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빈도해석을 이용한 경상북도 지역 홍수피해액 산정에 관한 연구

        옥영석(Oak Youngsuk),정민수(Jeong Minsu),이영근(Lee Youngkune),이철희(Lee Chulhee)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한 빈도별 홍수피해액을 산정하였다. 홍수피해액을 추정하기 위한 입력 자료는 경상북도 지역의 22개 시군별로 가공되어진 홍수피해액(1971~2010년) 자료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빈도분석에는 경험적 빈도해석 (Empirical Frequency Analysis, EFA) 및 damage Frequency Assessment(DFA) 기법을 적용하였다. 두 방법을 적용하여 빈도분석을 수행한 결과 DFA를 적용시 결정계수가 평균 0.08 정도 상향되었으며, 이에 따른 홍수피해액도 50년 및 100년 빈도에서 각각 15%, 16% 의 상향된 결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stimated the flood damage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e input data for estimating were used flood damage data from 1971 to 2010 of county and city hall in Gyeongbuk province. For frequency analysis, Empirical Frequency Analysis and Damage Frequency Assessment (DFA)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two method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found to be 0.08 higher when applying DFA. In DFA, the flood damage ratio was 15% higher at the 50-year frequency and 16% higher at the 100-year frequency.

      • KCI등재

        지역별 제설 시나리오 응원체계 구축연구

        Kim, Heejae,Oak, Youngsuk,Kim, Geunyoung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2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로 인한 고위도 북반부에 폭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폭설로 발생하는 피해액은 국내 자연재해 피해액 중 높은 실정이다. 자연재해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2005년, 2011년 강릉 및 포항 지역에서 폭설로 인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며, 도로 제설업무 수행요령안(안)이 개정되었다. 제설방법론과 지역별 장비보유량 및 제설담당구간이 국도별로 분류가 되어있지만, 인근 시 군별 응원체계 구축은 분류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만, 자체 제설이 불가능할 경우 군부대 및 인근 사무소에 지원 및 협조 요청이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설재난 발생 시 대설재난 유형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나리오별 지역특성을 고려한 대응체계 및 응원체계 구축하는 연구를 하였다. 시나리오 도출을 위해 지역별 일 강설데이터와 재해연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유사 과거사례를 비슷한 패턴으로 분류하여 재설 GIS지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대설재난 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5단계의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지역별 제설응원체계를 구축하였다. 5단계의 시나리오는 전국(1단계), 수도권 충청권(2단계), (3단계), 영동권 호남권(4단계), (5단계)로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그에 따른 인근 시 군 제설 응원체계 구축을 제시하였다. Because of abnormal weather, a heavy snow on the Northern latitudes occurs frequently. This has resulted in significant damage and recovery costs. In korea, it has been declared a special disaster area due to heavy snowfall in Gangneung and Pohang 2004, 2005 and 2011, so there was a revision of action instruction for the road snow removal. Although, in our current system, snow removing methodology, regional equipment holdings, and snow responsible interval, respectively, has been classified by the National Highway, near cities and provinces support system not yet prepared. Only, if snow removing is not possible within the region itself, which contained the contents of "support and assistance to military or nearby offices requests". In this thesis, we studied the disaster scenario development according to heavy snow and the response and support system to the features of each regional. For the scenario deduction, we preferentially collected day snowfall and disaster yearbook data to regionals, classified similar pattern and plotted GIS snow map. We also classified heavy snow disaster by region and type and we deduced five-step scenario. The five-step scenario is nationwide(1st-stage), the National Capital region(2nd-stage), the Chungcheong Provinces(3rd-stage), the Kangwon province(4th-stage) and the Ch?l a provinces(5th-stage). Therefore we build near provinces support system according to five-step scenario.

      • KCI등재

        지역별 제설 시나리오 응원체계 구축연구

        Heejae Kim,Youngsuk Oak,Geunyoung Kim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2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로 인한 고위도 북반부에 폭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폭설로 발생하는 피해액은 국내 자연재해 피해액 중 높은 실정이다. 자연재해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2005년, 2011년 강릉 및 포항 지역에서 폭설로 인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며, 도로 제설업무 수행요령안(안)이 개정되었다. 제설방법론과 지역별 장비보유량 및 제설담당구간이 국도별로 분류가 되어있지만, 인근 시·군별 응원체계 구축은 분류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만, 자체 제설이 불가능할 경우 군부대 및 인근 사무소에 지원 및 협조 요청이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설재난 발생시 대설재난 유형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나리오별 지역특성을 고려한 대응체계 및 응원체계 구축하는 연구를 하였다. 시나리오 도출을 위해 지역별 일 강설데이터와 재해연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유사 과거사례를 비슷한 패턴으로 분류하여 재설 GIS지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대설재난 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5단계의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지역별 제설응원체계를 구축하였다. 5단계의 시나리오는 전국(1단계), 수도권·충청권(2단계), (3단계), 영동권·호남권(4단계), (5단계)로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그에 따른 인근 시·군 제설 응원체계 구축을 제시하였다. Because of abnormal weather, a heavy snow on the Northern latitudes occurs frequently. This has resulted in significant damage and recovery costs. In korea, it has been declared a special disaster area due to heavy snowfall in Gangneung and Pohang 2004, 2005 and 2011, so there was a revision of action instruction for the road snow removal. Although, in our current system, snow removing methodology, regional equipment holdings, and snow responsible interval, respectively, has been classified by the National Highway, near cities and provinces support system not yet prepared. Only, if snow removing is not possible within the region itself, which contained the contents of "support and assistance to military or nearby offices requests". In this thesis, we studied the disaster scenario development according to heavy snow and the response and support system to the features of each regional. For the scenario deduction, we preferentially collected day snowfall and disaster yearbook data to regionals, classified similar pattern and plotted GIS snow map. We also classified heavy snow disaster by region and type and we deduced five-step scenario. The five-step scenario is nationwide(1st-stage), the National Capital region(2nd-stage), the Chungcheong Provinces(3rd-stage), the Kangwon province(4th-stage) and the Chŏlla provinces(5th-stage). Therefore we build near provinces support system according to five-step scenario.

      • SCOPUSKCI등재SC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