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Effects of Ecobehavioral Assessment in Applied Behavioral Analysis

        Kim, Joungmin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4 특수·영재교육저널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why ecobehavioral assessment (EBA) is needed in Applied Behavior Analysis (ABA). To answer the question, both conceptual and empirical studies were reviewed. Firstly, a conceptual base for ABA and EBA including feature, concerns, and theoretical background are discuss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lso a brief review of EBA research was conducted as a means for describing EBA methods, content, and finding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otal of 23 studies were founded including ecological, teacher, and student variables based on EBA and the purpose of using EBA. Effective instructional practices based on rational oriented by EBA such as to build successful and effective transitional program, social intervention,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to identify and support this empirical part.

      • KCI등재후보

        The Effects of Praise in On-task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in Inclusive Settings

        Kim, joungmin(김정민) 한국자폐학회 2011 자폐성 장애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통합학급에서의 일반교사의 자폐아의 바람직한 행동에 따른 구체적인 칭찬(behavior-specific praise)이 증가함에 따라 몽상, 방해, 자리이탈 등의 문제를 가진 3명의 자폐아의 on-task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 연구에 포함된 대상은 통합학급의 일반교사 세 명과, 자폐 진단을 받은 3명의 초등학생이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20분간 직접관찰을 통한 빈도를 각각의 구체적인 행동에 따른 칭찬/꾸중 그리고 통합학급의 수업참여 행동 기록지를 바탕으로. 데이터 수집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구체적인 칭찬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폐성장애 아동 모두 수업참여 행동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의 조사를 위해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점들과 함께 암시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behavior-specific praise in students’ on-task behavior of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who had day dreaming, disturbing others, and left group etc. in inclusive settings. Participants were thre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in inclusive classrooms. The data was gathered by direct-observation, frequency count sampling in 20 minute continuous intervals with ‘on–off-task behavior,’ data sheet and ‘teacher praise’ data sheet.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on-task behavior increased when the teachers behavior-specific praise increase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the study.

      • KCI등재후보

        Literature Review on Soci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sperger Syndrome

        Joungmin Kim(김정민) 한국자폐학회 2010 자폐성 장애연구 Vol.10 No.1

        아스퍼거(asperger) 증후군은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사회적 실마리를 (social cues)를 포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예를 들어 사교적 놀이의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감정 표현의 수준을 이해하지 못한다. 따라서 그들의 사회적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성 중재는 필수적이다. 일련의 현존하는 사회성 중재 연구들에 의하면, 특정한 사회성 중재(intervention)가 효과적이라고 보고한 바가 있으나, 아스퍼거에 관한 현존하는 사회성 중재연구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들은 지극히 비약하다. 하여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보고된(peer-reviewed) 논문 중 아스퍼거를 대상으로 한 실제적 경험(experimental studies) 중심의 사회성 중재 문학 연구들을 종합하고, 그것을 토대로 아스퍼거를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사회성 중재를 요약 및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집되어진 연구들을 바탕으로 향후 사회성 중재 연구에 위한 지침을 제공하였다. In light of the marked impairments individuals with Asperger Syndrome (AS) experience in understanding reciprocal social interactions and their failure to pick up social cues,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ir social functioning. While anecdotal reports have identified specific interventions as effective (Myles & Simpson 2003), few empirical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that address soci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S. The purposes of this literature review were to (a) review and synthesize existing studies on soci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S and (b) explore and summarize existing social interventions that are available for this popul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literature review, this article provides guidelines for future research on soci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S.

      • KCI등재후보

        The Meaning of National Summer Camp Experience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Kim, joungmin(김정민) 한국자폐학회 2011 자폐성 장애연구 Vol.11 No.1

        A qualitative study was shared in the national summer camp program volunteers camp experiences and views about critical factors to success. The camp program provided by a nationally recognized camp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the Midwest U.S.A. The case study approach was implemented through focused face-to-face interview. The participants of the interview segment were camp service volunteers; the camp advocate, coach, nurse and councilor. Most participants agreed that the camp experiences were beneficial for individuals with ASD, but some of the problems were pointed out. In addition, the study found primar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the camp: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cluding consideration of individuals with ASD s physical and sensory, social interaction, and family needs.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 미국 중부의 자폐아 캠프 자원 봉사자들 (그룹 인솔자, 간호사, 활동 코치 등)의 캠프 경험과 성공적 캠프를 위한 중요한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이다. 1대 1면담을 통한 사례 연구 접근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 KCI등재

        동화책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및 태도 개선 프로그램 개발

        김현욱(Kim, Hyunwook),김정민(Kim, Joungm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5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태도를 높이기 위해 초등 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식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태도 향상 프로그램은 Irwin과 Baker가 제안한 ‘구조이해하기’에 기반 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총 5주 동안 실시되었다. 연구 설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뉘어 각각 23명의 비장애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사전사후 t-test를 통해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서 사전․사후 변화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장애인식 개선 프로그램이 아동들에게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결 론] 동화를 활용한 문학적 수업을 통해 아동들은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행동적 측면인 장애수용태도에 있어서도 학교생활, 개인생활,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향상될 수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nd conduct a class activity using fairy tales related to disability for lower grade students in order to see how much it affects the students‘ disability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Methods : The development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Structure proposed by Irwin and Baker.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was conducted for grade 2 students without disability for a total of five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23 students without disabilit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pre-post t-test and inter-group homogeneity test. Results :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disability awareness and attitude of acceptancy. Conclusion : Such result shows that literature classes using fairy tales can surely improve the inaccurate stereotyping of the disabled and acceptance attitude of people with disability can also be actively improved throughout one’s personal and social life

      • KCI등재

        リメイクドラマに見る日韓の「名詞表現」と「中断節」の 使用様相 -「ドラゴン桜」と『공부의 신』を対象に-

        金廷珉(Kim Joungmin) 한국일본어학회 2021 日本語學硏究 Vol.- No.70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어와 한국어의 「명사 표현」과 「중단절」의 사용 양상을 대조언어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양국 언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 원작 드라마와 한국에서 리메이크된 드라마를 대상으로 「명사 표현」과「중단절」의 용례를 수집하고 각각의 출현빈도, 화자의 성별에 따른 분포, 주요 등장인물의 사회적 권력 관계(동등/상/하)에 따른 사용 양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총 출현 빈도는 「중단절」의 경우 양국 언어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는 반면에 「명사 표현」은 한국어 보다 일본어가 더 높게 나타났다. (ii) 화자의 성별에 따른 조사 결과, 일본어 한국어 모두 여성보다 남성 화자가 「명사 표현」과 「중단절」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iii) 주요 등장인물의 권력 관계에 따른 사용 양상은 다음과 같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명사 표현」 일본어: 「하→상」>「동등」>「상→하」, 한국어:「동등」>「하→상」>「상→하」 「중단절」 일본어: 「동등」>「하→상」>「상→하」, 한국어:「하→상」>「동등」>「상→하」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patterns of Japanese and Korean ‘nominal expressions’ and ‘suspended clauses’ and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For this, based on data from Japanese original dramas and their Korean remake versions, this study analyzes the frequencies of ‘nominal expressions’ and ‘suspended clauses’, and their frequency distributions in terms of the speaker’s gender, and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in terms of the social hierarchical relationships (i.e. equals/superiors/inferiors) between the main charact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The overall frequency of Japanese ‘nominal expressions’ is higher than that of Korean, whereas the frequency of ‘suspended clauses’ does not show any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nguages. (ii) In terms of gender, the two languages show commonality in that male speakers use far more ‘nominal expressions’ and ‘suspended clauses’ than female speakers. (iii) The frequency distribution for the social hierarchical relationships of the main characters, from most to least frequent, is as follows: Nominal expressions - Japanese: Superiors>equals>inferiors, Korean: Equals>superiors>inferiors Suspended clauses - Japanese: Equals>superiors>inferiors, Korean: Superiors>equals>inferiors

      • KCI등재후보
      • 대학에서의 비교과의 역할과 위상

        김정민(Joungmin Kim)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기존의 실증연구에서 다뤄지지 못한 고등교육과정에서 비교과가 차지하는 역할과 위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비교과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타 대학의 비교과 운영자를 중심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비교과에 대한 보편적 정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의 비교과에 대한 인식과 요구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대학에서 운영되는 비교과의 유형 및 국내외 연구들은 비교과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개념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델파이 조사에서는 ‘정규과정 이외의 대학생활 중 경험할 수 있는 모든 활동’과 ‘재학기간 중 정규 교육과정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학생의 자기계발 노력을 지원하고 지도하는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비교과를 정의하고 있었다. 대학생들은 비교과를 ‘동아리’, ‘활동’, ‘체험’, ‘멘토링’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교과에 대한 요구도는 ‘현 비교과의 유지 및 확대’와 ‘학기 중, 방학 중 비교과 확대’가 가장 높았다. 또한 비교과 참여한다면 그 이유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싶어서’가 가장 높았고, 비교과는 ‘대인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비교과를 참여하는데 제약이 되는 주된 이유는 ‘전공 및 알바 등으로 인한 시간 제약’이 제일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을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ole and status of extra-curricular in higher education that was not addressed in previous empirical studies. For this discussion, the related researches were reviewed and conducted a Delphi survey centering on extra-curricular and operators of other universities to derive a universal definition of extra-curricular and to analyz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extra-curricular. As a result, the types of extra-curricular departments operated by universities and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were found to be conceptualized by classifyi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r activities into three categories. Recognized, and the reason for extra-curricular and participation was that ‘I want to try something new’ was the highest, and the extra-curricular responded ‘It helps to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the main reason for the restriction of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as ‘time constraints due to majors and albas’. Based on the results, It intend to deri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uggest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