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교육협회의 기능과 목적

        월리엄보스하르츠 ( William Bosshardt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3 경제교육연구 Vol.20 No.1

        미국경제교육협회는 경제교육을 홍보하고 경제교육 자료를 출판하고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미국경제교육협회는 경제교육을 확산시키기는 원하는 다른 국가들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기도 한다. 경제교육체제는 국제적으로 매우 다양하지만, 경제교육에 대한 요구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미국의 경제교육에서 나타나는 많은 문제점들이 다른 나라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경제이해력이나 금융이해력의 개선을 추구하는 국가들은 자국의 경제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사교육, 자료개발, 연구활성화, 홍보 등과 관련해 미국경제교육협회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e CEE remains a strong voice in advocating for economic education, and continues to publish materials and sponsor programs. The Council for Economic Education provides a model for entities in other countries that wish to promote economic education. While the educational systems vary across the world,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does not. Many of the deficiencies of the U.S. system in the area of economic education are found in other countries. Those in other countries who seek to improve economic and financial literacy can turn to the CEE for an example to guide their own national economic literacy efforts in training teachers, providing materials, encouraging research, and advocacy.

      • KCI등재

        경제 교육과정 개정 논의와 결과에 대한 반성 - 2007, 2009 개정 경제 관련 공통 및 선택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최종민,강대현 한국경제교육학회 2012 경제교육연구 Vol.19 No.2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background, process, and results of 2007, 2009 revision economics curriculum. And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2007, 2009 revision economics curriculum. So we examine how the economics curriculum have been revised in reality and we try to prepare the future of economics curriculum revision on the basis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until now economics curriculum have been revised inconsistently. And the participants of economics curriculum revision have made a belated effort. In addition to that, the experts of economics and economic education have demanded the sacrifice of different domains such as politics, law, sociology and anthropology. In the future, in the revision of economics curriculum, we have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try to make an effort to reinforce economic education. 이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2007, 2009 개정 경제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과정, 결과 등을 세부 개정 시기별로 살펴보면서, 그동안에 나타난 경제 교육과정 개정의 전반적인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실에서 경제 교육과정이 어떻게 개정되어 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경제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교과 연구진 내부와 교육 당국,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총론을 상대로 어떤 노력이 필요한 지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 및 검토에 따르면, 그동안 경제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는 ‘비일관성’, ‘사후약방문식 대응’, ‘일반사회 타 영역의 희생을 통한 경제 교육 강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향후 경제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교과교육학자 및 교과내용학자 사이의 소통과 연대, 교육과정에 대한 거시적인 안목과 장기적인 계획, 유관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과 선제적 대응을 통해 보다 일관성 있는 경제 교육 강화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지역별 민요를 활용한 경제교육

        김상규 ( Sang-kyu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1

        무한경쟁·무국경의 지구촌시대에 있어서 경제학에 대한 이해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수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사람들에게 경제학은 어렵고, 재미없고, 딱딱하고, 실생활 적용이 힘들고, 이론지향이고, 현학적(衒學的)이라는 비판과 함께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민요를 활용하여 쉽고, 재밌고, 실생활 적용이 용이할 수 있는 경제교육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각 도의 민요 중 지역적 특색이 가장 잘 드러나는 두 작품, 즉 18편의 민요만을 선정하여 각각에 대해 경제교육적 함의를 분석하였다. 이들 민요의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은 각 민요가 생활경제교육, 생산성 향상, 생산기술, 특화, 경쟁, 근로의욕 고취에 적극 기여한 점을 밝힌 것이다. 예를 들면, 강원도의 <정선아리랑>에서는 노동생산성 향상, 빈곤, 상품의 유통을, <괭이타령>에서는 노동생산성 향상, 생산기술의 경제교육적 함의를 살필 수 있었다. 충청도의 <불무노래>에서는 노동, 노동생산성 향상, 특화, 임금을, 경상도의 <보리타작노래>에서는 노동생산성 향상, 경쟁의 경제교육적 함의를 살필 수 있었다. 또 제주도의 <나무 내리는 소리>에서는 노동생산성 향상, 협동을, 황해도의 <모심는 소리>에서는 노동, 노동생산성 향상, 기술진보, 생산성의 경제교육적 함의를 살필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의 민요와 경제학을 융합한 학제간 연구와 世方化 전략은 창의성의 신장, 경쟁력의 강화, 생활밀착형 경제교육이라는 관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Even though the economic education is essential for everyone in the era of uncertainty, many people still overlook the importance of economics because of their preconception that the economy is difficult, boring, stiff, theoretical, impractical and pedantic. In this study, I sought a easy, fun, and practical economy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Korean folk songs in Korean Province. I select 18 folk songs that highligh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 their economic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folk songs reveals common features such as real-life economy, productivity improvement, industrial technology, specialization, competition, and work motivation. For example, in Gangwon-do, “Jeongseon Arirang” implies improvement of labor productivity, poverty, and the distribution of stock. In Chungcheong-do, “the song for blowing with the bellows” industrial labor, improvement of labor productivity, specialization, and wage. In Jeju-do, “the sound of lowering wood” the improvement of labor productivity, cooperation. In Hwanghae-do, “the rice-planting song” is linked to improvement of labor productivity, technological progress, and productivity. In conclusion, the glocalization strategy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at join economics and Korean folk songs are significant in terms of enhancing creativity,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and providing practical economic education.

      • KCI등재

        학술논문: 유아 경제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경험학습 중심의 공동체적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Ⅲ-2

        김숙자 ( Suk Ja Kim ),박현진 ( Hyun Jin Park ),김혜숭 ( Hye Seung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0 경제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유아 경제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5개 지역 (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청)과 5개 도시 (광주, 대 구, 대전, 부산, 서울)의 유아교육기관 교사 415명이다. 연구방법은 조사방법이며, 설문지는 경제교육 필요성 인식, 경제 관련 개념에 대한 교사의 친숙정도와 유아시기에 대한 적절성, 그리고 경제개념별 교육내용의 실시여부와 적합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경제교육이 필요 하다`고 인식하였고, 필요성을 인식하는 교사들 중 절반정도가 `경제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 대부분 경제교육 실시여부에 따른 경제교육내용에 대한 적합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교사들 과반수가 `무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제교육내용을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analysis teachers` perception of economic education contents for young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415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5 provinces, Gangwon-do, Gyeonggi-do, Gyeongsang-do, Jeolla-do, and Chungcheong-do, and 5 metropolitan cities, Seoul, Gwangju, Daegu, Daejeon, and Busan. In this study, a survey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eacher`s understanding and the status of economic educatio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chi square tests were used to find 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educational career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to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basic life habits related to economy` as the goal of economic education. Second, teachers who recognized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education responded suitability degree and necessity degree of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economic concepts. Third, almost half of teachers wh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conomic education were to implement economic education.

      • KCI등재

        시계열 ARIMA 모델을 통한 한국의 고등교육 팽창과 경제 성장의 관계 분석

        이은경(Lee Eun 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교육과 경제발전의 관계에 대해 종단 연구로서, 고등교육 팽창과 경제성장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와 고등교육 특성이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의 사례를 통해 밝히고자 설계되었다. 한국의 경제성장의 귀인을 교육에 두는 논의는 국내외적으로 지속되어 왔으나, 교육이 그 중에서도 특별히 고등교육이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은 미미한 상태이다. 한국(1965-2014)의 고등교육과 경제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해당 기간(50년) 동안의 한국의 거시경제지표(일인당 국내총생산, 산업영역별 국내총생산, 주가지수 등)들과 고등교육 관련 통계(대학 졸업생 수, 전공별 졸업생 수 등)를 통합하여 변인을 구성하였다. 경제 및 고등교육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시계열 분석의 한 종류로 종적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들의 변화추이를 추척하여 패턴을 예측하는 ARIMA(자동회귀통합이동평균)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의 경제지표에서는 ARIMA (1,0,0) 모델이 경제성장을 가장 잘 예측하였고, 모델 패턴 이후에 주가지수와 대학 졸업생 수 여전히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한 명의 대학 졸업생 증가가 해마다 한국에서는 1.6센트의 1인당 GDP 증가를 이끌었다. 또한, 고등교육 증가와 경제발전 사이에 양자 간에 정적인 순환적 관계가 발견되었다. 순환의 고리에서 고등교육 증가가 경제발전을 설명하는 정도보다는 경제발전이 고등교육 증가를 설명하는 양이 더 컸다. 전공영역과 관련하여, 한국의 모든 전공영역이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전공별로 산업구조에 따라 다른 관계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고등교육이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단위의 유익에 기여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고등교육 비용에 대한 공공부담에 대한 적극적 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고등교육 투자를 위해서는 고등교육 구조와 경제발전의 세부적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concept of linking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growth was diffused throughout the world in the 20th century. Responding to the needs of industries during that period, higher education expanded approximately 200 times beyond the enrollment level in 1900 (Schofer & Meyer, 2005). Empirical studies dealing with the individual benefit of higher education have flourished but little was known about the effect of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on economic growth. This research investigates contributions of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 institutional sector and major -- to the growth of national wealth. This study chose South Korean case that exemplify rapid growth in the economies through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The study collected the panel data about higher education and the economies from 1965 to 2015 for South Korea and applied an ARIMA model regression for time series analysis. The effect of four major groups on GDP per capita and GDP sectors(agriculture, industry, service et al.) on overall economic growth were examined. In result,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conomic growth, and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of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was examined in South Korea's industrialization periods. all of the four major group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ir GDP value added by industry and service et al., In South Korea, the humanity and social science major groups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through affecting on the increase of their industrial and service GDP. For deeper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and economic growth, this study suggests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stitutional levels as well as major composition in higher education on economic growth.

      • KCI등재

        다문화사회를 고려한 경제교육 방향 모색 –미국 워싱턴주의 K-12 경제 교육과정 분석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박선운,성경희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1

        This study examined the K-12 Economics Learning Standards of Washington State in the United State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conomic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We analyzed the curriculum document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categorized keywords into themes to determine the main perspectiv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standards. The results show that the curriculum standards emphasize the diversity of economic actors and groups, implying that different economic choices and their consequences can emerge. Additionally, the curriculum standards identify culture and cultural norms as factors influencing economic choices of individuals and groups. They also highlight economic inequality problems, such as the distribution of wealth, th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dominant and marginalized groups, and the problem of accessibility to economic policy decision-making.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K-12 Economics learning standards of Washington State mainly use Banks’ transformative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a, with potential for extension to social and behavioral approach. Based on our findings, we discuss the composition of economic curricula and textbooks, as well as the goals of economic education, to develop economic education curricula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의 경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미국 워싱턴주 K-12 경제 교육과정 문서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유사 키워드에 대한 범주화 및 주제화를 시도한 후, 최종적으로 다문화적 관점에서 전체 문서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를 확정하였다. 분석 결과, 워싱턴주 경제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나타난 다문화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 주체 및 집단의 다양성을 강조하여 이에 따른 다양한 경제적 선택 및 결과가 일어날 수 있음을 담고 있다. 둘째, 경제적 선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문화와 문화적 규준을 명시하여 개인의 경제적 선택이나 집단의 경제적 시스템이 문화적 규범, 가치와 관습 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명시하였다. 셋째, 경제 문제를 둘러싼 집단 간 불평등 관련 내용을 명시하여 부의 분배, 지배 집단과 소외 집단의 영향력의 차이, 경제 정책 의사결정에의 접근성 문제에 대해 주목하였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워싱턴주 경제 교육과정이 뱅크스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중 변혁적 접근을 활용한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사회적 행동 접근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경제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시사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경제 교육과정 비교 분석, 경제교육의 목표 설정 관련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일본의 학교 경제교육 개혁 연구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

        김경모,다카하시 카츠야(高橋勝也)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e how the practices for changing economic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in Japan were carried out around 2015 when Japan's full-scale education reform was carried out. To this end,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Japan’'s economic education reform work over the past 20 years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pre-2015, Japan's sweeping education reform, and post-2015 economic education reform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reveal specific relationships. As a result, Japan’s economic education reform before 2015 was characterized by government-led, relatively separate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and it is judged that the government-led education reform in 2015 enabled the connection between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in a teaching method, Active Learning. Japan’s economic education reform work since 2015 has still been strongly led by the government, but it suggests to us that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economic education are linked through the methodical concept of active learning. 본 연구는 전면적인 교육개혁이 이루어진 2015년을 전후하여 일본의 중등학교와 대학의 경제교육을 변화시키려는 시도들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하고 그 특징과 연관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난 20년 간 진행된 일본의 경제교육 개혁 작업을 2015년 이전, 전면적인 교육개혁, 그리고 2015년 이후의 경제교육 개혁 등 세 개의 시기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2015년 이전의 일본의 경제교육 개혁은 정부 주도로, 상대적으로 내용을 중심으로, 중등학교와 대학이 따로 진행된 특징이 있다. 이런 면에서 중등학교와 대학 간의 연계성을 방법적인 면에서 가능하게 한 것은 2015년에 일본 정부 주도로 진행된 전면적인 교육개혁 작업인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2015년 이후의 일본의 경제교육 개혁 작업은 여전히 정부가 주도한 측면이 강했으나 액티브러닝(Active Learning)이라는 방법적인 개념을 통해 중등학교와 대학의 경제교육이 연계되었다. 특히 대학의 경제교육 개혁과 관련하여 민간 부분인 일본경제교육학회가 진보적인 성향의 국제적인 온라인 경제학 교과서인 [The Economy]의 가이드 북의 제작을 주도하고 이를 확산 보급하고자 하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중국 중학교 사회과 경제교육 내용의 변천

        마웨이화,이윤호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2

        This study analyzes the evolution of economic education content in China’s middle school curriculum from the time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o the present in relation to changes in the country’s national development ideology due to regime change. The analysis reveals thre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education in China’s middle school curriculum. Firstly, the curriculum actively reflects relevant content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period and development ideology of China. Secondly, labor education has always been given great importance. Thirdly, the history of human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content of economic education. China's curriculum is structurally different from Korea’s middle school economic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economics. The differences in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between China, a socialist country, and Korea, a capitalist country, are reflected in their middle school economic education. 이 글은 개혁개방 이후 현재까지 중국에서 정권 교체에 따른 국가발전이념의 변화와 연계해서 중국 중학교 교육과정의 경제교육 내용 요소 변천 과정을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서 중국 중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경제교육 관련한 세 가지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첫째, 각 발전 시기와 발전 이념에 발맞추어 교육과정에 관련 내용이 적극 반영되고 있다. 둘째, 노동 교육이 시종일관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셋째, 인류의 경제 발전사를 경제교육의 중요한 내용으로 취급해왔다. 중국의 교육과정은 경제학 원론 체계를 따르고 있는 한국의 중등학교 경제교육과 구조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사회주의국가인 중국과 자본주의 국가인 한국의 정치경제 체제의 차이가 경제교육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 KCI등재

        탈자폐경제학과 대안적 경제교육 교육과정 -다원주의 접근의 사례분석-

        안현호 ( Hyeon Hyo Ahn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3 경제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2008년 경제위기를 계기로 한 경제학교육에 관한 논쟁을 검토하여, 탈자폐경제학의 방법론적 기반인 다원주의가 경제학의 재구성에는 난점을 가지고 있으나, 경제교육의 관점에서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우선 신고전파경제학을 중심으로 구성된 대학 경제원론 교육에 대한 문제제기를 탈자폐경제학적 관점에서 소개하고, 2008년 위기를 계기로 진행된 미국 경제학계의 자성과 미국 경제교육학회의 논쟁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이 논의를 문제의식으로 삼아, 중등교육과정에서 미국과 영국의 교육목표, 교육표준, 수업방식과 교과서를 검토하여 다원주의적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마지막으로 경제교육에서 왜 다원주의가 필요한가에 대한 주요한 근거로서 비판적 사고력의 문제를 제기하며 이를 구현할 실제 수업 모델을 분석해 볼 것이다. 본 논문은 경제학에서 다원주의라는 논점이 경제학 그 자체보다 경제학교육, 특히 중등교육과정의 경제교육에 더욱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argues that even though pluralism, a methodological basis of Post-Autistic Economics, may be disputable in the discipline of economics, it can be justified in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in secondary education. First, I introduce the recent critical reflection of economic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2008 crisis. Secondly, I compare economic education standards in the U. S and in the U. K. under the view of pluralism. Thirdly, I review one example of class activities of economic education in a U. S. high school under the problematic of critical thinking.

      • KCI등재

        교육재정·경제학 연구동향 분석

        서지영(Ji-Young Seo),차양은(Yang-Eun Cha)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4 No.1

        「교육학연구」, 「교육행정학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재정학과 교육경제학의 연구동향 분석에 목적을 둔 본 연구에서는 교육재정학을 교육재정철학, 교육재정사, 교육재정계획, 교육재정정치, 교육재정확보, 교육재정 배분지원, 교육재정 운영집행의 7가지 영역으로, 교육경제학을 교육수요·공급, 교육요소시장, 교육의 내적 효율성, 교육의 외적 효율성의 4가지 영역으로 설정하여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자료수집방법, 연구접근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육경제학보다는 교육재정학에 대한 연구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교육재정학은 교육재정계획, 교육재정확보, 교육재정배분·지원, 교육재정운영·집행 영역에 대한 연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다. 이는 교육재정의 영세성으로 인해 교육재정 운영과 관련한 당위적인 문제들보다는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과제로 부각된다는 교육재정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둘째, 교육경제학은 교육수요·공급, 교육의 외적 효율성 영역의 논문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이는 교육의 내적 효율성에 대한 학문적 관심의 부족이라기 보다는 교육 결과의 비가시성으로 인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의 효과를 검증하는 교육 내적 효율성 측정의 어려움에서 비롯된 것이라 보여진다. 셋째, 교육재정학과 교육경제학 모두 문헌에 의한 자료수집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자료수집의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자료 수집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육재정학과 교육경제학의 분야별 관련잡지, 저서, 학술논문, 정책보고서 등의 내용을 분류하여 색인집의 형태로 발간·배포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재정경제학이 독자적 학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관련한 재정활동과 경제활동에 있어 ‘어떻게’라는 방법론적 차원의 논의에서 ‘왜’라는 의문을 제기하는 형태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researche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For the analysis, researches were categorized educational finance and educational economics. Educational finance were classified 7 categories; philosophy, history, plan, policy, securing, distribution,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finance. Educational economics were classified 4 categories; the demand-supply of education, the market of education constituent, the internal and external efficiency of education. Researches were analyzed by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quantity of articles about educational finance is more than educational economics in the researches. Most articles on educational finance were researched plan, securing, distribution, implementation. Second, most articles on educational economics were researched demand-supply, external efficiency of education. This means not lacks of academic interests about internall efficiency but difficulty of measurement because of invisible aspect of education results. Third, most articles were researched by literature mainly. This reflects difficulty of materials col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