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제맥주 브루어리의 점포선택속성이 고객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를 중심으로

        이준섭 ( Lee¸ Junseop ),김지영 ( Kim¸ Jiyoung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수제맥주 브루어리(Brewery, 수제맥주 제조 양조장)의 점포선택속성이 방문고객의 소비가치에 미치는 효과와 방문고객의 소비가치가 고객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비가치를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로 이분화하여 점포선택속성 각 차원들과의 차별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강원도 강릉시에 거주하는 소비자와 방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먼저 수제맥주 브루어리 점포선택속성의 하위차원인 제품구색, 제품가격은 실용적 소비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물리적 공간은 실용적 소비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제맥주 브루어리 점포선택속성의 하위차원인 제품구색, 제품가격, 물리적 공간은 쾌락적 소비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용적 소비가치와 쾌락적 소비가치는 고객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수제맥주 브루어리가 제공하는 실용적이고 쾌락적인 요소를 어떻게 설계하고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raft beer brewery selection attributes on the perceived consumption value of visiting customers and perceived consumption value on customer revisit intention. In addition, consumption value was divided into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and to identify discriminatory relationships with each of the store selection attributes.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llected on residents and tourists in Gangneung and collected data was utilized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utili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roduct assortment, product prices have been positively affected by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However, the physical environment has not been significantly affected by utilitarian value. Second, product assortment, product prices, and physical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impact on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Finally,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and hedonic consumption value showe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revisit inten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how to design and utilize utilitarian and hedonic factors provided by hcraft beer breweries.

      • KCI등재

        소비자가 지각하는 CSR 활동과 신뢰, 고객 충성도 및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이준섭(Lee, Junseop),손정민(Son, Jungm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고객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찾기 위해 신뢰라는 변수를 도입하여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각 차원들은 해당 기업에 대한 신뢰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제안하고,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가 신뢰의 차원을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각 차원들이 두 신뢰에 어떤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총 7개의 가설과 하위가설로 이루어진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연구결과의 외적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응답자들에게 친숙한 대기업 세 곳의 실제 사회적 책임활동을 실험 자극물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통한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 노력은 인지적 신뢰를 통해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 노력이 높으면 소비자들은 해당기업의 역량 및 전문성에 대한 믿음에 근거하여 생기는 인지적 신뢰를 형성하게 되어 그 기업에 대한 충성도와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둘째, 기업의 법률적․윤리적 책임활동과 환경적 책임활동, 그리고 자선적 책임활동 노력은 모두 정서적 신뢰를 통해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충성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is widely discussed as one of the essential business strategies for the company’s continuous growth. In this study we examined that the consumers’ trust play an essenti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dimensions(economic, legal-ethical, environmental, and philanthropic) of CSR activities and the consumer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Trust is conceptualized into two different types: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A model integrating five dimensions of CSR, two types of trust, and consumer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is tested using data of 306 young consum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porate economic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cognitive trust. However, the corporate legal, the corporate ethical, the corporate environmental, and the corporate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ffective trust. Second, the cognitive trust and the affective trust bot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sumer loyalty and on the purchase intention.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rust indeed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SR and the consumer loyalty and the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나는 왜 남의 일에 분개 하는가”: 자아해석수준이 기업의 고객불량 행동 대응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준섭 ( Lee Junseop ),김지영 ( Kim Jiyoung ),김영찬 ( Kim Youngchan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5

        본 연구는 최근 논의가 되고 있는 고객불량행동에 대한 기업의 대처방안과 관련하여 이를 지켜보게 되는 소비자들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기업의 대처수준이 기업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고객불량행동과 관련하여 기존 연구에서는 고객의 불량행동을 직접 경험한 조직과 종업원의 관점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 되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현장에서 고객불량행동을 다른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다른 소비자들 관점에서 살펴봤으며, 특히 이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소비자의 자아해석 성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은 고객불량행동에 대해 기업이 단호한 대처를 했을 경우, 상호의존적(vs. 독립적) 자아해석성향을 지닌 소비자에게서 기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소극적인 대처를 했을 경우에는, 상호의존적(vs. 독립적) 성향을 소비자들에게서 기업에 대한 만족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성향의 소비자들이 독립적 자아해석성향의 소비자들 보다 고객불량행동에 대한 기업의 대처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소비자들은 기업이 고객불량행동에 대해 단호한 대처와 해당 고객을 상대로 강력한 조치가 행해질 때, 정의로운 세상에 대한 믿음이 활성화 되고, 이는 결국 기업에 대한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의 불량행동에 대한 기업의 대처수준이 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소비자가 지각하는 정의로운 세상에 대한 믿음이 중요한 심리적 기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서비스 기업의 고객불량행동 대응방안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향후 추가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In the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of customer dyfunctional behavior has mainly investiga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organization and the employee who experienced dysfunctional behavior of customers. This study, however, focuses on the viewpoints of other consumers who will observe the corporate coping levels against the customer dysfunctional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strual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irms' coping to other customers dysfunctional behaviors and consumer’s satisfaction toward company.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e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strual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irms' coping to other customers dysfunctional behaviors and consumer’s satisfaction toward company. To be specific, Individuals with hig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vs. independent self-construal) had higher satisfaction toward company in the condition of firms respond more strongly to dysfunctional customers. However, Individuals with hig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vs. independent self-construal) had lower satisfaction toward company in the condition of firms respond more weakly to dysfunctional customers. Thes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end to respond more sensitively to coping with customers dysfunctional behaviors than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Second, when a company copes strongly to customers dysfunctional behaviors, belief in a just world is activated, and it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oward company. Thus, between the level of firms' coping to other customers dysfunctional behaviors and consumer’s satisfaction toward company, belief in a just world can play an important mediator rol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개인 및 팀 수준에서의 영업통제가 영업사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준섭(Junseop Lee),강우성(Wooseong Kang) 한국유통학회 2018 流通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영업조직에서 전략적 관리도구로 활용하고 있는 영업통제시스템이 영업사원의 영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떠한 심리적 기제가 발생하여 영업사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 하였다. 특히, 조직에서 행해지는 영업통제시스템의 영향력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개인 수준과 팀 수준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업통제시스템의 하위 차원을 팀 수준에 초점(영업매니저를 통한 측정)을 둔 활동통제와 역량통제, 그리고 개인 수준에 초점(영업사원을 통한 측정)을 둔 결과통제로 구분하여 활동통제, 역량통제, 결과통제가 영업사원의 실제 영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도전의식과 판매지향성이 어떠한 심리적 기제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대형 보험사에 근무하는 1,077명의 영업사원 설문응답, 178명의 매니저 설문응답, 그리고 객관적 영업성과를 매칭(matching)한 자료(triadic data sources)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과 Hayes의 PROCESS macro(2013)를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활동통제는 도전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역량통제는 도전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둘째, 결과통제는 판매지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도전의식은 직무열의와 영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판매지향성은 영업사원의 영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업통제시스템의 하위차원들과 영업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 도전의식과 판매지향성의 매개효과가 확인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업연구에서 영업통제시스템과 영업성과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향후 추가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고 있다.

      • KCI등재

        중소공급업체 핵심역량의 상호보완적 효과

        이한근 ( Lee Hangeun ),이준섭 ( Lee Junseop ),김지영 ( Kim Jiyoung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4

        최근 대부분의 산업이 초 경쟁시대로 접어들고 있음에 따라 기업의 마케팅 역량은 중소공급업체들에게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마케팅 역량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몇몇 중소공급업체들은 여전히 원가절감만이 기업의 수익과 관련이 있음을 지각하고 있다. 또한, 마케팅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중소공급업체들은 기업의 다양한 핵심역량들과 어떠한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으로써 이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중소공급업체들의 마케팅 역량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2) 기업의 다른 유형의 핵심역량들과 어떻게 레버리지 하는지를 실증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공급업체의 마케팅 역량과 생산운영 역량은 기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중소공급업체의 R&D 역량은 기업의 효율성 및 효과성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중소공급업체의 각 역량에 대한 상호보완적 역할을 분석한 결과, 마케팅 역량과 R&D 역량의 상호작용 효과는 기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더욱 증폭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R&D 역량 과 생산운영 역량도 기업의 성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마케팅 역량과 생산운영 역량의 상호작용 효과는 오히려 기업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role of marketing capabilities in small suppliers have received important attention. Most marketing literature insist that the relationship to link marketing capabilities with business performance has become more crucial. Since, business managers have been forced to consider the value of marketing activities and investment due to recent global recession. However, some marketing executives have been dissatisfied in the effect of their marketing capabilities. In this study, authors build hypotheses based on the dynamic capabilities theory of firm and business performance offered by Krasnikov and Jayachandran, (2008) and Feng, Morgan and Rego (2016). To posit that marketing capabilities and firm capabilities complementarily enhances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supplier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examines the roles of marketing capabilities, R&D capabilities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We suggest how do different firm capabilities interact and impact business performance (e.g. effectiveness performance and efficiency performance). Th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as follows: First, marketing capabilities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positively affect efficiency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performance. However, R&D capabilities negatively affect efficiency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performance. Second, In Table 4, Model 3 and Model 6 show complementary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R&D capabilities: Marketing capabilities reinforces the positive R&D capabilities on efficiency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performance. Furthermor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D capabilities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positively affect efficiency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performance. However, Marketing capabilities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have a negative interaction effect on efficiency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vide insights to researchers and business managers how to manage and deploy firms` capabilities.

      • KCI등재

        온라인 구전의 심리적 거리와 감정 사이의 적합성이 선호도와 재추천의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손정민(Son, Jungmin),이준섭(Lee, Junseop),김영찬(Kim, Youngchan),김동훈(Kim, Donghoon)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4

        최근 온라인을 통하여 제품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구전정보가 제공되고 있고, 구전정보를 접한 소비자들은 정보제공자의 온라인 추천 메시지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서 제시되는 정보제공자의 추천메시지가 소비자의 해석수준 변수와 조절초점 변수의 조합에 따라 선호도 및 추천의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수준 변수를 통해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시간적 거리와 사회적 거리 두 차원으로 분류하여 측정하였고, 조절초점 변수를 통해 소비자의 감정 유형을 측정하였다. 해석수준 각 변수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와 먼 경우, 그리고 조절초점 변수가 향상초점인 경우와 예방초점인 경우를 실험에서 분류하고 어떤 조합인 경우에 고객의 선호도 및 재추천의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해석수준과 조절초점 사이의 적합성이 고객 성과에 주는 효과를 검증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적합성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온라인 추천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적 거리나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경우, 예방초점인 소비자의 추천의도는 향상초점 소비자의 추천의도에 비해 더 큰 증가가 관찰된 반면, 선호도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즉, 낮은 해석수준 상황과 예방초점의 적합성은 소비자의 추천의도에서만 발견되었다. 둘째, 시간적 거리나 사회적 거리가 먼 경우, 향상초점인 소비자의 선호도는 예방초점 소비자의 선호도에 비해 더 큰 증가가 관찰된 반면, 추천의도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는 높은 해석수준 상황과 향상초점의 적합성은 소비자의 선호도에서만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해석수준과 조절초점 사이의 적합성은 모든 경우에 발견되지 않았고, 낮은 해석수준과 예방초점 사이의 적합성은 추천의도에서, 높은 해석수준과 향상초점 사이의 적합성은 선호도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따라서 적합성 효과는 항상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제한된 조건과 상황에서만 고객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Consumers are offered a variety of online word-of-mouth information through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s and a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recommendations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s.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information provider’s recommendation can have varying effects on the consumer’s level of preference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depending on the consumer’s construal level and regulatory focus. In this research, construal level variable is used to measure psychological distance which is categorized into two dimensions: social and temporal distance. And consumer’s emotional type is measured by regulatory focus variable. In this study, we test the cases where construal level is high (temporally/socially distant) and where construal level is low (temporally/socially close), and cases where the regulatory focus is promotion focus and where the regulatory focus is prevention focus. By doing so, we can analyze which combination of two variables (construal level & regulatory focus) increases preferenc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consumers. Experiments allow u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fit between construal level and regulatory focus on consumers and contribute to systematically expand research area on the fit. In order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we conduct experiment of online recommendation,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emporal and social distances are close,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of the prevention-focused consumer increases more than that of the promotion-focused consumer, while both consumer’s preference level remains still. The fit between low construal level and prevention focus is only visible in consumer’s preference. Second, when social and temporal factors are distanced, the preference of promotion-focused consumer increases more than that of prevention-focused consumer, while both consumer’s intention of recommendation remains still. Hence, the fit between high construal level and promotion focus is only visible in the consumer’s preference. Thus, the fit between construal level and regulatory focus is not observed in all circumstances. The fit between low construal level and prevention focus is observed in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d the fit between high construal level and promotion focus is observed in the preference level. Accordingly, the fit is not effective all the time, but can only influence consumer’s attitude and behavior under particular manipulated conditions.

      • KCI등재

        고령층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사용경험이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 ( Kim Jiyoung ),이준섭 ( Lee Junseop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3 No.2

        고령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가운데 헬스케어를 비롯한 서비스 환경은 날로 스마트화되어 감에 따라 이러한 상황에서의 서비스 고객경험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층의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경험 속성이 서비스 만족 및 삶의 질 향상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하였다. 고객이 경험하는 용이성과 즐거움은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 증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즐거움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였는데 고령층 고객에게 기술기반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부분보다 오히려 즐거움의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전감은 서비스 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과거 연구에서는 도전감 역시 사용자 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령층 고객에게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기술기반 스마트 기기 활용에 만족한 경우 고령층 고객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 서비스가 고령층 삶의 질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 관련 분야의 실무진에게 고령과 같은 고객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서비스 경험을 향상시키는 솔루션을 탐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in using healthcare related smart devices that are expanding day by da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using experience (perception of ease of use, enjoyment and challenge) and service satisfaction which relates to subjective-wellbeing in using smart devices. Therefore, if we find something that can understand and improve the use experience of the elderly, we can expect to improve the value of the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on 130 old aged people in Korea using online panel. Only subjects with experience in using smart wearable devices for managing healthcares within the last six month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perception of ease of use and enjoy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service. However, perception of challen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rvice satisfac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se factors (perception of ease of use, enjoyment and challenage) are major management targets by demonstrating the impact of elderly vulnerability on customer value creation behavior in healthcare services using smart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