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ehavior Tree-based Scenario Development Technology to Induce Various Experiences of VR content

        Seo, Jinseok,Yang, Ungyeon Korea Multimedia Society 2020 The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Vol.7 No.4

        This paper introduces an event modeling and simulation system using behavior trees. The system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fixed, simple scenario-based training content, and to extend the behavior of objects to enable various experience deployments. To achieve this goal, we made specific tasks of behavior trees can change according to users' reaction and developed an adaptive simulation module that can analyze and execute behavior trees that changes at runtime. In order to validate our approach, we applied the adaptive behavior tree simulation to the scenarios in our virtual reality simulation-based fire training system we have been developing and demonstrated the implementation results.

      • 에스토니아 레기라울의 율격구조와 근대적 차용

        서진석(Seo Jinseok)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레기라울은 에스토니아에서 19세기까지 에스토니아 전 지역에서 불리던 전통 민요를 일컫는 말이다. 서부 핀우그르어의 언어적 환경에서 기원한 에스토니아어 사용 환경에 맞추어진 독특한 성격과 구조의 율격을 가지고 있지만 멜로디가 단순하고 반복적이기 때문에 자칫 지루하고 단조로워질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표현법을 차용하고 있다. 레기라울은 에스토니아어의 언어적 성격을 대변하여 악센트가 떨어지는 강음절, 약음절, 그리고 장음절과 단음절이 교차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기본적인 형태로서 영시의 강약격 시구조와 비슷해 보이나, 인도 유럽어권에서는 불가능한 다양한 표현법들을 사용하여 레기라울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창출한다. 그 표현법들은 에스토니아어가 가지고 있는 언어적 장점을 십분 살리기 위해서 음운을 반복해서 리듬감을 주거나, 단어나 표현들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재미를 부여해 주는 대구법, 그리고 시적인 표현을 꾀하기 위해서 어휘 자체에 변화를 주는 방법 등 다양하다. 그러나 각운보다는 두운이 주로 사용되며, 시어 역시 이전에 내려오던 전통적으로 전해져 내려온 고어들이 주로 나타나므로 어휘가 비교적 제한적이라는, 형식과는 별도의 내용적 형식도 갖추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서 단지 외형적 측면만이 아닌 내재적 측면에서 레기라울의 표현적 특성이 어떤 것인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런 전통방식들은 칼레비포엑 같은 민족서사시, 미흐켈 베스케, 아도 레인발드의 작품 등 민족의식각성기에 에스토니아 민중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베스케나 레인발드는 에스토니아의 소작농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레기라울과 밀접한 환경에서 자라났기 때문에 어린 시절에 대한 추억과 향수가 잘 남아있으며 그로 인해 동시대를 살았던 민족시인들의 작품과 비교해 볼 때도 시상이나 표현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애석하게도 이런 전통작시방식은 위에 논의된 두 시인들의 세대를 이후로 문학계에서는 거의 사라졌지만, 현재 벨로 토르미스 같은 음악가들을 통해서 그 전통이 새롭게 이어지고 있다. Regilaul is the term referring to a traditional Estonian folksong which was formed on the linguistic background of a Western Finno-Ugric language and functioned as very meaningful means for Estonian people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moods till the mid-19th century. However, it began to decline rapidly since the Western influenc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tradition of regilaul almost disappeared in the mainland of Estonia, but it is merely maintained alive in a few villages in the countryside, such as Kihnu island in West Estonia and South-East region inhabited by Seto tribe, which demonstrates cultural distinctness. The exact meaning of regilaul is uncovered yet, but it is believed to be the combination of the word laul, the song in Estonian, and Rege, which means ‘the row’ in German dialect. The purpose of my study is to analyze the basic prosody of regilaul and methods of expressions, which have never been introduc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to analyze its influence on the art of verse-making during the 19th century, when the modern Estonian literature developed, with the examples of two poets Mihkel Veske and Ado Reinhold, as well as Kalevipoeg, the national epic. Traditionally a regilaul is not divided into stanzas and the end rhyme is hardly used. The system of rhythm is similar to trochee frequently utilized in English prosody: the stronger parts, where an accent falls, and weaker parts are repeatedly placed in one verse. Generally, a strong part with an accent is composed of a long syllable. In most cases each verse is divided into 8 part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syllables, however verses can be divided into two bigger parts by the interval in the middle.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regilaul is a very loose link between lyrics and melody. A melody is not used exclusively for specified lyrics but also found in other songs with different lyrics. The link of melody to specific lyrics began to appear in the 18th century and established during the 19th century. Mostly a verse comprises one complete sentence or expression. Many forms of expression are applied to prevent monotony or simplicity of regilaul, such as parallelism, alliteration, repetition, epithet, intentional modification of vocabulary, etc. Those factors, which have been used in oral literature, were applied for the versification of modern poetry by Mihkel Veske and Ado Reinvald. They are proclaimed to be the greatest masters who revived the main essence of expressions and features of traditional prosody in their works. Additionally, the prosody of regilaul is successfully revived in Kalevipoeg by F.R.Kreutzwald, which encouraged the national awakening of Estonian people in the 19th century. The prosody of regilaul generally resembling the utterance of Estonian vernacular made a huge contribution to the open expression of the sufferings and hardships experienced by Estonians.

      • KCI등재
      • 가상환경 내의 개체 행위 설계

        서진석(Jinseok Seo),김정현(G. Jounghyu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Ⅱ

        가상현실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할 때, 그 환경에 존재하는 개체(entity)들의 복잡한 행위(behavior)를 설계 및 기술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까지 고려한다면 매우 복잡하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행위와 상호작용의 설계 및 기술에 대한 정형화된 도구조차 찾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행위를 설계할 때,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이용되고 있는 도구 중 하나인 Statecharts와 DFD(Data Flow Diagram)을 기반으로 하는 ASADAL/SIM을 이용하여 설계하고 구현한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이 아닌 다른 도구를 통한 가상환경 내의 개체들의 행위 설계와가 가능함을 보이고, 그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여러 장점에 관하여 소개한다.

      • 에스토니아 민요에 등장하는 전통정서 바엡(Vaev)

        서진석(Seo Jinseok)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1

        정서란 한 민족의 사고방식과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정서란 감정과는 달리, 사회의 구성원들과 연계상과 상호관계에 의해서 그 구조 내에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특정 민족의 민속문화만이 아니라 주류문학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한 민족의 정서를 고찰해 보는 것은, 그 민족 구성원의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에스토니아 민요에 등장하는 전통 정서 중 하나인 바엡을 분석하고, 현대 문학작품에 남아있는 그의 영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바엡은, 에스토니아 민요에서 주로 사회적 불만족이나 노동의 어려움 등과 관련된 정서로서 독일, 스웨덴, 러시아의 지배를 받으면서 농노생활을 해야 했던 에스토니아 민중들의 역사와 생활을 대변해 주는 요소이다. 그와 비슷한 체계와 성격을 가지고 있는것으로, 리투아니아의 시엘바르타스의 정서를 들 수 있다. 시엘바르타스 역시 바엡처럼 인생의 슬픔과 어려움을 보여주는 내용으로서 서로 상통하는 부분이 없지 않으나, 감정이입의 방법론이나 심리적 차원의 접근정도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바엡의 특징적은 면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필요시 리투아니아의 시엘바르타스와 비교하는 방법을 택했다. 구조적 내용적 차이 외에도 리투아니아의 시엘바르타스는 현재 리투아니아 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에스토니아는 비교적 전통적인 바엡의 정서를 차용한 장르가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는다. 이는 20세기 초를 전후로 한 사회적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양국의 문화적 색채를 상당히 다르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The distinctive emotion in a nation can be a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mentality and the way of life of members who belong to the society. Here the emotion refers to a specific collective emotion which is dominant in a society. The collective emotion is different from the individual feeling experienced in daily life. Feelings, like any raw biological event, do not carry their own public or experiential definition. Such definitions are the work of culture; they are added to feelings and thereby transform raw feelings into interpreted and defined feelings that we know and experience as emotions. Emotions manifest a person's deep relationship to the public and interactional domain of life. Therefore the relationship to the society (or the groups) can bring out a special emotion and it can be dominant in a society. The object of analyse here is vaev, which is one of the emotions representing the atmosphere of Estonian folklore. It refers to the complex of feelings related with hard labor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stonia that local people were forced to live as slaves and paupers working for the Baltic Germen who comprised the governing class in Estonia for centuries. Vaev covers very large range of feeling like the affliction, difficulty, distress, drudgery, labor and pain,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status. Sielvartas of Lithuanian folklore might be the equivalent to vaev to some extent, because both refer to the hard feeling local people went through, but differences are also discernabl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specification of vaev, its form of expressions and evolution in the modern culture, but the comparison with sielvartas was also applied for the clarification of original color of vaev. The most obvious character of vaev is the outspoken expression of hard situation of local people. They don't hesitate to criticize the society and reveal the antagonism between the oppressing class and local people, The theme related with this social antagonism used to be even the favorite subject for the folksongs. But the peculiarity how Estonian vaev characterizes comes more clear when compared with sielvartas of Lithuania. Sielvartas is also related with the hardship and difficulties resulted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Estonia the hatred or loathness is represented outwardly and directly, whereas in Lithuania the direct and open expression of personal hardship is more restrained and moderate. Sielvartas focuses on the aspect concept of sadness and hardship arisen from the attachment to home or love, the nostalgia. The tradition of these expressions is still continued in both countries, but it is more vivid in Lithuania than in Estonia. The vast influence from the West, especially from German, paved the way to keep pace with Western European literature for Estonians. But in Lithuania the access to the main stream of literature was blocked for Lithuanian due to the ban on the publication with Lithuanian letter in the end of 19th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when the modern literature actively developed in Western Europe, therefore the only channel Lithuanian locals could express their feeling was the oral poetry and the literature began to take the shape of the narrative literature as if taken from the folksongs and folk tales, which conveyed sielvartas.

      • KCI등재

        실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XML 기반 저작도구의 구현

        서진석(JinSeok Seo),김준호(JunHo Kim),권덕중(Duk-Joong Kwon),김홍준(HongJoon Kim),오세웅(Sei-Woong Oh),김정현(JoungHyun Kim),김창헌(Chang-H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7

        실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상호작용을 디자인하고 구현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제어, 입력 데이터의 센싱과 보정, 상호작용 디자인, 로우레벨 프로그래밍, 성능 최적화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필요하다. 게다가, 주어진 상호작용 장치와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 기법을 적절하게 선택 및 조합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기 때문에, 최상의 사용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다양한 장치를 조합하여 제작된 실감형 상호작용 플랫폼을 소개하고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실감형 상호작용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개발된 XML 기반의 저작도구를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몇 개의 예시 콘텐츠를 통하여 연구결과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raction for tangible user interfaces require in-depth knowledge in many different disciplines, such as device control, sensing and calibrating devices, interaction design, low-level programming, and performance tuning. Many trial and error iteration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proper combination of the interaction techniques while using available interaction devices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s a result, it takes too much effort and time to achieve maximum usability. This paper introduces a tangible user-interface platform, which is fabricated using various hardware devices and an XML-based authoring tool, which is developed in order to relieve content creators of the burden of the above difficulties. Finally, we demonstrate our work by illustrating some example cont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