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lish printed book and the development of Polish spelling system

        Tomasz Lisowski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1

        폴란드가 A.D.966년 라틴 기독교 문화를 받아들였을 때, 폴란드 문화는 서유럽 문명 사회의 일원이 되었다. 폴란드인들이 라틴 알파벳을 받아들였으나 당시 폴란드어의 풍부한 음운적인 체계를 표현하기엔 적절치 못했다. 중세를 거쳐 16세기 초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면서 폴란드어 철자의 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simple spelling, complex spelling, diacritical spelling, 새로운 문자를 소개함으로써 철자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 16세기 초 폴란드어 인쇄물이 대중화되고 발행인들이 철자 체계를 억지로 규범화시킨 결과 1521년과 1522년 크라쿠프에서 인쇄된 책들은 두 가지의 경쟁적인 철자 체계를 나타냈다. 하나는 Hieronim Wietor의 인쇄소에서 받아들인 것과 다른 하나는 Jan Sandecki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두 체계는 현대 폴란드어 철자 체계의 기초를 만들었으나 주로 1521, 1522년 Hieronim Wietor인쇄소에서 발행된 텍스트에 의해 그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When Poland accepted Latin Christianity in A.D. 966, the Polish culture became a part of Western European civilisation. Poles adopted the Latin alphabet which was, however, inadequate for representing the rich phonological system of the Polish language of that time. Throughout the Middle Ages and until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efforts were made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Polish spelling (through stages of simple spelling, complex spelling, diacritical spelling, supplementing the spelling pool by introducing new letters).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saw the popularisation of Polish printed books, which forced publishers to standardise their spelling system. As a result, books printed in 1521 and 1522 in Cracow demonstrate two competitive spelling systems, the system applied in the printing house of Hieronim Wietor and the system put forward by Jan Sandecki. These two systems make up the foundations of the contemporary spelling system of the Polish language which, however, mostly uses solutions suggested in the system of the printing house of Hieronim Wietor.

      • 폴란드어 인쇄물과 폴란드어 철자 체계의 발전

        Tomasz Lisowski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1

        When Poland accepted Latin Christianity in A.D. 966, the Polish culture became a part of Western European civilisation. Poles adopted the Latin alphabet which was, however, inadequate for representing the rich phonological system of the Polish language of that time. Throughout the Middle Ages and until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efforts were made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Polish spelling (through stages of simple spelling, complex spelling, diacritical spelling, supplementing the spelling pool by introducing new letters).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saw the popularisation of Polish printed books, which forced publishers to standardise their spelling system. As a result, books printed in 1521 and 1522 in Cracow demonstrate two competitive spelling systems, the system applied in the printing house of Hieronim Wietor and the system put forward by Jan Sandecki. These two systems make up the foundations of the contemporary spelling system of the Polish language which, however, mostly uses solutions suggested in the system of the printing house of Hieronim Wietor. 폴란드가 A.D.966년 라틴 기독교 문화를 받아들였을 때, 폴란드 문화는 서유럽 문명 사회의 일원이 되었다. 폴란드인들이 라틴 알파벳을 받아들였으나 당시 폴란드어의 풍부한 음운적인 체계를 표현하기엔 적절치 못했다. 중세를 거쳐 16세기 초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면서 폴란드어 철자의 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simple spelling, complex spelling, diacritical spelling, 새로운 문자를 소개함으로써 철자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 16세기 초 폴란드어 인쇄물이 대중화되고 발행인들이 철자 체계를 억지로 규범화시킨 결과 1521년과 1522년 크라쿠프에서 인쇄된 책들은 두 가지의 경쟁적인 철자 체계를 나타냈다. 하나는 Hieronim Wietor의 인쇄소에서 받아들인 것과 다른 하나는 Jan Sandecki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두 체계는 현대 폴란드어 철자 체계의 기초를 만들었으나 주로 1521, 1522년 Hieronim Wietor인쇄소에서 발행된 텍스트에 의해 그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 The Beginning of the typographical era in Poland

        Tomasz Lisowski(토마쉬 리솝스키)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2

        1450년 구텐베르그에 의해 발명된 금속활자는 25년이 지난 후에야 폴란드 땅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그 당시, 즉 1475년에 폴란드 서부의 브로츠와프(Wrocław) 지역에서 짧고 간략하지만 폴란드어로 된 최초의 인쇄본이 간행되었다. 그렇지만 폴란드 문화에서 본격적인 인쇄기술이 활성화되고, 이른바 근대 인쇄술의 혁명이라고 일컬어지는 ‘구텐베르크 은하수’의 직접적인 영향권 아래 들어가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수 십 여 년의 세월이 흐른 뒤였다. 1521년과 1522년에 당시 폴란드의 수도였던 크라쿠프(Karków)에서는 두개의 인쇄소가 여섯 권의 책을 출간하며 경쟁 관계에 있었다. 하나는 히에로님 비에도르(Hieronim Wietor)의 인쇄소였고, 다른 하나는 플로리안 웅글레르(Florian Ungler)의 인쇄소였다. 이들 인쇄소는 여성을 포함하여 라틴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문법이나 철자에 있어서 통일성을 기해야만 했고, 보다 향상된 기술의 정확하고 꼼꼼한 편집이 요구될 수밖에 없었다. 히에로님 비에토르 인쇄소와 함께 일했던 코쉬체(Koszyce) 출신의 얀(Jan)과 비엘루인(Wieluń) 출신의 히에로님 스비친스키(Hieronim Spiczyński), 그리고 플로리안 웅글레르 인쇄소에 소속되어 있었던 얀 산데츠키 말레츠키(Jan Sandecki Malecki) 등이 이 어려운 임무를 맡아서 수행했다. 까다롭고 복잡한 편집 공정을 수행하면서 그들은 두 개의 경쟁적인 언어 표준화 시스템을 만들어냈다. 그 중에서도 히에로님 비에토르 인쇄 기술팀에서 만들어낸 시스템은 폴란드의 철자 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여했으며 오늘날까지도 기본적인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비단 16세기 폴란드어의 표준화에만 기여한 것이 아니라 16세기 초부터 1770년대까지 지속되었던 중세 폴란드어 전반에 걸친 표준화를 이룩해 냈던 것이다 The printing technology invented by Gutenberg about 1450 reached Polish lands about 25 years later. In 1475, a first short Polish text was printed. However, the actual typographical era in the Polish culture – setting a new scene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in the Gutenberg Galaxy – started over forty years later. In 1521 and 1522, two competing publishing houses in Cracow managed to publish 6 titles in Polish. The books were addressed to readers not familiar with Latin, including women. This is why the texts required advanced editorial effort, in order to eliminate their spelling and grammatical diversity. This difficult task was bestowed in the hands of Jan of Koszyce and Hieronim of Wieluń (Spiczyński), related to the publishing house of Hieronim Wietor, and Jan Sandecki (Malecki), cooperating with the competing publisher Florian Ungler. The laborious editorial efforts made these editors develop two competing sets of language standardization norms. The norms developed by Wietor’s team lay foundations for the spelling system of Polish, whose basic assumptions have survived until the present day. Not only did these norms set the direction of the standardization of the Polish language in the 16th century, but also over the whole Middle Polish period, which lasted from the early 16th century until the 1770s.

      • KCI등재

        Grafizacja polszczyzny u progu ery typograficznej (lata 1521 i 1522) - między konwencją a kreacją

        Tomasz Lisowski 한국슬라브어학회 2015 슬라브어연구 Vol.20 No.2

        Graphization besides intellectu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is one of the most crucial factors influencing developing of a standard language. Beginnings of the long-drawn-out process of graphization of Polish date back to year 1136. Rules of the adaptation of the Latin alphabet to the phonetics (phonology) requirements of the Polish language of the Old Polish era that ended in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evolved and were characterized by a great degree of variation. Yet an appearance of the printed book, that was considered as a good for sale, forced into developing the graphic system being characterized by a possibly great degree of standardization. A spelling system, conceived by editors working for the Hieronim Wietor's printing house In years 1521 and 1522, on the threshold of the Polish typographical era, was a compromise between modern solutions (Latin letters modified with diactritics, e.g. ę, ą, ó, ś, ż, ł) and traditional solutions derived from manuscripts (digraphs, e.g. cz, dz, rz). The main ideas of the Hieronim Wietor's publishing house spelling system are in force until today.

      • The Captive Mind? On the language of advertising in Poland in 1998 – 2001

        Tomasz Lisowski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1

        The present article constitutes an attempt at pointing out the genetic similarity between the language of Polish political propaganda in the totalitarian regime times (newspeak) and the language of Polish advertising messages. Recently, some 10 years after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regime in Poland, we have witnessed a resurgent trend of subjecting the society at large to an ever increasing number of persuasive messages. Polish society, resistant to the communist indoctrination and insensitive to the propaganda of success of the 1970s, has suddenly lapsed to, once again, live in a totalitarian reality that follows from the emergence of a free market economy. To live in a world ruled by the principle – I consume, therefore I am, or rather – the more I consume, the more I am. The present article presents a linguistic analysis of a number of Polish advertising messages from the 1998 – 2001 period

      • 폴란드 활판 인쇄술 시대의 태동

        Tomasz Lisowski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2

        1450년 구텐베르그에 의해 발명된 금속활자는 25년이 지난 후에야 폴란드 땅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그 당시, 즉 1475년에 폴란드 서부의 브로츠와프(Wrocław) 지역에서 짧고 간략하지만 폴란드어로 된 최초의 인쇄본이 간행되었다. 그렇지만 폴란드 문화에서 본격적인 인쇄기술이 활성화되고, 이른바 근대 인쇄술의 혁명이라고 일컬어지는 ‘구텐베르크 은하수’의 직접적인 영향권 아래 들어가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수 십 여 년의 세월이 흐른 뒤였다. 1521년과 1522년에 당시 폴란드의 수도였던 크라쿠프(Karków)에서는 두 개의 인쇄소가 여섯 권의 책을 출간하며 경쟁 관계에 있었다. 하나는 히에로님 비에도르(Hieronim Wietor)의 인쇄소였고, 다른 하나는 플로리안 웅글레르(Florian Ungler)의 인쇄소였다. 이들 인쇄소는 여성을 포함하여 라틴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문법이나 철자에 있어서 통일성을 기해야만 했고, 보다 향상된 기술의 정확하고 꼼꼼한 편집이 요구될 수밖에 없었다. 히에로님 비에토르 인쇄소와 함께 일했던 코쉬체(Koszyce) 출신의 얀(Jan)과 비엘루인(Wieluń) 출신의 히에로님 스비친스키(Hieronim Spiczyński), 그리고 플로리안 웅글레르 인쇄소에 소속되어 있었던 얀 산데츠키 말레츠키(Jan Sandecki Malecki) 등이 이 어려운 임무를 맡아서 수행했다. 까다롭고 복잡한 편집 공정을 수행하면서 그들은 두 개의 경쟁적인 언어 표준화 시스템을 만들어냈다. 그 중에서도 히에로님 비에토르 인쇄 기술팀에서 만들어낸 시스템은 폴란드의 철자 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여했으며 오늘날까지도 기본적인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비단 16세기 폴란드어의 표준화에만 기여한 것이 아니라 16세기 초부터 1770년대까지 지속되었던 중세 폴란드어 전반에 걸친 표준화를 이룩해 냈던 것이다. The printing technology invented by Gutenberg about 1450 reached Polish lands about 25 years later. In 1475, a first short Polish text was printed. However, the actual typographical era in the Polish culture – setting a new scene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in the Gutenberg Galaxy – started over forty years later. In 1521 and 1522, two competing publishing houses in Cracow managed to publish 6 titles in Polish. The books were addressed to readers not familiar with Latin, including women. This is why the texts required advanced editorial effort, in order to eliminate their spelling and grammatical diversity. This difficult task was bestowed in the hands of Jan of Koszyce and Hieronim of Wieluń (Spiczyński), related to the publishing house of Hieronim Wietor, and Jan Sandecki (Malecki), cooperating with the competing publisher Florian Ungler. The laborious editorial efforts made these editors develop two competing sets of language standardization norms. The norms developed by Wietor’s team lay foundations for the spelling system of Polish, whose basic assumptions have survived until the present day. Not only did these norms set the direction of the standardization of the Polish language in the 16th century, but also over the whole Middle Polish period, which lasted from the early 16th century until the 1770s.

      • KCI등재

        The lexis of the New Testament in the Brest Bible (1563) as compared to selected subsequent Renaissance translations of the Bible into Polish. The possible filiational relation with respect to lexis

        토마쉬 리소우스키(Tomasz Lisowski)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4 동유럽발칸연구 Vol.38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신약성서의 일부 후기 번역본과 <브레스트 성서(Brest Bible)>(1563)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어휘들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이 성서들 사이에 나타나는 계통학적이고, 어휘론적인 관계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르네상스 시대에 등장한 세 개의 신약성서 번역본을 분석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이 가운데 두 개의 텍스트 - <그단스크 신약 (Gdansk New Testament)>(1606)과 <그단스크 성서의 (Gdansk Bible) 신약본>(1632)은 개신교의 전통에 따라 번역되어졌는데, <브레스트 성서>와 교리적인 측면(성서가 유일한 믿음의 원천이라는 Sola Scriptura 원칙)에서, 그리고 철학적인 측면(Textus Receptus)라 불리는 그리스어 원전으로부터의 신약번역)에서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세 번째 분석 텍스트로는 트리엔트 공회의 추천을 받아 탄생된 라틴어 볼가타(Vulgate)를 원전으로 삼아 야쿱부옉(Jakub Wujek)이 번역하고, 예수회의 검열위원회가 주석을 달아 1599년에 출판된 <성서>의 신약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작업은 <브레스트 성서>에 나타나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들이 나머지 세 개의 번역본에서는 어떤 대응어로 사용되어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또한 <브레트스 성서>에서 사용되어진 이러한 어휘소들(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들)이 후기 르네상스에 등장한 신약 번역본들에서 사용되어진 표현들과 어휘론적으로 어떤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 집중적으로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살펴볼 때 <브레스트 성서>와 가장 밀접한 관련을 보여주는 텍스트는 <그단스크 신약>(1606)이었다. 반면에 <그단스크 성서의 신약본>(1632)은 야쿱 부옉이 번역한 <성서>와 좀 더 많은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The aim of this analysis is to establish the degree of the potential filiational lexical relation between selected biblical translations and the Brest Bible New Testament (1563) with regard to the lexis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m. Three Renaissance translations of the New Testament have been analysed in this regard; of these, two - the Gdańsk New Testament (1606) and the New Testament of the Gdańsk Bible (1632) - are in the Protestant tradition of translation, and are related to the Brest Bible both doctrinally (the Sola Scriptura principle) and philologically (translations from the Greek original of the New Testament, based on the so-called Textus Receptus). The third text analysed here is the New Testament of the Bible in Jakub Wujek’s translation as revised by a Jesuit censorship commission (the 1599 edition), based, in compliance with the recommendation of the Trent Council, on the Latin Vulgate. Here, this text is used as tertium comparationis. The analysis is a quantitative-distributional juxtaposition of autosemantic lexemes (nouns, verbs, adjectives, adverbs) contained in the lexicon of the Brest Bible against the lexicons of the other analysed translations. The analysis concerns only those lexemes common to these translations which occur in parallel biblical locations of these translations. The quantitative-distributional analysis has revealed those autosemantic lexemes in the New Testament of the Brest Bible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researching lexical affinity in the three later Renaissance translations of the Bible.

      • Ideographisation of the Polish writing system and the historical linguistic interpretation : i.e. what we know about the old Polish spelling system

        토마쉬 리소프스키(Tomasz Lisowski)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2

        이논문은문장어의최소단위인문자소(文字素) 분석방법을적용하여 폴란드의음성기호가표의문자화되는과정에대하여연구하고있다. 음성기호와 표의기호 사이의 상호의존 정도에 따라 비슷한 유형의 알파벳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단절과 충돌현상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표기법이 옛날 폴란드어의 음성 시스템과 발음의 변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있다. 표의문자로 표현된 여러 가지 언어학적 현상들을 해석하는 것은 매우 힘든일이다. 그것은16세기초에만들어진것으로추정되는최초의폴란드인쇄본들에 나와 있는 폐쇄모음의 경우에서 이미 증명되고 있다. 이들 텍스트를 살펴보면 폴란드 음표문자의 표의문자화 과정에는 외국어의 표기법과 전통적인고유한표기법으로부터골고루영향을받았으며그밖에도기술적, 경제적조건으로부터도영향받았음을알수있다. 오래된옛날필사본텍스트를 분석하는데 있어서는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Ideographisation of the Polish writing system and the historical linguistic interpretation, i.e. what we know about the old Polish spelling system The author of this article, employing graphophonemic methods, analyses the problem of ideographisation of Polish alphabetic writing, i.e. breach or violation of the interdependence between the phonic code and the graphic code typical of this type of writing, and its influence on the type of conclusions drawn about the phonetic processes and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Polish language of old time. Difficulties in the interpretation of linguistic facts stemming from ideographisation are presented using the example of graphic realisation of closed vowels in Polish early printed texts da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of the old convention determining the reference of ideographic allographs in relation to graphemes, a number of factor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cluding the influence of foreign spelling paradigms, references to the indigenous spelling tradition, technical and economic conditions. It must also be stressed thatstatistical methods prove useful in analyses of the graphic plane of old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