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의 종단적 변화 유형 및 영향 요인 분석 - ‘전형’과 ‘특이’ 유형 간 차이를 중심으로 -

        백정이,박성석,김정자,민병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7 국어교육연구 Vol.39 No.-

        This study aims to div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 (OSLP) trends. It is based on a series of studies on OSLP on Korean elementary schools. In particular, two articles (Chung et al, 2016; Min & Baik, 2016) that focused on students’ autonomous and voluntary literacy practices in various places other than in schools were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Chung et al. (2016)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in OSLP of elementary students and found some predictors that influence the latent growth of OSLP. Min and Baik (2016) argued that there are four types of longitudinal changes: the ‘prototypical’ type shows a downward tendency fit to the pattern of ordinary students, the ‘peculiar’ type shows an upward tendency, the ‘superior’ type stays high, and the ‘inferior’ type stays low.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four types of longitudinal changes proposed by Min and Baik (2016) were proved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ntages of groups were 36.9% for ‘superior,’ 28.1% for ‘prototypical,’ 21.2% for ‘peculiar,’ and 13.8% for ‘inferior.’ Second, the ‘prototypical’ and ‘peculiar’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all the variables used as predictors in Chung et al. (2016)’s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gap between the ‘prototypical’ and the ‘peculiar’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ight variables, among which are literacy attitudes, family members’ literacy practices, and frequency of library use. Moreover, the level of the ‘peculia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ototypical’ group for all variables. The gap of aspects of change between the ‘prototypical’ group and the ‘peculiar’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individual students (literacy attitudes, time for media use, time for academic tasks), family (family members’ literacy practices, conversations with family members about literacy practices), teachers (teacher instruction), and environment (numbers of books at the school library, frequency of library use), except for perceived difficulties in literacy practices. Third, four factors, including time for academic tasks, conversations with family members about literacy practices, literacy attitudes, and teacher instruc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d the effect size was big in this order.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 외 공간에서 주체적이고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문식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정혜승 외(2016)에 제시된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의 종단적 변화와 그 예측 요인들을 바탕으로 하여 민병곤‧백정이(2016)에 제시된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 추이의 네 가지 유형인 하향세의 ‘전형’, 상향세의 ‘특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우수’,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미흡’의 분포를 먼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에 변화를 보이는 ‘전형’과 ‘특이’ 유형의 집단을 대상으로 예측 요인별로 대비하여 집단 간 수준 차와 변화 양상 차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별 학생 수는 ‘우수’ 36.9%, ‘전형’ 28.1%, ‘특이’ 21.2%, ‘미흡’ 1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형’과 ‘특이’ 집단 간 수준 차는 문식 태도, 가족 문식 활동, 도서관 이용 빈도에서 유의하였으며, ‘특이’ 집단이 ‘전형’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형’과 ‘특이’ 집단 간 변화 양상 차이는 문식활동 어려움을 제외하고, 학생 개인 요인(문식 태도, 매체 이용 시간, 공부 시간), 가족 요인(가족 문식 활동, 가족 문식 대화), 교사 요인(교사 지도), 물리적 환경 요인(도서관 선호 장서 수, 도서관 이용 빈도)에서 유의하였다. ‘특이’ 집단과 ‘전형’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공부 시간, 가족 문식 대화, 문식 태도, 교사 지도의 순으로 4개 변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실제성 제고를 위한 모의 수업 시연 설계 시론 - 예비 교사의 국어과 모의 수업 시연 및 수업 실연 경험을 바탕으로

        백정이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국어과 모의 수업 시연 과제의 실제성을 제고하기 위하여,예비 교사가경험한 모의 수업 시연과 현장 수업으로 향하는 과정에 위치한 수업 실연에 대한 인식을 대비함으로써 경험 주체가 인식하는 수업의 실제성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일 학기에 모의 수업 시연과 수업 실연을 모두 경험한C교육대학교3학년 학생들이 두 경험 모두를 포함하여 작성한 성찰 보고서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수업 실연과 대비되는 모의 수업 시연 과제는 대여섯 명이 한 모둠을 이루어 국어과5개 영역 가운데 하나를 중복되지 않게 선택한 뒤 동료 예비 교사들이 학생으로 참여하는 가운데 온전한 한 차시의 수업을 생략 없이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자기성찰지 분석에는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으며,국어과 수업 능력 범주가 코딩에 활용되어 각각에 대한 인식이 크게 ‘수업 설계 능력,수업 실행 능력,수업 개선 능력’의 세 범주에서 대비되었다.그 결과 이들 간 차이의 중심에 학습자와 수업 주체 간상호작용으로 인한 역동성이 있음을 확인하고,이를 중심으로 실제성이 점차 증가하도록 모의 수업 시연 과제를 네 단계로 제시하였다. 교사의 수업 능력과 교육 실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보완적 수단으로서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며,본 연구는 모의 수업 시연을체계화하려는 하나의 시도로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대화에서의 맥락 민감성 함양 교육 연구 - 드라마 ‘갯마을 차차차’ 대화 분석을 바탕으로 -

        백정이,구영산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9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xt as the cause of communicators’ misunderstandings or insufficient grasps of events in conversations. We suggested that learners should actively and elaborately utilize the conversation context through classroom experiences dealing with conversational context. Contextualizing activity was highlighted as a constructive expressive and understanding act of learners, context sensitivity was presented as an object of the activity, and oral communication context for education was explored and displayed as a model. Continually,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in drama, we described characters who are and are not contextually sensitive: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interlocutor, inform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ackground knowledge related to the conversation, and clues of conversation situation. Learners' doing contextualizing and cultivating context sensitivity with texts including authentic context, can help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you and me, beyond understanding language and its mechanism.

      • KCI등재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활용 현황 및 요구 조사 - 초등학교 및 중학교를 중심으로-

        백정이,김지영,박준홍,상경아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 No.98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초․중학교 교사 각각 147명, 156명을 대상으로 학교 현장의 듣기․말하기 교육 및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활용 현황 및 이에 대한 요구에 대하여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듣기․말하기 수업을 어렵게 하는 주요 원인은 내용의 실제성 부족, 학생들 간 수준 차이, 보충 자료 부족 등이었다. 듣기․말하기 수업에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토의․토론학습법, 협동학습법이 주로 쓰이고 있었고, 교과서 외 별도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접근성 부족 등의 원인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한편, 듣기․말하기 수업 시 별도의 교수학습 프로그램 없이 교과서만으로 충분히 듣기․말하기 교수학습을 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부정적 응답의 비중이 높았으며,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능력 신장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으로는 정규 수업 시간 외 보충 학습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거나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활용하는 데 대하여 높은 응답을 보였으며, 6~10차시 구성이 가장 선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네 가지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a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and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in the school field. As a result, the lack of content authenticity, students level difference, and the lack of supplementary materials were responded to as causes of difficulty in listening and speaking classes. Discussion/debate learning methods and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were mainly used, separat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were not used due to lack of information on available programs. The negative responses that the use of textbooks in listening and speaking classes was insufficient, and the positive responses on the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by level were high. As a way to utilize the communication program, it had high responses using it as a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out of regular class hours or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the composition of the 6 to 10 lessons was the most preferr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four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 KCI등재

        통치위기와 중산층 이반

        백정미(Jeong Mi Baek)(白貞美)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2

        대통령의 국정관리에 있어서 국민의 대통령 지지도는 매우 중요하다. 국민의 대통령 지지도는 성공적인 국정 수행의 원인이자 결과이기도 하며, 정권재창출의 기회이자 위협적 요소로 통치위기를 가져오기도 한다. 본 연구는 헌정상 최초로 국민의 직접선거에 의해 선출되고 '보통사람'을 외쳤던 노태우 대통령의 국정운영과 중산층의 대통령 지지도를 분석하였다. '보통 사람'을 위한다던 노태우 대통령은 초기에는 5공청산 등 중산층의 염원이었던 민주화의 길을 걷는 듯 했으나, 집권중반 이후 소수 지배계층의 이익옹호를 위해 민중에 대한 탄압정책을 피는 등 민주화를 역행하였다. 그리고 6ㆍ29의 주도계층이었던 중산층을 적으로 돌리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들은 중산층의 지지도 하락으로 이어졌다. 노태우 정권 창출 기반이었던 중산층의 지지도 하락은 통치위기를 가져오고, 이는 다시 정권재창출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결국 노태우 정부는 3당 합당이라는 보수대연합을 통해서 정권재창출을 도모해야 했다. 이렇듯 여론의 중심세력인 중산층의 이반은 국정운영, 정권재창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The Approval rate about president is very important for governance. The approval rate about president is the cause and consequence of successful performance, and the opportunities and risk factors of the re-creation of the regime. And It is induce the crisis of governance. This study analyze the governing of president Rho Tae-woo and presidential approval rate of middle class. The president Rho Tae-woo that will going to work for the 'average person', achieve the democratization that is aspiration of the middle class. But, he suppressed the people for the interests of a few ruling class. And he made the middle class, leading class of 6ㆍ29, the enemy. This followed the decline of the presidential approval rate of the middle class. The decline of presidential approval rate leads to difficulty of re-creation of regime. The re-creation of regime will be realize only by the parties merger, namely, a alliance among the conservative forces.

      • KCI등재

        자기 노출 요구에 대한 반응 양상

        백정이,구영산 한국화법학회 2022 화법연구 Vol.- No.56

        <Abstract> Self-disclosure is a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through which individuals truthfully, sincerely and intentionally communicate novel, traditionally private information including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mselves to one or more individuals. People have personal and relationship-based motives for engaging in or refraining from self-disclosure. This study explores how people react when they are required to self-disclose but are unwilling to do so. The drama “Gaetmaeul Chachacha” was analyzed as a source. Scenes for analysis were self-disclosure situations including follow-up questions and reactions, considering both verbal and nonverbal cues of hesitation. Consequently, instances of self-disclosure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ccepting provided information, providing information (providing minimized information, providing reduced information, telling a white lie, and providing factual information), not providing information (closing the conversation, pretending to be indifferent, claiming incompetence, denying directly and indirectly), jointly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delaying providing information. Since self-disclosure relies strongly on relationships and mutual relationship perceptions may differ, interest in active self-disclosure should be constructively expanded to manage various self-disclosure aspects through self-disclosure decision-making. .

      • KCI등재

        학술 대회 토론문의 관계 접근적 분석 - (한)국어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

        백정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4 No.-

        A discussion script at academic conference is a text which premise an oral discussion, and indicates what is shared by the academic community as a full and complete text published in a conference book. The formal discussion scripts has not yet become a subject of research, so not a few pre-scholars have difficulties to write down their scripts for discussion. A discussant/presenter identification and a sensitivity to interpersonal expressions can be anticipated as characteristics of discussion scripts, since knowledges or opinions are exchanged by professionals at academic conferences. Discussion scripts in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97 published ones in 2013 by two representative associations. Texts are qualitatively analysed and quantified adopting mixed research method using Nvivo10. Findings are two in large: First, the components of discussion scripts which are not directly relevant to the contents of discussion, and roles they play from the interpersonal point of view. Second, the way contents of discussion provided in an interpersonally-appropriate way. These can be helpful for students who go through difficulties in delivering their thoughts and ideas in a discussion, and want to join active and passionate discussion maintaining affirm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학술대회 토론문은 토론하는 것을 전제로 쓴 글로, 학술대회 자료집에 실려 학문 공동체가 그 자체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토론을 위한 초고와는 성격이 다르다. 학술대회의 토론자이자 토론문 필자는 자신을 토론문을 쓰는 사람, 토론하는 사람 등으로 인식하기도 하며, 발표자에 대하여 토론문을 읽는 사람, 토론문을 듣는 사람, 토론에 참여하는 사람 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학술대회 토론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하여 지식이 교류되기 때문에 견해가 불합치할 경우 이를 조정하는 과정이 관계적 측면에서 보다 첨예하게 드러날 것이고 이것이 토론문에도 반영되어 있으리라는 점을 예상해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토론문은 학습자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 또는 말하기에서의 관계적 표현을 연구하는 데 좋은 바탕이 된다. 본 연구는 언어 사용에 민감하고 교육적 가치를 추구하는 ‘(한)국어 교육’ 영역으로 한정하여 국어교육학회 및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각 3차례의 학술대회 토론문 총 97편을 대상으로 삼아, Nvivo10을 활용한 혼합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격적인 토론 내용 외 토론문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관계적 측면에서 밝히고, 본격적인 토론 내용을 제시하는 방식은 어떠한지 어휘, 표현 층위, 그리고 형식 및 내용 요소 층위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이 결과는 토론 시 토론 내용을 갖추었음에도 토론 참여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상대방과 우호적 관계를 구축하는 가운데 활발하게 토론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국어과 모의 수업 시연 과제 설계 동향 분석

        백정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1 국어교육연구 Vol.48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status of “simulated teaching” for Korean language pre-service teach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Petticrew & Roberts, 2006) was adopted as the research method. A total of 181 articles were searched in the database, and 57, 99, and 6 pieces were excluded in turn from continuous screening. The research data was coded inductively three times with NVivo11. The aspects of the simulated teaching task design by Korean language pre-service teachers include the school level, the course, the target of the simulated teaching, the time to perform it, the number of people performing it, the method of observing and evaluating it, and the tasks connected to it. The issues have been drawn from three categories: the simulated teaching metho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evaluation in simulated teaching, and related tasks; types of classes, parts of the lesson, and positions of fellow students; and the way in which fellow students and instructors observe and evaluate the simulated teaching, instructors value simulated teaching, and pre-service teachers analyze and reflect on their own lessons. These issues help instructors design more effective simulated teaching by conside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various design elements.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가 가상의 교육 현장에서 수행하는 모든 형태의 수업을 일컫는 ‘모의 수업 시연’에 주목하여 그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설계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로 국어과 예비 교사가 수행하는 모의 수업 시연의 유형, 다른 학생의 시연을 통한 학습 양상, 모의 수업 시연과 함께 수행하는 과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체계적 문헌 고찰(Petticrew & Roberts, 2006)을 차용하였다.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총 181편 중 1차 선별 57편, 2차 선정 99편, 3차 평가 6편이 배제되어 최종적으로 19편의 연구물을 대상으로 NVivo11으로 국어과 예비 교사의 모의 수업 시연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에 대하여 개방형 코딩을 하고 이를 수정 및 통합, 상위 핵심어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국어과 예비 교사의 모의 수업 시연 과제 설계 양상은 학교급, 강좌, 시연 대상, 시연 수행 시간, 시연 수행 인원, 시연자의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하여 관찰 및 평가하는 방법, 시연자가 모의 수업 시연과 연계 수행해야 하는 과제의 측면에서 제시되었다. 설계의 쟁점은 모의 수업 시연 방법, 모의 수업 시연 참여 및 관찰과 평가, 모의 수업 시연 연계 과제의 세 가지이다. 어떤 수업, 그리고 수업의 어떤 부분을 시연하게 할 것인가, 동료 학생을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 동료 학생과 교수자가 어떻게 관찰 및 평가할 것인가, 모의 수업 시연에 얼마만큼의 비중을 둘 것인가, 얼마나 정교하게 자신의 수업을 분석 및 성찰할 것인가의 쟁점을 바탕으로 교수자는 다양한 설계 방식의 장단점을 탐색 및 고려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모의 수업 시연을 설계하는 데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