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novation System Diagnosis and STI Strategy Development for Least Developed Countries

        이정협,김종선,Sira Maliphol,Nanjundappa Srinivasan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자료 Vol.- No.-

        Targeted innovation initiatives are a key element of development strategies for LDCs. Currently, such initiatives are, if existing, rarely aligned with or contribute to industrial promotion, job creation, and further economic development in these countries. This research aims at proposing principles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TI) policy guidelines and strategies to LDCs through the review and diagnosis of their innovation systems in order to help them develop customized STI initiatives. This research would first be implemented in Lao PDR, and then replicated in stages across other priority countries in Southeast and South Asia and beyond. The case study of Lao PDR defines the appropriate framework conditions, provides contextualization of the global and domestic conditions, and diagnoses its entirety. From these, a potential path and tentative programs are prescribed.

      • Innovation System Diagnosis and STI Strategy Development

        Jeong Hyop LEE,Sira MALIPHOL,Fine YANG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정책연구 Vol.- No.-

        최빈개도국이 빈곤의 악순환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업화를 통한 경제발전이 필요하며, 이를 촉진하기 위해 과학기술혁신 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네팔은 새천년개발목표(MDG)가 채택된 이후 국제사회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아왔다. 그러나 보건과 교육 등 일부 분야에서 제한적인 성공만 보고되고 빈곤퇴치의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아시아 태평양기술이전센터(APCTT)와 공동으로 네팔을 첫 번째 대상구가로 선정하고, 현지 연구기관인 RECAST와 협조하여 네팔의 혁신시스템을 조사하고 국가의 병목현상과 제약조건 등을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하였다. 방법론 혁신체제의 분석 및 진단을 위해 네팔에 관한 기존의 문헌 및 통계조사, 네팔 혁신시스템의 주요 이해 관계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 그리고 분야별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작업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STEPI 팀이 개발한 3C/3A 접근방법으로 네팔의 혁신체제의 문제점을 개념화하고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대안을 도출하였다. 분석 및 진단 네팔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천연 자원과 3,000만명의 인구를 갖고 있지만 이들이 산업화의 기반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국내의 정치적 혼란과 갈등의 지속, 빈곤한 내수지장, 구매력이 낮은 중국, 인도로 둘러싸인 고립국 조건은 투자에 접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조건에서 해외원조가 늘어났기 때문에 관련 국내주체들의 원조 의존도가 커졌다. 그리고 대부분의 원조가 보건 등 MDG 위주로 집행되면서 산업화를 위한 과학기술혁신 역량은 커지지 않았다. 높은 원조 의존도와 정치적 혼란 등으로 약해진 정부의 역량이 결합하면서 정부 주도적인 과학기술혁신 역량강화와 산업육성의 지원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제조업 등 네팔의 산업부문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고용시장이 위축되면서 두뇌유출이 확대되는 악순환 구조가 네팔에서 발견되었다. 네팔은 최근 들어 정치적 안정을 찾기 시작하였고 인접한 중국과 인도의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투자유치와 무역의 확대를 통한 경제발전의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설문조사 등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대학 등 상대적으로 높은 역량을 보인 과학기술혁신주체들이 산업화와 경제발전을 위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책제안 확인된 네팔 혁신시스템의 구조적 제약 조건을 극복하고 경제발전의 파급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과학기술혁신 분야의 장기적이고 독립적인 국제 원조가 요구된다. 그리고 아래의 다섯 가지 제안사항은 시스템의 특정 부분의 변화를 지렛대로 하여 전체 시스템의 변화를 확대하여 경제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방식에 기초하였다. 첫째, 중국과 인도 시장의 개선 등 네팔을 둘러싼 경제상황의 변동을 반영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분야와 모델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학기술혁신 조직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관리구조를 개선하여 내수산업 육성과 수출 역량의 확대를 위한 생산의 현지화를 추진한다. 셋째, 숙련노동력 등 핵심분야의 인력을 양성하여 신사업에 공급하고 동시에 전략분야의 신규기업들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구조를 갖춘다. 넷째, 관련 프로젝트를 이행하는데 필요한 재정적, 기술적 자원의 확보 및 동원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ODA 자금을 국가개발 목표에 맞춰 전략적으로 배분하고 활용한다. 다섯째, 네팔은 국가개발의 주인의식을 갖고 전력적 조율을 통해 과학기술혁신의 지원의 거버넌스를 창출하고 경제발전을 강화한다. 결론 위에서 제안한 정책들은 혁신에 기초한 산업화와 경제발전을 위해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현실적인 접근을 담고 있으며, 네팔의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국가개발계획과 통합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보고서에서 제안한 정책들의 실행계획을 작성하기 위해 특히 한국 정부와 KOICA의 지원이 요청된다.

      • 한국형 과학기술혁신 ODA 전략

        이정협,동그라미,양화인,선주윤,Sira Maliphol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대개도국 과학기술혁신 ODA를 전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첫째, 대개도국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수요 및 국내 공급 역량 및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 한국 과학기술 발전경험을 모듈화한다. 셋째, 과학기술 ODA 전략을 수립한다. 넷째, 개도국과의 협력 이슈의 발굴 및 협력수요에 대응한다.본 연구는 일반사업으로 추진되는 대개도국 과학기술정책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STEPI의 기존의 대개도국 과학기술정책 협력 활동을 체계화, 조직화, 제도화함으로써 과학기술혁신 분야의 ODA 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획 추진되었다. 2011년부터 다년도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본 사업의 분야별 추진성과 및 방향은 아래와 같다.조사분석 및 기반구축: 2011년 출연연 협력현황 조사에 이어 2012년에는 네팔 대상 설문조사, 소외질병 분야의 국내외 네트워킹 및 심층조사, 권역별 조사체계를 정비하였으며, 2013년에는 이를 확대할 예정임 전략수립 및 방법론 정립: 2012년에 다자 및 양자기구와의 협력모델을 수립하였고, 2013년에는 이를 심화시키고 컨설팅 방법론을 정리할 예정임 KSP 모듈화 작업: 2012년에는 별도 과제로 독립하여 모듈 틀의 확립 및 작성을 확대함협력사업: 2011년 다자기구와 협력하여 추진한 컨설팅 사업은 2012년 UNDP 사업으로 확대 독립하였으며, 이와 별도로 WHO와 협력하여 소외질병 분야 사업기획을 시작하였고, ASEAN을 대상으로 과학기술혁신 분야 로드맵 수립 작업에 착수함협력수요 대응: 2011년 착수한 Asia Network for S&T Policy Dialogue는 2012년에 ASEAN STI Dialogue 협력사업으로 정례화되어 2013년부터 추진할 예정이며, 2012년 9월 소외질병 분야 국제워크숍을 개최함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는 앞에서 제시한 내용 중 조사?분석과 전략수립을 중심으로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ODA의 확대에 따른 과학기술혁신 ODA의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원조의 역사, 이론, 원조효과성 논쟁 등에 대한 검토, 국내외 ODA 동향 분석, 과학기술혁신 관련 ODA 활동 등을 분석한다. 2부는 다자 및 양자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과학기술혁신 ODA 접근법으로서 글로벌 플랫폼 구축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양자 및 다자기구의 ODA 동향과 ODA 전반에 대하여 분석할 것이다. 3부는 전술한 2부의 전략에 기초하여 소외질병 분야 과학기술혁신 ODA 사업의 기획에 초점을 맞추고, 보건 분야의 관련 동향의 분석과 국내외 전문가가 참여하는 집담회 형식으로 기획하고자 한다. 결론 한국의 독특한 발전경험을 토대로 기존의 ODA 접근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글로벌 플랫폼 리더십을 구축할 수 있는 전략적 과학기술혁신 ODA 추진이 가능하며, 이는 양자 및 다자기구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혁신 ODA의 역량을 강화하는 모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매우 제한적인 성과밖에 거두지 못하고 있는 국제보건혁신 분야에서 한국경험을 복합적으로 재현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보건혁신 ODA 모델이 제안하였다. 정책제언 양자 및 다자기구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한 우리나라 과학기술혁신 ODA의 역량 강화 모델을 제안하였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전담기구의 지정 등 추진체계 확립, 국제기구와의 전문가 교류 및 공동사업 확대를 통한 ODA 사업 네트워크 역량 강화, 교과부 등 실무부처, KOICA, EDCF 등의 전략적 연계가 가능한 시범사업 추진을 제시하였다. 소외질병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발전경험을 토대로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보건혁신 ODA의 방향을 정립하였고, 이를 토대로 제약 분야 비즈니스 모델의 전략적 재현을 통한 아프리카 제약생산라인 투자와 운영 프로그램과 새로운 글로벌 파트너십 설계를 통한 한-아프리카 신약 개발 및 생산 파이프라인 구축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