과 수목은 명확한 규칙이 없어서 혼란스럽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인 중국인 학습자로 한국어 교육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기준의 관용표현 교육 목록이 아닌 새로운 기준에 의한 관용표현 교육항목 선정 방법을 밝히고 있다. 1장서론 부분은 주로 외국어로서 한국어 관용표현의 연구 목적, 그 동안의 관용표현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학자마다 주장하고 있는 한국어 관용표현의 개념 범주,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관용표현을 구성한 소재에 따라서 그것의 투명성 및 추상성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실상을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및 중국어의 관용표현이 지닌 특징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먼저 한. 중 양국의 관용표현이 지닌 표현 방식이 대체로 비슷하고, 소재면에서도 공통된 바 신체기관, 의식주, 자연환경 등과 관련된 것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국의 자연 환경 및 풍속 습관 등의 측면에 존재하는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관용표현의 형태면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도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차이로 한국어 및 중국어의 관용표현이 지닌 표현의 실상에 따라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었다. 우선, 의미와 형태가 모두 같은 것(동형동의), 다음에 의미는 같지만 형태 일부분이 다른 것(부분동형동의), 마지막으로 의미가 같지만 형태가 완전히 다른 관용표현(이형동의)로 분류하였으며. 이것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관용표현의 수준별 목록 선정을 탐구하는 기준 설정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4장에서는 현재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해당하는 교재는 서강 대학교<사강 한국어1-4>, 이화여자대학교 <말이 트이는 한국어1-5>, 서울 대학교<한국어1-4>, 경희대학교 <한국어1-6>, 연세대 한국어학당<한국어1-6>이다. 5장은 4장에서 제시된 모든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발전된 관용표현의 교수 및 학습을 위한 바 수준 단계별 설정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관용표현과 국제 교육진홍원(2002) 제시된 <한국어 속담100 관용어 100>과 비교하여 한국어 교육용 목록을 선정한 후에, 이 목록을 바탕으로 하여, 이를 초중고 단계별 난이도라는 큰 기준을 충족시키 수 있는 바 3가지의 작은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준별 목록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예시를 하였다. 초중고급의 3단계에 소속되는 작은 기준이란 (1) 한.중 관용표현의 유사성 정도, (2)의미의 투명성 정도, (3) 의미 성격상의 분류에 따라 구분된 3가지 기준이 그것이다. 그래서 초급에는 유사성에서 동형동의형, 투명성에서 반투명, 성격상 비교적 구체성을 지닌 동작형과 심리형을 설정하였다. 중급에서는 유사성에서 부분동형동의형, 투명성에서 반불투명형, 성격상에는 심리형과 속성형을 설정하였다. 고급에서는 유사성에서 이형동의형, 투명성에서 불투명형, 성격상에는 추상성이 높은 속성형과 상황형을 설정하였다. 마지막 제6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여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the exploration of a more efficient and more systemized Idiomatic Expression Directory used in the education of Korean for the Korean-learning Chinese students. An idiomatic expression is a fixed phrase composed of three or more syllables, the meaning of which can not be concluded from one single syllable. It is because that this is a unique reflection of the language habits, ideology, the life styles and the traditional culture in a country. Therefore, the education of Korean is not a pure process of language educating; it will also make the Chinese students acquire the similarities and diversities in the nationalities, living environments and habits of the two countries. However, up to the present, the contents and directory of idiomatic expression in the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are in great confusion due to the lack of the definite stipulations. This thesis will take the Chinese students as the object and develop a better idiomatic expression directory under a new-set criterion. Chapter One mainly introduces the research purpose, previous research and the research methods of the customary manifestations in Korea. Chapter Two introduces scholars’ understandings towards Korean customary manifestations, including the definition, scale, type, features, etc. Because of the different elements in the customary manifestations, it is also different in terms of transparency and abstractness. Chapter Three analys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ustomary manifesta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mation of the customary manifestations in the two countries is roughly the same. The source materials mainly include body organs, basic necessities of life, natural environment and so on. Due to the different natural environment and social habits in Korea and China, the customary manifestations are also different. Chapter Four tells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existing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analyses the textbooks used in Sogang University, Ewha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ng Hee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in details and lists the existing problems one by one. In order to solve the current confused situation of content selection, i.e. the idiomatic expression of educational purpose, we have selected in chapter 5 the idiomatic expression content of educational purpose according to a new standard. After the settled selection of that content,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prim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based on the previous difficult analysis of idiomatic expression. The standard for this division is as follows: 1)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Chinese and Korean idiomatic expression; 2) degree of transparency in the meaning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 3) nature classification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 According to the three points mentioned above, the primary stage should select and use the idiomatic expression of the same type and meaning, half transparency and less abstractive in the action and psychological way. The intermediate stage should use the expression of partially the same type and meaning, half opaqueness and less abstractive in the psychological and attributive way. The advanced stage should use the expression of different type within the same meaning, opaqueness and highly abstractive in the attributive and situational way. Owing to time constraints, apologies are made for the existence of some deficiencies in this article, such as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is not sufficient enough, leading to the relatively narrow sphere of the selected idiomatic expression as well as the incomplete standard for selection. We will make more efforts in the future, and study the Korean educational-purpose idiomatic expression in a more comprehensive, effective and systematic way, thus making contributions to the Korean study of Chinese students. 本论文的研究目的是为学习韩国语的中国学生探索更有效,更系统的韩国语教育用惯用表现目录。惯用表现是由个以上音节构成的固定词组,以其中单独一个音节的意思无法判断出它的意思。因为这是一种反映一个国家人民的语言习惯,思想,生活样式,传统文化等的独特的表现,所以不仅是单纯的语言教育,同时也可以了解到双方在民族性,生活环境,习惯上的共同性和差异性。但目前为止,韩国语教材中出现的惯用型表现的内容和目录因为没有明确的规定所以非常混乱。因此,本文将以中国学生为对象,以新的基准探索出更加完善的惯用表现教育目录。 第一章主要介绍了韩国惯用表现的研究目的,先行研究以及研究方法。 第二章介绍了各学者对于韩国惯用表现的见解,包括惯用表现的定义,范围,类型及特征等。根据惯用表现构成要素的不同,惯用表现的透明性和抽象性也有所不同。 第三章分析了韩国及中国惯用表现的共同点和差异点。分析结果首先,韩,中两国惯用表现的构成方式大体相同,构成素材方面主要包括身体器官,衣食住行,自然环境等。但是由于两国的自然环境及风俗习惯上存在的差异导致惯用表现间也存在差异。 第四章分析了现在韩国语教育的现状及存在的问题。具体分析了西江大学,梨花女子大学,首尔大学,庆熙大学,延师大学韩国语学堂所用的教材。然后一一列举了存在的问题。 为了解决目前教育用惯用表现目录选定混乱的状况,在第五章中以新的基准选定了惯用表现教育用目录。在选定教育用惯用表现目录后,根据之前分析的惯用表现的难易状况,分为,初,中,高三个阶段,这三个阶段的判定基本主要是1)韩中惯用表现的类型,2)韩国惯用表现的透明度,3)韩国惯用表现的性质分类。 根据这三点,初级阶段应选用同型同义,半透明,抽象性较低的动作型和心理型惯用表现;中级阶段可选用部分同型同义,抽象性较低的心理型和属性型惯用表现;高级阶段可以选择异型同义,不透明,抽象性较高的属性型和状况型惯用表现。 由于时间仓促,对本文中存在的一些不足表示歉意。比如,对教材的分析还不够充分,导致所选定的惯用表现范围相对有些狭小,惯用表现选定基准还不够全面。今后将更加努力更加全面有效系统的研究韩国语教育用惯用表现目录,为中国学生更好地学习韩语作出贡献。

      • 지방 신학교의 역할과 육성에 대한 방안

        최기진 대불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Facilities for Urban Living Environment (focused on the Locations of the Provincial Office in Our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vel of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in 10 cities, including 9 locations of the province office, and Mokpo city, the expectant hinterland of the Chonnam provincial off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ccording to 5 analysis indicators including traffic/transportation, urban space, distribution/supply, public culture, and health/sanitation, and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indicator.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bove all, the following are the analysis of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ccording to each city. First, in case of large or metropolitan cities, as the locations of the provincial office, traffic/transportation, urban space, and public culture facilities are of low level, but distribution/supply facilities are of high level, whereas, in case of small and medium cities, or new planned cities, vice versa. Second, in case of Suwon, all the sectors except health/sanitation facilities are high, whereas, in case of Gwangju and Daegu, which are metropolitan cities as well as the locations of the provincial office, traffic/transportation, urban space, and public culture facilities are comparatively low. Third, although, in case of Daejeon and Cheongju, as the hubs of transportation in our country, traffic/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supply facilities should be relatively high,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low. Fourth, in case of Chuncheon and Jeonju, as the location of the Gangwon and Chonbuk provincial office, where their history has been long but the growth of their scope and population has been stagnant, most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re lower than those of any other cities, so that they need the more positive development in terms of urban development. Fifth, as, in case of Changwon, where the Gyeongnam provincial office has been moved, its urban foundation facilities are not yet poorer than its administrative foundation facilities, in case of Mokpo, as the expectant hinterkand of the Chonnam provincial office, its urban foundation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in advance. Also, in case of any other expectant provincial office locations, with the diffusion of urban functions such as administration, industry, and population, the establishment of urban foundation facilities is essential. Sixth, in case of Jeju, as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Jeju province, where its urban planing and urban foundation failities have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develop its sightseeing city rather than its administrative city, its urban foundation facilities are comparatively hig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composite index,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urban population, and urban size, composite index has the high correlation with traffic/transportation, urban space, and public culture sector, so that the higher composite index is, the higher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re. On the other hand, urban population has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tribution/supply and health/sanitation sector, so that the higher urban population is, the higher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re. On the other side, urban population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raffic/transportation and public culture sector, so that the higher urban population is, the lower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re. Urban size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posite index, traffic/transpotation, urban space, distribution/supply, and public culture sector, so that the higher urban size is, the lower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r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s the provincial office is located, owing to 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dministration, and industry, urban diffusion has the negative influence upon the level of its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so that rather than the diffusion of urban scale, the establishment of its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in its optimum scale is important.

      • 가상대학을 위한 얼굴인식에 기반한 수강자 인증 시스템의 설계

        전노선 대불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rapid proliferation of cyber universities has demanded that a new method is required to verify a user as the old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user's password has been proven ineffective. The focus of this paper; hence, is to present a way to verify a user based on the human body, which has been the hot issue in the computer industry. There are two face recognition modules for a cyber university. The first student registration module conducts the database based on the unique features of the user. The second student verification module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original features recorded at registration and the facial features captured on the spot through the camera. The method suggested in the paper has an average histogram distribution chart based on the caculation of the eye, nose and mouth which are the most conspicuous facial features. Then, it derives the unique facial features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is figure and the main attributes of the histogram of the user. And, it conducts the verification work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similarity of the unique features. The paper also presents a way to reduce an error with a combination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system and the face recognition system. This method has been proven effective in verifying the students who register on-line as the resolution is high.

      • 목포항 물류시스템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硏究

        김정우 大佛大學校 産業技術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07

        항만물류시스템의 효율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는 항만(혹은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이 필요할 뿐 아니라, 건설 시에도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항만의 경쟁력을 증가시켜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항만의 효율(혹은 생산성)은 물류취급장비의 수, 야드자원의 크기 및 운영 잭등 여러가지 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변수들의 변화에 대한 영향의 분석, 항만(혹은 컨테이너 터미널)의확장 및 건설 시에 설계변수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항만물류시스템의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의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항만(혹은 컨테이너 터미널)의 설계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한 분석도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증해 보고, 물류시스템의 효율을높일 수 있는 대안과 관련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내용 및 범위는 항만의 전반적인 분석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방법의 적용을 위한 대상 및 방법 등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서 항만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것으로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만에 관련되 자료와 정보로 항만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추며 둘째, 목포항만 물류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며 셋째, 효율 평가 및 효율증진 방안 제시와 추후 연구방안이 있다. 본 논문의 개발결과로는 항만물류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 조사 및 분석과 항만능력 및 운영효율 척도의 분석 및 항만분야에의 시뮬레이션 방법 적용방안이 검토된다. 또한 항로능력 평가모델의 설계로 효율평가 및 효율 증진 방안이 제시된다. Improvement of efficiency for port logistics is very important problem in the operation, construction of the port and container terminal. Efficiency of port is influenced by various including facilities, yard resources and operation management of port. So simulation model is required to analyz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and design parameter in the construction or expansion of the port.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analyze the application of simulation techniques for port logistics system and to develope the simulation model for design and assessment of port. Finally, we proposed alternatives and related technologies for improvement of efficiency in port logistics system. The scope and contents of this study, which covers the analysis of simulation techniques for port logistics and development the simulation model for design and assessment of port, are defined as follow. First, get the knowledge about the port from a report and an information second, examine into the using of logistics system for Mok-po port, recently third, propose the efficient logistics system model of the port to use computer simulation fourth, estimat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suggest the method of an influenced increase and study on a plan later. Finally, If this model using the result of this thesis is adapted the logistics system to part a post and the route of a ship, it will be suggested to largely increas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