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학을 목적으로 하는 자전거 이용 특성 연구

        박하나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는 1995년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자전거 관련 사업이 전국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녹색교통 수단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면서 자전거를 생활교통수단으로 바꾸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자전거전용도로의 설치는 초기에는 도심 내 자전거전용도로 확대라는 취지로 자전거 이용자들의 많은 환영을 받았지만, 설치 이후에는 주변도로 교통 혼잡과 자전거 안전사고 발생 등의 문제가 계속 제기되면서 이러한 자전거전용도로 설치가 실제 생활교통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효과가 있는지 의문시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교통 자전거, 특히 통학을 목적으로 하는 자전거를 대상으로 자전거 이용 특성을 분석하여 기존 자전거 정책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활교통 자전거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서울시 영등포구 관악고등학교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현지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 통학수단 선택은 집에서 학교까지 가장 빠르고 편리한 수단이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전거 이용자는 집에서 학교까지 직선거리로 800m~1.6km 범위 내에 과반수이상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통학 시간은 최소 5분에서 최대 30분 평균적으로 15분 정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통학 노선 선택 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보도와 분리된 자전거전용도로가 설치되어 있는지, 자동차ㆍ보행자와 충돌위험이 적은지, 통행시간은 최소화되는지 이었으며, 자전거 통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도와 분리된 자전거전용도로 설치가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실제 이용하는 자전거 통학노선을 분석한 결과 자전거전용도로 유ㆍ무와 같은 물리적 특성이 가장 우선시되기보다는 개개인의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최단경로가 기본이 되고 방황전환이 적고 보도 폭이 넓거나 장애물이 적은 노선의 자전거 이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전거를 통학 수단으로 활성화하기 위에서는 버스나 지하철 같은 다른 대중교통 수단이 없으며, 집에서 학교까지 자전거로 통학하기에 적당한 거리에 위치한 주거 구역을 선정하여 집에서 학교까지 최단경로의 통학노선을 우선적으로 지정하고 주행여건이 양호할 수 있도록 정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자전거 통학 노선을 정비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보도와 분리된 자전거전용도로망의 확충이지만, 무조건적인 자전거전용도로 설치는 실제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도심 내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자전거전용도로의 설치는 현실적인 물리적 공간의 한계로 인해 불완전할 수밖에 없으며 자전거 이용자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러므로 자전거전용도로의 확충이 어려운 지역은 불완전한 자전거전용도로 대신 자전거ㆍ보행자 겸용도로를 정비하여 보완할 수밖에 없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집에서 학교까지 연결하는 통학 노선이 단순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통행에 불편을 주는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집에서 학교까지 통학 노선의 유기적인 연결성 확보를 위해 기존 자전거ㆍ보행자 겸용도로의 지속적인 유지ㆍ관리가 필요하며, 노선상의 장애물 단속 및 학교의 정책적 지원, 제도개선 등을 통해서 자전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나가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신규로 중ㆍ장거리 자전거전용도로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한 지양하는 대신 근거리에서 자전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쪽으로 정책이 변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생활교통 자전거이용이 활성화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In our country "Bike Use Invigoration Act" was enacted in 1995, promoting bike-related projects nationwide and lately, with growing interest in eco-friendly, green means of transportation to replace automobiles, many policies are being driven to substitute the bike as a living transportation. Of these, installation of a bike lane through road diet was initially much welcomed by bike users for its purport of bike lane expansion downtown, but as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in neighboring roads, accidents for bike, etc. have become larger, it is now in doubt that such a bike lane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actual use of bike as a living transportation. On the subject of bikes as a living transportation, especially for commuting to school,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ike use, present problems in the existing bike policies, and based on them, propose a plan for invigorating bike use as a living transportation. To this end, a poll and spot survey were conducted on Gwanak High School located in Yeongdeungpo-gu, Seoul, the result of which showed that choice of commuting means depends on which means is the fastest and most convenient from home to school. Besides, more than half of bike users were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of 800m to 1.6km as the crow flies from home to school, taking around 15 minutes on the average from minimum 5 to maximum 30 minutes to commute. Main elements of effect on choosing the commuting route for bike were whether there is a bike lane separated from the sidewalk, whether little danger of collision with cars or pedestrians, and whether minimization in traffic time. By analysis, the students were thinking that for lively commuting to school by bike, bike lane disassociated from the sidewalk is the first thing to improve on.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commuting routes to school, physical traits such as yes or no bike lane were not put before but they, based on the personally shortest route from home to school, preferred routes with less change of directions, broader sidewalks or fewer obstacles, revealing comparatively higher frequencies of use. Summing up these results, for bike to be vitalized as a means to commuting to school, it is considered the most efficient to select residential areas located at a proper distance for commuting by bike from home to school with no other public transportations such as bus or subway, designate the shortest routes for commuting preferentially, and then improve them for good riding conditions. The best way to improve commuting routes by bike can be building up networks for bike lanes separated from sidewalk, but unconditional installation of bike lanes does no good for actual live use of bike. As is seen from the results of survey, installation of bike lanes via road diet is incomplete due to the actual limits of physical spaces, and likely to be ignored by bike users. Thus, for areas hard to expand bike lanes, there is no alternative but to improve and supplement bike-pedestrian lanes instead of incomplete bike lanes. Her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that routes for commuting from home to school should be simple, connected organically and without obstacles that give discomfort to traffic. That is, for securing organic connectivity of routes for commuting to and from school, it is needed to maintain the existing bike-pedestrian roads consistently, and to go on making environment for comfortable use of bikes through control of obstacles on the route, strategic support by the school, institutional improvement, etc. Based on these, policies should be changed with support not to install new bike lanes for medium and long distances but rather to make surroundings in which to use bikes positively in short distances. This is considered helpful in making active bike use as a living transportation.

      • 심리운동사의 직무만족도와 공감능력에 관한 연구

        박하나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심리운동사의 직무만족도와 공감능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전공 박하나 지도교수 : 이숙정 본 연구는 심리운동사의 직무만족도와 공감능력의 관계와 심리운동사의 직무만족도가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경상 지역의 사설 아동 발달센터, 병원 내 심리운동실, 복지관 등에서 보건복지부의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인력으로 심리운동을 진행하고 있는 심리운동사 200명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와 공감능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134부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사의 직무만족도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이 높고, 심리운동의 경력이 많을수록, 나아가 근무 형태는 기관장일 때, 직무 지식의 정도는 충분하다고 생각할수록, 역할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성별, 최종 학력 전공, 근무 기관, 주당 회기 수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심리운동사의 공감능력은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이 높고, 심리운동의 경력이 많을수록, 직무 지식의 정도는 충분하다고 생각할수록 공감능력이 높았다. 성별, 최종 학력 전공, 근무 형태, 근무 기관, 주당 회기 수, 역할 만족에 따른 공감능력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심리운동사의 직무만족도와 공감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심리운동사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요인의 분석 결과는 심리운동사의 직무만족도가 공감능력에 대해 33.3%의 설명력을 보였고, 직무 관련 만족도와 대인 관련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만족도, 근무환경 만족도, 전문성 신장 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 볼 때, 심리운동사의 직무만족도와 공감능력은 서로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상호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으며,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은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심리운동사의 직무만족도의 향상은 공감능력을 향상시켜 심리운동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심리운동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주제어: 심리운동, 심리운동사, 직무만족도, 공감능력

      • 외식기업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품질이 이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페이스북 이용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하나 세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SNS를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고, 모바일 마케팅을 시도하는 외식기업들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과연 기업들이 얻고자 하는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기업들의 SNS 품질이 이용만족에 현실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를 통한 분석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한 외식기업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품질요인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이용만족을 돕는 요인이 무엇이며, 또한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SNS인 페이스북 이용여부에 따라 외식기업 SNS의 이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서 국내 외식기업의 효과적인 마케팅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2016년 4월 28일부터 2016년 5월 20일까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문항을 통하여 SNS 이용 여부를 확인하고 한국어로 운영되는 외식기업 SNS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추려내어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 for window를 사용해 예비 분석을 실시하였고, LIMDEP 8.0을 이용하여 외식기업의 SNS품질이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페이스북의 이용여부의 조절효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외식기업의 SNS 품질에 대한 선행 연구 자료를 제시하고 항목을 채택하여 활용하였으며, 또한 페이스북 이용여부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SNS 품질 요인에 대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두 집단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정보품질, 오락품질, 미적품질, 시스템·서비스 품질이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품질이 가장 크게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소비자들은 제공되는 외식기업의 SNS를 통해서 우선적으로 정보의 최신성, 정확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또한 정보 공유, 개인 정보 보호, 이익제공, 고객 중심사고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외식업체의 SNS 마케팅을 시행 할 경우, SNS의 시스템·서비스 품질 측면을 크게 고려해야 한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집단에서 시스템·서비스 품질이 다른 SNS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정보품질, 오락품질, 미적품질과 함께 시스템·서비스 품질에 대하여 특별히 많은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외식기업에서 SNS를 활용한 마케팅을 진행할 때 SNS의 유형에 따라 중점을 두어야 할 요인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향후 SNS 마케팅에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한계점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품질요인을 추출하여 활용한 점과 SNS의 이용만족을 관측이 아닌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방문 의도에 더하여 실제로 외식기업의 SNS를 통해 외식기업을 이용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SNS 영향 요인에 대해 연구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growing number of food service enterprises are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s a marketing tool and attempting to be engaged in mobile marketing activities.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rarely identified whether the companies are effectively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via SNS and what kinds of effects SNS quality actually have on user satisfac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the critical determinants that shape food service companies’ communications using SNS and the factors that lead to user satisfaction. Moreover, we attempt to provide effective marketing implications for domestic food service companies by verifying the effects of using Facebook, currently the most popular SNS, on user satisfaction toward the food companies’ SNS communications. In the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general public from April 28th, 2016 to May 20th, 2016. The survey asked detailed questions about whether the participants used SNS. For analysis, we selected and used the data of the participants with experiences of using food service companies’ SNS in Korean. We used SPSS 21.0 for window for pre-analysis. For the main analysis, we used LIMDEP 8.0 to verify the effects of SNS quality on user satisfact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using Facebook. To conduct this research, we gathered previous research data identifying the items of SNS quality and applied some SNS quality dimensions to the current study. Accordingly, the differentiating effects of using Facebook on certain SNS quality factprs were found. Specifically,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the information quality, entertainment quality, aesthetics quality and system and service quality in both groups. Considering that information quality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it is plausible to assume customers primarily value information recency and information accuracy through the SNS of food service companies provided. Information shar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nefit providing, and customer-centric mindset are also considered critical.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hen food service companies execute SNS marketing, they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ystem and service quality dimension of SNS. As the user satisfaction for the system and service quality was relatively low in the group with the most active Facebook use, the system and service quality should be considered significantly with great attention in addition to information quality, entertainment quality and aesthetics quality. Therefore, considering that there are different factors to be focused on depending on the type of SNS when food service companies conduct marketing via SNS, this study established the standard for elements that must be considered in SNS marketing in the future. However, the study still has some limitations as we extracted the quality factor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conducted a survey instead of analyzing the actual user observation data to determine user satisfaction with SNS. There will be significance in future research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SNS targeting people using food service companies via actual SNS of those companies in addition to the intention to visit.

      • 1970년대 성장서사에 나타난 전쟁기억의 재현 양상 연구 : 「장마」와 『노을』을 중심으로

        박하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1970년대에 유년화자의 전쟁경험을 보여주는 성장서사가 나타나게 된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장서사가 전쟁기억을 봉합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1970년대 성장서사에 나타난 전쟁경험이 성인화자의 재구성된 기억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과거는 기억하는 현재의 상황과 내적 욕구에 따라 수정된 채 구성된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사건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사건을 기억하는 시점과 주체의 욕망이 된다. 이는 기억 복원의 주체인 성인화자가 전쟁기억을 현재화하는 방식을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한국전쟁은 분단 현실 속의 삶을 규정하는 중요한 발생론적인 기반의 하나다. 한국전쟁의 의미를 탐색하는 작업은 남한사회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의식과 연결된다. 때문에 전쟁경험과 기억을 서사화하는 작업은 전후 남한사회의 당면과제가 아닐 수 없었다. 1970년대에 전쟁경험을 서사화하는 작업은 유년시절에 전쟁을 겪은 일군의 작가들이 등단하면서부터 활발해진다. 이들은 성장서사로 전쟁기억을 재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성장서사가 그 세대가 겪은 경험의 직접성을 반영하는 형식이었기 때문이다.우리나라에서 1970년대는 일상에서 전쟁 상처를 빠른 속도로 지워나가는 산업화시대에 해당한다. 산업화시대에 전쟁기억은 남한사회가 그동안 일구어 낸 변화의 진폭을 부각시키는 반사경으로 자리한다. 1970년대에 재현되는 전쟁기억에는 이제는 전쟁 상처를 드러내어 그것을 포용할 수 있다는 산업화시대의 자신감이 전제되어 있다. 좌익 이력이 있는 가족을 포용하는 성장서사 역시 전쟁 상처를 드러내어 그것을 치유할 수 있다는 산업화시대의 나르시시즘 안에서 가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억압했던 유년시절의 전쟁기억을 드러내어 포용할 수 있다는 나르시시즘에도 불구하고, 분단현실은 여전히 성인화자의 삶을 규제하는 근본적 토대로 자리한다. 반공 이데올로기는 기억의 복원과정에 개입하여 굴절과 왜곡을 불러일으키는 검열의 기제로 작동한다. 따라서 성인화자는 좌익 이력이 있는 가족의 기억이 남한사회 안에서 성실한 구성원으로 살아가야 할 자신의 정체성과 부딪치지 않게 조율해야 한다. 이는 화자가 억압했었던 가족의 기억을 드러내고 그들을 포용하는 방식을 문제제기 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산업화시대에 유년시절의 전쟁기억을 일관된 서사로 구조화하는 기억의 주체는 성인화자이다. 성인화자는 유년시절의 기억을 재구성함으로써 현재 자신의 위치를 합리화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그에게 전쟁기억은 남한사회에서 계속 살아가야 할 자신의 입지를 설명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재배열되어야 하는 것에 해당한다. 남한사회에서 성장한 성인화자는 유년시절의 전쟁기억을 목적의식적으로 재조직함으로써 자신이 남한사회의 건실한 구성원임을 증명하려 한다.이 논문에서는 성인화자가 유년시절의 전쟁기억을 재구성하는 방식을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좌익 이력이 있는 가족 구성원을 이념과는 무관한 인물로 치환하여 기억하는 방식이다. 둘째, 좌익 이력이 있는 가족 구성원의 상징적 죽음을 드러냄으로써, 그들을 망각할 기회를 만들어 내는 방식이다.좌익 이력이 있는 가족 구성원으로 인해 고된 성장기를 치러내야 했던 성인화자는 그들에게서 금지된 이념을 제거하는 기억의 공정을 가한다. 화자의 가족은 누대의 가난과 멸시로 인해, 친구들의 부추김과 영웅심리로, 학생의 치기어린 선의로 인해 좌익 이력을 갖게 된 것일 뿐이다. 성인화자는 망각했어야만 했던 가족에게서 이념을 지움으로써 그들과 혈연관계에 있는 자신의 존재증명까지 해내고자 한다. 그들은 시대에 휩쓸린 불우한 희생양이 되어 성인화자의 삶 속으로 들어온다. 성인화자는 가족에게서 금기시된 이념을 제거함으로써 남한사회가 포섭할 수 있는 인물로 만들어낸다.성인화자가 좌익 이력이 있는 가족의 죽음을 기리는 제의를 행하는 것은 그들과 관련된 기억을 망각하고 그들과 절연된 삶을 ‘다시 시작하기’ 위해서이다. 성인화자가 그 동안 억압했었던 가족과 대면하고 그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이유는 그들과 관련된 기억을 매끈하게 봉합하기 위함이다. 제의(祭儀)는 좌익 이력이 있는 가족의 상징적 죽음을 공표함으로써 그들을 성인화자의 삶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성인화자는 제의를 통해 그들과 관련된 유년시절의 전쟁기억을 봉합하고 억압했던 기억의 중압감으로부터 벗어나려 한다.물론 고된 성장기를 술회해내는 성인화자의 시선에는 폭력적인 사회화를 강요했던 남한사회의 사회화 방식에 대한 회의가 전제되어 있다. 성인화자는 자신이 성장했던 사회의 구조화된 폭력, 사회화의 관찰방식, 이념적 경직성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표명한다. 남한사회에 대한 성인화자의 회의는 작품 안에서 적지 않은 함량을 지닌다. 이 자성의 목소리는 남한사회에 안주하려는 욕망에 균열을 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인화자는 성실한 생활인의 일상을 지켜야 한다는 강한 의지로 전쟁기억을 봉합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성인화자에게 좌익 이력이 있는 가족과 관련된 전쟁기억은 그의 일상을 위협하는 원체험으로 각인되어 있기 때문이다.성장서사는 전쟁기억을 봉합함으로써 산업화에 전력할 여지를 만들어내는 성인화자를 보여준다. 화자의 성장은 전쟁 상처를 봉합하고 경제 성장을 이루어 내야 했던 전후 남한사회의 변화와 궤를 같이 하는 것이 된다. 억압했던 유년시절의 기억을 포용할 수 있다는 성인화자의 자신감에는 전쟁 상처를 빠르게 복구해낸 남한사회에 대한 승인이 전제되어 있다. 이는 결핍과 부재의 유년시절을 보여주는 성장서사가 전후 남한사회의 경제적 발전을 미화하는 서사로 전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된 성장기를 견뎌냈다는 성인화자의 안도감은 산업화시대가 양산한 사회의 제반 문제를 은폐하고 산업화시대의 열매를 미화하는 담론으로 포섭된다. 동시에 성인화자는 자신의 성장이 남한사회의 반공·성장 이데올로기를 소극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이었다는 것 역시 보여준다. 화자의 성장기는 개인보다 공동체에 무게중심을 둔 남한사회의 사회화 방식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것은 성장서사가 공동체로의 편입 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희생을 당연한 성장의 모습으로 받아들이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この論文は1970年代において、幼い話者の戦争経験に見られる成長の叙事が現れることになった歴史的な脈絡を探り、それを基に成長の叙事が戦争の記憶に蓋をするという処理のし方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 そのため、本論文においては1970年代の成長の叙事に見られる戦争経験が成人の話者により再構成された記憶だというところに注目してみた。過去は記憶される現在の状況と内的欲求により修正される。したがって大事なことは事件そのものではなく、その事件を記憶する視点と主体の欲望である。それは記憶の復元の主体である成人の話者が戦争の記憶を現在化する方法を検討し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を意味している。 韓国戦争は分断という現実のなかでの生を規定する重要な発生論的な基盤の一つだ。韓国戦争の意味を探索する作業は南韓社会のアイデンティティーに関わる問題意識とつながっている。そのため、戦争経験と記憶を叙事化するという作業は戦後の南韓社会が当面していた課題そのものであった。1970年代に、戦争経験を叙事化する作業は幼年期に戦争を経験した一群の作家たちが登場するとともに活発になる。彼等は成長の叙事によって戦争の記憶を再生する姿を表しているのだが、それは成長の叙事がその世代がくぐり抜けた経験を反映する形式でもあったからである。 1970年代は日常において戦争の傷を高速で消去していく産業化時代である。産業化時代における戦争の記憶は、南韓社会がその間築き上げた変化の振幅を浮彫りにする反射鏡として位置している。戦争の記憶には今や戦争の傷をさらけ出しそれを抱きしめ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産業化時代の自信が展開されている。左翼だった経歴をもつ家族を抱擁するという成長の叙事もまた戦争の傷をさらけ出し、それが治癒できるという産業化時代のナルシシズムの内において可能となった。だがそうした自信にもかかわらず、反共イデオロギーは相変わらず抑圧された記憶が屈折して現われる、検閲という機制として働いていた。それは話者が左翼だった経歴をもつ家族の構成員を抱擁するという記憶の再構成のやり方を問題としなければならぬということを示唆している。 産業化時代に幼い時の戦争の記憶を一貫した叙事として構造化する記憶の主体は成人の話者であった。成人の話者は幼年期の記憶を再構成することで現在の自分の位置を合理化しようとする姿を見せる。彼において戦争の記憶とは、南韓社会において生き続けていかねばならぬ自分の立場を説明するために、選択して再配置されねばならぬものとしてある。南韓社会もおいて成長した成人の話者は幼年期の戦争記憶を目的意識的に再組織することで自分が南韓社会の健康で誠実な構成員であることを証明しようとする。 本論文においては成人の話者が幼年期の戦争の記憶を再構成するやり方を二つに分けて考察してみた。一つは左翼だった経歴をもつ家族の構成員に禁止されていた理念の<色>を消去するというやり方だ。もう一つは左翼だった経歴をもつ家族の構成員の象徴的な死をさらけ出すことで、彼等を忘却する機会をつくり出すやり方だ。 左翼であった経歴をもつ家族の構成員によって辛い成長期を経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成人の話者は、彼等に禁止されていた理念を除去する記憶という工程をつけ加える。話者の家族は代々の貧困と蔑視により、友だちの扇動と英雄心理により、学生の幼っぽい善意により左翼という経歴をもつことになっただけなのだ。成人の話者は忘却せねばならなかった家族から、理念を消去することで彼らと血縁関係にある自分の存在を証明しようとさえする。彼等は時代に巻き込まれた不遇な犠牲者となり、成人の話者の生の内へと入り込む。成人の話者は左翼だった経歴をもつ家族から理念を除去することで南韓社会が受け入れ可能な人物としてつくり出す。 成人の話者が家族の死に対し遅ればせながら弔いの儀式を取り行うのもまた、成長の試練であった彼等を忘却し、彼等と絶縁した生を ‘再び始める’ ためである。成人の話者は忘却せねばならなかった家族の死を弔うことで彼等と関連した記憶に優しく蓋をしようとする。弔うことは話者が抑圧した記憶の重圧感から脱け出せるようにする役割を担う。 もちろん、苦しい成長期を述懐するという成人の話者の視線には、暴力的な社会化を強要した南韓社会の社会化の方法に対する懐疑が前提となっている。成人の話者は自分が成長した社会の構造化された暴力、社会化が貫徹される方法、理念的な硬直に対する距離をおいた批判を表明している。南韓社会に対する成人の話者の懐疑は作品内において少くない部分を占めている。この自省の声は南韓に安住しようとする欲望に亀裂を入れる。にもかかわらず、成人の話者は南韓の社会の中にあって転落するしかないという恐怖と真面目な社会人としての日常を守らねばならぬという強い意志でもって戦争の記憶に蓋をする姿を見せている。成人の話者において左翼であった経歴をもつ家族と関連した戦争の記憶は彼の日常を脅かす原体験として刻み込まれているからだ。 成長の叙事は戦争の記憶に蓋をすることで産業化に尽力する余地をつくり出す成人の話者を見せてくれる。抑圧された幼年期の記憶を抱きしめる成人の話者の態度には戦争の傷をいち早く復旧した南韓社会への承認が前提とされている。それは欠乏と不在の幼年期を提示する成長の叙事が戦後の南韓社会の経済的発展を美化する叙事へと転倒されることを意味している。と同時に成人の話者が戦後の南韓社会の反共・成長イデオロギーを消極的に受容していく過程であったことをもまた示している。話者の成長期は個人よりも共同体に重心を置いた南韓の社会化のし方を如実に示している。それは成長の叙事が共同体への編入過程において見せる個人の犠牲を、当然な成長の姿として受入れねばならぬということを意味しているのだ。

      • 마이크로무비 광고를 활용한 대학교 중국어 · 문화 통합 수업 설계

        박하나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运用微电影广告的韩国大学汉语·文化综合课程设计 本论文的目的在于运用微电影广告,设计以汉语·文化的综合教学为基础的韩国大学影像汉语课。微电影广告在韩国比较陌生,但是在中国早已受到广泛关注。微电影广告有起承转合的叙述结构,并且还反映了中国的风俗习惯以及社会文化,类似电影和电视剧。但是比起其他多媒体,其放映时间并不长,十分钟以内的微电影广告也不少。因此微电影广告更让学生在短时间内,更有效地同时学习汉语以及中国现代文化。 本论文的教学对象为中高级汉语学习者。研究方法如下:首先,从四百多篇的中国微电影广告中,筛选了适合于大学汉语课程的广告,并针对该广告进行分析,再度鉴定其语言难度以及文化因素是否适合于学习者。其次,根据分析结果, 设计了大学汉语·文化的综合课。 本论文的研究成果如下: 第一、从四百多篇的中国微电影广告中,筛选了十五篇。考虑汉语难度以及文化因素,选定了适合于大学汉语课程的微电影广告。首先,探讨十五篇的汉语难度。根据《新汉语水平考试大纲: HSK四级》(2009)、《新汉语水平考试大纲: HSK五级》(2010)、《新汉语水平考试大纲: HSK六级》(2010)、《汉语水平词汇与汉字等级大纲》(2001),针对十五篇广告中出现的词汇进行分析;根据《新汉语水平考试大纲: HSK三级》(2009) “语言功能”,针对该广告中的交际基本表达进行分析。由此,确定了十五篇广告都适合于中高级汉语学习者。然后,探讨十五篇的文化因素。根据《国际汉语教学通用课程大纲》(2014)的“汉语教学话题及内容建议表”,将15篇中的文化因素归类到11个文化话题。 第二、设计了一个学期的大学中高级影像汉语课模型。大学的一个学期共有十六周。因此本论文设计了十六周的课程。首先,提出了课程提纲:第一周为介绍课程;第八周和十六周分别为期中考和期末考;其余的十三周都介绍一部到两部微电影广告。然后,根据上述的分析结果,提出了教学大纲:包括词汇、交际基本表达以及文化因素。最后,基于沟通教学法,设计了教学活动―即听后排列场面、信息差活动、角色扮演。 第三、提出了一周的课堂教案。教学环节分为:导入、展开、总结。导入阶段包括引起动机以及提供和主题相关的简单的对话;展开阶段包括欣赏微电影广告以及听说训练―即上述的三种教学活动;总结阶段包括复习以及口头测试。 本课程的目的主要在于大学生通过微电影广告提高汉语沟通能力,同时更加了解中国文化。最终,能够和中国人顺利进行交际。 希望今后能有更多关于微电影广告的优秀研究问世。

      • 신내생적 농촌 마을만들기를 위한 마을구성원간 역할 분석 연구 : 경기 가평군 3개 마을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박하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민주도형의 마을공동체를 형성하고 지속시키기 위한 제도적 노력인 마을만들기는 지방분권이 확대됨에 따라 지역사회의 발전 역량을 축적하는 학습 과정으로서 더욱 중요해졌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 마을만들기 사업이 지역밀착형 사업으로서 지방 이양됨에 따라 여러 우려가 발생하는 가운데 마을공동체 우수사례를 통한 마을구성원간 역할과 역량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 연구는 농촌지역 발전의 성공사례는 대부분 비경제적 측면에서의 발전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내부 주체들의 주도적인 역량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신내생적 발전의 관점에서 마을공동체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 요인의 범주를 인적요인, 물적요인, 네트워크, 환경요인으로 설정하고 비경제적 측면의 공동체 특성인 대성1리의 심층 분석을 통해 세부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경제적 측면의 공동체 특성인 행현1, 2리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요도 최고값인 5점 기준, 각 요소들의 평균값이 4.37점으로 공동체 특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마을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이 검증되었다. 인적요인에서는 리더의 중요도값이 경제적 공동체 특성임에도 불구하고 소득시설보다 중요도값이 높았다. 결국 경제적 특성인 공동체도 인적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구성원간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마을구성원에 대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리더와 주민의 역할과 역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리더의 역할은 정보탐색 및 공유, 동기부여, 비전수립, 인적자원양성, 사업 계획 및 확보 등이며 이를 위한 역량으로는 적극성, 봉사심, 참여의식, 공동체의식, 목표의식, 배려심 등이 요구되었다. 더불어 마을 역량에 관한 추가 설문을 실시한 결과와 심층면담 결과를 토대로 농촌 마을만들기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외부지원을 통해 사업을 착수하는 경우, 착수 이전에 최소한 공동체는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역량을 형성하고 강화하기 위해서는 형식적인 교육이 아닌 각 마을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이어야 한다. 셋째, 결국 신내생적 농촌 마을만들기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리더인데 젊은 리더를 유도하고 육성하기 위해서는 경제활동의 기회가 보장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As decentralization expanded, rural community, an institutional effort to form and sustain a resident-led village community, has became more important as a learning process that accumulates the development capacity of the local community. Recently, as th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been transferred to the provinces as a regionally-oriented project, various concerns have arisen.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village commun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neo-endogenous development, that most successful cases of rural community are made through development in the non-economic aspect, and that it is achieved by the initiative of internal actors. It was derived and applied to the village unit. In addition, these factors were identified and verified through in-depth research analysis of one village case, which is a community characteristic in the non-economic aspect, and two village cases, a community characteristic in the economic side. The categories of factors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village community are set as human factors, material factors, networks, and environmental factors. A survey was conducted in Haenghyeon 1-ri, 2-ri, and the average result value of each factor was 4.37 points out of 5 points. In the human factor, the importance value of the lead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ofit facility despite the economic community characteristic. In the end, the economic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ty also showed that the human factor has the greatest influence, so it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role of village members, the goal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village members to analyze the roles and capabilities of leaders and residents. The role of the leader is searching and sharing information, motivating, establishing vision, nuturing human resources, planning and attracting business. In addition, an additional questionnaire on village capacity was conduct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olicies along with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First, when starting a project through external support, at least a community must be formed before the start. Second, in order to capacity building, it should be education to achieve the vision of each village, not formal education. Thir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 neo-endogenous rural community development is a leader, and in order to induce and nurture young leaders, policy support that guarantees economic opportunities is needed.

      • 골프캐디들의 직무탈진이 고객지향성과 직무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하나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골프캐디들의 직무탈진이 고객지향성과 직무만족, 직무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직무탈진이 직무몰입,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직무몰입이 직무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며 또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직무몰입,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골프캐디들의 개인적 건강도모와 골프장 경영의 이윤창출을 위한 효과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골프장 각각 2곳 씩 총 4곳을 선정하여 총 200부의 설문지를 표집한 후 이중 연구에 적절치 않은 6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19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18.0과 AMOS 7.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캐디의 직무탈진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캐디의 직무탈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캐디의 직무탈진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 캐디의 직무 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골프 캐디의 직무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골프 캐디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 번째. 골프 캐디의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 골프 캐디의 고객 지향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