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두진 시인의 유년기와 시력(詩歷)의 상관성 연구

        박홍배(Park, Hong-Bae)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4

        본 연구는 박두진의 유년시절의 의식이 박두진의 성장기는 물론이고 청년기와 장년기, 나아가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을 보이고 있다. 박두진의 특수한 경험에 해당되는 유년기의 가난은 박두진을 좌절시키기보다는 오히려 박두진의 일생에 걸쳐 박두진을 곧고 강한 인물이 되도록 할 수 있었던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물론 유년기의 불우했던 환경이 모든 이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귀결되지는 않았을 것이나 박두진은 이러한 조건에 굴복한 것이 아니라 이를 딛고 자신의 인생을 개척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박두진의 강직하고도 자의식 강한 성품을 말해주는바, 본고를 통해 박두진의 유년기의 정신적 풍경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어떠한 요인이 그의 삶을 바르고 곧은 길로 이끌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독한 가난으로 잦은 이사를 다니면서 동네 아이들로부터 심한 따돌림으로 고통 받아야 했던 박두진에게 산과의 인연은 절대적인 요인으로 다가왔다. 가난의 고통과 텃세로 인해 죽음을 생각할 만큼 열등감에 시달렸던 박두진에게 산은 놀이 공간이자 안식처였고 구원의 지대였다. 또한 산은 박두진에게 하나의 공동체였고 삶의 터전이었다. 박두진은 온갖 생명이 생기가 넘쳐나는 산을 통해 자유와 평등과 사랑으로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가는 모습을 보게 되었고 생의 의욕을 다지게 된다. 산을 오르내리면서 얻게 되었던 이러한 체험은 소년 박두진을 좌절로부터 일으켜 세움으로써 그의 이상과 의지와 꿈을 형성하게 한 계기가 되었다. 이는 박두진이 에릭슨이 말한 바 유아 남성성의 단계를 슬기롭게 겪음으로써 ‘유능함’의 삶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음을 말해준다. 유년기 산에서의 체험에 힘입어 박두진은 인생의 매 시기 강건하고 올곧은 선택을 할 수 있었고 이는 박두진의 시력의 세 단계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것은 첫째 산에서의 행복했던 체험에 바탕을 둔 초기 자연시와 관련되며 둘째 산에서 발견한 공동체의 모습에 의지하여 중기에 보여주었던 사회참여시와 관련되고, 셋째 산에서 얻게 된 이상적 공간에 대한 감각에 따른 후기의 신앙시와 관련된다. 산에서 외로움과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던 박두진에게 산은 안식의 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공동체였으며 바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안내자였던 것이다. 이는 산에서 겪었던 유년기의 체험이 그의 시력에 결정적인 영향력으로 작용했음을 말해준다. 즉 소년 박두진은 산을 오르내리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이때 다져진 그의 굳은 의지는 박두진의 가슴에 화석처럼 쌓여 일생 동안 길잡이가 되었던 것이다. 박두진의 초기, 중기, 후기의 시들이 모두 변함없이 일관되게 강직하고도 완전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사정에 기인한다. This study shows that Park’s childhood consciousness influences Park’s growing years, youth, and even the first years of life. The childhood poverty, which is equivalent to Park Doo-Jin’s special experience, could have made Park Doo-Jin a straight and strong character over her lifetime rather than let Park Doo-Jin be frustrated. Of course, the poor childhood environment may not have resulted in a positive one for everyone, but Park Doo-Jin overcame these conditions to learn about it. It shows Park’s strong and self-conscious character, and reveals what factors led Park in his life to the mental landscape. For Park Doo-Jin, who had to suffer from severe bullying by local children after moving around a lot due to extreme poverty, the bond with the mountain has become an essential factor. For Park Doo-Jin, who suffered from poverty and inferiority complex that made him think about his death, the mountain was a playground, a haven, and a land of salvation. The mountain was also a community for Park Doo-Jin and a place to live. Park Doo-Jin saw all kinds of lives forming a community of freedom, equality and love through the lively mountain, and he became more passionate about his life. The experience, which was gained from climbing the mountain, helped raise the boy Park Doo-Jin from frustration, forming his ideals, will, and dreams. It tells us that Park Doo-Jin has gone through what Erickson calls the “capable” lifestyle process by going through the smart phase of infant manhood. Thanks to his experiences in the mountain, he was able to make strong, straight choices during each phase of his life, which appeared to be three stages of Park’s vision. First, it is related to the early natural poetry based on the mountain experience, second, it is associated with the social participation in the latter phase of the year,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the community found. Third, it is related with the latter faithful poetry. For Park Doo-Jin, who was able to escape from loneliness and suffering in the mountain, it was not only a place of rest, but also an ideal community and a guide to a just life. It suggests that his childhood experiences in the mountain served as a decisive factor in his vision. The boy, Park Doo-Jin, came up with many thoughts as he traveled around the mountain, and his strong will was wrapped up in Park’s chest like a fossil, making him a guide throughout his life. It is also due to these circumstances that Park Doo-Jin’s early, mid-and-after and later-the-day poems could all be performed consistently and in a complete form.

      • KCI등재

        이용자간 만족도를 고려한 공원의 공간개선 방향연구 - 목포시 삼학도공원을 중심으로 -

        박성현 ( Park Sung-hyun ),배현미 ( Bae Hyun-mi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역사와 문화를 품고 있는 목포 삼학도공원의 재정비계획 수립과정에서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계획 및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공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역사적인 측면에서 삼학도공원의 특징을 살펴본 후, 공원시설의 구성과 운용실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삼학도공원의 이용과 만족도 조사를 시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로는 첫째, 삼학도공원은 주말을 이용해서 가족 및 친구와 함께 여가를 즐기기 위한 공간으로서 근린공원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시민들이 삼학도공원을 근린공원의 이미지로 인식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둘째, 삼학도공원을 찾는 관광객들은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연령층은 시민과 비슷하게 40대와 50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은 가족과 함께 관광목적으로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민과 관광객 모두 삼학도공원의 이용 및 시설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민은 그 이유로 편안한 쉼터와 좋은 자연환경이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시민과 관광객 모두 삼학도공원 이용 시 관리실, 화장실, 매점 등 안내 및 편의시설의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으며, 삼학도에 새롭게 만들어졌으면 하는 시설과 사업에 대해시민과 관광객들은 섬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해 특색 없는 다리를 대신하여 육지와 삼학도를 이어주는 가동교 설치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간 만족도를 고려한 공원 공간개선 방향은 정리하면, 첫째 매립지의 기존 공원Zone(A)은 현재 공원시설을 최대한 활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이용측면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지역 정체성을 살리고 최근의 트렌드에 맞는 새로운 아이템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설계한다. 둘째, 삼학도 활용 Zone(B)은 복원된 삼학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설계한다. 셋째, 공원입구 Zone(C)는 공원의 위치 등 인지도 향상을 위한 안내 홍보 및 가동교 등 랜드마크 설치, 동선 유도책 등이 필요하다. 넷째, 목포내항 삼학도 해안 Zone(D)는 우수한 조망점이라는 특징을 적극 활용하고, 내륙과 내항측에서 접근이 용이한 동선 및 시선 유도계획 방향으로 설계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섬을 활용한 공원을 조성할 시 시설이용도 및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 기 위해 일반적인 근린공원으로 그 역할을 제안하는 것보다는 해당 공원을 통해 지역의 문화와 정서를 담고 섬만의 정체성을 살리는 전략과 계획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식이 섬을 활용한 공원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d satisfaction with Samhak Island Park among park users with an aim to provide basic data essential to be applied in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s in a way that enhances their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reorganization plan of this park entailing both the history and culture of Mokpo City. As a first step, the author firs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ark in terms of history and closely looked into the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park facilities. Secondly, the direction of space improvement plans was propo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urvey on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and visitors at Samhak Island Park. To summarize the ways to improve park space considering satisfaction among park users, the current park Zone(A) at Mokpo landfill should be designed to address problems in terms of visiting, uphold the local identity, and introduce popular and trendy items, while maintaining the principle of making the best use of the present park facilities. Second, Zone(B)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hat takes greater advantages of the restored Samhak Island. Third, Zone(C) representing an entrance requires tasks such as promotional activities to make public its location, landmark installments such as a movable bridge, and improved path guidance. Fourth, Zone(D) by the ocean of this island at the inner harbor should be designed to reflect its outstanding view point in the way that the users are allowed to have easier access from land as well as from the inner harbor as part of its view-attracting plan. The findings revealed that when it comes to building new parks using existing islands, strategies and plans to maintain its identity as an island while upholding its culture and feeling are needed rather than proposing its role as an ordinary neighborhood park to boost facility use and user satisfaction. This way is expected to successfully ensure sustainability related to parks using existing islands.

      • KCI등재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 설치를 위한 정책방향 - 국립공원 공원시설의 자연친화성 평가를 근거로 -

        박창석,배민기,김태진,Park, Chang-Sug,Bae, Min-Ki,Kim, Tae-Jin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 내에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의 설계와 설치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 외 친환경건물 인증제도와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입지, 설계와 설치, 운영과 관리부분별로 자연친화성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개 국립공원의 26개 공원사무소에서 실제 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공원관리자 7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연친화성 평가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분석, 집단간 평균의 차이분석, 다차원척도법,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1) 자연친화성 평가지표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한 결과, 시설의 입지 관련지표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공원시설의 자연친화성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 입지 관련 지표들의 자연친화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시설의 설계 및 설치 관련 지표들의 수준이 낮게 평가되었다. 특히, 에너지 효율화와 관련된 지표들의 평가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시설별로 보면, 대피소의 자연친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휴게소의 자연친화성이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전반적으로 볼 때, 설악산, 오대산,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공원시설에 대한 자연친화성 수준이 높게 나타난 반면, 경주와 속리산 국립공원의 자연친화성 수준은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원절약 및 자연생태계와 공원자원을 보존하고 탐방객의 편리한 이용을 위한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 설치를 위한 권고기준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policy directions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nature-friendly park facilities (PF) in national parks. In order to do that, nature-friendliness evaluation indicators(NEIs) used i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and related articles were reviewed. After the initial literature review was complete, NEIs for park facilities based on location,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sectors were developed. Data was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79 managers at 19 national parks in Korea in 2008. The answ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a t-test, a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a factor analysis. This research found that: 1) The results indicated that based on relative weight calculation, the location condition wa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2) The evaluation results regarding the degree of nature-friendliness of park facilities showed that location condition was ranked higher than design and construction--in addition, the evaluated values of indicators related to energy efficiency were ranked the lowest; 3) the level of nature-friendliness of shelter was given the highest level, but resting facility was the lowest level; 4) Overall, park facilities at Mt. Seorak, Mt. Odae, and Taean Coast national parks showed high levels of nature-friendliness. But park facilities at Mt. Gyeongju and Mt. Songni national parks showed low levels of nature-friendlin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a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ailor-made management policies, the development of detailed guidelines for increased energy efficiency and visitor satisfaction, and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s and natural resources in Korea's national parks.

      • KCI등재

        해상형 국립공원 탐방수요의 요인분해

        모수원 ( Mo Soo-won ),이광배 ( Lee Kwang-bae ),박정환 ( Park Jeong-hwan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2

        국내관광은 국제관광의 변동성이 주는 충격을 완화하려 관광산업의 안정성을 담보하는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국내관광부문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우리나라의 해외관광객은 2010년-2017년에 연평균 11.3%라는 높은 증가를 보인데 비해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탐방객은 연평균 1.5% 성장이라는 초라한 실적을 드러내고 있다는 데서 알 수 있다. 더욱 산악형 국립공원에 대해서는 비교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해 해상형 국립공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와 관심이 빈약한 편이다. 이에 본고는 변이할당분석과 BCG분석을 이용하여 해상형 국립공원 탐방객의 변동요인을 식별한다. 먼저 변이할당분석을 적용하여 4개 해상형 국립공원 탐방객의 변동을 국립공원 전체에 대한 탐방수요가 개별 국립공원탐방수요에 미치는 국립공원효과, 국립공원 전체에 대한 매력과 해상형 국립공원에 대한 매력의 차이가 개별 국립공원 탐방수요에 미치는 해상형 국립공원효과, 그리고 개별 국립공원과 해상형 국립공원의 탐방수요가 미치는 소위 경쟁력효과와 같은 3개 요인으로 분해한다. 또한 변이할당분석을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분석으로 구분하여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분석의 3개효과가 부호와 크기에서 상당한 차이를 노정한다는 것도 밝힌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4개 해상형 국립공원의 탐방객 변동을 요인별로 분해하여, 정태적 분석에서는 국가효과와 구성효과가 양의 값으로 4개 해상형 국립공원 탐방객을 증가시키나, 동태적 분석에서는 구성효과의 경우 2013년부터, 국가효과의 경우 2014년부터 음의 부호를 갖는다는 것을 밝힌다. 탐방객이 증가한 오동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태안해안국립공원은 물론 탐방객이 감소한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도 개별 국립공원의 경쟁력을 의미하는 지역효과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보인다. BCG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오동도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star 영역으로 상승한 후star 위상을 유지하며, 변산반도국립공원은 star에서 cash cow와 child로 위상이 변화하여 탐방객 증가가 평균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데 비해 태안해안국립공원은 child에서 dog로 추락함을 보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4개의 해상형 국립공원 모두에서 지역효과가 탐방객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오동도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경쟁력은 우수하나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경쟁력은 정체상태에 있으며,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쟁력은 하락하고 있음을 밝힌다. BCG분석에서는 오동도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 탐방객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것과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가장 큰 경쟁력 향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도 밝힌다. Tourism is widely considered one of the world's largest and rapidly growing industries. Domestic tourism, however, remains an under-researched theme in many countries involving Korea partly due to the difficulty to track domestic tourism and with governments and policy-makers placing emphasis on the attractive higher expenditures of foreign visitors. It is stated that a vibrant domestic tourism sector can cushion the industry from fluctuations of the international tourism market and bring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n the industry. Nature-based tourism to national parks gives us broad benefits such as improv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ress reduction and increased social cohesion. Employment is one of tourism’s main development advantages and its role in promoting economic opportunities for communities adjacent to national parks has long been appreciated. But tourism performance in Korean national parks continues to dwindle and stagger. This paper introduces a shift-share decomposition to break down the tourism to the marine national parks into three components: one measuring national effect, and two other components due to changes in compositional effect and regional effect respectively. While the static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the growth in marine national parks’tourism seems to be due to positive national park effect as well as marine national park effect, the dynamic regional effect appears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visitors. This paper also employs the positioning analysis on national parks using Boston Consulting Group matrix over the period 2011-2016. The BCG analysis shows that Odongdo and Dadohaehaesang succeed in rising to a star area, Byeonsanbando ranges over a cash cow to a child, but Taeanhaean degrades from a child to a dog area.

      • KCI등재

        Pollen metabarcoding reveals the floral resources and niche overlap of honeybees in forest areas

        Do Yuno,Park Woong‐Bae,Park Jun‐Kyu,Kim Chang‐Jun,Kim Il‐Kwon,Choi Moon Bo 한국곤충학회 2022 Entomological Research Vol.52 No.12

        We investigated the floral resources of the honeybee (Apis mellifera)bypollenDNA metabarcoding as the first step in honeybee conservation. We attempted to identify as many floral resources and as wide resource availability as possible in areas and compared the richness of floral resources between forests and national parks. We found that both forest and national parks can sufficiently support honeybee floral resources; however, national parks were more stable habitats with more complex vegetation structure than those of forests. Also, honeybee’s preferences for floral resources were determined using niche breadth, niche overlap, and network analysis among the floral resources in forest areas. Quercus and Actinidia were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taxa of pollen resources in both forests and national parks by pollen metabarcoding. Even though we anticipated that more various pollen resource taxa would be found in national parks than forests, no differences in the number pollen resource taxa were detected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niche overlap analysis result, the honeybee preferred the pollen resources in both forests and national parks, and the co-occurrence pattern analysis of pollen resource taxa in both forests and national parks showed a simple network. Altogether, our findings suggested that DNA metabarcoding of pollen collected by the honeybee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flowering plants in a given area. As the use of floral pollen resources varies spatially and temporally, periodic monitoring of pollen resources can identify which pollen is required to maintain the health of honeybee colonies.

      • KCI등재후보

        태안해안국립공원 지역특화자원을 활용한 탐방프로그램 개발 연구

        배준호(Joon-ho Bae),남승민(Seung-min Nam),허학영(Hak-young Heo),송창룡(Chang-ryong Song),박현숙(Hyun-suk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1

        본 연구를 위해 먼저 국내·외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운영프로그램 현황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조사된 일부 사례의 경우 기후 및 지형적 요인, 그에 따른 생태환경의 차이, 그리고 관련 법령 차이 등의 이유로 즉시 국립공원에 도입하기 보다는 중·장기적 운영계획과 인프라의 확충, 전문성 확보 등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적합한 탐방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사업대상지 현장방문을 실시하였으며, 기존 운영프로그램 현황, 각종 시설, 인력현황 파악, 주변 환경 분석, 담당자 인터뷰 등을 통해 맞춤형 탐방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우, 연구원 협업 철새 가락지 부착체험, 태안 해변길 - 솔모랫길 탐방, 태안해변 드론 탐방, 마음의 의자, 연날리기, 새와 예술 그리고 … 등의 체험형 프로그램과 한서대학교와 함께하는 해양 안전 교육 프로그램, 유류 오염 교육 프로그램 등의 교육형 프로그램 등 모두 8가지 해양국립공원 운영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제안된 탐방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소 및 운영시설의 확충, 예산편성, 운영을 위한 타당성 검토 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탐방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지도자의 역량개발이 필요하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위한 추가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or this study, we first examined the currently operating programs of domestic and overseas maritime and costal national parks.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programs require systematic preparations such as mid- and long-term operation plans, infrastructure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professionalism rather than immediately introducing them into national parks due to the differences in climatic and geographic factors, ecological environment, and relevant regulations. To develop more suitable programs, on-site visits were made and the customized programs were suggested by closely examining the status quo and interviewing people in charge of running the currently offered programs. For Taean Coastal National Park, eight programs were recommended as feasible ones, including the experiential programs such as Bird Ringing, Taean Beach Trail - Sol Sand Trail Walking, Travel Taean Beach with Drone, Thinking Chair, Kite Flying, and Culture & Arts Program (Birds, Arts, and …), and the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Marine Safety Training and Oil Pollution Awareness Program. For the suggested programs to be realized, the expansion of separate places and operating facilities for each program, budgeting, and feasibility study should be preceded. To operate the program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program leaders, and additional discussion for supplement the currently operated programs and implement new programs.

      • 설악산 국립공원의 어류분포

        장민호,조가익,하진용,정광석,박성배,주기재 한국어류학회 2002 韓國魚類學會誌 Vol.14 No.4

        설악산 국립공원지역 산간계류의 17개 지점에서 2000년 6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어류상 및 이화학적 요인을 계절별로 총 4회에 걸쳐 분석하였다. 모든 조사지점은 1~3차의 하천으로 비교적 물리·화학적 교란이 적었으며 하천폭은 5~30 m 정도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18과 42종 2,557개체였고, Cyprinidae는 16종으로 84.7%의 상대풍부도를 나타냈으며, Gobiidae 4종, 5.0?의 상대풍부도를 보였다. Cyprinidae는 전체 채입종의 37.2%를 나타냈다. 우점종은 Zacco temminck로 10개 지점에서 738개체가 채집되어 28.9%의 상대풍부도를 나타냈으며, 아우점종은 Rhynchocypris kumkangensis와 Z. platypus로 각각 4개 지점 648개체(25.3%)와 7개 지점 344개체(13.5%)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Korean endemic species)은 모두 4과 11종 781개체로 30.5%의 상대풍부도를 나타냈으며, 고유화 빈도는 25.6%로 한국의 평균 고유화 빈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외래어는 채집되지 않았다. 국립공원 내에 서식하는 어류의 다양성 유지와 회복을 위해서는 공원 내는 물론 경계지역 하천의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The fish fauna of mountain streams in the Seorak National Park area was investigated from June 2000 to June 2001 (4 times). All 17 sites were relatively undisturbed 1st to 3rd order streams. A total of 2,557 individual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17 families and 43 species. Cyprinidae accounted for 37.2% (16 species) of the total fish species and 84.7% (2,165 ind.) of the total abundance. Subdominant families were Gobiidae (4 species, 5.0%) and Balitoridae (3 species, 3.4%). Zacco temmincki (RA 28.9%, 10 sites) dominated. Subdominant species were Rhynchocypris kumkangensis (25.3%, 4 sites) and Zacco platypus (13.5%, 7 sites). Eleven of the species are endemic to Korea (4 families, 30.5%). Exotic species were not collected in this survey. Fish diversity was higher in streams around the boundary area than in the national park. Therefore, management of streams in the boundary area to protect the fish biodiversity can be efficiently conducted. Habitat degradation should be reduced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fish diversity.

      • Taxonomic study of genus Ypsolopha (Lepidoptera: Ypsolophidae) from Korea

        Sol-Moon Na,Bo-sun Park,Dong-June Lee,Yang-Seop Ba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The genus Ypsolopha Latreille 1796, belongs to the family Ypsolophidae, small to medium sized micro-moth, with more than 140 described species around the world. More than 70% of the species are described from the Palearctic and Oriental Regions (Jin et al., 2013). Major taxonomic study of Ypsolopha carried out by following scholars. In the end of 18th to early of 20th century, Fabricius (1798), Hübner (1826), Agassiz (1846), Walshingham (1881, 1889), Busck(1903, 1906) and Meyrick (1914-1937). Furthermore, Moriuti (1964, 1977) studied total 17 Japanese Ypsolopha species and he divided 3 groups which based on fore- and hind- wing venations and shape of labial palpus. The first systematic study of the genus Ypsolopha carried out by K. T. Park (1983), discovered with four species, Ypsolopha blandella (Christoph), Y. yasudai Moriuti, Y. strigosa (Butler), Y. acuminata (Butler) in ‘Illustrated Flora & Fauna of Korea vol. 27 Insecta (Ⅸ)’ and ‘Check List of Insects from Korea’. After than, Ypsolopha longa Moriuti was discovered by Jeong et al.(1995). In 2001, Byun and Park, they described new species, Ypsolopha nigrimaculata Byun and Park. At the same time, Byun and Bae reported 3 newly recorded species; Y. cristata Moriuti, Y. japonica Moriuti, Y. parenthesella (Linnaeus). Up to date, 14 species have been recorded from Korea by Sohn (2010, 2011) with Y. amoenella (Christoph), Y. asperella (Linnaeus), Y. contractella (Caradja) and Y. acerella (Ponomarenko and Sohn).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ied 14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with some unidentified species. The materials examined come from the collection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Elevational Distribution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 Hyun-su Hwang ),( Jae-kang Lee ),( Tae-kyung Eom ),( Ho-kyoung Bae ),( Dong-ho Lee ),( Jong-hwan Lim ),( Sung-cheol Jung ),( Chan-ryul Park ),( Shin-jae Rh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1

        In this study, the elevational distribution of breeding birds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was investigated. Forty-six species of birds were documented from line transect surveys taken from Seorakdong at 230 m above sea level (a.s.l.) to the Daechungbong summit at 1708 m asl. Bird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were highest in Seorakdong and lowest at the Daechungbong summit. As elevation increased, bird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decreased, with a humped-shape trend being observed between 700 m and 1200 m a.s.l. Stepwise analyses revealed that breeding bird species diversity indic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elevation (r<sup>2</sup> = 0.327, P < 0.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vegetational coverage (r<sup>2</sup> = 0.324, P = 0.046). Higher elevations supported fewer birds than low and intermediate elevations. Projections at the local scale, including data on behavior and habitat use by birds, will be necessary for optim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bird communiti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Engineered Herbicide-Tolerant <i>Zoysia japonica</i>

        Bae, T. W.,Vanjildorj, E.,Song, S. Y.,Nishiguchi, S.,Yang, S. S.,Song, I. J.,Chandrasekhar, T.,Kang, T. W.,Kim, J. I.,Koh, Y. J.,Park, S. Y.,Lee, J.,Lee, Y.-E.,Ryu, K. H.,Riu, K. Z.,Song, P.-S.,Lee, H Wiley (John WileySons) 2008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Vol.37 No.1

        <P>Herbicide-tolerant Zoysia grass (Zoysia japonica Steud.) has been generated previously through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The genetically modified (GM) Zoysia grass survived Basta spraying and grew to maturity normally while the wild-type (WT) grass stopped growing and died. GM Zoysia grass will permit more efficient weed control for various turf grass plantings such as home lawns, golf courses, and parks. We examined the environmental/biodiversity risks of herbicide-tolerant GM Zoysia before applying to regulatory agencies for approval for commercial release. The GM and WT Zoysia grass' substantial trait equivalence, ability to cross-pollinate, and gene flow in confined and unconfined test fields were selectively analyzed for environmental/biodiversity effects. No difference between GM and WT Zoysia grass in substantial traits was found. To assess the potential for cross-pollination and gene flow, a non-selective herbicide, Basta, was used. Results showed that unintended cross-pollination with and gene flow from GM Zoysia grass were not detected in neighboring weed species examined, but were observed in WT Zoysia grass (on average, 6% at proximity, 1.2% at a distance of 0.5 m and 0.12% at a radius of 3 m, and 0% at distances over 3 m). On the basis of these initial studies, we conclude that the GM Zoysia grass generated in our laboratory and tested in the Nam Jeju County field does not appear to pose a significant risk when cultivated outside of test field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