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백서의 척수에서 GABAB 수용체의 심혈관 조절 작용

        이석호,이상구,류광현,이규택,김재준,김창섭,강인구,최규완,백승운,이종균,이준혁,고광철,이풍렬,이종철,성인경,심상군,최문석 대한내과학회 1999 대한내과학회지 Vol.56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spinal gamma-aminobutyric acid B (GABAB) receptor on a central regulation of blood pressure(BP) and heart rate(HR), and to define its mechanism in the spinal cord. Methods : In urethane-anesthetized, d-tubocurarine- paralyzed and artificially ventilated male Sprague-Dawley rats, intrathecal administration of drugs were carried out using injecton cannula(33-gauge stainless steel) through the guide cannula(PE 10) which was inserted intrathecally at lower thoracic level through the puncture of a atlantooccipital membrane. Results : Intrathecal injection of an GABAB receptor agonist baclofen(30, 60, 100 nmol) decreased both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dose-dependently. Pretreatment with 8-bromo-cAMP(50 nmol), a cAMP analog or glipizide(50 nmol), a ATP-sensitive K+ channel blocker attenuated the depressor and bradycardic effects of baclofen (100 nmol) but not with 8-bromo-cGMP(50 nmol) a cGMP analog. Conclusions : The GABAB receptor in the spinal cord plays an inhibitory role in central cardiovascular regulation and that this depressor and bradycardic actions are mediated by the decrease of cAMP via the inhibition of adenylate cyclase and the opening of K+ channel.

      • KCI등재

        c-Jun N-terminal Kinase Contributes to Norepinephrine-Induced Contraction Through Phosphorylation of Caldesmon in Rat Aortic Smooth Muscle

        Lee, Youn-Ri,Lee, Chang-Kwon,Park, Hyo-Jun,Kim, Hyo-Jin,Kim, Jung-Hwan,Kim, Jae-Heung,Lee, Keun-Sang,Lee, Yun-Lyul,Min, Kyung-Ok,Kim, Bo-Kyung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2006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13 No.2

        Vascular smooth muscle contraction is mediated by activ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1/2, an isoform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However, the role of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c-Jun N-terminal kinase (JNK) in vascular smooth muscle contraction has not been defined. We investigated the role of JNK in the contractile response to norepinephrine (NE) in rat aortic smooth muscle. NE evoked contra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is effect was inhibited by the JNK inhibitor SP600125. NE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JNK, which was greater in aortic smooth muscle from hypertensive rats than from normotensive rats. NE-induced JNK phosphoryla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SP600125 and the conventional-type PKC (cPKC) inhibitor Go6976, but not by the Rho kinase inhibitor Y27632 or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inhibitor LY294002. Thymeleatoxin, a selective activator of cPKC, increased JNK phosphorylation, which was inhibited by $G{\ddot{o}}6976$. SP600125 attenuated the phosphorylation of caldesmon, an actin-binding protein whose phosphorylation is increased by NE. These results show that JNK contributes to NE-mediated contraction through phosphorylation of caldesmon in rat aortic smooth muscle, and that this effect is regulated by the PKC pathway, especially cPKC.

      • SCOPUSKCI등재

        위장관 이물질에 관한 고찰

        이석호,이규택,김재준,강인구,최규완,백승운,이종균,이준혁,고광철,이풍렬,이종철,성인경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98 Clinical Endoscopy Vol.18 No.5

        Background/Aims: Foreign bodies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G-I) tract are produced chiefly by accidental swallowing and rarely produce symptoms. But it is recommended to remove the foreign bodies if they produce symptoms or remain in the G-I tract for a long du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lyze the results of therapeutic endoscopic foreign bodies extraction and appropriate removal methods for each foreign bodies. Methods: A clinical review was performed in 19 cases involving a foreign body in the upper & lower G-I tract which underwent the endoscopic extraction of the foreign body at Samsung Medical Center from November 1995 to November 1997. Results: 1) The most common foreign body in the upper G-I tract was bone. 2)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and sex were chiefly under thirty years old end male, respectively. 3) The most common site of the foreign bodies was the esophaus. 4) Complications which were observed in 3 cases included the following: gastric laceration, esophagogastric junction laceration, and esophageal perforation. 5) The foreign bodies in the lower G-I tract included a ballpoint pen and a tea spoon. 6) The successful rate of the endoscopic extraction was 94.7% (18 in 19 cases). 7) The upper G-I foreign bodies mainly developed accidently, while the lower G-I foreign bodies existed primarily intentionally for the purpose of secondary sexually gratification. Conclusions: The method of endoscopic foreign body extraction was a safe and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Proper extraction methods and endoscopic accessories, according to the foreign bod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therapeutic efficacy.

      • 범죄수익 자금의 세탁과 횡령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 검토 - 대법원 2017. 4. 26. 선고 2016도18035 판결 -

        이경렬 ( Lee Kyung Lyul ) 법조협회 2017 최신판례분석 Vol.66 No.5

        불법원인급여란 불법한 원인으로 재물을 급여했기 때문에 급여자가 그 재물의 반환을 청구할 수 없게 된 경우를 말한다. 그 결과 형법상으로는 이를 기화(奇貨)로 수탁자(내지 수익자)가 불법한 원인으로 급여된 재물을 임의로 처분한 경우, 그에게 횡령죄가 성립되는지가 문제된다. 먼저 학계는 불법원인급여물에 대한 소유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가에 따라 부정설과 긍정설, 그리고 불법원인급여와 불법원인위탁의 경우를 구별하는 절충설의 입장으로 횡령죄의 성부를 논의하여 왔다. 이에 대해 판례는 기본적으로 부정설의 입장을 취하지만 예외적으로 수탁자의 불법성이 급여자의 그것보다 현저히 중한 경우에는 수탁자에게 횡령죄의 성립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 대법원은, 피고인이 甲으로부터 수표를 현금으로 교환해 주면 대가를 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위 수표가 乙 등이 사기범행을 통해 취득한 범죄수익 등이라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교부받아 그 일부를 현금으로 교환한 후 丙, 丁과 공모하여 아직 교환되지 못한 수표 및 교환된 현금을 임의로 사용하여 횡령하였다고 하여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이 甲으로부터 범죄수익 등의 은닉범행 등을 위해 교부받은 수표는 불법의 원인으로 급여한 물건에 해당하여 소유권이 피고인에게 귀속되므로 횡령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하지만 범행을 목적으로 지급한 급여가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하므로 민법상의 반환청구가 부정된다고 하더라도, 그 반사적 효과로서 소유권이 이전되기 때문에 수탁자의 그 이후의 범행에 대해까지 죄가 되지 않는다고 결론짓는 부정설의 입장은 수긍하기 곤란하다. 민법 제746조는 불법한 원인 때문에 재산의 복구에 사법(司法)이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지 않겠다는 의미이지, 그 소유권을 박탈하고 이를 침해하는 수탁자의 별도의 행위 또는 제3자의 행위에 대해서까지 면죄부를 부여하고자 하는 규정은 아니기 때문이다. 설령 불법한 원인의 급여에 대해 민법상의 반환청구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이 경우 수탁자에 대해서는 이를 급여자에게 반환하든가 또는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한 사항을 내용으로 하는” (민법 제103조) 범행을 자행하든가, 아니면 범죄로 나아가지 않고 이를 개인적 용도로 처분하는 제3의 길 중 어느 것이 형사정책상으로 바람직한 것인가의 문제는 남아 있다. 그런데 [대상판결]에서 피고인은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의 자금세탁범죄를 자행하고서 이를 임의로 처분한 제4의 선택을 행한 경우이다. 여기서는 대법원 판례가 예외적으로 취하고 있는 불법성의 비교형량이론에 따르는 급여자와 수탁자의 불법성을 비교형량하는 방법과, 불법원인급여물에 대해 다른 범죄를 실행한 경우에 그 다른 범죄의 성립에 관한 문제 나아가 불법원인급여의 요건으로 판례가 말하고 있는 불법의 의미를 기준으로 [대상판결]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Performance of illegal cause means giver's no request of properties because of giving of properties by illegal causes. Beneficiary who disposes of properties by illegal causes may applied by embezzlement crime. Negative theory and affirmative theory, and compromising theory of performance of illegal cause and illegal consignment were used depending upon ownership of performance of illegal cause. Precedents adopted negative theory, and beneficiary having more il-legality is admitted to commit embezzlement crime. The supreme court recently judged as follow: A defendant is given suggestion from Party A to give benefit in exchange for check by cash and to exchange some of them by money acknowledging criminal income by fraud of Party B, and to embezzle cash with help of Party C and Party D to spend cash at discretion to be accused, and defendant was judged not to commit embezzlement crime of the check. But, allowance for the crime belongs to illegal performance to deny request of return and to transfer ownership so that negative theory of no crime of beneficiary was not accepted. Article 746 of the Civil Law says no positive help of recovery of properties at illegal cause not to give exemption of beneficiary's act and/or third party's act. Even if request of return of the Civil Law for performance for illegal cause is not admitted, beneficiary shall return benefit to the giver and to commit crime of 'violation against good custom and social order according to Article 103 of the Civil Law, and to dispose of for private purpose. Defendant commits money laundry crime in violation of the law of regulation of concealment of criminal benefit to dispose at discretion. The study examined Supreme Court of adoption of giver's comparative sentencing of illegality as well as beneficiary's illegality,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of illegal cause to another crime, and judgment based on illegality.

      • KCI등재

        수사와 신문 과정의 영상녹화와 증거사용에 관한 쟁점

        이경렬(Lee, Kyung-Lyul)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8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0 No.2

        수사와 신문과정의 영상녹화 제도가 2007년 6월 1일 형사소송법 개정(법률 제8496호)시에 도입되어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다. 현행 형사소송법의 규정태도에 의하면, 영상녹화물은 원진술자의 진술을 녹취한 전문증거에 해당하지만 전문진술이 기재된 조서(調書)와 동일한 증거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별도의 독자적 증거방법이 될 수 없다. 형사소송법 제244조 법문의 해석상으로도 피의자의 진술을 조서에 기재하지 않고 이를 촬영한 영상녹화물은 피의자신문조서를 대체할 수 없다. 형사실무도 피의자신문을 조서로 작성하지 않고 진술모습과 내용을 영상녹화로만 법정에 제출한 경우에는 형사소송법 제244 조 제1항에 위반한 위법수집증거로서 증거능력을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수사기관의 영상녹화물을 증거로 사용하는 데에는 이중적인 성격이 있다. 즉,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과학적 수사방법의 사용은 강압수사와 가혹행위를 방지하고 피의자의 인권을 보호하는 수사절차의 투명화, 수사과정의 위 법성 통제라는 관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반면에 사건관계인의 진술을 영상으로 촬영하기 이전에 자백 강요나 회유를 억제할 적절한 방법이 아직 뚜렷하게 없으며, 구두주의와 직접주의로 대표되는 공판중심주의를 잠식할 부정적인 우려 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이중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법률에서 영상녹화물의 증거사용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형사소송의 증거로 활용함에는 여전히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영상녹화제도의 장・단점 관련 논의가 지속되는 한, 작성자의 주관적인 생각에 따라 편집되는 조서보다 과학적인 증명의 객관성이 월등함에도 불구하고 영상녹화물에 대한 독자적인 증거능력의 부여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여전할 것이다. 현행법에서도 영상물 증거의 (실질적) 진정 성립에 관한 보증이나 영상물의 조작・편집가능성에 대한 기술적인 통제방법 등 우려의 목소리가 아직도 있어 수사과정의 영상녹화물을 본증으로 직접 사용하는 방안을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The video recording system in the investigation and interrogation process was introduced at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Law No. 8496) on June 1, 2007, and has been in effect since January 1, 2008. According to the prescriptive attitude of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Law, video recordings are considered as a hearsay evidence that recorded the statement of the original statementer. However, it can cannot be an independent proprietary evidence since it is considered same as the hearsay report. Even Article 244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does not allow the video recording without filling out the statement report to replace the examination document of the suspect. Criminal law in practice also denie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s illegal collection of evidence in Article 244 Clause 1 if only video recording of statement and its context is submitted to the court. However, there is a dual nature to use the video recording as evidence by an investigative agency. In other words, the use of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method accompany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extremely useful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parency of the investigation procedure to prevent hypotensive investigation and harsh treatments. It is also usefu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tection suspects’ rights to control the illegality of the investiga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re is still no clear way to suppress the conciliation or coercion of confession before recording the statement in video, and there is also a concern that it may encroach the principle of court-oriented trials. Even though these two charaters that explicitly stipluate the use of evence of video recording is regulated by law, it is still controversial to use it as evidence of criminal proceedings. As long as the discussion related to pros and cons of the video recording system continues, a sense of refual will still exist on granting the video recording its own amissibility as an independent evidnce, even though its objectivity as the scientific proof is better than that of statement report, which can be edited based on the writer’s subjective thought. Under the current law, there are still concerns of guaranteeing (substantial) authenticity of evidence and controling the possible editing of recording. Therefore, there are no opinions about using video recording as direct evidence so far.

      • KCI등재

        오스트리아 검찰에 대한 법무부장관의 지휘감독권 비교 연구 : 검사의 직무수행과 정치적 중립성의 관점에서

        이경렬(Lee, Kyung-Lyul)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1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3 No.1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 및 독립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혁입법과 정책논의에 대하여 학계와 법조계를 비롯하여 사회 각계각층에서 다양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까지도 언론보도에는 법무부장관과 검찰총장의 불편한 ‘불협 관계’가 보인다. 지난 2020년 7월 27일 법무부 법무 · 검찰개혁위원회(위원장 김남준)가 제시한 ‘법무부장관과 검찰총장의 수사지휘권 제도 개혁’에 대한 내용은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검찰총장의 수사지휘권을 폐지하고, 각 고등검찰청 검사장이 이를 행사하도록 검찰청법을 개정하라는 권고가 있었다. 검찰총장에게 집중된 수사지휘권을 분산하자는 취지이지만, 권고내용에는 법무부장관이 각 고검장에게 구체적 사건에 대한 수사지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런 방향으로의 개정입법의 제안에 대해서는 오스트리아 형사소송법제와 검찰 실무의 운영에서 참조할 사항이 있다고 보기에 여기서는 먼저 오스트리아법무부장관의 검찰수사지휘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먼저 지방검찰청은 고등검찰청에 직접 종속되며 이들과 대검찰청은 연방법무부에 종속된다. 지시권한체계의 계층구조에서 특별한 점은 오스트리아의 검찰총장은 연방 법무부장관 - 검찰총장 - 검사(및 구 검사)로 지시명령을 내리는 계층구조의 외부에 있다는 점이다. 법률이 검찰총장에게 고등검찰이나 지방검찰에 대한 지시권한을 부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검찰총장에게는 지방검찰청에 대한 고등검찰청의 경우와 다르게 검사동일체 원칙에 의한 직무감독 및 직무위임 권한도 인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검찰총장은 지방검찰청 또는 고등검찰청과 관련된 항고를 접수할 책무가 없다. 오히려 그와 같은 불만이 제출된 경우에는 이를 검찰청 또는 연방법무부에 직접 전달해야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오스트리아 법무부장관의 검찰에 대한 지시권한의 내용에도 불구하고 이를 우리에게 바로 적용하거나 참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오스트리아 대검찰청 조직상의 특성과 오스트리아 GP는 공소기관이 아니라는 점에 있다. 이어서 최근에 진행된 검찰개혁입법 및 그 과정에서 노정된 법무부장관의 검찰총장에 대한 수사지휘권의 행사를 둘러싼 검사의 직무수행과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을 위한 단상을 해 보았다. There are various voices of concern about the reform in legislation and policy discussions from academic groups and legal circles and as it c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secution s political neutrality and independence. Recent media reports show an uncomfortable disagreement between the justice minister and the prosecutor general. On July 27, 2020, the Justice and Prosecution Reform Committee (Chairman Kim Nam-joon) suggested the abolishment of the prosecutor general s right to direct investigations into specific cases and instead revise the prosecution service to exercise them. The original intention was to decentralize the investigative command currently focused on the prosecutor general, However the recommendation allows the justice minister to direct each high prosecutor s investigation into specific cases. Regarding this type of proposed bill revision, I will first introduce the Austrian Minister of Justice as we can cross reference the contents of the Austrian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operation of the prosecution s practice. In summary, the district attorney s office is first directly subordinate to the higher prosecutors office, and the Supreme Public Prosecutor s office is subordinate to the federal justice department. The special thing about this directive system is that Austria s attorney general is outside the hierarchy that controls the federal justice minister - the prosecutor general - the prosecutor (and the old prosecutor). This is because the law did not authorize the prosecutor general to direct the prosecution to the higher or local prosecutors. Secondly, the prosecutor general is also not authorized to supervise and delegate dut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same prosecution, unlike the case of the High Prosecutors Office against the local prosecutor s. Therefore the prosecutor general is not responsible for filing appeals related to the local prosecutor s office or the high prosecutor s office. Rather, such complaints should be forwarded directly to the Prosecutors Office or the Federal Ministry of Justice. Despite this information about the Austrian justice minister s authority to direct the prosecution, it is not immediately applicable for us. The reason is that the Austrian GP is not a prosecutor s office. Continuing with the prosecution s recent reform legislation and the exercise of the prosecutor general s right to command the prosecutor general in the process, have laid a platform for ensuring the prosecution s political neutrality.

      • KCI등재

        종극(終劇) 사법살인: 사형법제의 폐지를 위한 보론(補論)

        이경열 ( Kyung Lyul Lee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5 비교형사법연구 Vol.17 No.4

        현 제19대 국회에도 사형폐지를 위한 법률안이 제출되어 있다. 유인태의원외 171인의 국회의원들이 2015년 7월 6일 제안한 “사형폐지에 관한 특별법안”(의안번호: 1915958)이 그것이다. 사형제도의 존폐, 사형의 위헌여부에 관해서는 이미 많은 학자들의 역작과 고견이 주장되어 왔으며, 그 찬반견해가 미개·야만 대 문명·지성의 일도양단식의 편 가르기에 해당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별로 신선하지도, 또 풍미를 첨가할 수도 없는 재료를 더하는 모양새 같아 여태 논의 자체를 주저한 것도 사실이지만, 이글이 우리나라 사형법제의 조속한 폐지를 위한 ‘미래발전적인 泰動’에 일조하는 노력의 일환이 되기를 기대한다. 사형제도의 존폐를 둘러싼 논의는 이제 이익형량·비례원칙에 의한 제도자체에 합헌성을 부여하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그 시원에서부터 사형제도의 헌법적합성 내지 정당성의 논의가 있어야 한다. 그와 같은 정당성을 국가가 입증하지 못한다면, 국가에게는 또 법에는 사람의 존재 자체를 말살하고 생명을 빼앗아 사형을 시킬 자기 권한이 없다. 주권자의 대위입법기관인 국회조차도 국민의 법의식을 이유로 그와 같은 법률을 창설하지 못한다. 현행헌법의 명시적 근거규정에 의하면, 특수한 비상사태의 군사범죄를 제외하고서 사형제도의 존속은 위헌이기 때문이다. 이글에서는 잠정적으로 사형제도의 폐지범위에 대해 군형법과 일반형법을 구별하여 최소한 일반형사범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폐지하고 예외적으로 헌법상 근거가 있는 군사범죄에 대해서는 유지하는 정책적 고려는 가능하다. 그렇지만 지금과 같은 군형법상의 방대한 사형대상처벌법규는 반드시 합리적으로 축소되어야 한다고 본다.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여전히 비례의 원칙에 따라 예외적으로 사형을 적용하면 합헌이라고 하지만, 이 문제에는 헌법이전의 대답하기 어려운 인간적인 의문이 있다. 즉 여전히 남아있는 의문, 생명은 과연 비교형량의 대상이 되는 것인가? 절대 악(살인)에 대한 또 다른 절대 악(사형)의 대응은 법이 추구하는 또 국가가 기능해야 하는 정의의 회복인가? 그 대답의 주사위는 이제 위의 헌법재판소 2008헌가23 결정에서도 명시하듯이 국회의 입법정책적인 결단의 마당에 던져져 있다. 사실상의 사형폐지국가로 남아 있을 것이 아니라 법제도적으로도 사형폐지를 달성하여 우리의 대한민국이 명실상부한 사형폐지국가로 분류되는 세계 속에 일류국가이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사형폐지에 관한 특별법안이 또 한 번의 특별한 법률안으로 폐지되지 않기를 바란다. In South Korea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retains death penalty for exceptionally defined cases in accordance with principles of proportion. Meanwhile the 19th National Assembly has reviewed an legislative bill to abolish death penalty. There have been a diversity of debates and studies on the constitutionality of death penalty. They, however, should not be about its constitutionality under the principle of proportion but about the nature of death penalty itself. This paper argues that death penalty should be abolished for all crimes regardless of considering principle of proportion. The only one exception can be the cases of military offense applying Military Criminal Act which are explicitly regulated as constitutional death penalty by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Korea. In addition the scope of these constitutional death penalty on military cases should be reduced. Hopefully this paper should be a part of efforts to have South Korea abolish death penalty, not remaining de facto abolitionist.

      • KCI우수등재

        경영판단의 과오와 업무상배임죄의 성부

        이경렬 ( Kyung Lyul Lee ) 법조협회 2006 法曹 Vol.55 No.12

        경영상의 결정에 실패한 경영진의 회사에 대한 책임을 논함에 있어 최근의 몇몇 대법원형사판결은, 단지 경영상의 판단이었다는 이유만으로 업무상배임죄의 죄책을 면할 수는 없다고 판시하여 이사에 대한 민사책임의 제한장치로 미국판례법상 발전되어 온 경영판단의 원칙을 형사책임의 귀속여부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법상의 손해배상책임은 경영판단에 실패한 이사가 과실이 있는 경우에도 부담하게 되는데 반하여 업무상배임죄의 경우에는 과실범의 처벌규정이 없기 때문에, 경영판단원칙을 그대로 형사책임의 귀속여부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에서의 경영판단원칙의 성립과 그 적용요건 및 기능을 살펴보고 그 수용여부에 관한 우리나라 상사법학계의 논의를 개관하고서 업무상배임죄의 성립과 관련된 경영판단원칙에 대한 기존의 형사법적 논의를 분석함으로써, 이 원칙을 형사법에 수용하는 경우에 고려되는 범죄론체계상의 위치설정과 경영진의 회사에 대한 책임범위와 정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경영에 실패한 경영진의 회사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경영진의 혁신적인 기업활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민사법만이 아니라 형사법에서도 경영판단과 관련하여 업무상배임죄의 성립여부에 관한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경영판단원칙에 관한 형사법의 기존논의는 경영실패에 대한 이사의 업무상배임죄의 성립을 제한하기 위하여 이사의 회사에 대한 민사적 면책수단으로 발전되어 온 경영판단원칙을 형사법분야에 수용하고자 하는 점에서 일치하고 있으며, 형사실무도 이와 같은 경영판단원칙을 배임죄의 고의에 대한 항변으로 받아들여 경영자에 대한 업무상배임죄의 성립을 제한하는 장치로 운용하고 있다. 경영판단원칙은 확실히 민사법보다는 형사법분야와 더욱 밀접한 관련이 있는 법원칙이라고 하겠다. 경영판단원칙을 도입함에 있어서 ALI의 회사지배원칙상의 추정적 효과를 따르게 되면, 민사실무는 경영판단원칙의 적용을 배제하기 위해 원고에게 이사회의 결정이 경영판단원칙의 적용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사유에 대해 합리적 의심의 여지를 야기할 정도로 구체적으로 입증할 것을 요구하여 일반적 증거우월기준보다 더 많은 양의 증거제출을 필요로 하는데 반하여, 형사법에서는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in dubio pro reo)라는 무죄추정의 원칙에 의하여 검사에게 합리적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공소사실을 증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경영판단원칙의 추정적 효력은 형사실무에서 피고인이 경영판단의 원칙을 주장하며 배임죄의 범의를 부인하는 경우, 검사에게 법원이 공소사실에 대하여 합리적 의심을 하지 않을 정도로 입증하도록 요구하는 기능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경영판단원칙을 형사법에 수용함에 있어 주의해야 할 점으로는 먼저, 경영판단원칙을 전면적으로 도입하는 경우 미국의 예처럼 이사가 경영판단에 이르게 된 절차적 요건만 갖추면 법원이 관여할 수 없게 되어 일반인의 불법행위에 비하여 이사가 상대적으로 더 보호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경영판단의 절차적 측면에만 사법이 관여하고 그 내용적 면에 이사에게 전적인 신뢰를 부여하는 경우 경영진의 경영판단에 대한 과보호가 문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합리적인 상태에서 몇몇 주주들 중심으로 회사경영이 파행적으로 행해지는 경우 경영판단원칙이 이들에게 면죄부를 부여하는, 부당한 경우도 없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경영진의 회사에 대한 배임죄의 성부에 있어서 경영판단의 원칙은 경영진에게 과중한 책임이 지워질 경우에 그 한계원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경영상의 과오에 대한 최근의 형사판례가, 이사의 경영상 결정에 대해 배임의 고의를 긍정하기 위하여 충실의무의 위반여부, 법령 또는 사회상규에 위배되는 불법행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 그밖에 문제된 경영상의 판단에 이르게 된 경위와 동기, 판단대상인 사업의 내용, 기업이 처한 경제적 상황, 손실발생의 개연성과 이익획득의 개연성, 나아가 이사의 지위, 대안의 숙고과정이나 회사의 손해를 회피하기 위한 노력 및 사후방지노력, 경영판단후의 사정변경 등을 고려하고 있는 것은 타당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