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버터 制御車輛 電源用의 컨버터 制御特性

        황준하,서영수,임영배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4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3 No.-

        In this paper,the inverter-voltage source of AC Electrical Vehicle System has generally used voltage type PWM converter. A parallel operation of two single-phase voltage typed PWM converters used IGBT which achives the bidirectional power floe between a single phase AC supply and a DC bus voltage is described. The parallel operating system has reduced current ripple of a source than a single device operation, and made a converter capacity increased.Also,the voltage type PWM converter made the input current wave as sinusoidal wave, and performs the high power factor driving.

      • KCI등재

        Verbe Support (Vsup) et Nom Pre´icatif (Npre´d) en Position Sujet

        Lim, Joon-Seo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996 語學硏究 Vol.32 No.3

        This paper presents some of the main features of support verb (Vsup) constructions where predicate nouns (Npre´d) are located in the subject position, not only in French but also in Korean. Support verb constructions with Npre´d in the subject position are not typically studied in Lexicon grammar. We first classified the three conditions under which Npre´d can appear in the subject position : passive construction [ETRE Vpp], intransitive construction, and complex construction with two predicates. Among them, the passive construction [ETRE Vpp] can be analyzed with a hypothetical proposition that a predicate noun group (GNpre´d) is reconstructed with the insertion of a support verb (Vsup). This hypothesis, ≪reconstruction of GNpre´d≫ which extends the notion of ≪reconstruction of ordinary noun groups (GN-pre´d)≫, would simplify the syntactic conditions of the support verb construction; it completes another existing approach, ≪the nominalization of the support verb construction≫. Finally, we applied that hypothesis to a Korean support verb ≪toita≫, which allows the understanding of the passive construction by that verb.

      • KCI등재
      • KCI등재

        정복근 희곡에 나타난 괴물의 모티프와 무대형상화 전략 -초기작을 중심으로

        임준서 ( Joon Seo Lim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정복근(鄭福根)의 초기작에는 다양한 형상의 괴물들이 등장하여 극을 이끄는 동인으로 작용한다. 괴물 모티프를 입지점으로 삼아 정복근의 초기작 4편을 관통하는 극적 전략과 의도를 규명하고자 했다. 등단작인 「여우」(1976)에서는 동물원을 탈출한 짐승과 경비원 간의 추적과정이 그려진다. 짐승들이 둔갑술을 지닌 괴수로 묘사되며 결말에 이르러 정체가 폭로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변신 모티프’에입각해 있다. 「산넘어 고개넘어」(1980)에서는 10인의 일행이 구미호가 출몰하는 여우산 열두 고개를 넘는 여정이 재현되는데, 이때 여우산 넘기의 여정은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통과제의적 관문’의 성격을 띠고 있다. 「밤의 묵시록」(1980)은 아파트단지를 배경으로 괴물의 출현 때문에 빚어지는 주민 간의 갈등을 그린작품이다. 거대한 새를 닮은 괴물체의 정체를 밝히려는 정수가 주민들에 의해 희생당한다는 점에서 ‘희생양 모티프’의 일면이 엿보인다. 「도깨비 만들기」(1983)는 한 부부가 낡은 집에 고양이를 들여놓으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로, 여기에서 고양이는 부부를 위협하는 괴물로 묘사된다. 낡은 집으로 인한 초자연적 사건을 다룬다는 점에서 ‘흉가 모티프’의 변주로 읽힌다. 한편, 정복근의 초기희곡에서 괴물이 형상화되는 유형은 크게 3가지로, ‘가면’, ‘시청각 효과’, ‘대사’를 통한 방법이 그것이다. 이들 방식은 간접적 무대형상화라는 공통적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무대상의 제약을 극복하고 인물의 심리와 주제를 강조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읽힌다. 정복근의 괴물에는 당대 정치권력의 억압성과 감시체계의 일상화를 암시하는 정치적 무의식이 투영되어 있으며, 그런 점에서 괴물 화소는 ‘70, 80년대 한국 정치현실의 은유(혹은 알레고리)적 재현’이다. 정복근의 정치적 무의식은 이후의 작품세계를 개화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In early plays of jeong bok-geun, a variety of monsters in the shape serves as a leading motive of event. leaning on monster motif as a point, I investigate her dramatic strategy and purpose passing through the four piece of early plays. Tracking process between the guard and the escaped zoo animals is portrayed in The fox(1976). The escaped zoo animals is monster to transform into human. In this point, this play is based on ‘transformation motif’. In acrss the mountain beyond the hill(1980) is portrayed a party of ten’s passing process over 12 of the hill on the mountain where legendary fox with nine tails appears. The passing process over the Fox Mountain is regarded as a meaning of ritual gateway of passage for new world. Apocalypse of the night(1980) is a play treating the conflict between the residents an apartment occured due to the emergence of a monster. Jeong-suh, the first repoter, falls a victim by the other residents. In the point the plot of this play is variation of scapegoat motif. Creating goblin(1983) is a play treating happening arising because of a couple’s bringing in a cat old house. in this play, the cat is portrayed as monster to overhear and threat the couple. The plot of this play is variation of haunted house motif in that it is related to supernatural incident occurred due to old house. Types of giving shape to monster on the stage in early plays of jeong bok-geun is three in that it is way using mask, audio and video effects, dialogue. They share a common trait in that it is indirect types of giving shape to monster on the stage. This trait is acquired because of writer’s intention to overcome restriction of stage, to emphasize character’s mind and theme. Lastly, I point out Jeong bok-geun’s monster motif reflected political unconscious to imply repression of contemporary political power and becoming daily routine of surveillance system, in this point monster motif is metaphorical(or allegorical) expression for korean political reality in the 70s and 80s. Jeong bok-geun’s political unconscious works as motive power to bloom blossoms of subsequent play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현화 희곡에 나타난 TV드라마의 영향

        임준서 ( Lim Joon-seo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6 No.-

        이현화의 희곡은 사실주의의 관성에서 벗어난 실험적 미학과, 감상의 욕구를 자극하는 대중적 흥미를 겸비하여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이러한 점은 이현화가 희곡 작가이자 동시에 방송국 프로듀서였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작가의 이런 남다른 이력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이현화 희곡의 특징을 TV드라마의 극작술과 결부하여 논의하고자 했다. 즉, 그의 희곡에 내포된 대중예술적 속성이 TV드라마의 관습으로부터 유래하였다는 판단 하에 소재, 구성, 어법, 소통, 무대장치 등의 측면에서 그 구체적 교섭관계를 추적하였다. 소재에 있어서 이현화 희곡은 성적 일탈이나 신체적 가학성의 요소를 부각시키고, 구성의 측면에서는 클리프행거 수법과 범죄수사극의 플롯을 자주 차용하는 경향을 보이며, 어법 면에서는 빠른 템포의 간결한 대사 처리와 이미지 지향의 감각적 표현이 두드러진다. 소통관계에 있어서 관객을 극중에 참여시키거나 서사의 중심인물로 설정하는 등 관객의 입장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며, 시청각장치의 측면에서는 TV가 중요한 오브제로 설정되어 주제를 환기시키는 상징성을 발휘한다. 이러한 경향은 모두 TV연속극의 특징적인 전략을 창조적으로 수용한 결과이다. 다양한 층위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방송드라마의 영향 요소는 이현화 희곡에 통속적인 재미를 부여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며, 이를 통해 관극의 대중화에 기여한다. 대중예술로부터 오락적 요소를 끌어오되 이를 현실에 대한 반성적 각성의 새로운 동력으로 전환시켰다는 점에서 이러한 시도는 높이 평가될 만하다. This essay aims to investigates special feature of Lee Hyun-hwa`s play related with influence of TV drama. focusing on his career as TV producer, I assumed that popular artistic trait in Lee Hyun-hwa`s plays was affected from convention of TV drama, and discussed about Influence relationship of both. In side of subject matter his plays emphasize element of sexual deviation and physical sadism. In side of construction his plays often borrow technic of Cliff-hanger and plot of criminal investigation drama. In side of language his plays show concise speech of speedy tempo and sensual expression full of various image. In side of communication relationship his plays emphasize participation of audiences, that is, appearance as a main character in the text. In side of stage device his plays set TV as main object. This special features of Lee Hyun-hwa`s play is results from influence of TV soap opera. This influence factors from TV apply as driving force attributing popular interest to his plays, and contribute to popularization of listening to the play.

      • KCI등재

        현대희곡에 나타난 간이역의 상상력

        임준서 ( Lim Joon-seo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70

        이 논문에서는 간이역을 모티브로 한 희곡의 특질을 그 공간적 상상력과 관련지어 논하고자 했다. 윤대성의 「출발」(1967), 김항명의 「철길」(1973), 김윤미의 「열차를 기다리며」(1987) 세 편을 논의대상으로 삼았으며, 간이역의 이미지가 희곡작품의 구조에 미친 영향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간이역은 사람과 화물이 들고나는 경계의 공간으로, 등장인물들로 하여금 대합실이나 플랫폼의 공간에서 누군가를 기다리는 기다림의 극적 상황을 유발한 다. 또한 간이역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추억의 공간으로 과거지향적 상상력을 촉발하며, 이는 현재와 과거가 교차하는 회상 중심의 시간구조와 인물의 정체와 관련한 은폐-폭로의 서사구조로 발현된다. 또한 간이역은 낡고 오래되어 쓰임새를 상실한 조락의 공간으로, 등장인물들의 불구성을 조장한다. 인물들은 하나같이 무엇엔가 미쳐 있거나 죄를 범하였거나 기억을 상실한 이들로, 무대 밖 세계 의 폭력성과 냉혹성을 상기시킨다. 마지막으로 간이역은 열차가 운행하지 않거 나무정차 통과하는 모순적 공간이며, 이러한 미로의 이미지는 대상작에서 기다림의 상황이 끝없이 되풀이되는 악순환의 결말 구조로 이어진다. 한편, 대상 작품에는 공통적으로 비관적 정서가 드리워져 있으며, 이는 간이 역의 몰락한 이미지에 더해 창작 당시의 특수한 시대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4·19혁명과 5·16군사쿠데타의 교차, 7·4남북공동성명과 이산가 족방문의 무산, 1987년 6·10항쟁과 정권교체의 실패라는 우울한 시대상황이 대상 작품의 비극성을 심화시키는 촉매로 작용하였다. 그런 점에서 세 작품에는 공히 당대의 정치사회상에 대한 작가의 고뇌가 매복해 있으며, 간이역은 역사적 현실을 응축한 은유적 공간의 성격을 지닌다. 결론적으로, 기다림의 연속이야말로 인생의 본질이며 역사적 인간이 짊어져야 할 숙명임을 일깨우고 있다는 점에 서 간이역의 문학적 가치와 매력을 찾을 수 있다. This essay aims to investigates special feature of korean contemporary drama related with simple station motive. In this essay, three winning plays of a Literary Contest in Spring - Yoon Dae-sung`s Departure, Kim Hang-myung`s The Railroad, and Kim Yoon-mee`s Waiting for a train are analyzed. A simple station is boundary place where people and freights comes in and out, it consign characters to a dramatic situation waiting for someone in a station waiting room or platform. And this place that has some memories of hometown causes writer`s backward-looking imagination, it appears flashback-centered time structure and concealing-exposing of identity narrative structure in the plays. And it is old and downfalled and useless place, causes characters`s disability. they all are insane or guilty or losing of memory, remind the violent and harsh outside world of the stage place. And it is contradictory place where trains don`t stop and pass, it`s image looking like a labyrinth cause ending plot in which the situation of waiting is repeated. On the other hand, passimistic emotion flow through three plays because of downfalled image of simple ststion and special situation of the times. A groomy situation of the times, that is, cross of 4·19 revolution and 5·16 coup, 7·4 joint statement of North and South and failure of the search campaigns for families separated, 6·10 democratization fight and failure of regime change and others act as a catalyst intensifying tragic mood in the plays. In this point, egony of writers about the present age of realities is hiding in the three plays, as a result, the simple station acquires nature of metaphorical place condensing historical present world.

      • KCI등재

        화상회의 앱에 기반한 ‘분산형’ 언택트 연극의 가능성 -고려대학교의 공연제작워크숍 수업(2020) 사례를 중심으로-

        임준서 ( Lim¸ Joon-seo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1 No.-

        이 연구는 창작에서 공연에 이르기까지 연극의 제작 과정 일체를 대면 접촉 없이 화상회의 앱만을 이용해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서 진행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언택트 공연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그 실현 조건을 점검하기 위한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언택트 연극의 개념과 조건을 살펴본 후 그 표준 모델을 ‘분산형’으로 규정하고,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사례는 2020년 1학기 고려대학교에서 이루어진 ‘공연제작워크숍’ 수업의 결과물로, 분산형 언택트 공연을 시도한 희귀한 실험이라는 점에서 표본으로 채택되었다. 수업 사례에서 활용된 화상회의 앱은 ‘블랙보드 콜라보레이트’로, 여타 화상회의 앱과 호환 가능한 범용 앱의 일종이다. 이상의 설계에 입각해 본론에서는 해당 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분산형 언택트 연극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창작, 연습, 공연의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창작 단계에서는 화상회의 앱의 콘텐츠 공유 기능과 소회의실 기능을 통해 아이디어 공모전과 집단창작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으며, 연습 단계에서는 화상회의 앱의 화면보기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으로 전체 훈련과 개인 지도를 병행할 수 있었다. 공연 단계에서는 화상회의 앱의 화면을 발표자 보기 모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팔로우 기능을 활용하여 자연스러운 대화 장면을 연출하였으며, 만화 컷을 삽입하는 등 창의적 연출도 선보였다. 수업 사례에 비추어볼 때 결론적으로 분산형 언택트 연극은 화상회의 앱을 이용해서 기술적으로 충분히 구현할 수 있으며, 오히려 효율성과 편익의 측면에서 오프라인 공연을 능가하는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분산형 언텍트 연극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온라인 환경에 어울리는 소재 및 연기술, 연출 전략 개발이 필요하며, 관객과의 소통 창구 및 화상회의 앱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 마련이 선결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find ways to conduct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of the play over an online network without face-to-face contact, from creation to performance. As the need for an untact performance emerged in the wake of the corona virus, it was designed to check the realization conditions.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d the concepts and conditions of the untact play and defined its standard model as 'dispersion type' and intend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specific case analysis. The analysis target was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Production Workshop’ class held at Korea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hich was adopted as a sample in that it was a rare experiment that attempted a decentralized untact performance. The video conference app used in class cases was 'Blackboard Collaborate', a type of general-purpose app compatible with other video conference apps. The main topic focused on the case of operating the class, and examined how distributed untact plays are possible in three stages: creation, practice, and performance. In the creative stage, the content sharing function of the video conference app and the small meeting room function were able to efficiently conduct idea contests and group writing, and in the practice stage, the entire training and personal guidance were possible by changing the screen view mode of the video conference app. During the performance stage, the screen of the video conference app was fixed in the speaker view mode, and the follow function was used to create a natural conversation scene, and creative production such as inserting cartoon cuts was also shown. In light of the above class cases, in conclusion, distributed untact plays can be technically fully implemented using videoconferencing apps, rather having the potential to outperform offline performances in terms of efficiency and benefits. However, in order for distributed untact plays to be activat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ories, acting skills, and direction strategies suitable for the online environment, and to prepare a network environment that can stably operate communication channels and video conference apps with aud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