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의류 쇼핑몰 속성이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서현석(Hyunsuk Suh)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1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1 No.1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line store attributes and the customer's shopping satisfaction. The effect of shopping styles and shopping mall type characteristics are being controlled in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model. To do tha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arget samples ages between 20-40 years old who dwel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otal of 285 valid sample data were collected to test study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12 out of 16 independent variables do have significantly influence dependent variable. Such study variables as price, product diversity, product information, and the speed of service could not verify significance on the shopping satisfaction. As for the controlling effects, 3 out of 6 control variables seems to have significant effect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shopping trend, quality, and impulse orientations. The contribution of the study is in exploration of the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in different shopping styles between the different product characteristics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자의 불만스러운 의견으로 인한 브랜드 평가에 웹케어는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

        서현석(Hyunsuk Suh)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2 전자무역연구 Vol.20 No.4

        연구목적: 브랜드(회사)는 소비자의 댓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하며, 아울러 고객 유실을 방지해야 하는데 이러한 수단을 웹케어라고 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부정적인 댓글에 Personal 웹케어와 Impersonal 웹케어가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주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이 관계에서 Conversation Human Voice의 매개적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타오바오(Taobao)의 상품평 스크린 샷을 실험 설문을 통해 응답자들에게 (Personal vs. Impersonal) x (능동적 vs. 수동적) 등 4가지 웹케어를 하는 정보를 제시하여 이에 대한 직접적인 브랜드 평가와 Conversation Human Voice의 매개적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아울러 Conversation Human Voice와 브랜드 평가 간의 관계에 있어 능동적 vs. 수동적 경우의 조절효과도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 실험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의 부정적인 댓글에 대한 웹케어가 Personal일 때는 Impersonal일 때에 비해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가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브랜드 평가의 경로에서 Conversation Human Voice가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도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인 댓글에 대한 대응이 능동적일 때 Personal 웹케어는 Impersonal 웹케어에 비해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가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소비자의 댓글에 대한 대응은 수동적일 때 Personal 그리고 Impersonal 웹케어가 브랜드 평가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기존의 웹케어에 대한 연구에서 주로 능동적 수동적 웹케어에 대한 영향의 연구 한계점을 보완하여 능동적 그리고 수동적 웹케어의 조절 효과에 대해 함께 검증을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브랜드 평가뿐만 아니라 Communication Human Voice라는 변수를 추가적으로 제시하여 부정적인 댓글에 대한 웹케어와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사이에서 매개한다는 차별적인 시사점을 지닌다. 차별적 시사점을 지닌다. 아울러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브랜드가 소비자와의 소통에 있어서 긍정적이며, 유머러스하고, 소비자의 댓글에 즉각적이고 성의 있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를 쌓아야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Purpose: Companies(Brand) continually monitor consumer reviews to diminish potential adverse effects on brand image, along with customer loss. This idea is referred to as webcare.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and impersonal webcare on consumers’ discontented reviews and its effect on brand evaluation. In addition, we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nversation human voice in this causal pathway. Composition/Logic: This study looks at four combinations(personal vs. impersonal) x (reactive vs. proactive) of webcare and their effect on the brand evaluation. In this relationship the mediating effect of conversation human voice was also explored. Finding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 webcare on consumer’s discontented reviews was significant when personal webcare was initiated rather than the impersonal one. The conversational human voice for its medi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ddition, when the company’s reaction to negative reviews was proactive rather than reactive, the consumer’s brand evalua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The personal webcare brings more positive consumer evaluation of the brand, as compared to impersonal webcare when company’s reaction is proactive. However when company’s reaction is reactive, no difference of consumer evaluation on brand occurred between personal and impersonal webcare was found. Originality/Value: This study adds values to existing strides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the conversation human voice in the pathway between personal and impersonal webcares on brand evaluation.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 of reactive and proactive reaction of companies on consumer’s negative reviews. The practical contribution of the study lies in when companies communicate with their customers, they need to show prompt reaction with humorous and sincere attitudes to earn comsumer trust which in turn, this can halt the consumer drainage resulting from negative reviews that will further deteriorate company images.

      • KCI등재

        e-CRM 구성요인이 관계품질, 지각된 전환비용 및 지속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현석(Hyunsuk Suh),주형준(Hyoungjun Ju)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1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1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omponents in e-CRM that would significantly a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relationship quality and switching cost that will ultimately lead to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in the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To do tha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arget samples ages between 20~30 years old who had previous Internet shopping experiences. Total of 243 valid sample data were used to test study hypotheses. The result indicate that the information provision seems to be the most effective influencer among e-CRM components to perceived relationship quality, perceived switching cost,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on the site, followed by interaction and frequent flyer programs, perhaps. The contribution of the study is in exploration of significance in e-CRM components that would directly bring about repetitive visits and also indirectly via perceived relationship quality and perceived switching cost.

      • KCI등재

        Impact of Social Presence on Consumer Impulse Buying in E-Commerce Platforms in China

        부완영(Wan-Ying Fu),서현석(Hyunsuk Suh)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0 전자무역연구 Vol.18 No.3

        연구목적: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온라인 쇼핑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점점 더 많은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트렌드에 입각하여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의 사회적 현존감은 더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또한 사전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현존감은 충동구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몰입감과 환기가 사회적 현존감의 유형과 고객의 충동구매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빅5 성격 특성의 하나인 신경증과 우유부단함이 몰입감과 환기, 그리고 고객의 충동구매 사이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의 제1장은 연구 배경과 목적에서 시작된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이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가설을 제안한다. 제3장에서는 연구 모델과 데이터 수집 방법론을 제시했다. 제4장에서는 IBM SPSS 21.0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수행했다. 그리고 제5장에서는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 한계점과 함께 연구 결과를 요약했다. 결과: 연구결과 두 종류의 사회적 현존감 중에서, 판매자와의 상호작용의 사회적 현존감(SPS)은 다른 고객의 사회적 현존감(SPC)보다 몰입감, 환기, 충동구매에 더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몰입감과 환기가 사회적 현존감 유형과 충동구매의 관계에 있어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경증은 몰입감과 충동구매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두 개의 사회적 현존감 유형이 전자상거래 플랫폼 배경 하에서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술적 가치를 제공하고자 했다. 아울러 소비자의 충동구매 행동을 형성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어떤 미디어 플랫폼을 선택할 때 소비자들에게 제품 및 마케팅 정보를 정확하고 풍부하게 전달할 것인지를 고찰하여 소비자들의 더 나은 구매결정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용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online shopping has become a new trend, attracting consumers all around the world. To draw more customers to purchase online, social presence is a vital factor in the pathway to impulse buying, for e-commerce platforms. Furthermore, social presence was found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impulse buying.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immersion and arousal can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social presence types and customers’ impulse buying, and if neuroticism and indecisivenes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mersion, arousal and customers’ impulse buying. Composition/Logic: This study begins with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n the first chapter. In the second chapter, the hypotheses are propose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is study’s purpose. Chapter three suggested that the research model and data collection methodology. In chapter four, the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through IBM SPSS 21.0 to verify our hypotheses. And in chapter five, we summarized research results along wi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indings: Social presence of interaction with the seller(SPS) has a greater positive effect on immersion, arousal and impulse buying than social presence of other customers(SPC). The mediating effects of immersion and arous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types and impulse buying were verified. Neuroticism, as one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mersion and impulse buying. Originality/Value: This study lends academic support to the proposition that different social presence types impact impulse buying on e-commerce platform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has practical value which can help online retailers understand the influence an formation mechanism of consumers’ impulse buying behaviors, and help marketers make better decisions such as when choosing which media format to convey the product and marketing information to consumers.

      • KCI등재

        The Effects of User-generated Content and Firm-generated Content on Consumer s Click-through Intention in China

        시야남(Ruonan Shi),서현석(Hyunsuk Suh)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1 전자무역연구 Vol.1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용자생성 콘텐츠(UGC)와 기업생성 콘텐츠(FGC)가 소비자의 클릭-스루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 지각된 신뢰성과 지각된 오락성의 매개 효과를 조사했다. 또한, Big Five 모델을 기반으로 성격 특징의 조절 역할(외향성, 성실성, 개방성, 친화성, 신경증적 경향)을 탐구했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연구배경과 연구목적의 소개이다. 두 번째 부분은 이론적 배경과 가설의 확장이다. 세 번째 부분은 제안된 개념 모델과 방법론을 설명한다. 네 번째 부분에서는 이 연구의 기본적인 기술 통계 분석과 가설 검증 결과를 설명한다. 마지막 부분은 연구결과, 이론적 및 관리적 함의,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이다. 결과: UGC는 FGC보다 소비자의 클릭-스루 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지각된 신뢰성과 오락성은 FGC, UGC와 소비자의 클릭-스루 의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효과의 결과는 성실성 높은 소비자에 비해 소비자의 성실성이 낮을 때, UGC가 FGC보다 지각된 오락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신경증적 경향의 정도가 높은 소비자보다 소비자의 신경증적 경향의 정도가 낮을 때, UGC가 FGC보다 소비자의 지각된 신뢰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소셜 미디어 연구에서 성격 특징의 영향을 탐구하는 학문적 바탕을 지원하는데 의의가 있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사용자생성 콘텐츠와 기업생성 콘텐츠의 향후 연구에 기여하고 실무자들에게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user-generated content (UGC), firm-generated content (FGC) on consumer s click-through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redibility and perceived entertainment were examined. Based on the big five model,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ity traits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openness, agreeableness, neuroticism). Composition/Logic: This research consists of five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of research background and research purpose. The second part is the extension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hypotheses. The third part explains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and methodology. The forth part describes the basic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and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The last part is the discussion of finding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indings: UGC proves to have greater effect on consumer s click-through intention than FGC. Perceived credibility and perceived entertainment serve as mediators between FGC, UGC and consumer s click-through intention. These findings enrich the literature of social media content. The results of moderating effect showed that compared to those with high-level of conscientiousness, when consumer s conscientiousness is in low-levels, UGC has a greater effect on perceived entertainment than FGC. And compared to those with high-level of neuroticism, when consumer s neuroticism is in low-levels, UGC has a greater effect on perceived credibility than FGC. This provides academic support for exploring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in social media researches. Originality/Valu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researches of user-generated content and firm-generated content and provide guidelines for practitioners.

      • KCI등재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Different Types of Advertisement on Chinese Consumers

        Bao-Xin Zhu(주보흔),Hyunsuk Suh(서현석)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9 전자무역연구 Vol.17 No.4

        연구목적: 최근 중국에서는 전통적인 일반 모델 광고와 달리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크로스 모델 광고 형태가 급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른 광고 유형(일반 모델 광고와 크로스 모델 광고)이 소비자들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유희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중점을 두고, 두 가지 지각된 심리가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했다. 논문구성/논리: 제1장의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배경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선행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가설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구 모델을 설정하고 설문 구성과 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IBM SPSS 21.0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했다.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두 가지 광고 유형이 소비자들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유희성에 대해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즉, 크로스 모델 광고보다 일반 모델 광고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유희성은 광고 유형과 구매의도 사이의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 을 검증했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일반 모델 광고와 크로스 모델 광고가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소비자들의 지각된 심리적 요인(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을 연관시키고 광고 유형의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를 통해 중국 고유문화의 영향으로 인해 일반 모형 광고는 크로스 모형 광고보다 지각된 유희성 측면에서 중국 소비자들에게 더 적극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선행연구와는 반대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민족 문화의 차이에서 광고 유형의 발전방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Purpose: In recent years, the cross-model advertising have been developed and spread rapidly over general model advertising in China as part of the enhanced attraction to consumer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see how different types(general model advertising and cross-model advertising) of advertising schemes can affect consumer 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on its pathway to consumer s purchase intention. Composition/Logic: This study begins with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n the first chapter. In the second chapter, the hypotheses are proposed with the help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Chapter three suggested the research model and data collection methodology. Chapter four, the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through IBM SPSS 21.0 to test our hypotheses. And in chapter five, we summarized research results along wi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indings: This research looks whether the two types of advertising schemes: general and cross models do have different effects on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general model advertising scheme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playfulness as compared to the cross-model advertising schem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to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was hold. Originality/Value: This study expands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general model advertising and cross-model advertising influenc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China, where the culture is relatively conservative and male-oriented in nature, the general model advertising has more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playfulness than cross-model advertising. This result is assumed to be exclusive to Chinese culture but not elsewhere. Previous studies brought about the exact opposite results. This can bring new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dvertising types and schemes in Chinese culture.

      • KCI등재

        온라인 사회적 자본이 국제 정치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허왕(Wang Heo),서현석(Hyunsuk Suh)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1 전자무역연구 Vol.1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제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을 발견하여,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온라인 사회적 자본이 국제정치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의도적 구매를 통한 보상 차원의 소비와 의도적 불매를 통한 처벌 차원의 소비 행동을 구분하여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매개된 조절변수, 종속변수로 구성이 되었으며, 각 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종속변수인 국제정치적 소비는 범주형 명목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이외 변수들은 리커트 7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다중회귀분석과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 SPSS Macro 4번, 14번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한다. 결과: 온라인 사회적 자본 요인인 연결적 사회자본과 결속적 사회자본은 시민참여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결적 사회자본은 국제정치적 소비 요인인 의도적 구매와 의도적 불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결속적 사회자본은 국제정치적 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연결적 사회자본은 국제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시민참여 의도는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결속적 사회자본은 국제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시민참여 의도는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사회적 자본이 시민참여 의도를 매개하여 국제정치적 소비(의도적 구매)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 자아존중감은 시민참여 의도와 국제정치적 소비사이에 양(+)적인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창성/가치: 국제정치적 소비 행동 연구의 필요성은 해외 학자들로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지만, 이와 관련한 국내 연구는 굉장히 미흡하다. 특히 국내에서 진행된 국제정치적 소비 행동 연구는 인구 통계적 요인이나 측정 문항 개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을 추가하고, 특히 행정학, 사회학 등에서 주로 다루는 개념과 경영학에서 주로 다루는 소비행동의 관계성을 파악했다는데 가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receding factors affecting international political consumerism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online social capital on international political consumerism, which has not been studied previously. Mainly, it aims to understand consumption behavior at the reward level through intentional purchase and punishment through intentional boycott. Composition/Logic: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is investigated. International political consumerism, a dependent variable, comprised a categorical nominal scale, and other variables were composed of a 7-point Likert scale. Accordingly, hypotheses are verifi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No. 4, 14. Findings: It was found that citizen participation is partially mediated when the bridging social capital, a component of online social capital, affects buycott as a political consumerism. However, when bonding social capital affects buycott political consumerism, the citizen participation intention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are as follows. When online social capital indirectly influences political consumerism(buycott) by mediating citizen participation intention, self-esteem positively(+) controls the mediating effect by facilitating citizen participation intention and political consumerism(buycott). Originality/Value: The need for study on political consumerism has been steadily raised by overseas scholars, Nevertheless, studies on domestic political consumerism are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expands the study of motivational factors affecting political consumerism behavior and is expected to supplement domestic studies. Mainly, it is valuabl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sociology and consumption behavior in business admini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