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찰자 관점이 발표상황에서 불안과 수행에 미치는 영향

        최영인,권정혜 한국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8 No.1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높은 불안이 유발되는 발표 상황에서 관찰자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수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사회적 고불안 집단과 사회적 저불안 집단을 나누어 두 집단 모두 관찰자 관점과 장 관점을 유지하며 수행을 하도록 하였다. 관찰자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매 발표가 끝날 때마다 부정적인 자동적 생각의 빈도와 그 생각을 사실이라고 믿는 정도, 불안을 감추거나 불안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안전행동, 불안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행이 끝난 후 자신의 수행을 평가하게 하였으며, 이후 비디오로 촬영한 자신의 수행을 보고 다시 평가하도록 하여 이를 비디오를 보기 전에 평가한 내용과 비교하였다. 아울러 자기 수행 평가를 객관적 평정자의 평가와 비교함으로써 관점에 따라 수행 평가의 왜곡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관찰자 관점을 유지할 경우 사회적 고불안 집단과 저불안 집단 모두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빈도와 믿음, 안전행동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불안과 수행 평가에 있어서는 고불안 집단만 관찰자 관점에서 장 관점에 비해 높은 불안과 부정적인 평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aking on an observer perspective effects the performance of high anxiety persons in a speaking situation that is regarded as evoking high anxiety. College students, divided into high or low socially anxious groups were asked to give two short speeches, one in the observer and the other in the field perspective. Their performances were videotaped. Immediately after each performance,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ir mood measures, the frequency o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the degree to which they believed such thoughts to be true, safety behaviors, and anxiety. After they completed both performances, they rated their performance for each speech, and then after viewing their taped performances, they were asked again to provide the same evaluation.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perspectives that they took on during the performances affected their evaluations, the subjects' ratings were compared with ratings of the videotaped performances given by independent viewer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when taking on an observer perspective, both high and low socially anxious groups think more negatively and behave more cautiously; but, only the former reported greater anxiety and gave themselves lower ratings on the observer perspective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field perspective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The Drug Use of Adolescent and Physical Training as EffectivePrevention Method

        최영인,염건령,육조영,가리아사브로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5

        우리는 약물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눈다. 마약으로 불리거나 또는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불리는 약물에 의해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황폐해지는 청소년들을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을 정도로 사회 전반적으로 약물이 만연되어 있는 실정이다. 청소년은 사회의 기본 바탕으로서 이들이 성인이 된 이후에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하고 차분하게 지도하고 격려하는 어른들의 지혜가 필요하다. 청소년기에는 급격한 신체적 성장과 함께 정신적인 혼란이 동반된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에 더하여 향후 자신이 가질 직업이나 사회적 역할 등에 관해서 상당한 혼란을 경험한다. 이 때에 마약은 더 없이 좋은 선택의 대상일 수 있으며, 마약을 통해 현실로부터 도피하기 위한 도피처를 제공받고자 할 수 있다. 청소년들이 약물로부터 자유롭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의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설정을 통한 지원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혹시 있을지 모르는 극단적인 유혹에 대한 끌림을 없애도록 하기 위해 건전한 레크레이션 활동 등을 제공해야 한다. 청소년의 약물문제는 사회의 건전성을 크게 해친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 스포츠활동은 마약으로부터 청소년들이 건강함을 지키도록 하는데 가장 강력한 지원자가 된다. 특히 집단적으로 하는 운동을 통해서 자기가 가진 내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함과 함께 무리의식의 강화와 사회성 제고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연이나 음주와 같은 중독성 물질을 멀리하도록 하는 데에도 상당한 긍정적 작용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반 마약 교육도 체육활동과 함께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미 상당수의 기관에서 청소년을 상대로 한 반 마약 교육과 마약남용예방 홍보교육을 수행하고 있는데 그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KCI등재

        학습 내용 정리 전략이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쓰기’와 ‘말하기’ 활동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최영인,한문현,주은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교실에서 학습자들이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 왔던‘쓰기’와 함께 ‘말하기’를 각각 적용하여, 그것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B 공립 초등학교 5학년 3개 반 총 5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학습 정리 과정에서 반별로 각각쓰기 활동, 말하기 활동, 일반적인 정리 활동을 실시하였다. 과학 학습 태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 처치 전후에 과학학습 태도를 검사하고 그 차이를 대응표본 t-검정 및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 사전 동질성을 확인한 세 집단(통제집단, 학습쓰기집단, 학습말하기집단)의 사후 검사를 분석한 결과, 학습말하기집단은 과학 학습효능감에서 통제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사전-사후 검사 t-검정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학습쓰기집단에서는 과학 학습정서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학습말하기집단에서는 과학 학습참여도를 제외하고 과학 학습효능감, 과학 학습정서, 과학 학습동기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학습쓰기와 학습말하기가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하여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학습자가 배운 정리하는 활동을수행할 때 ‘표현 방법’ 즉, 말하기 활동과 글쓰기 활동을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설득 화법의 청중 평가 양상에 대한 고찰 - 영향력 평가와 분석적 평가를 중심으로 -

        최영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3 No.-

        설득 담화를 교육하는 장에서 동료 평가 혹은 상호 평가가 활용되고 있지만 청중들이 ‘어떤 기준으로’ 혹은 ‘어떻게’ 화자의 담화를 평가하는가에 주목하는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학생의 설득 화법에 대해 청중이 두 가지 방식으로 담화 평가를 수행하게 하고, 그러한 두 가지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21개 담화 중 3개 담화에 대한 청중의 영향력 평가 결과와 분석적 평가 결과에서 차이가 발견되었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청중들이 평가의 이유를 기술한 내용과 담화 분석을 통해 그러한 상이한 평가 결과에 관여한 요인을 탐색한 결과 담화 주제의 참신성, 경험/예시를 통한 근거 제시와 감성 설득 전략 등이 영향력 평가에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로부터 교실에서 설득 화법 평가를 실시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설득 화법의 교육 현장에서 청중으로서 학습자들에게 평가자의 역할을 위임할 때 ‘어떠한 정체성에 입각하여’ 혹은 ‘무엇을 기준으로’ 평가할지에 대한 안내 및 지침을 분명히 제공해야 한다. 둘째, 청중으로서 학습자들이 ‘설득 화법의 영향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셋째, 교실에서 화법 평가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분석적 평가’의 틀로 설득력을 포착할 수 없는 담화의 특성 및 유형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한 추가적 논의가 필요하다. Either peer review or mutual assessment has been applied to an education field of persuasive discourses, but there has been little study on criteria or methods for which an audience assesses a speaker’s discourse. In this paper, the audience carried out a discourse assessment on college students’ persuasive discourses in two ways, and these two assessment resul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Out of 21 discourses, it was found that 3 discours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alytic assessment results and impact assessment results. It was found that two factors were related to such different assessment results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audience’s report on assessment reasons and performing discourse analysis, and those two factors were 1) novelty of a subject recognized by the audience and 2) the audience’s trust in grounds for the subject through a speaker’s experiences and examples.

      • KCI등재

        ‘목표 청중(target audience)’을 경험하는 대중 설득 화법 프로그램 개발 -대학 교양 화법 강좌를 중심으로-

        최영인 한국화법학회 2022 화법연구 Vol.- No.57

        Development of persuasive public speech education program to experience “target audience” : Focused on university liberal arts lectures. Choi, Youngin.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audience,” which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in speech education, and developed a “public speech education program that experiences the “target audience” so that students can learn considering the audience in liberal arts lectures at university. The concept and role of the “audience” approached in each theory from rhetoric to contemporary persuasive communication theories in the pre-theoretical exploration stage of program development were examined. Moreover,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liberal arts lecture, an eight-step program was devised. When the program focuses on the procedure performed by the “speaker,” the speaker analyzes and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plans and executes the public speech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conducts an evaluation from the “target audience” set by him/herself. It is structured so that the speaker can experience the series of receiving processes meaningfully. The developed speech program was reviewed by three experts and applied to a liberal arts course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0.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revision was set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students and the review of external experts. .

      • KCI등재

        말하기 평가 채점기준표(rubric)의 상세화 및 적용 사례 연구 -설득 목적의 과제를 중심으로-

        최영인,박성석,정민주,백정이,장성민,김예원,허모아,음소현,민병곤 한국국어교육학회 2023 새국어교육 Vol.- No.134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scoring reliability through the refinement of speaking assessment rubric of persuasive speaking task. Methods: The speaking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the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on second-yea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each survey, the refined scoring rubric was applied by two different groups of scorers and to two different target student groups. Results: After examining the scoring results, all scoring criteria, which consist of three major categories and seven subcategories, demonstrated high reliability except for the ‘explicitly of claim’ of the second scoring. In both surveys, the consistency of inter-rater reliability (ICC) was confirmed.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by refining the scoring rubric, the inter-rater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목적: 설득 목적의 말하기를 수행하는 과제에 대한 말하기 평가 채점기준표(rubric)를 일정 수준으로 상세화하고 그것이 말하기 채점타당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방법: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평가(예비 조사, 본 조사)를 실시하여 말하기 응답을 수집하였다. 채점자와 채점 대상을 모두 달리하여 1차 채점(예비 조사 채점)과 2차 채점(본 조사 채점)이 진행되었고, 이때 상세화한 채점기준표를 적용하였다. 각각의 채점이 끝난 후 채점자 간 신뢰도(ICC)를 확인하였다. 결과: 채점 결과, 3개 대범주와 7개 하위 범주로 구성된 채점기준 항목에서 2차 채점의 ‘주장의 명료성’을 제외하고 모두 양호한 신뢰도를 보였다. 채점자 간 신뢰도가 낮은 항목에 대한 원인을 탐색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채점기준표 상세화’가 채점자 간 신뢰도를 높이는, 나아가 평가타당도를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