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목표이탈에 대한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과 능력 및 흥미고정신념의 상호작용 효과

        정윤경(Chung, Yoonkyu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3

        진로목표이탈은 목표추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마주할 수 있는 과정이지만 그동안 진로목표이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진로목표이탈과 부정적인 피드백(목표적합성, 목표진행, 개선필요)의 관계가 인간의 내적특성이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인 고정신념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고정신념은 능력과 흥미 각각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대학에 재학 중인 340명의 설문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능력고정신념과 흥미고정신념은 다소 작은 상관 크기를 보였다(r = .23). 또한 능력고정신념은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 및 진로목표이탈과 모두 정적상관을 이룬 반면, 흥미고정신념은 유의한 상관을 이루지 않거나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능력과 흥미고정신념의 독립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로목표이탈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와 관련해서는 목표적합성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구인에서 능력고정신념과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즉, 현재 진전된 상태가 그들의 목표를 이루는데 충분치않다는 피드백을 인식할수록(목표진행), 혹은 목표를 진전시키기 위해 무슨 일을 해야 할지 주변사람들로부터 적절한 조언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개선필요), 능력고정신념이 높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진로목표에서 이탈할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과 흥미고정신념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대학생의 발달적 특징을 반영한 결과로 보이며 이를 토대로 진로상담에서 대학생의 진로목표이탈을 이해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career goal disengagement despite its prominent impact on career-related decision-making process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role of negative career feedback (i.e., goal suitability, goal progress, and improvement needed) on career goal disengagement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entity belief, which assumes that one’s attributes would not change. We separately assessed entity belief for career-related ability and career-related interest. The responses of 340 undergraduates showed a small correlation between entity belief for ability and interest (r =. 23). In addition, entity belief for abil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oth negative career feedbacks and goal disengagement, whereas entity belief for interest showed no correlation or negative correlations, confirming their independenc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career goal disengagement were found between entity belief for ability and negative career feedback except for goal suitability. That is, the more strongly undergraduates perceive through negative career feedback that their progress is insufficient to achieve their goal, or that they are not receiving adequate advice from significant others on what to do to advance their goals, the more likely students with high entity belief for ability were to disengage from their career goals than were those with low entity belief.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negative career feedback and entity belief for interes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s, and based on this, a future study is planned to clarify their career disengagement.

      • KCI등재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성적이 기대와 과제가치, 과제비용을 어떻게 예측하는가?: 수학과 영어교과에서의 영역비교이론 검증

        정윤경(Chung, Yoonkyung),송주연(Song, Juye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4

        영역비교이론에 의하면 학생들은 특정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을 형성할 때 해당교과의 성적 외에도 다른 교과의 성적을 함께 비교한다. 최근 영역비교이론에 대한 연구는 자아개념 외에 다른 동기구인에도 적용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 영역비교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여자중학생 648명의 학교수학성적과 영어성적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각 교과에서 성공기대와 과제가치(내재가치, 미래유용가치, 현재유용가치), 과제비용(노력비용, 정서비용, 기회비용)에 대한 영역비교 효과를 검증하였다. 수학성적과 영어성적이 수학과 영어에서의 기대나 과제가치, 과제비용을 예측하도록 설정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각 성적이 타 교과의 결과변인들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영역비교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각 성적은 대체로 동일 교과 내에서의 결과변인을 예측하였다. 해당 결과를 보다 면밀히 살펴보기 위해 수학성적과 영어성적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영어성적이 높은 학생들은 수학성적이 좋을수록 영어교과에 대한 효능감과 유용가치는 높게, 기회비용은 낮게 인식하였다. 반면, 영어성적이 낮은 학생은 수학성적이 좋아질수록 영어에 대한 효능감과 유용가치를 낮게 인식하고 기회비용은 높게 인식하였다. 이는 성취수준에 따라 교과 간 영역비교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과 영어성적에 대한 여자중학생들의 인식을 국내 교육환경의 특징에 기초하여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영역비교 효과를 검증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동시에 표본의 대표성이 부족하므로 관련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dimensional comparison theory(DCT) assumes that students’ self-concept in a specific domain is influenced by their domain-specific achievements and comparisons among different domains. Recent studies on the DCT reveal that its effects can be extended to other motivational constructs besides self-concept. However, it has not been verified for Korean students. Thu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mensional comparison affects expectancy, task values (intrinsic value, utility value for future, utility value for present), and costs (effort cost, emotional cost, opportunity cost) in math and English domains. When analyzing the responses of 648 middle school girls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which achievements were hypothesized to predict motivational constructs (i.e., expectancy, task values, and costs) in math and English domain, dimensional comparison effects were not found. Instead of the achievement in one domain negatively predicting motivational outcomes in another domain, each achievement generally predicted outcome variables within the same domain.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math and English achievement were also observed. Students with high scores on English perceived that the higher the math score, the higher the efficacy and utility value and lower the opportunity cost of the English domain. On the other hand, students with low scores on English perceived that the higher the math score, the lower the efficacy and utility value and higher the opportunity cost of the English domain. Therefore, the pattern of DCT may vary depending on the achievement level. Based on the unique features of domestic educational environments, Korean middle school girls’ perceptions of math and English achievem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능력증명 수행목표와 규준지향 수행목표 구분에 의한 학습동기의 이해

        정윤경(Chung, Yoon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9 No.4

        성취목표이론에서 수행접근목표의 본질을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최근 수행접근목표가 학습동기에 대해 적응 및 비적응의 이질적 연구결과를 보이는 주원인으로 수행접근목표의 이론 및 조작적 정의의 불일치가 지목되고 있다. 대부분의 성취목표 연구에서 자신의 능력을 남들에게 증명하려는데 주목적이 있는 능력증명 수행목표와 남들보다 잘하는 것에 초점을 둔 규준지향 수행목표가 서로 구분되지 않고 혼용되었기 때문에 수행접근목표에서 불일치한 결과가 야기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능력증명 수행목표와 규준지향 수행목표가 성취목표의 서로 다른 이론적 정의를 차용하고 있다고 보고, 성취목표의 발전방향을 바탕으로 각각의 개념 및 조작적 정의가 어떻게 다르게 구성되어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능력증명 및 규준지향 수행목표의 학습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기제의 차이를 자기가치와 연계하여 고찰한 후 인지, 정서, 행동, 그리고 학업성취 측면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특징적인 동기양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능력증명과 규준지향의 의미를 구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수행목표의 본질을 대변하는 구인은 과연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에게 어떠한 성취목표를 고취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In the achievement goal literature, the effects of performance goals have long been the unsettled issue in terms of whether they should be viewed as adaptive or maladaptive form in academic motivation. The recent research reports that the inconsistent effects of performance goals are partly derived from their conceptual divergences between ability validation and normative comparison as well as th eir intermixed usages in the achievement goal research. Therefore, I primarily ai m to identify how ability validation- and normative comparison-performance goals take the different conceptual definition throughout the achievement goal history. Based on this, I demonstrate that distinctive psychological mechanism takes place under the two different type s of performance goals in relation with their relative importance of self- worth and that they would function unevenly on students' cognition, affect,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istinction of ability validation from normative comparison within performance goals can address the nature of performance goals, and further give an insight in improving students' motivation within the achievement goal theory framework.

      • KCI등재

        예비교사의 교직노력계획과 전공노력에 대한 교직선택 동기의 역할

        정윤경(Chung, Yoonkyung),김상연(Kim, Sangyun),신주연(Shin, Joo Y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교직선택 동기에 대한 FIT-Choice 모델은 기존에 산발적으로 조사되던 다양한 측면의 교직선택 동기를 기대-가치 이론에 근거하여 하나의 모델로 구성했다는데 이점이 있다. 이 연구는 해당 모델에 대한 척도를 활용하여 양성과정에 있는 예비교사들의 교직선택 동기의 수준을 살펴본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다양한 하위요소로 이루어진 교직선택 동기가 앞으로의 교직노력계획 및 현재의 전공노력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범대와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187명의 학생의 설문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내재가치와 학습자 미래설계, 선 교수학습경험, 교수능력, 직업 안정성이 교사 진로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되는 동기로 나타났다. 한편, 내재가치와 사회 유용가치를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 학생들이 이후 교사가 되었을 때 전문성 개발을 위해 교직에 많은 노력을 쏟을 계획이었으며 교직에 장기간 봉직할 것을 강하게 확신하였다. 또한 교직선택 시 주변의 영향을 크게 받은 학생들은 어려움을 겪을수록 전공에 대한 노력을 철회하였고 이와 반대로 사회 유용가치를 강하게 인식하는 학생들은 전공 공부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성 프로그램에서 교직선택 동기가 가지는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Factors Influencing Teaching-Choice Model(FIT-Choice) has considered the various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s for choosing teaching as a career in a systemic manner based on expectancy-value theory. Using the scale for the FIT-Choice Model,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s for choosing teaching and to investigate how these motivations predict their planned effort in the future and effort towards their current major. Responses of 187 students attending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vealed that intrinsic values, values for shaping future of children, prior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perceived teaching abilities, and job security listed high in rank as reasons for choosing teach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lso revealed that students planned to exert more efforts and stay longer in a teaching career as they perceived higher intrinsic value and social utility value by doing so. In addition, as students perceived fewer social influences but more social utility values, they were likely to exert more efforts on studying their major despite difficult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various teaching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고정신념의 상승효과

        정윤경(Chung, Yoonkyung),김동심(Kim, Dong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이 연구의 목적은 취업스트레스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진로고정신념을 새롭게 도입 하여 이의 예측력을 알아보고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가 진로고정신념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2017년 가을에 수도권 A대학에 재학 중인 26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3단계로 이루어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는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이, 2단계는 진로고 정신념이, 3단계는 진로고정신념과 나머지 예측변인간의 상호작용항이 투입되었다. 그 결과,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이 취업스트레스를 예측한 후에도 진로고정신념의 부가적인 정적 예측력이 나타났다. 또한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고정신념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진로준비행동에 깊게 관여하는 대학생들이 진로고정신념을 강하게 가질수록 진로고정신념이 약한 학생들에 비해 취업 스트레스를 크게 지각하였다. 셋째, 진로준비행동과는 다르게 진로결정과 취업스트레 스의 관계에서 진로고정신념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취업스트레 스를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진로고정신념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 하고 그 중요성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predictive utility of career destiny belief in job-seeking stress and whether the rol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in job-seeking stress would change depending on the levels of career destiny belief in undergraduates. For this, we conducted a survey of 260 students who attends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in fall of 2017 and employed a three-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first step,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were entered. Career destiny belief was entered in the second step and interaction terms with career destiny belief and each predictor were followed for the third ste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areer destiny belief showed an additional positive prediction to job-seeking stress even after the predictions fro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were controlled. Next, career destiny belief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seeking stress. The strong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stiny belief of university students, the greater the tendency for increases in job-seeking stress. However, career destiny belief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and job-seeking stress. This study signifies career destiny belief in the career domain and provides basic idea for managing job-seeking stress in undergraduat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하는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업동기 및 노력,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정윤경(Chung, Yoonky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3

        학업영역에서 나타나는 미래지향시간관의 동기적 효과에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동기 과정을 설명하려는 노력은 크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학기 초에 측정한 중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이 수학, 영어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또한 상기의 인지적 구인이 학기 중반의 노력과 학기 말의 학업성취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여자중학교 1, 2, 3학년에 재학중인 648명의 학생들의 응답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지각하는 미래지향시간관은 자기효능감과 숙달목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수행접근 및 회피목표는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학기 중반의 노력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예상과는 달리 학업성취에 대한 미래지향시간과의 직접적 예측력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앞서의 동기구인을 거쳐 노력을 예측하고, 이는 다시 학업성취로 이어지는 간접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래지향시간관과 관련한 동기과정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Despite the positive role of future time perspective on academic outcomes, no effort has been made to explain its motivational processes.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future time perspective assess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predict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for Math and English in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the aforementioned cognitive constructs predict effort during semester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end of the semester. When we analy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responses of 648 students attending at girls’ junior high school, the perceived future time perspective positively predicted self-efficacy and mastery goals, and negatively predicted performance-approach and -avoidance goals. It also positively predicted effort at mid-semester. Unexpectedly, no significant path was appear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future time perspective, but an indirect path was identified linking them via self-efficacy, mastery goals and effort. This study expanded the discussion on the motivational processes related to future time perspective.

      • KCI등재

        교양수업 수강생의 자기탐색행동과 삶의 만족에 대한 예측요인 탐색: 기대-가치 이론을 중심으로

        정윤경 ( Chung Yoonkyung ),정연재 ( Jeong Yeonja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적응적인 삶의 지표라 할 수 있는 자기탐색행동과 삶의 만족에 대한 예측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기대, 가치, 비용인식과 노력지속 및 자기탐색행동, 삶의 만족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기대, 가치, 비용인식이 수업에서의 노력을 통해 자기탐색행동 및 삶의 만족을 예측하는지 여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대학생 492명을 대상으로 학기 초에 교양수업에 대한 기대, 가치, 비용인식을 측정하고 학기 말에 나머지 변인들을 측정한 결과, 교양수업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학생들의 기대는 자기탐색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수업에서 배우는 내용에 대한 가치인식은 노력지속을 통해 삶의 만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수업에 대한 비용인식은 결과변인을 모두 예측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자기탐색행동과 삶의 만족 향상에 있어서 교양교과가 지니는 함축적 의미를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factor of undergraduates’ self-exploration and life satisfaction, which represent their adaptive lives.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ncy, value, cost perception, effort regulation, self-explor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s who take liberal arts course. In particular, mediating effects of effort regulation were tested between expectancy-value-cost perception and self-exploration, and life satisfac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his end, we measured undergraduates’ expectancy-value-cost perceptions of liberal arts course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measured the remaining variables at the end of the semester. When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492 undergraduates, their expectancy for success in a liberal arts course in the early semester positively predicted self-exploration. Unlike expectancy, undergraduates’ value perception in the liberal arts course positivel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only via effort regulation. Meanwhile, cost perception did not predict any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liberal arts courses for undergraduates’ self-exploration and life satisfac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정윤경(Yoonkyung Chung),이지수(Jeesoo Lee),안현선(Hyun Seon Ah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의 초등학교 패널 1차년도에서 6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5차년에 이르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의 종단적 변화를 추정하고 이러한 변화가 6차년도에 측정된 학업참여와 학업성취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4학년 때 높은 수준의 부모지지, 진로성숙도를 지각할수록 중학교 3학년 때 학업참여를 잘하며 진로성숙도의 경우 높은 학업성취도 예측하였다. 또한 부모지지, 교사지지, 그리고 진로성숙도 모두 학년 증가에 따라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지만, 부모지지와 진로성숙의 경우 천천히 감소하는 것이 차후 학업참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성숙도는 부모 및 교사지지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 간에 매개효과를 보였다. 특히, 교사지지의 경우 학생들의 진로성숙을 통해서만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진로발달의 전초단계에 있는 아동기부터 성장시기의 청소년기 진로관련 인식과 태도 및 가치관 형성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환경 요인들을 규명하여 성장 시기별 적절한 진로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longitudinal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and their roles in predicting subsequ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Six waves(Grade 4 ~ 9; N = 5297) of data from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were analyzed vi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LGM). Results revealed, first, that students’ initial levels of their perceptions on parent support and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ed their academic engagement in Grade 9. Particularly, students’ initial levels of career maturity turned out to be a positive predictor of their subsequent academic achievement, supporting our hypothesis that career maturity would have positive long-term influences on academic-related outcomes. Second, student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However, the more slowly students’ perceptions of parent support and career maturity decreased, the better academic engagement did they show in Grade 9. Finally,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mediated the predictive relations from social support to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Importantly, changes in teacher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d subsequ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only through career maturity. Th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better understanding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strongly affect adolescents’ career maturit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