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enetic effects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on warfarin bleeding complications at therapeutic INR

        김주희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인공 심장판막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에서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RAS)이 항응고제인 와파린 사용기간 발생한 출혈에 미치는 유전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자는 인공 심장판막치환술 후 와파린 치료를 받고 INR 2.0-3.0을 유지한 환자들로 구성된 EAST (Ewha-Severance Treatment) 그룹에 등록된 환자들이다. REN, ACE, AGT, AGTR1 및 AGTR2, VKORC1, CYP2C9의 유전적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SNP들은 AGT (rs7536290, rs943580, rs7079, rs2478539, rs699, rs11122576, rs5051, rs5050, and rs5049), REN (rs2368564, rs6676458, rs1917539, rs41317140, and rs12750834), ACE (rs1800764, rs4329, rs4341, rs4343, rs4351, rs4353, rs4362, and rs4363), AGTR1 (rs6792788, rs416270, rs1979703, rs275651, rs2131127, rs931490, rs2640543, rs4681443, rs5182, and rs5186), AGTR2 (rs1914714, rs5950474, and rs1403543), VKORC1 (rs9934438), 그리고 CYP2C9 (rs1057910) 이었다. 유전적 다형성과 출혈 합병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단변량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인공 심장판막치환술을 시행 받은 후 와파린을 투여중인 142 명의 환자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으며 그 중 21 명이 출혈 부작용을 경험했다.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AGT rs5050의 G 대립 유전자는 CC 유전자형보다 출혈 위험이 약 4 배 (95 % CI 1.28-12.27) 높았다. ACE rs4341과 rs4353의 대립 형질은 각각 homozygotes를 갖는 것과 비교하여 치료 INR에서 4.6- (95 % CI 1.19-18.03) 및 10.8 배 (95 % CI 1.30-89.16) 높은 출혈 부작용 발생률을 보였다. 출혈 부작용을 예측하는 모델의 AUROC (receiver operating curve) 값 아래의 면적은 약 0.8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VKORC1, CYP2C9 뿐 아니라 RAS pathway의AGT와 ACE 유전적 다형성과 인공 심장판막을 가진 환자의 와파린 INR 2.0-3.0 유지 치료기간 중 발생한 출혈 부작용 위험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genetic effects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RAS) on warfarin-associated bleeding at therapeutic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s (INRs) among Korean patients with mechanical heart valve replacements. Methods: Study patients were enrolled from the Ewha-Severance Treatment (EAST) Group of Warfarin, which consisted of patients who received warfarin therapy after mechanical heart valve replacement. Patients who maintained therapeutic INRs were eligible for the study. Thirty sev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cluding AGT (rs7536290, rs943580, rs7079, rs2478539, rs699, rs11122576, rs5051, rs5050, and rs5049), REN (rs2368564, rs6676458, rs1917539, rs41317140, and rs12750834), ACE (rs1800764, rs4329, rs4341, rs4343, rs4351, rs4353, rs4362, and rs4363), AGTR1 (rs6792788, rs416270, rs1979703, rs275651, rs2131127, rs931490, rs2640543, rs4681443, rs5182, and rs5186), AGTR2 (rs1914714, rs5950474, and rs1403543), VKORC1 (rs9934438), and CYP2C9 (rs1057910) were investigat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and bleeding complications. Results: Out of 142 study patients, 21 experienced bleeding episodes. After adjusting covariates, G allele of rs5050 (T>G) was associated with 4-fold (95% CI 1.28-12.27) higher risk of bleeding than TT genotype. The G allele of rs4341 (G>C) and A allele of rs4353 (A>G) had 4.6- (95% CI 1.19-18.03) and 10.8-fold (95% CI 1.30-89.16) higher rates of bleeding complications at therapeutic INRs, compared with those having CC genotype and GG genotype, respectively.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urve (AUROC) value of the models predicting bleeding complications was approximately 0.8.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GT and ACE gene polymorphisms could affect bleeding complications during warfarin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echanical heart valves.

      • 소지역 추정에서 선형혼합모형의 응용에 대한 비교연구

        김주희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표본조사(sample survey)는 전수조사(census)와 대비되는 방법으로서 전수조사에 비해 경제적이고 신속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 및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21세기의 사회구조가 다양화 되어감에 따라 전체 또는 규모가 큰 지역에 대한 표본조사 뿐만 아니라 소규모 지역(small area)에 대한 표본조사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지역 추정에서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하는 통계적 방법을 고찰하고 실제자료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Sample survey is powerful tool for estimating unknown parameters in many scientific researches and it is more efficient and practically preferable to census. Recently, need of estimation for small areas is increasing so that many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small area estimation. This paper reviews application of linear mixed effects models to small area estimation and performs simulation studies with real data to show usefulness of linear mixed effects models.

      • 적분에 관한 연구

        김주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Lipschitz 조건에서 미분방정식의 유일한 해의 존재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절에서는 Riemann-Stieltjes 적분에 관한 내용, 고정점 정리 그리고 관련된 개념들을 알아본다. 3절에서는 Lipschitz 조건에서 미분방정식의 유일한 해의 존재성을 다룬다. 특히 정리 3.1과 정리 3.2, 정리 3.3, 정리 3.4를 증명한다. 정리 3.1은 이 개집합이고 함수 은 Lipschitz 조건에서 연속이라고 하자. 는 에 포함되는 폐집합이라고 하고 에서 이고 라고 가정하자. 일 때, 에서 라고 정의하고 라고 정의하면 은 에서 이고 각 에 대하여 은 상에서 연속이고 수열 은 상에서 로 평등 수렴한다. 정리 3.2는 정리 3.1의 조건을 만족하면 미분방정식 은 상에서을 만족하는 유일한 해 을 갖는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a unique solution of a first order differential equation with the Lipschitz condition. In section 2, we study Riemann-Stieltjes integral and some properties, fixed-point theorem for contractions, and related topics. In section 3, we establish the existence a unique solution of a first order differential equation with the Lipschitz condition, particularly, Theorem 3.1, Theorem 3.2, Theorem 3.3 and Theorem 3.4. Theorem 3.1, let be open and let be continuous and satisfy the Lipschitz condition : for all points in . Let be a closed cell contained in and suppose that , where for . If , define for and, if , define for . Then for all and for each , is continuous on and the sequence converges uniformly on to a function . Theorem 3.2. let and be as in Theorem 3.1. Then the differential equation has exactly one solution on such that .

      • 중학생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사례연구 : 보알의 연극 메소드를 중심으로

        김주희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t is an important time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times of their youth to implement one’s self-identity and to build an optimistic self-esteem. However, up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f one is mentally or environmentally in a pessimistic environment, there is a need of an external program that aids in the youths to improve their self-esteem. This study consists of the study of researching and creating a program for the youths to build up their self-esteem. What most directly influences the self-esteem during the times of the youth is family relationships. So focusing on ‘understanding oneself, family understanding and embracement’ and having the goal of having an optimistic self-esteem, up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Boal’s theater methods. It is to help to objectively see the youth’s ment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repression and that through assistance, one can improve one’s self-esteem. The objective is to see if the youths overall family respect for self-esteem will increase, by an education program regarding self- esteem that has expanded on Boal’s theater methods and if it would be a useful and to see if the youths overall family respect for self-esteem will increase. The program focuses on the youth’s special characteristics and self-esteem, expended on Boal’s methods academically, to see if the Boal’s theater methods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youth’s self-esteem and the relation and usefulness of the methods. Borrowing the steps to achieving the goal from the past programs that focused on the self-esteem, a frame was set and the active contents and steps of reaching the goal were regarding the program were based on Augusto Boal’s theater methods. The beginning step of the program is understanding oneself. The middle step is based on understanding oneself, understanding and embracing one’s family. The final step is embracing oneself and improving one’s family relationship and to optimistically put it into action. To realistically implement the program, before and after tests, before and after surveys, and observations were done on a class of an all-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There were 15 students and the test was done once a week for 90 minutes, 8 times. The results of the summary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using Boal’s theater methods to increase one’s self-esteem, upon the test results, most students had increased results than before. Second, after the survey of the program, they have said that by the program they have increased the level of embracement regarding themselves and their family. Third, upon the program that made to have insight upon oneself and family,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s come to realize their change. Fourth, the overall process of Boal’s theater method, which is improvisational theater, images, and debates, have comforted the mental state of the young adults and thus, they were able to support each other, having a mind of oneness. Through this, they were able to objectively see their problems. Fifth,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s in the program were able to see a difference from the past educational theater, having a new realization upon Boal’s theater method, being a new educational tool. By such short span of research, such results were seen. Although there was limitation on seeing the long span in seeing the change in life, but it was seen that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have such awareness regarding themselves. It was a time to have a new insight regarding the program of seeing Boal’s theater method being used to increase one’s self-esteem. This study reflects that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with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done, this program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in the educational programs. 중기 청소년에 해당하는 중학생은 자아를 확립해가는 시기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확립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하지만 발달 단계상 심리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근본적으로 부정적일 수밖에 없는 환경에 놓여있으므로 외부적으로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하는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 적용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가장 근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인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자기이해와 수용, 가족이해와 수용’이 궁극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목표를 두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보알의 연극 메소드가 청소년들의 심리적, 환경적 문제와 억압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움으로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방법론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보알의 연극 메소드를 활용한 자아존중감 교육프로그램의 효용성과 프로그램을 통한 청소년의 총체적,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프로그램은 청소년기의 특성, 자아존중감, 보알 메소드에 대한 학문적 검토를 통해 청소년시기의 자아존중감 향상의 필요성과 보알의 연극 메소드의 방법론적 연계성과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기존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목표단계를 차용하여 틀거리를 만들고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으로 아우구스또 보알의 연극 메소드를 각 회기별 목표에 맞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초기 단계: 자기 이해-> 중기 단계: 자기 이해를 기반으로 한 가족 이해와 수용-> 종결 단계: 자기 수용 및 가족 관계 향상을 위한 긍정적 실천’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적 프로그램 적용은 서울 시내의 C여중 뮤지컬동아리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주1회 90분씩 총8차시로 진행되었으며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지를 활용한 사전·사후 검사, 사후 설문조사, 관찰일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도출해낸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알의 연극 메소드를 활용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 대부분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둘째, 사후 설문지를 통해 프로그램 활동으로 인한 학생들의 자기, 가족에 대한 이해도와 수용력의 상승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신과 가족과의 관계에 대한 통찰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넷째, 보알의 연극 메소드의 전반적 과정인 즉흥극-> 이미지-> 토론의 형식은 청소년들이 심리적인 위안을 받고 서로를 지지할 수 있는 공동체 의식을 가지도록 하여 자신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대해 기존의 교육연극 프로그램과 차별화되어 새로운 면을 느낌으로 보알의 연극 메소드가 새로운 교육적 도구로 유용함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짧은 연구 기간의 제한으로 실질적인 삶의 변화가 바로 나타나기는 어려웠지만 단기간에 참여자들의 내면의 통찰이 일어나게 하고 프로그램에 대해 새롭고 뜻 깊은 시간이었음을 인식하게 함으로 보알의 연극 메소드를 활용한 자아존중감 교육프로그램이 추후에도 교육프로그램으로 연구되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희 (지도교수: 신소영)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 재직의도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이들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9개의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83명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07월 06일부터 07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dow 26.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총 183명이며, 평균연령은 41.66±12.29세로, 20∼29세가 25.7%(47명)로 가장 많았다. 성별은 여자가 96.2%(176명)로 많았으며, 배우자 유무에서 배우자가 있는 자는 55.2%(101명)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12.09±8.58년으로, 5년 미만이 24.6%(45명), 5∼10년 미만이 19.7%(36명), 10∼15년 미만이 16.4%(30명), 15∼20년 미만이 19.1%(35명), 20년 이상이 20.2%(37명)였다. 현 병원 근무경력은 평균 2.56±2.80년으로, 1년 미만이 31.7%(58명), 1∼3년 미만이 38.3%(70명), 3∼5년 미만이 14.8%(27명), 5∼10년 미만이 10.9%(20명), 10년 이상이 4.4%(8명)였다. 근무형태는 고정근무 42.1%(77명), 2교대 근무 19.7%(36명), 3교대 근무와 상근근무는 각각 19.1%(35명) 순으로 나타났다. 병상수는 100∼200병상 미만이 35.0%(64명), 300병상 이상이 34.4%(63명), 200∼300병상 미만이 25.1%(46명), 100병상 미만이 5.5%(10명)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대학교 졸업이 53.0%(97명)로 가장 많았으며, 3년제 졸업이 38.3%(70명), 대학원 이상이 8.7%(16명)였다. 월급여는 250만원 미만이 54.1%(99명)로 가장 많았으며, 250∼300만원 미만이 36.1%(66명), 300만원 이상이 9.8%(18명)였다. 2. 대상자의 역할갈등은 135점 만점에 88.91±10.27점이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90점 만점에 62.57±8.15점이었고, 간호근무환경은 116점 만점에 79.99±9.03점이었다.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30점 만점에 20.54±4.27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의 차이는 성별(t=2.52, p=.012), 현 병원 근무경력(F=2.96, p=.021), 근무형태(F=4.99,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병상수(F=4.57, 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은 현 병원 근무경력(F=2.78, p=.028), 병상수(F=7.0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는 연령(F=2.71, p=.032), 배우자 유무(t=3.51, p=.001), 병상수(F=7.0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간호전문직관(r=.39, p<.001), 간호근무환경(r=.5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역할갈등(r=-.30,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간호전문직관(r=.48,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8. 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상수(β=-.15, p=.026), 간호전문직관(β=.19, p=.007), 간호근무환경(β=.36, p<.001)으로 나타났다. 병상수,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의 재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4.0%였다(F=16.66, p<.001).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병상수,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적 차원에서 간호전문직관과 간호근무환경이 주요 영향 요인임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제어: 요양병원,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 재직의도 Abstract Influence of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by Joo Hee Kim (Advisor: Prof. So Young Shin,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degree of and relationships among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By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retention intention, it has a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for increasing their retention intention later. Method: Among the nurses working at 9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this descriptive study included 183 subjec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fter understating its purpose and metho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the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July 6th through July 31th,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Scheffé test for post-hoc analysis, Pearson's co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window 26.0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total of 183 participants, their age varied in the range of 41.66±12.29, with the largest age group 20 to 29 (n=47) accounting for 25.7%. For gender, 96.2% (n=176) was female, and for marital status, 55.2% (n=101) was found to live with spouse. Total clinical experiences varied in 12.09±8.58 years, specifically under 5 years for 24.6% (n=45), 5 to 10 years for 19.7% (n=36), 10 to 15 years for 16.4% (n=30), 15 to 20 years for 19.1% (n=35), and over 20 years for 20.2% (n=37). Clinical experiences in current hospital was in the range of 2.56±2.80 years, specifically under 1 year for 31.7% (n=58), 1 to 3 years for 38.3% (n=70), 3 to 5 years for 14.8% (n=27), 5 to 10 years for 10.9% (n=20), and over 10 years for 4.4% (n=8). By working type, the most was fixed work for 42.1% (n=77), followed by two shifts work for 19.7% (n=36), three shifts work and sprint work for 19.1% (n=35), respectively. For number of beds, the highest portion was 100 to 200 beds for 35.0% (n=64), followed by over 300 beds for 34.4% (n=63), 200 to 300 beds for 25.1% (n=46), and under 100 beds for 5.5% (n=10). For education level, bachelor was the most for 53.0% (n=97), followed by 3-year diploma for 38.3% (n=70), and master and over for 8.7% (n=16). For monthly income, the highest portion was under 2.5 million Korean won for 54.1% (n=99), 2.5 to 3 million Korean won for 36.1% (n=66), and over 3 million Korean won for 9.8% (n=18). 2. The mean score for role conflict of the subjects was 88.91±10.27 out of 135 points. The mean score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as 79.99±9.03 out of 90 points and the mean score for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76.99±9.03 out of 116 points. The mean score for retention intention of the subjects was 20.54±4.27 out of 30 points. 3. Role conflic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gender(t=2.52, p=.012), clinical experiences in current hospital (F=2.96, p=.021) and working type (F=4.99, p=.002). 4.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beds (F=4.57, p=.004). 5. Nursing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experiences in current hospital (F=2.78, p=.028) and number of beds (F=7.06, p<.001). 6. Reten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2.71, p=.032), living with spouse (t=3.51, p=.001) and number of beds (F=7.06, p<.001). 7. Retention inten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39,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51, p<.001).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ole conflict (r=-.30, p<.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48, p<.001). 8.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retention intention of subjects were number of beds (β=.15 p<.026), nursing professionalism (β=.19, p<.007)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β=.36, p<.001). The explanatory of number of bed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retention intention was 34.0% (F=16.66,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number of bed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retention inten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organizationally perceiv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as main influential factors and develop effective mediating programs to enhance retention intention of the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y words: Long-term care; role; conflict; professionalism; workplace; retention

      • 분산연습법의 지연파지 학습효과와 간격효과가 골프퍼팅기능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주희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별 운동 과제 중 골프 퍼팅을 이용한 장기 지연파지와 학습에 대한 집중과 분산연습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습득과 지연파지의 두 가지 단계에서 수행되었으며, 습득 단계는 240회의 퍼트를 수행하였고 지연파지 단계는 60회 퍼트를 수행하였다. 지연파지 단계는 습득 단계에 이어서 1, 7, 28일(지연파지 간격)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습득과 지연파지 동안 집중연습 보다 분산연습이 더욱 효과적인 수행을 가져온다는 가설로 이루어졌으며, 지연파지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지연파지 수행이 덜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위의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습득 단계와 지연파지 단계로 구분하여 실험하여 실제 퍼팅 점수를 포함한 습득 데이터의 분석과 최종적 습득과 지연파지에 있어서 수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든 지연파지 시도 분단에 대해 지연파지 단계를 분석하였다. 장기지연파지에 대한 간격효과의 검증, 장기간의 분산연습을 통해 실시되는 실험계획을 바탕으로 개별운동과제에 있어 간격효과를 통한 학습효과를 규명하고 총108명(남자 43명, 여자 65명)의 초보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결과 분산연습 조건의 참가자들이 습득 시행 과정에서 집중연습 참가자들보다 우수한 수행을 하였다. 절대 지연파지 점수, 재학습 점수, 지연파지의 첫 시행분단에 대한 마지막 시행분단에 대한 파지수행에서 분산 연습조건이 더 큰 수행력을 보여주었다. 이런 사실들은 계속적인 운동 과제 수행에 사용되어 왔던 간격 연습법의 효과를 더욱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지연파지단계에서 학습효과의 효율성의 차이점이 1일과 28일 지연파지간격 집단과 7일 지연파지간격 집단에서 발견되었을지라도 이들 차이는 아주 경미하여 지연파지 간격에 따른 중요한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국 지연파지 간격에 대한 길이는 이 행동 과제에 대한 지연파지 수행에 있어서의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개별운동과제에 있어서 장기적 지연파지간격이 파지수행을 심각하게 저하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운동과제에 대한 것일지라도 1일 이상의 반복된 간격 연습은 파지수행에서 뿐만 아니라 획득에 대해서도 유익한 것으로 보인다. 기억강화가설은 이들 연구 결과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불행히도 본 연구에서는 중간 단계의 연습 조건 즉, 하루 안에 다른 연습조건이 없기 때문에 간격 연습에 대해 발견된 이익이 밤 사이에 일어나는 심리적 변화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분산연습에 대한 각 연습조건 간에 일어나는 변화(동기유발 및 기타)의 과정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이 가능하다. 간격 연습에 대한 현재 연구의 모델을 이용하여 하루에 1시간씩의 간격에 4번(각 60회 퍼트)에 대한 조건으로 실험할 경우 하루 안에 연습의 시작과 멈춤으로부터 단순히 발생하는 결과와 하룻밤을 지날 때 가능한 효과를 구별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연습의 다양성과 맥락간섭효과에 따른 과제의 다양성이 피드백과 무작위 연습의 효과에 관하여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운동 과제를 복합적으로 구성하고 실험하여 피드백과 무작위 연습을 통한 결과를 연구한다면 보다 폭 넓은 경우의 연습 효과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n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ing and long-term retention of a discrete motor task (golf putting) as a function of massed and distributed practice schedules. The male (n=43) and female (n=65) participants and all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novice golfers. The 2x24x3 design included two practice conditions (massed and distributed), twenty-four acquisition trial blocks and three retention intervals (1-, 7-, and 28-day). All participants practiced 240 putts in the acquisition phase. The massed practice participants practiced all putts in a one-day session, while the distributed practice participants practiced the task in four consecutive daily sessions (60 putts per day). Participants in both practice conditions putted 60 balls in the retention phase. Verbal knowledge of results (a numerical score representing distance from the hole) was reported to participants after each putt. A mean score for each group of 10 putts (1 trial block) was also given to participants. At the conclusion of each of the 24 acquisition trial blocks, participants were asked to predict a mean performance score on the first trial block of the retention test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retention group to which they had been assigned prior to making predictions). These scores, along with the actual trial block scores, were the two dependent measures in the study. A significance level of .05 was used for all statistical tests. In regard to actual performanc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in the distributed practice condition performed more proficiently than those in the massed practice condition during acquisition trial blocks. Absolute retention scores, re-learning scores, and a comparison of the last trial block of acquisition to the first trial block of retention also revealed greater performance proficiency for the distributed practice group in the retention phase. These findings support the benefits for spaced practice seen in studies which, to date, have largely used continuous motor task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tention test proficiency were found as a function of retention interval. Therefore, the length of the retention interval was not found to be a factor in retention performance for this motor task. In regard to predicted scores, participants in the distributed practice condition predicted more proficient performance than did those in the massed practice condition. These predictions closely mirrored actual performance during acquisition trials, suggesting that current level of performance is important in making assessments about future performance. Both actual and predicted scores were related to retention interval. The 7-day groups predicted more proficient performance than did the 28-day groups, and the 1- and 7-day retention groups recorded actual scores that were more proficient than the 28-day group. Finally, though all participants predicted more proficient performance then was actually achieved, the difference between predicted and actual performance failed to reach significance. The summary of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Performance in acquisition is more proficient for distributed practice than for massed practice when learning motor task. The long-term retention of learning a discrete motor task is enhanced more by distributed than by massed practice. Though differences in retention performance were found between 1-day and 7-day retention groups, as well as between 1-day and 28-day retention groups, these differences are not appreciable. Though more proficient retention performance is predicted than is actually achieved the difference between predicted and actual scores is not appreciable.

      • 위내시경 수검자와 일반인의 스트레스, 건강상태 비교

        김주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stress level and health status of patients with gastroscopy. The subjects were the patients who took gastroscopic test in three university hospitals and two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From April 7 to May 9 in 2008. Total 107 patients were participated and 111 healthy adults were participated as controls.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Psychosocail Well-being Index(PWI) while health status was evaluated by the Cornell Medical Index(CMI). Data were analyzed χ²-test using SPSS PC. The stress level was higher in gastroscopy patient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p<0.05). However, the general physical health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The general mental health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p>0.05) while depression scores were higher in the gastroscopy group (p<0.05). Stress was correlated to physical health (r=.578, p=.000) and mental health (r=.503, p=.000) in gastroscopy group. In conclusion, the patients with gastroscpic procedures experience more stress compared to general population. Developing the program to reduce the stress and increase health status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