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장애대학생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이후희,황순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 Korea. For this purpose, 42 academic researches related to the disability university student program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subjects using databases of Korea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ISS) and National Rotator Library. The key words were selected using Textom and UCINET 6's NetDraw program, and the 1-mode network matrix was constructed and visualized. In order to grasp the research trend, frequency analysis, structural characteristic analysis, entire network, and centrality analysis were applied. The major findings are briefly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searches related to the disability student program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search principal system changes with the social movement. Second, when the maximum connection distance between keywords and average distance between nodes in the analyzed keyword network were examine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tudy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betweenness-centered network, it was found that many researches related to disability college student programs were conducted by career, social adaptation, and job skills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be used as basic data in areas where research is insufficient by suggesting effective research directions by examining the research tendency of disability university student program that changes with the times.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장애대학생 프로그램과 관련된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학술정보원 한국연구정보서비스(KISS), 국회전자도서관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장애대학생 프로그램과 관련된 42개의 학술 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텍스톰과 UCINET 6의NetDra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고, 1-mode 네트워크 행렬을 구축하고 시각화하였다.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구조적 특성 분석, 전체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등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적 움직임에 따라연구주제도 함께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분석된 키워드 네트워크 내의 키워드 간 최대 연결거리와 노드 간 평균거리를 살펴보았을 때, 연구 변인들 간에 많은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매개 중심성 네트워크분석 결과, 장애대학생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가 진로, 사회 적응, 직업 능력 개발 등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장애대학생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경향성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연구방향을 제시하여 연구가 부족한 영역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 B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이후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2

        This study explored various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iversity life by foreign stud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lated to university life in Korea. The study subjects were 9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y B, which were sampled using the target sampling metho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into a total of four components: academic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cultural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In addition, the sub-components according to each component were finally organized into 10 categori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measures to be supported for foreign students to adapt to Korean university life were discussed in detail,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및 중도탈락 영향요인 분석 - B대학교를 중심으로 -

        이후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2 청소년시설환경 Vol.20 No.1

        본 연구는 B대학교 2021학년도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예방을 위한 다양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1학년을 대상으로 대학적응력검사(CAT)를 실시하여 최종 1,025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학적응력 변인과 대학만족도, 대학적응력 변인과 중도탈락 경향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는 학문적 통합성, 사회적 통합성, 진로정체성, 교수와의 관계, 가정의 정서적지지, 학업지속 안정성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신입생의 중도탈락위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변인 중 교수와의 관계를 제외한 나머지 변인인 학문적 통합성, 정서적 안정성, 대학교육 만족도, 학업지속 안정성이 높을수록 중도탈락 경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통합성, 진로정체성, 교육서비스 만족도 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대학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학 차원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ADHD 아동의 주의집중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프로그램과 부모의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부모상담 사례연구

        이후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3

        In this study, the ADHD children were categorized as cognitive behavioral programs to improve the ADHD children's attention deficit, and the mother of ADHD children was helped by the parental counseling through the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I was able to give arbitration. The study subject was A, who was a fourth grader in elementary school in B city and diagnosed as ADHD. A total of 20 sessions was held with individual cognitive behavioral training. After each session, counseling sessions were held with the children. Afterwards, the children's attention and impulsivity were analyzed through the K-ARS and the Behavioral Observation List. As a result, the attention score according to the K-ARS decreased, and the observation of the behavior list improved the attention of the A child. A child's parenting attitude changed from over-protection to parental A child, and parenting stress decreased. The result of providing a program to find a more objective and problem-solving idea by finding out the dysfunctional thinking or belief that created the emotion that causes the problem behaviors of A child exposed through the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A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ttention enhancement of children. -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주의력 결핍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ADHD 아동에게는 인지행동프로그램을 중재하고, ADHD 아동의 어머니에게는 인지행동프로그램을 활용한 부모상담을 통하여 아동의 행동변화의 지속성, 부모의 역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재를 하였다. -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대상은 B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 남아인 A는 ADHD로 진단받았다. 총 20회기 개인 인지행동 훈련으로 진행되었으며, 매 회기가 끝난 후에는 아동의 모와 상담을 하였다. 이후 사전․사후 검사로 K-ARS와 행동관찰 목록표를 통해 아동의 주의집중 및 충동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이에 따른 결과, 한국어판 ADHD 평정척도에 따른 주의집중 점수가 감소하였고, 행동목록표에 의한 관찰 결과 A아동의 주의집중이 향상되었다. A아동의 모가 A아동을 과잉보호만 하던 양육태도가 변화되었고, 양육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 KCI등재

        부모의 양육방식에 따른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회복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이후희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non-disabled siblings according to their parenting styl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24 non-disabled sibling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and special schools in Seoul, Busan, Ulsan, and Gyeongnam.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non-disabled siblings felt more parental parenting as negative parental control and hostile denia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parenting and democratic autonomy. The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non-disabled siblings according to their parent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parenting styles were democratic and affective.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non-disabled sibling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arents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iblings need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ir own parenting methods and to learn positive parenting methods.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방식에 따라 비장애 형제자매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부산, 울산, 경남의 일반학교 및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비장애 형제자매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T검정,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비장애 형제자매는 부모의 양육방식을 부정적인 양육방식인 권위통제형과 적대거부형으로 더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긍정적인 양육방식인 민주자율형과 애정수용형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양육방식에 따른 비장애 형제자매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민주자율형, 애정수용형일 때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비장애 형제자매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아동과 비장애 형제자매를 양육하는 부모가 스스로의 양육방식을 점검하고 긍정적인 양육방식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할 것이라고 시사된다.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ADHD 아동의 공감능력 특성 탐색

        이후희,황순영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mpathy patterns of children with ADHD through analysi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five ADHD children in grades 3-6 were recorded and observed during the breaks at school. Based on the data selection procedure, major concepts were derived, and the attributes and centrality of the entire network were analyz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mpathy of children with ADHD to communicate emotionally was characterized by a narrow network of utterances and a segmented dialogue that was not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o the narrow and distributed structure of the network, the number of nodes belonging to each cluster is small, and the number of clusters is more clustered than the total number of nodes, resulting in the one-sided utterances rather than various ones. And 9 clusters coexisted with emotional and non-emotional utterances, and the utterance characteristics that have the most frequency and influence on centrality also showed self-centered responses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자연적 발화를 통하여 발화 속에서 등장하는 화제나 대화 내용을 분석하고, 공감능력과 관련된 중심적인 노드가 되는 발화는 무엇인지, 그러한 발화들이 주로 어떤 공감 양상을 나타내는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6학년 5명의 ADHD 아동들의 학교에서 쉬는 시간에 발화하는 것을 녹음하고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선정 절차에 따라 주요 개념을 도출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전체 네트워크의 속성 및 중심성을 파악하고 시각화 그림을 통해 발화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ADHD 아동의 발화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을 살펴보면, ADHD 아동 발화들이 좁은 네트워크 양상을 나타내며, 발화 간 긴밀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분절된 대화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의 크기가 협소하고 분산된 구조뿐만 아니라, 각 클러스터에 속한 노드의 수가 적고, 전체 노드 수에 비해 많은 수의 클러스터로 세부 군집화 되는 경향을 통해 ADHD 아동이 다양한 발화로 주고받기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방적인 발화를 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9개의 클러스터들이 공감적 발화와 비공감적 발화에 관한 두 가지로 서로 공존하고 있었으며, 최다 빈도를 나타내면서 중심성에서도 영향을 가지는 발화의 특성이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자기중심적인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이후희,이상수,이수상,김은정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A대학 사범대의 서술식 강의평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대학수업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A대학 사범대 총 15개의 학과의 169개의 강좌로부터 1850명의 주관적 강의평가 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60개 단어들간의 공출현 매트릭스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UCINET 6.0을 활용하여 주요 단어의 빈도수를 파악하고, 주요 단어들 간의 의미 있는 관계를 파악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위 20개의 주요 단어와 언어 네트워크 분석 중 연결정도 중심성 값, 근접 중심성 값에서도 높은 값들로 나타난 주요 의견들은 ‘배움 있는 수업’, ‘좋은 수업’, ‘유익한 수업’ 등으로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수업의 유형이었다. 둘째, 부정적인 수업으로는 ‘어려운 수업’, ‘비체계적 수업’, ‘힘든 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서 눈여겨 볼 결과는 다양한 의견들을 서로 매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 중 의미 있게 도출된 것으로 ‘불공정한 평가’, ‘생각할 수 있는 수업’ 등의 의견들이 확인되었다. ‘불공정한 평가’에 대한 에고 네트워크 시각화 결과, 연결선이 강하게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근접해 있는 의견들은 ‘열정적인 교수님’, ‘힘든 수업’, ‘만족스런 수업’ 등으로 나타났으며, ‘생각할 수 있는 수업’에 대한 에고 네트워크 시각화 결과, ‘쉬운 설명’, ‘배려하는 교수님’, ‘어려운 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제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습자 스스로 생각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객관적이며 명확한 평가 기준이 제시된다면 자연스럽게 보다 재미있고, 유익하며, 배움이 있는 최고의 수업이 될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후 제언으로는 한 대학의 사범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강의평가 내용을 분석한 것이므로, 추후 보다 더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수업의 특성을 고려한 강의평가를 토대로 강의의 개선점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university courses by analysing descriptive course evaluation of A universit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A total of 1850 subjective course evaluation data were used from 169 courses in 15 departments. Then co-occurrence matrix among 60 key words was constructed. Based on matrix, the frequency of key words and the meaningful relationship were analysed using UCINET 6.0. Results: First, students perceived ‘learning course’, ‘good course’, ‘meaningful course’ as main positive type of course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Second, in contrast, students perceived ‘difficult course’, ‘non-systematic course’, ‘hard course’ as negative type of courses. Third, what was interesting was ‘unfair evaluation’ and ‘thinkable course’ were derived that relate key words even though the frequency of these were not that high. Lastly, ‘unfair evaluation’, ‘enthusiastic professor’, ‘hard course’, and ‘satisfactory course’ were derived as the result of ego network analysis of ‘unfair evaluation’. Then ‘easy explanation’, ‘considerate professor’, and ‘difficult course’ were derived as the result of ego network analysis of ‘thinkable cours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to be more meaningful and beneficial courses if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and clear and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are provided.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통한 읽기 중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후희,황순영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통한 읽기 중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P시의 초등학교 3~4학년에 재학 중이면서 전문의에 의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로 판정받고, 6개월 이상 약물치료를 받은 아동 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설계는 사전검사, 20회기의 실험처치 후 사후검사로써 단일집단 전후검사설계(one-group pretest-post test design)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비모수적 방법인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통한 읽기 중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향상시켰다. 낱말이해, 문장배열, 짧은 글 이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짧은 글 이해 영역에 대한 변화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문장완성, 어휘선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통한 읽기 중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읽기 태도를 향상시켰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통한 읽기 중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수 방법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subjects were six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he third or fourth grade who were identified as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y psychiatrist.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twenty sessions for ten weeks. Each program session took forty minutes. Then a researcher carried out pre- and post-tests to determine how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as effective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Results of the study are two. First, using reading comprehensi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ere effective on the participa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fter the program, the score of reading comprehension was higher than that of pre-test. It seems to be the effect of the program. Second, through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s using reading attitude toward recreation and reading attitude toward learning, we realiz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as supportive to help th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tests show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as effective reading attitude toward recreation and reading attitude towar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