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울의 공동 사역의 리더십(Leadership)의 두 가지 양상 : 교회 지도권 공유와 성도 지배권 포기

        김주한 ( Kim¸ Jooha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0 생명과 말씀 Vol.28 No.3

        본 논문은 사도 바울의 리더십이 공동 사역을 통해 분명히 드러남을 지적한다. 이는 사도의 목회의 근본적인 특징이며, 이는 크게 지도권을 공유하는 것과 상호 협력적 사역을 한 것을 통해 드러난다. 첫째, 바울은 자신의 목회 사역에서 팀 사역을 이끌어 왔는데, 이는 단순히 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사역권 위임과 공유를 통해 구체화 시켰음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목회할 수 없을 때 대리인을 파송했을 때 그에게 자신이 행사한 목회의 권한을 부여한 것, 서신을 작성할 때 공동 발신자의 위치에 동역자들을 두어 역할을 강화한 것, 더 나아가 사역 후기에 여러 교회에 자신의 후계자들을 세움으로 사역을 공유한 것을 통해 드러난다. 둘째, 바울은 교회를 운영하고 그 가운데 성도들을 대함에 있어 단순히 지도자-성도의 상하의 구조에서 목회를 진행하지 않고, 분명 역할의 구분을 두었으나, 하나님 앞에서 상호 세워가는 부탁을 시도한 것을 통해 목회를 시도했음이 드러난다. 또한, 성도들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지 않고 오직 그들을 자신의 위치처럼 하나님 앞에 그들을 바로 세우는 데 초점을 두었음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바울은 공동 사역의 구체적 실천을 통해 자신에게 맡겨진 사역을 온전히 감당하는 사역자로 인정되었다.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 true feature of Paul’s leadership is revealed through his strategy of joint ministry. It i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his ministry, which is summarized in both the sharing of leadership and the joint ministry. To practice his strategy of ministry, firstly, Paul led his team ministry, which did not simply mean a team, but it can be seen that he materialized through delegation and sharing of his ministry authority. For example, when he could not minister directly, he sent a representative, in granting him his authority of the ministry and strengthened the role of his co-workers by placing them in the position of the co-senders of his letters. Furthermore, in his last period of ministry, he shared his ministry by establishing his successors in some churches. Secondly, it was revealed that Paul did not proceed with the ministry simply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a leader and the believers in church. Instead, he attempted pastoral ministry through trying to establish mutual community in front of God though there was some distinction of role in church. And it was shown by not claiming dominion of church members, but focusing only on setting them right before God as he did. Through concrete practice of his joint ministry, Paul turned out to be a minister who fully fulfilled the ministry entrusted to him.

      • 트위터 이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싸이월드, 페이스북을 비교 대상으로 : SNS 이용 정도와 대인관계관련, 사회적이슈관련, 매체관련 변인과의 관계 분석

        이기석(Giseok Lee),이은혜(Eunhey Lee),곽경란(Kyeongran Kwak),박지윤(Jiyoon Park),제래미(Rai Mee Je),김주환(Joohan Kim) 한국HCI학회 201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본 연구에서는 싸이월드를 비롯한 타 SNS와 비교를 통해, 트위터 이용자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타 SNS 이용자 집단에 비해 트위터 이용자 집단과 매체 관련, 대인관계 관련, 사회적 이슈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을 가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변인들의 통계적인 차이를 알아보고자 했다. 김주환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척도, Caprara의 정치효능감 분석 척도, Katz의 리더십 척도 문항을 기초로 설문을 실행, 이용정도와의 상관관계분석과 희귀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연구 결과, 각 SNS 별로 이용행태와 변인간의 상이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으며, 싸이월드 사용자들이 대인관계 관련 변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 데에 비해 트위터 사용자들은 정치관련 변인과 매체관련 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witter users' characteristic by comparing them of other SNS users such as cyworld, facebook. Compared to other SNS user group, we assumed that twitter user group is categorized differently by media-related variables, relationship-related variables, social issue-related variables. Survey is conducted to prove statistical differences. Survey is made based on Kim Joohan's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Caprara's political efficacy scale and Katz's leadership scal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prov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relational analysis between each SNS user group, and twitter users are affected by social issue-related and media-related variables, while cyworld users by relationship-related variables.

      • SCIESSCISCOPUSKCI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Program for Promoting Subjective Well-Being

        Junhyung Kim,Young Hoon Jung,Yu-Bin Shin,Min-Kyeong Kim,Hyojung Eom,Eunjoo Kim,Joohan Kim,Jae-Jin Kim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0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7 No.12

        Objective Enhancing subjective well-being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mental health.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a virtual realitybased interactive feedback program as an intervention tool for promoting subjective well-being. Methods Thirty-six mal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consisting of three tasks constructed based on the theories of positive psychology: ‘Experience-based problem recognition task’, ‘Future self-based success story expression task’, and ‘Strength expression task’. Participants rated visual analog score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tasks’ content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ask scores was evaluated by correlations with the psychological scale scores. Results The total task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ores of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MHC-SF) emotion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osenberg’s Self-Esteem Scale, Dispositional Hope Scale agency dimension and pathways dimension, and Life Orientation Test Revised, but not with MHC-SF social well-being scores.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the other task scores, the task scores had linear relationships with certain psychological assessments. Conclusion Since the task scores are closely related to indicators of well-being, self-esteem, hope, and optimism, the program contents are well associated with certain aspect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thus may be available for training that improve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interactive feedback.

      • KCI등재후보
      • 대인관계 유지에 있어서 대인 매체의 전략적 사용 : 매체에 대한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성향을 중심으로

        Joohan Kim(김주환),Borae Jin(진보래) 한국방송학회 2004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Vol.- No.-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환경은 매개된 커뮤니케이션과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통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적 틀과 이론적 관점을 요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대인커뮤니케이션 연구 영역에서 발전되어 온 주요 개념들을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적용해보고 그 적합성을 테스트해 보는 데 있다. 그럼으로써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을 ""매개된 대인커뮤니케이션""으로 개념화하고 그 이론 정립의 단초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보자면, 우선 휴대전화는 사람과 사람의 만남과 헤어짐의 의미를 근본적으로 바꿔놓기 시작했다. 대학생을 비롯한 젊은 세대에게 휴대전화는 자기표현의 수단이자 인간관계 형성에 가장 중요한 매체이다. 기존의 휴대전화 연구 결과들이 보여주듯이 휴대전화에 익숙한 젊은 세대는 상황이나 상대에 관계없이 유선전화보다는 휴대전화를, 또한 음성통화보다는 문자메시지를 선호한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와 휴대용 단말기의 보편적 확산은 휴대전화에 의해 촉진되고 있다. 아직까지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가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남아있기는 하지만 휴대전화는 이미 사람과 사람 사이를 매개하는 대표적인 개인간 커뮤니케이션 매체다.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메일과 메신저(Instant Messaging Service: IMS) 역시 보편적인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자리잡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미디어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성향 및 커뮤니케이션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선택의 폭이 넓어진 대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사람들의 매체 이용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매체들에 관한 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는 또한 다양한 미디어들이 수렴되고 있는 모바일 미디어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라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인 매체에 대한 인식은 사회적 실재감(social presence)과 상황에 따른 매체 적합성인식(perceived appropriateness)으로,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행동은 관계 유지 행동(relational maintenance behavior)으로, 커뮤니케이션 성향은 커뮤니케이션 회피 성향(unwillingness to communicate)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통해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모바일 미디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tudies have developed concepts and theories mainly for non-mediated human communication. Man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literatures have used the term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terchangeably with ""non-mediated face-to-face communication."" Pervasiveness of digital media, however, provides people with more and more options for mediat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uch as e-mails, instant messaging services, mobile phones and short message services-what we call ""interpersonal media."" As the Internet and mobile devices become ubiquitous, interpersonal relations can be started, developed and maintained through mediated as well as non-mediated interactions. With the advent of digital media, the dominant form of media has been shifting from mass media to interpersonal media.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journalism (providing people with news, setting agendas for a society, forming public opinions about public issues, etc.) have been performed more and more by the interpersonal media such as the internet and mobile devices. People now use interpersonal media on daily basis often along with face-to-face interactions (for example, people confirm their off-line meetings via instant messaging services or e-mails and vice versa).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s of social presence, perceived appropriateness of four interpersonal media (mobile voice phone, short message service (SMS), instant messaging service (IMS), and e-mail), relational maintenance behaviors, and unwillingness to communicate. Perceived appropriateness of the four interpersonal media was examined under the six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tives, on the assumption that perception of appropriateness would affect media use behaviors.

      • Ui-Sang’s Ocean Seal and Holographic Principle

        Kim JooHan 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17 No.-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Ocean seal or Diagram of the dharmadhatu of Ui-sang, the First Patriarch of Hwaom Buddhism in Korea and the holographic principle, both of which can be considered models for a new description of reality. Ui-sang’s Ocean seal reveals a unique and creative Korean version of Chinese Hua-yen Buddhism which seeks the synthesis of the noumenon and phenomenon. Ui-sang’s thought is essentially rooted in Han philosophy by virtue of which he was able to indigenize creatively Chinese Hua-yen Buddhism into Korean Hwaom Buddhism.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Ui-sang’s system, we should know the concept of Han. The word han has diverse and inclusive meanings. Han implies one, many, big, great, same, approximate, whole, part, about, and many other things. The concept of Han represents a Korean way of philosophy, thinking, and spirituality.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religion is essentially the ‘mind of Han.’ Han as deeply rooted in the Korean mind as is Yahweh for the Jewish mind, Logos for the Greek mind, and Tao for the Chinese mind. Therefore, Han deeply permeates not only Korean’s religious mind but also their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