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암 치료를 위한 Poly(ethylene glycol)-Doxorubicin/SPION 자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 특성분석

        김유경(Yugyeong Kim),이선민(Seonmin Lee),김단비(Danbee Kim),노강민(Kangmin Noh),오근상(Keun Sang Oh),조성훈(Sunghoon Cho),최은표(Eunpyo Choi),김규표(Kyu-pyo Kim),허강무(Kang Moo Huh) 한국고분자학회 2018 폴리머 Vol.42 No.6

        본 연구에서는 친수성 poly(ethylene glycol)(PEG)와 소수성 항암제인 독소루비신(DOX)의 화학적 결합에 의해 합성된 PEG-DOX conjugate를 이용하여 암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한 자성 나노입자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양친매성 PEG-DOX는 수용액 내에서 자기조립 특성을 보이고, 10 ㎚ 내외의 자성 나노입자(SPION)에 대해 높은 봉입능 및 봉입률을 보였다. 제조된 PEG-DOX/SPION 나노입자는 ~100 ㎚의 균일한 사이즈 분포를 가지며 phantom 실험을 통해 조영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세포독성평가에서 DOX에 비해 낮은 독성을 보였고 최대내성용량(MTD) 평가실험에서 사망 개체가 발생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고함량의 항암제와 SPION으로 구성된 본 나노입자 시스템은 낮은 독성, MR 조영 특성, 수동적 및 자성 표적화능 등 다양한 생기능성을 기반으로 암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한 테라그노스틱 제형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an amphiphilic polymer-drug conjugate was synthesized by chemical conjugation of a hydrophilic polymer poly(ethylene glycol) (PEG) with a hydrophobic anticancer agent, doxorubicin (DOX), to prepare magnetic nanoparticles for cancer diagnosis and therapy. The amphiphilic PEG-DOX polymer could self-assemble in the aqueous solution to form nanoparticles (NPs) and efficiently encapsulated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SPION) with high loading capacity and loading efficiency. The resulting SPION encapsulated PEG-DOX (PEG-DOX/SPION) NPs were observed to have an average size of ~100 ㎚ with a narrow and unimodal size distribution and demonstrated the characteristic of MR contrast agent from the phantom experiments. In the toxicity assessment, PEG-DOX/SPION NPs showed lower toxicity than pristine DOX, and no mortality was detected at the maximum MTD. As a result, these magnetic NPs with high contents of DOX and SPION could be utilized as a theragnostic formulation for efficient cancer diagnosis and therapy, due to their diverse potential capacities properties, such as low toxicity, MR imaging character, passive and magnetic targeting properties, and so on.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ioreducible cationic biarm polymer for efficient gene delivery

        Kim, Yugyeong,Uthaman, Saji,Nurunnabi, Md,Mallick, Sudipta,Oh, Keun Sang,Kang, Sun-Woong,Cho, Sungpil,Kang, Han Chang,Lee, Yong-kyu,Huh, Kang Moo Elsevier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Vol.110 No.-

        <P><B>Abstract</B></P> <P>We synthesized a new cationic AB<SUB>2</SUB> miktoarm block copolymer consisting of one poly (ethylene glycol) (PEG) block and two cationic poly (<SMALL>L</SMALL>-lysine) (PLL) blocks, wherein the PLL blocks were conjugated to the PEG blocks with or without a bioreducible linker (disulfide bonds). Bioreducible and non-bioreducible miktoarm block copolymers (mPEG-(ss-PLL)<SUB>2</SUB> and mPEG-PLL<SUB>2</SUB>) were prepared for efficient gene delivery as a non-viral gene delivery approach. Both cationic copolymers (bioreducible and nonbioreducible) efficiently formed the nanopolyplexes with plasmid DNA (pDNA) through electrostatic interaction at different weight ratio of polymer and pDNA. Gene condensation ability of the polymers and release of the DNA under reduction condition were measured by gel electrophoresis.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field-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E-TEM) were used to measure the average hydrodynamic diameter and morphology of the nanoparticles, respectively. The bioreducible nanopolyplexes showed lower cytotoxicity and higher gene expression than the non-reducible nanopolyplexes in cancer cells.</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KCI등재

        사회자본과 건강한 노후 - 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을 활용한 사회자본의 영향 분석 -

        어유경 ( Yugyeong Eo ),김인태 ( Intae Kim ),홍석호 ( Seokho Hong ),김순은 ( Soon Eun Kim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한 노후에 대한 사회자본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층모형 접근법(Multilevel Modeling)을 적용하여 사회자본을 개인 및 지역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결속적 사회자본과 가교적 사회자본의 개념을 적용하여 노인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은 노인 개인의 신뢰, 네트워크, 참여에 대한 인식 수준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32개 기초지방정부 내 65세 이상 노인 1,0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을 활용하였다. 지역 수준의 사회자본은 지역별 신뢰 평균, 다양한 결사체의 수, 지방선거 투표율 등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높았다. 지역 수준의 사회자본의 경우, 일반화된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종교단체, 자원봉사단체, 정치단체, 산업 및 전문가 단체의 수가 많을수록, 정보공개청구율이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높았다. 반면 지역주민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시민운동단체 및 노동조합의 수가 많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낮았다. 요컨대 노인과의 긍정적인 관계에 기반을 둔 사회자본은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켰으나, 노인과 관계가 없는 사회자본은 노인의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오히려 악영향을 미쳤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자본을 통해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healthy aging of the elderly. Multilevel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social capital at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Also, we applied the concepts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o explain the theoretical impact of local social capital on the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Individual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 elderly person`s perception of trust, networks, and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conducted on 1,060 persons over 65 years old in 32 provincial governments was used. Local-level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 average level of trust among local residents, number of various associations, local election turnout and so on.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individual social capital were linked to a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the elderly. However, results were mixed regarding the impact of local social capital. Higher generalized levels of trust, greater numbers of religious, volunteer, political, industry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higher information disclosure application rates were linked to a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higher levels of trust among local residents and greater numbers of civil movement organizations and labor unions were linked to a lower subjective health level for the elderly. These results imply that social capital can promote healthy aging if it is based o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but that it may have insignificant or adverse effects if it is not related to the elderly. Based on this analysis, policy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elderly through social capital.

      • KCI등재

        협업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 비교과 학습공동체 지원체제모형 개발

        김유경 ( Yugyeong Kim ),이지은 ( Jieu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협업역량을 향상시키고, 협력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맥락에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설계자 또는 운영자가 활용할 수 있는 지원체제로서 일반적 지원전략 및 구체적 지원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협업역량 구성요소와 비교과 교육과정 특성을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촉진조건 관련 선행문헌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학습자 요구를 종합하여 지원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공동체의 발전단계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교과 학습공동체 지원 단계를 도출하였으며, 대학 학습자지원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 지원영역을 도출하여 협업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 비교과 학습공동체 지원체제 초안을 개발하였다. 이후 두 차례의 전문가 검토를 통해 내적 타당화가 이루어졌으며, 개발된 지원체제를 적용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서 참여 학습자의 협업역량 사전사후 검사, 시기별 지원전략에 따른 협력학습 도움 정도, 학습프로그램 만족도를 통해 외적 타당화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7가지의 일반적 지원전략이 도출되었으며, 학습공동체 지원 단계로 정체성 형성기, 자원ㆍ활동 개발기, 학습문화 조성기, 협업미션 수행기, 성찰기의 다섯 단계에 따라 분류되었다. 또한 다섯 단계에 걸쳐 도출된 45가지의 구체적 지원전략은 학습자 지원영역인 인지적, 정의적, 조직적 영역에 따라 분류하여 최종적인 지원체제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마련된 학습공동체 지원체제모형은 대학 교수학습개발프로그램 설계ㆍ운영자들이 비교과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협업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언제,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 학습공동체의 발전단계인 다섯 단계에 따라 인지적, 정의적, 조직적 영역별로 살필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community support system model by the stages of team development to improve college students’ teamwork competency. For this purpose, firs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eamwork, learning communities, cooperative learning, group dynamics, and learner support system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In addition, the learning support system elements were derived by analyzing learners needs. Second, according to the stage of team development reached, a support period that can support the learning community effectively was derived. Third, a support area was derived to support learners in various ways. Fourth, an initial learning community support system was developed, and two rounds of expert Delphi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first draft of the support system model. Fifth, the results of a student survey were followed to verify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to which the developed support system was applied. As a result, seven general support strategies for each period, and 45 specific support strategies for each area were derived. Practitioners in college would be expected to utilize the learning community support system model suggested by this study as a holistic reference offering clear guidelines as to when and how to intervene in each period to improve students’ teamwork competency.

      • KCI등재

        플립드러닝형 대학 수업에서 사전학습과 수업참여와의 관계: 소집단 토의 발화 분석을 중심으로

        김민성(Kim, Minseong),이지은(Lee, Jieun),김규은(Kim, Gyueun),김유경(Kim, Yugye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형 대학수업의 맥락에서 학습자의 사전학습과 수업참여와의 관계를 소집단토의활동에서 이루어지는 개별 학습자의 발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전학습의 정도는 해당 강좌에서 실시된 퀴즈점수로 측정되었으며, 소집단토의 참여도는 개별 학습자의 발화빈도와 발화량, 평균발화량, 그리고 발화내용분석에 기반한 발화유형별 발화빈도와 발화량으로 측정되었다. 먼저 학생들의 소집단토의 참여양상을 살펴본 결과, 소집단토의에서 개별 학생의 평균 발화빈도는 37.69회, 토의 전체에서 발화한 총량은 평균 286.06단어, 1회 발화당 평균발화량은 7.07단어였다. 발화빈도가 높은 발화유형은 정교화, 진행/관리, 반응, 논증/종합, 의견진술의 순이었다. 발화량에서는 정교화의 발화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논증/종합, 의견진술, 진행/관리, 반응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전학습정도는 발화빈도, 평균발화량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의견진술, 논증/종합, 반응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정교화와 진행/관리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사전학습정도와 소집단토의 참여빈도 및 발화내용 간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집단토의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고 소집단토의가 수업내용에 기반하여 충실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전학습에 대한 효과적인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lass learning and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a flipped classroom in a college. The degree of pre-class learning was measured by the average quiz scores of the learners. The individual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small group discussion was calculated by the learner"s utterance frequency, utterance length in words, and the average utterance length in words. The mean frequency of each learner"s utterance was 37.69. The total length of utterance was 286.06 words, an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per utterance was 7.07 words. Categories were identified based on content analysis of the utterances. The categories from the highest to lowest frequency were elaboration, leading/management, response, rationale/synthesis, and opinion presentation. In terms of the length of utterance, elabor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ationale/synthesis, opinion presentation, leading/management, and response. The degree of pre-class lear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utterances and the average length of utterances. More specifically, the degree of pre-class learn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pinion presentation, rationale/synthesis, and respons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egree of pre-class learn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 learner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s well as to the content of the utterances in small group discu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ffective design for pre-class learning in a flipped classroom is critical to facilitate learners" participation in small group discussions and to ensure quality of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플립드러닝과 팀기반학습을 통합한 대학수업에서 사전학습과 팀활동 참여와의 관계

        이지은 ( Jieun Lee ),김민성 ( Minseong Kim ),김유경 ( Yugyeong Kim ),김규은 ( Gyueu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플립드러닝과 팀기반학습 모형을 통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자의 사전학습과 개별 학습자의 참여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사전학습은 개별 학습자의 퀴즈점수로 측정되었고, 학습자의 팀활동 참여는 팀준비도확인테스트(tRAT) 활동에서 나타난 개별 학습자의 발화빈도, 발화량, 발화유형별 발화빈도와 발화량으로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tRAT에서 개별 학생의 발화빈도는 평균 25.3회, 발화량의 평균은 약 111단어로 비교적 활발한 참여가 관찰되었다. 학생 당 1회 발언의 평균발화량은 3.9단어로 짧은 편이었다. 발화빈도가 가장 높았던 발화유형은 진행/관리, 의견/근거, 정서교류 순이었고, 발화량이 가장 높았던 유형은 진행/관리, 의견/근거, 심층논의 순이었다, 사전학습수준과 발화빈도, 발화량, 평균발화량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발화유형별로는 사전학습과 의견/근거, 심층논의, 추임새의 빈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사전학습이 충실하게 이루어질수록 tRAT에서 발화빈도나 발화량이 많아지며, 근거에 기반한 의견제시, 깊은 이해를 위한 질문이나 다른 관점 제시,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호응하는 발화의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플립드러닝과 팀기반학습의 주요 교실활동인 팀활동의 질을 확보하고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사전학습을 위한 콘텐츠의 효과적인 설계와 사전학습을 촉진하는 수업전략과 더불어 사전학습과 팀활동의 밀접한 연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re-class learning and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college class integrating flipped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model. Pre-class learning was measured by learner's quiz score, and participation was calculated by each learner's utterance in team readiness assurance test(tRAT). The mean frequency of utterances of individual students was 25.3 times, and the average amount of utterance was about 111 words. The average amount of utterance per turn taking was 3.9 words. Categories were identified based on content analysis of the utterances. The most frequent types of utterance were discussion leading/management, opinion/rationale, and emotional exchange. In terms of the length of utterance, discussion leading/managemen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opinion/rationale, and in-depth discussion. The degree of pre-class lear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utterances, length of utterances, and the average length of utterances. By type of utteranc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class learning and opinion/rationale, in-depth discussion, and active re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ffective design for pre-class learning in a flipped classroom and TBL is critical to facilitate learners' participation in team activities to ensure quality of learning.

      • KCI등재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노인복지서비스 효율성 평가

        어유경(Eo, Yugyeong),최지민(Choi, Jimin),김순은(Kim, Soon Eun) 서울행정학회 2015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현재의 복지서비스 효율성 평가 방식이 지방정부의 복지서비스 효율성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접근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공급자관점, 현 이용자 중심의 지표 등 기존의 효율성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표에 더하여 접근성을 고려한 지표를 성과평가에 반영한 뒤 접근성과 지역 내 고령자 문제와의 관련성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접근성은 기존 산출물과 다른 차원의 성격을 지녔으며, 이것을 산출물로 고려하자 기존 방식에서는 확인하지 못했던, 고령자 문제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는 시설 확충과 같은 가시적인 산출물뿐만 아니라 이것에 실제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력 역시 복지 서비스의 산출물로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뜻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current efficiency evaluation methods are appropriate for evaluating the welfare servic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We suggest that the concept of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as an output of welfare services. For this purpose, we added an accessibility index to the provider or user-based output elements which are generally used in the extant liter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output elements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is then examined in Seoul. The analysis results reveal accessibility t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xisting measured outputs. When considering accessibility as an output, we found it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 decrease in problems in elderly welfare services, a result which cannot be found in the efficiency evaluation results alone. This result means that efforts to help people access welfare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output along with physical outputs such as welfar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