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都市小公園確保를 위한 潛在資源 發掘 및 開發方案에 關한 硏究

        정은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도시소공원 확보를 위한 용지확보 및 시설설치 차원에서 가장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잠재자원들을 발굴하고, 그 활용가능성을 토지활용에 있어서의 비교우위성과 법제적 적합성을 비교 정리하여 유형별 개발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Ⅱ장에서 도시소공원의 개념을 설정하고 현재 도시소공원으로 성공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사례를 유형별로 검토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리한 후, Ⅲ장에서는 도시소공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잠재자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장에서는 도시소공원 잠재자원을 유형별로 도출하여 잠재공간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토지활용에 있어서의 비교우위성과 법제적 적합성을 비교 정리하여 유형별 개발방안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적용사례연구로서 대상지인 부산진구에서 보유하고 있는 잠재자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도시소공원으로의 확보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부산진구의 전체 공원녹지 체계하의 도시소공원의 위상을 정립하였다. V장에서는 결론의 장으로서 4장까지의 검토내용을 근거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명확히 하고, 종합적인 도시소공원의 확보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현재 도시소공원은 규모가 작은 공원을 통칭하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 실제적으로 대부분 녹지나 광장, 어린이공원들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도시소공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제도의 개선 등을 통하여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도시소공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소공원화가 가능한 잠재자원들은 상당수 발굴할 수 있으나 용지확보및 시설설치 차원에서 가장 손쉬운 자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도로공간, 공공시설용지, 미활용 소규모 국공유지, 공원, 녹지, 공공공지, 광장, 주차장, 공개공지 등을 들 수 있다. 도로공간·기존의 공원이냐 녹지는 도시공원법을 일부 개정하거나 융통적으로 운영하여 도시소공원으로 재 지정하거나 또는 도시소공원과 유사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자원들이다. 광장이나 공공시설의 부속공간, 주차장 등의 공공용지는 도시소공원으로 용도전환 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기존의 용도에 더해 도시소공원으로 중복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법규의 조항을 조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사유지 중에서 공개공지나 이전적지 등은 건축법의 재정을 통하여 공개공지를 양적으로 충분히 확보하고 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타 개발사업시 발생하는 소규모 용지의 경우는 관련법제의 개선을 통해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공원녹지의 조성을 규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demand for smallurban park is graduslly increasing as green a r m s are elatively insufficient to the urbanized areas. Small urban parks are the ones that the citizens can easily experience in their everyday life and play an important role to create amenity in the enviro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role parks due to high cost land values. It resulted in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potential existing reso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snall urban park development by surveying the potential existing resoures such as vacant city land & recompensated land, open spaces of public facilities and private land, establishing the methods for developing the small urban park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 In order to develop the small urban park systematically, following three implementary strategies have been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legislations including the urban park act, town planning act, architect act, and act ... The urban park act must be amended to including the definition of small urban parks and town planning act must be improved the concerning provision to transfer the part of the public open spaces to rcreational use(small parks).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financisl programs to develop the more small urban parks. 210 ~ 230 billion won are needed to develop the 120 ~ 130 site of public land to small urban parks. Also the locl poverment of Pusan must be expanded the estimates needed tp develop the parks independently by projecting the concerning works such as strret improvement plan, housing improvement plan, landscape improvement plan, and etc.. Futherm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to syccessfully tided over financisl difficulties. Third, iais needed to plan the action programs to execute the park development actually. Undergoing projects concerning the small scal park developmeent must be complemented by reflecing the research result, which include suitsble sites to park development, actusl plans.

      •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의 과업중심 듣기 활동 연구

        정은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제 7차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3학년 영어교과서의 듣기과업을 과업중심듣기 측면에서 분석하고 과업중심 듣기활동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유형으로 제시되고 있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수업 조직유형이 과업중심 듣기활동을 하기에 적절한지와 이 과업들의 화제가 다양하게 제시되었는지를 알아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둔다. 이를 위하여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5종을 대상으로 과업중심 듣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Peterson(1991)의 과업 분류안을 기준으로 Ur(1996)과 Morley(1991)의 듣기유형을 보완하여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첫째, 과업중심의 듣기과정 중 상향식 과정과 하향식 과정은 비슷한 수준의 고른 분포를 보인 반면에 상호작용식 과정은 11%로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상호작용식 과정은 학습자들이 듣기 자료의 내용을 자신의 경험과 관련시키거나 창의적으로 이해하여 응답하는 듣기 활동을 말한다. 과업중심 듣기로 비춰 볼 때 상호작용식 과정이 이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의 듣기유형이 가장 낮은 분포를 보임으로써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전반적인 듣기 과업이 여러 과업유형 중 직·간접 추론, 주제요지 파악, 질문에 응답하기의 특정 유형에 치우쳐 다양한 듣기 활동이 적절히 제시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을 지닌다. 둘째, 수업 조직 유형중 개별 활동이 전체 듣기과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과업활동을 통해 다양하고 활발한 의사소통 기회를 많이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활동과 모둠 활동의 비율은 10% 미만에 그쳐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 조직형태가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 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듣기활동 화제의 경우 개인생활, 학교생활, 시사·오락 등의 다양한 소재를 고루 반영하고 있어 실생활 관련 소재를 토대로 한 실질적인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문화에 관련된 소재와 문학·예술에 관한 소재는 상대적으로 반영비율이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해 우리 문화를 발전시키고 나아가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문화에 대한 유용한 정보가 좀 더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화제는 학습자들에게 듣기 활동의 동기를 부여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도전적이고 다양한 화제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업중심 듣기교수를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듣기 과업을 제시해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과업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여기에서 교사는 무엇보다 다양한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해 교과서의 듣기 활동을 재조직하여 학습자에게 적절히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 Co(II)-와 Zn(II)-carboxylate 착물의 합성과 결정구조

        정은주 대구가톨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wo new cobalt(II) and zinc(II) coordination polymers, {[Co(2,5-pydc) (H2O)2]?H2O}n (1) (2,5-pydc = 2,5-pyridinedicarboxylate) and {[Zn2(salH)4(4,4' -bpe)2][Zn(salH)2(4,4'-bpe)(DMF)(H2O)]․CH3OH}n (salH= salicylate and 4,4'-bpe = trans-1,2-bis(4-pyridyl)ethylene) (2) have been synthesized by hydrothermal and conventional methods, respectively. The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elemental analysis, infrared spectroscop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The crystal structure of 1 consists of Co(II) centers linked via 2,5-pydc ligands and water molecules, in which every 2,5-pydc ligand adopts the coordination form in quadridentate NOOO' mode. The structure is 2-D networks, and neighboring layers are further extended into a 3-D supramolecular architecture through hydrogen-bonding interactions between water molecules and carboxyl oxygen atoms. Compound 2 consists of two independent 1-D linear chains, [Zn2(salH)4(4,4'-bpe)2] and [Zn(salH)2(4,4'-bpe)(DMF)(H2O)], and non- coordinated CH3OH molecule. All Zn centers are octahedrally coordinated by N2O4 system. The 4,4'-bpe ligand bridges Zn(II) atoms to form 1-D chain. The sal ligands show two coordination modes, which act as chelate for [Zn2(salH)4(4,4'-bpe)2] and unidenate for [Zn(salH)2(4,4'-bpe)(DMF)(H2O)], respectively. Two 1-D chai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hydrogen bonding between non-coordinated methanol and coordinated water molecule or salicylate ligand to form 2-D network.

      •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협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참여 및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5.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규범에 대한 순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6.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지도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이다. 실험집단은 J공립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0명(남 10명, 여 10명)이며 통제집단은 S공립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0명(남 10명, 여 1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Sparrow와 Balla 및 Cicchetti(1985)가 개발한 ‘Vineland Adative Behavior Scales‘를 이영자, 이종숙, 양옥승(1988)이 번안한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총 42문항이나 ‘처음 만난 아이들에게도 말을 건다’와 ‘처음 보는 아이들과도 잘 어울린다’ 2문항은 실험기간 동안 교사가 관찰하여 평정하기에는 어려운 항목이므로 제외하였다. 실험집단은 협동적 조형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일반적인 유치원 교육과정을 적용하였다. 협동적 조형활동은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후, 집단을 구성해 조형활동을 실시하고 감상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2010년 5월 18일(화)부터 2010년 7월 8일(목)까지 16개의 협동적 조형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협동적 조형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이는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 협동적 조형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활동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1). 이는 협동적 조형활동이 사회적 활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협동적 조형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안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이는 협동적 조형활동이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협동적 조형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협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이는 협동적 조형활동이 협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협동적 조형활동은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참여 및 자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이는 협동적 조형활동이 사회적 참여 및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협동적 조형활동은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규범에 대한 순응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이는 협동적 조형활동이 사회적 규범에 대한 순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협동적 조형활동은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지도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1). 이는 협동적 조형활동이 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활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협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참여 및 자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규범에 대한 순응성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지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가정보육시설에서의 실외놀이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정은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체 보육시설 중 가정보육시설이 58%를 차지하고 있는 대전광역시의 가정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실외놀이 운영 현황에 관해 조사하고,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에 관해 조사함으로써 실외놀이의 중요성과 가정보육시설 실외놀이의 체계적인 일과운영 계획 및 교사의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정보육시설의 실외놀이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1-1. 가정보육시설 실외놀이의 전반적인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1-2. 시설변인에 따른 실외놀이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1-3. 교사변인에 따른 실외놀이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2. 가정보육시설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1. 가정보육시설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2-2. 교사변인에 따른 실외놀이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가정보육시설 중 272기관의 영·유아반 교사이며, 가정보육시설의 실외놀이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가정보육시설의 일반적 배경과 교사의 배경, 실외놀이의 운영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묻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다중응답 분석, x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가정보육시설은 실외놀이 시설 및 공간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가정보육시설은 주변에 실외놀이를 할 수 있는 시설 및 공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활용 장소로 가정보육시설 주변의 놀이터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근접성 정도는 50m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동방법 역시 도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기관에서 주변시설을 이용하는 이유로 가까운 위치에 시설이 자리하고 있음을 들었다. 시설변인에 따라서는 평가인증 기관이 미인증 기관보다 실외놀이 시설 및 공간의 설치율이 높게 나타났고, 건물의 형태가 아파트일수록 기관과 가깝다는 이유로 어린이집 주변 놀이터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외놀이의 운영에 있어 조사대상 가정보육시설의 61%가 실외놀이 시간이 계획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놀이 시간이 없다고 응답한 기관들은 시설이나 공간의 문제보다는 안전문제를 더 우려하고 있어 실외놀이 시간을 계획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놀이 시간이 있는 경우도 대부분의 가정보육시설은 매일매일 실외놀이를 실시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외놀이의 계획 또한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가정보육시설이 실외놀이 활동 시 보조인력을 갖추고 있지 않았으며, 교사들의 역할은 유아들의 안전과 놀이를 지켜본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설변인에 따른 실외놀이 활동에 있어서는 평가인증 기관에서 실외놀이가 더욱 빈번히 실시되고 있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정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사는 보육교사 양성원, 보육교사 양성과정이 많았는데, 이는 실외놀이의 운영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전공은 유아교육일수록 실외놀이 시간을 더 많이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외놀이와 실내놀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같은 비중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교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실외놀이보다는 실내놀이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실외놀이의 운영에 있어서는 주 1~2회, 1회당 30분~1시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실외놀이의 교육적 효과에 있어서는 건강과 신체발달을 가장 많이 꼽았다. 실외놀이 운영시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실외놀이 시설 설비의 안전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교사의 역할 인식과 실외놀이 운영시 어려운 점, 실외놀이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유아의 안전과 관련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outdoor play using family day care in the metropolitan city of Daejeon where family day care were taking up 58% of all Day care cent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lanning and the improvement in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outdoor play and the systematic operation of outdoor play in family day care. Accordingly, the questions posed by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How were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outdoor play in family day care? 1-1. How were the overall operational conditions of outdoor play in family day care? 1-2. How were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outdoor play according to the facility factor? 1-3. How were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outdoor play according to the teacher factor? 2. How were teachers' recognition of outdoor play at family day care? 2-1. How were teachers' overall recognition of outdoor play at Family day care? 2-2. How were the recognition of outdoor play according to the teacher fact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of infant and children classes in 272 Family day care located in the metropolitan city of Daejeon, and a questionnaire which asked about the general background of a Family day care, the background of a teacher, the operational condition of outdoor play and the recognition by a teacher was used to comprehend the overall current condition of outdoor play in Family day care. The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he analysis of multiple responses and chi-square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Family day care were found to have no facility or space for outdoor play. Additionally, while most Family day care were found to be near a facility or space for outdoor play, the playground near Family day care was found to be used most frequently as a practice location, and the most prevalent range of proximity was found to be less than 50m. Thus, the method of transportation also was shown to be walking the most often while most institutions cited the close location of the place as the reason for using the surrounding facilities. For the facility factor, accreditation institutions had higher rate of installations of facility and space for outdoor play than non-accreditation institutions, and if the type of building was an apartment, surrounding playground was found to be mainly used for the reason of closeness to the institutions. Second, i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61% of subject Family day care were found to have planned the outdoor play time. For institutions which reported no outdoor play time, the outdoor play time was not planned for because the safety problem was being of concern rather than the facility or space problem. Even in instances where the outdoor play time was present, most Family day care were found to not practice the outdoor play every day, and the curriculum of outdoor play also was found to be practiced naturall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In addition, most Family day care did not have the supplementary employees during the outdoor play while the most prevalent opinion stated that the role of teachers was to oversee the safety and play activities of toddlers. For the outdoor play according to the facility factor, the tendency of more frequent outdoor play was found in the accreditation institutions. In addition, many teachers working at the Family day care were from either the training school for nursery teacher or the training course for nursery teacher, which demonstrated th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Consequently, the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and specializ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found to plan more time for outdoor play. Third, when comparing the outdoor play and the indoor play, most teachers considered them equally important while more teachers considered the indoor play more important than the outdoor play. I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the most prevalent opinion found the practice of 1~2 times a week for 30 minutes~1 hour each the most appropriate while health and body development accounted for the most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s. For the consideration when operating the outdoor play, the safety of installed facility for outdoor play was answered the most frequently, and also in the recognition of roles by teachers, difficulties during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and the plan for revitalization of outdoor play, the responses related to the safety of children were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 2-primal conditions in noncommutative rings

        정은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study 2-primal ideal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2-primal rings and the related concepts. Next we study some rings that becomes 2-primal and search for several conditions like 2-primal in some noncommutative rings. In particular the 2-primal condition need not be preserved by the direct product of 2-primal rings and the ring of formal power series over a 2-primal ring.

      • J.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의 형식적 조작기를 위한 가창교육 방안연구 : 중학교 3학년 가창 제재곡을 중심으로

        정은주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유아기를 지나 성장하기 까지 그 발달 단계들을 거치게 된다. 인지발달 역시 그렇다. 이에 기초한 것이 심리학이다. 많은 심리학자들은 아이들의 인지발달에 따라 그에 맞는 다른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특히 J.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은 체계적이고 효과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교육자들에게 좋은 지침이 된다. 또한 아동이 지식의 구성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지식의 습득과정에서 아동의 수동적 역할을 강조하던 기존의 관점을 무너뜨렸다. 가창교육 역시 발달 단계에 맞는 교육의 방법과 과정이 달라져야 한다. 현재 학교에서의 음악교과서의 제재곡들은 발달단계에 맞추어 적합한 곡들을 다양하게 선정하였다. 하지만 그 교수 방법들이 단순하고 평가를 위한 수업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J.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의 발달단계별 특성 중 4단계인 형식적 조작기에 알맞은 가창교육방안을 연구하고 이 시기에 속하는 중학교 3학년의 음악수업 중 가창수업을 연구하였다. 입시와 평가를 위한 중학교 가창수업을 형식적 조작기의 인지발달 특성에 맞추어 학생이 직접 참여하는 능동적 수업으로 지도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은 국내·외 문헌을 참고로 하여 이론을 정립하였고, 실제적 가창지도 방법과 지도안에 중점을 두어 논고하였다. Ⅰ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 범위와 방법, 제한점을 밝히고, Ⅱ장은 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과 음악교육이 어떤 관계가 있으며 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서의 교육적 핵심을 알아보고 이에 근거하여 음악교육이 어떻게 이루어 져야 하는지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J. Piaget의 인지발단 4단계 중 형식적 조작기에 속하는 중학교 3학년의 음악 가창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인지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중학교 3학년의 가창 지도방안을 연구하고, 현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의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여 보았다. People go through several development stages in their growth from birth and through their infancy. This is the case also for cognitive development, and psychology is based on this proposition. Many psychologists have maintained that children should be educ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development. In particular, J.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is a good guideline for educators in that it provides systematic and effective materials. Moreover, it has pulled down traditional viewpoints emphasizing children’s passive role in the knowledge acquisition process by asserting that children should participate in the composition of knowledge actively. In this sense, singing education should also change its method and process according to learners’ development stage. A large variety of thematic music in today’s music textbooks used in school was selected fittingly for children’s development stage. However, teaching methods are simple and the music class is focused on assessment. Thus, this study examined singing education methods suitable for the formal operational stage, which is the 4th stage among the development stages in J.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and designed a signing class for the music curriculum of the 9th grade in middle school.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aching plan based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characteristic of students at the formal operational stage so that the students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lass different from traditional middle-school singing class for entrance examination and assessment. This study established the theory through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focused its discussion on actual singing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plans. Chapter I Introduction presented the objectives, scope, method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hapter II looked for the relation between J.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and music education, examined the educational key points of J.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and, based on them, discussed how music education should be executed. In Chapter III, we investigated how singing education were performed for 9th graders in middle school who are at the formal operational stage among J. Piaget’s four s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 Based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Chapter IV considered how to teach singing to 9th graders in middle school and designed a class plan with thematic music in current textbooks.

      • 만성 기능성 변비 환자에서 동적 MR 배변조영술의 유용성

        정은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배변조영술은 배변시 직장항문의 형태 및 기능적 변화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만, 검사시 방사선에 장시간 노출되고 골반저 및 주변구조를 직접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MR 배변조영술이 소개되었으나, 아직까지 임상적 유용성에 대하여 이견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기능성 변비 환자에서 동적 MR 배변조영술의 임상적 유용성과 특징적인 MR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ROME II 기준의 기능성 변비로 진단된 24명의 환자(남:여=12:12, 15-75세)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변비 증상이 없는 16명(여, 21-70세)이었다. 환자군에서 배변조영술과 MR 배변조영술을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골반 MR을 촬영한 후 영상소견을 비교분석하였다. 영상분석: 1) 항문관 두께(안정시, MR 종축영상, 항문관 중간지점에서 후벽의 거리를 잰 값) 2) 배변조영술에서 기질적 병변이 의심된 환자의 MR 배변조영술에서의 부가적 소견 3) 수축 및 배변시 항문직장각의 변화 결과: 1) MR 배변조영술에서는 모두에서 직장항문 주위의 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환자군에서 항문관 두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18.98±2.43 vs. 15.33±1.41 mm, p<0.0001). 2) 배변조영술에서 기질적 병변이 의심된 7명의 증례는 MR 배변조영술상 모두에서 부가적 소견을 얻을수 있었는데 외항문괄약근의 저명한 비후 4례, 내항문괄약근의 저명한 비후 1례, 치골직장근의 비후 1례, 직장점막 부종 1례가 관찰되었다. 3) 수축시 및 배변시 항문직장각 변화는 배변조영술과 MR 배변조영술에서 서로 연관성이 없었다(p=0.226과 p=0.356). 결론: MR 배변조영술은 방사선적 배변조영술에서 얻을 수 없는 항문직장 주위 골반저의 영상을 얻을 수 있어서 만성 기능성 변비환자에서의 유용성이 기대된다. 향후 새롭게 관찰된 영상소견과 변비의 병태생리를 연결시킬 수 있는 추가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Barium defecography(BD) provides information about anorectal motion during defecation. However, it involves radiation exposure and does not visualize the pelvic organs around the anorectum. Magnetic resonance(MR) defecography was introduced to overcome these shortages. However, its usefulness in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is still obscur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utility of MR defecography and to characterize specific MR findings in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and control group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patients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underwent BD and dynamic MR defecography. Image analysis were acquired during rest(R), squeezing(S) and defecation(D).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pelvic MR. Results:(1) The changes of anorectal angle during R→S and R→D by MR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BD.(2) Anal canal thickness of patients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18.98±2.43 vs.15.33±1.41 mm, p<0.0001). Conclusion: Dynamic MR defecography permits direct visualization of pelvic floor and perirectal structures in real time without exposing the patient to radiation. Anal canal thickening and additional findings on MR defecography are novel findings which may be attributed to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However, futher study is needed to prove whether anal canal thickening is a causative factor of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