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기의 경산화파 예운불화 연구

        최성규 ( Choi Sung Kyu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6 종교문화비평 Vol.30 No.30

        예운상규는 경산화파의 화맥 안에서 전승되는 불화의 형식으로 작업에 임했으며 또한 전승시킨 불모(佛母)이다. 19세기 중반부터 전하고 있는 그의 불화는 1930년에까지 이르고 있다. 경산화파는 불모들의 계보 가운데 비교적 화맥이 잘 밝혀져 있고 전해지는 불화의 소재가 어느 정도 파악되어 그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대부분 사찰 불화의 수요가 그 지방 승려들에 의해 충족되었고 이에 따라서 다양한 승려가 많이 모이는 대사찰 중심으로 배출된 화승들은 자신의 출신 사찰을 중심으로 인근지역 안에서 활동함으로써 지역에 따른 화사(畵師) 집단이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화사 집단 가운데 서울·경기지역에서 활동한 화사들을 경성화파 또는 경산 화파라 부른다. 예운 불화는 조선 후기 서울·경기지역 불화와 같이 시대와 양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8세기 초와 18세기 말~19세기 초, 19세기 말로 분류하는데, 현존하는 근대기 예 운의 불화는 도상과 표현기법에 있어 다양한 경향의 불화 제작과 새로운 문물의 유입을 통한 신경향의 불화를 남기고 있다. 근대기 예운의 불화의 상당수는 서양화의 명암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스승인 응석 의 맥을 이어 새로운 도상과 구도법을 창안하였다. 서양화의 명암법을 적용해 그린 그의 불화들은 당시 후원자들로부터 상당히 인기가 있었던 듯하며 현재 전국에서 작품이 남 아 전한다. 예운은 전통 도상을 기반으로 일반 회화나 민화와 같은 각종의 회화자료, 그 리고 새로 유입된 외국의 인쇄물 등의 시각적 체험과 자료들, 당시의 풍물·풍속 등 새 로운 요소들을 수용하기 시작하는 등 끊임없이 변화를 주기위한 시도들을 하였다. 표충사 <삼세불도>처럼 원과 같은 기하학적 도형을 사용해 화면에 집중감을 주면 서도 때로는 수많은 권속들을 적절히 분류하고 구획하여 시각적 효과를 살린 불화들과 기존 불화의 구성요소들을 새롭게 재구성하거나 일부를 첨삭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제를 강조한 불화들을 제작하였다. 화면분할식 불화와 함께 새로운 불화를 시도하려 했던 그의 창작 의도가 보다 명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대기 예운 불화의 의미는 화사의 창의성이 발현된 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후 새롭게 만봉에 의해 전승이 되고 현재에까지 이어짐으로 해서 역사적 변천을 살필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중요하게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Yeun Sang-kyu was a Buddhist painter, known as “Mother of Buddha Image Paintings(佛母)” who was inherited by Gyeongsan School and kept the tradition intact till 1930. His Buddhist Image paintings are handed down from the mid-19th century on and his painting styles and lineages are well known and even the painting materials he used are cleary identified. So much he is recognized as unique and distinctiv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Buddhist paintings in the temples are provided and enshrined by the local monk painters and the large temples have accordingly housed a group of monk painters in their own territories. This monk painters were eventually clustered with the painter groups. “The Gyeonseong or the Gyeongsan School” was one of the most active painter groups who got together in Seoul and Gyeonggi area. Yeun`s Buddhist paintings so far extant in terms of iconography or drawing skills reveals inheritances of various styles of the previous traditions; early and late 18th century, or early and late 19th century styles are included. Moreover, on top of those mixture of traditions, he added a new trend of paintings based on the up-coming new cultures. Even western painting skills of shading were imbued with his many a Buddhist paintings and his creative new form of icons and compositions are keenly felt the influences of his direct master Eungseok`s style. His new Buddhist depictions seem to be popular among the connoisseurs and the collectors so that his art objects are spread out through the country. He tried to explore the new experiments with the visual effects, the painting materials and even utilizing of the folk painting subjects. The “Samse-bul-do(三世佛圖)” of Pyochung temple is an example of the modern skills of paintings, quite differed to traditional ones; applying the geometric shape of circles in the screen, newly alloting the Bodhisattvas and the protective figures, reconfiguring the Buddha images, sectional division of the canvas, etc. Likewise, Yeun`s style changes in his extant paintings show us his creativity along with the modern tranformation of Korean Buddhism. And his legacy is handed down to Manbong, who is one of descents of Yeun and connected to today`s Buddhist painting traditions.

      • KCI등재

        과학교과 어휘에 대한 수어 조어 활동이 청각장애학생의 사회,정서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최성규 ( Sung Kyu Choi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2

        청각장애학생은 선천 또는 후천적으로 듣는 기능의 결함으로 정확한 음성언어의 수용과 표현에 제한적이다. 그러나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생의 듣고 말하는 기능의 한계를 건청학생에 비하여 일탈된 사회ㆍ정서적 특성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청각장애학생 5학년 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과학교과에 제시된 각 단원의 핵심어휘를 수어로 조어활동하게 하기 전후에 담임교사에 의해한국판 메도우/켄달 농학생용 사회ㆍ정서 측정 도구로 측정하도록 하였다. 과학교과 어휘에 대한 수어 조어활동은 청각장애학생의 사회ㆍ정서 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각장애학생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정 행동특성은 측정되지 않았다. Hearing impaired student is limited to hearing abilities because of congenital and/or postnatal hearing loss. Because of the hearing loss most hearing impaired students cannot pronounce distinctly. Therefore many researchers who had studied on hearing impaired students’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abilities misunderstood that hearing impaired students have specific social and emotional disturbed. Two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are fifth grade in regular class environment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20 target vocabularies from science subject of the fifth grade were selected from five teachers. The Korean Meadow/Kendall Social- Emotional Assessment Inventory for Deaf Student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abilities were collected by regular class teacher before teaching the coined sign language. Also the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abilities were collected by regular class teacher were gathered after coined sigh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coined sign language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abilities; and (b) there were not any specific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abilities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were influenced by language interaction.

      • KCI등재

        난청학생의 성장 배경에 기초한 가정환경 및 의사소통 방법에 관한 연구

        최성규(Choi, Sung-kyu)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난청학생의 성장 배경에 기초한 가정환경 및 의사소통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37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학생 중에서 본인이 난청학생이라고 인식하는 2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청학생의 부모 중에서 청각장애가 있는 부모는 1.5%이며, 건청부모에 의해 성장한 경우는 94.7%에 해당하였다. 부모 중에서 한 분이라도 청각장애가 있는 경우는 5.3%이며, 부모가 수어를 못 하는 경우가 95.4%가 되었다. 형보다는 동생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언니 또는 여동생이 있는 경우는 약 19%와 18%가 되었다. 둘째, 난청학생이 가족과 사용하는 의사소통은 구어였다. 그러나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또래와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필담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의사소통 실행기능 평가에 대한 자아 인식에서 난청학생은 건청 또는 구어 사용 청각장애 또래와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지만, 수어사용 청각장애 또래와는 절반 수준의 이해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난청학생의 교육적 지원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conduct research on home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growth background of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Among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attending 37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262 stud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at: First, 1.5% of par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mong the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and 94.7% of those was hearing parents. Of the parents, 5.3% had hearing impairment, and 95.4% were hearing. There were more young brothers than elder brothers, and about 19% and 18% were of elder sisters or young sisters respectively. Second, the communication that the student with hard of hearing uses with family was spoken. However,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hearing impaired peers using sign language, the most popular method was writing. In the self-recognition of communicative perspective-taking,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hearing peers or hearing impaired peers who use spoken language, however showed a half-level understanding with hearing impaired peers who use sign language.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xploring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천연 제올라이트와 황화철 여재에 의한 수용액 중 중금속(Fe, Mn, Cd)의 제거

        최성규(Sung-kyu Choi),김민준(Min-jun Kim),김태건(Tae-geon Kim),이태진(Tae-jin Lee)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7

        목적: 제올라이트와 황화철 여재를 이용한 수중의 Fe, Cd, Mn의 흡착양상을 등온흡착식과 흡착 동역학 모델 분석을 통해 비교 검토하였다. 방법: Freundlich 또는 Langmuir 등온흡착식을 이용하여 각 여재에 중금속((Fe, Mn, Cd)의 흡착특성을 살펴보고, 유사-일차 또는 유사-이차 반응차수 분석을 통해 분자확산이나 화학적 흡착과 같은 흡착제의 제한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결과 및 토의: 제올라이트 및 황화철 여재에 대한 중금속의 흡착은 Langmuir 흡착 등온식에 더 적합하였으며, 이는 표면의 단층흡수와 흡착된 용질 간 상호작용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올라이트에 대한 흡착 선호도는 Fe > Cd > Mn인 반면, 황화철 매체에 대한 흡착 선호도는 Cd > Fe > Mn으로 나타났다. 제올라이트 및 황화철 여재는 유사-일차반응보다 유사-이차반응에 더 적합하였다. 결론: 수용액에서 황화철 여재의 중금속(Fe, Cd, Mn) 흡착량이 제올라이트보다 더 많았다. 흡착양상은 Langmuir 등온흡착식에 적합하였으며, 화학적 흡착(chemisorption)의 동역학적 특성을 가진다. Objectives :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Fe, Cd, and Mn in aqueous solution using zeolite and FeS media were investigated by the adsorption isotherm and kinetic model analysis. Methods :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metals (Fe, Mn, Cd) were investigated using Langmuir or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 The analysis of pseudo-first or pseudo-second order reaction was also attempted to evaluate the rate limiting factor such as molecular diffusion or chemical adsorption on the absorbents. Results and discussion : The adsorption of the heavy metals on the zeolite and FeS media was more suitable for the Langmuir adsorption isotherm, representing that mono-layer absorption on the surface and no interaction between the absorbed solutes. The order of adsorption preference to zeolite was Fe > Cd > Mn, whereas the order of adsorption preference to FeS media was Cd > Fe > Mn. The adsorption kinetics of zeolite and FeS media were more suitable for pseudo-secondary reactions than for pseudo-primary reaction. Conclusions : The absorption capacity of FeS media for the heavy metals (Fe, Cd and Mn) in aqueous solution was higher than that of zeolite. The adsorption pattern was suitable for the Langmuir adsorption isotherm, and has kinetic characteristic by chemisor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