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SCISCOPUSKCI등재

        A Review of Korean Mental Health Studies Related to Trauma and Disasters

        JungBum Kim,SeolYoung Ryu,Hyunnie Ahn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5 PSYCHIATRY INVESTIGATION Vol.2 No.2

        This article reviews the findings from the studies on disaster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conducted during the last decade in Korea. Forty-five studies direct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impact and stress from various types of disasters were selected through a literature search. We present prevalence/ incidence, risk factors and other variables related to disasters, the treatments, and case reports. Most of the studies have not yet systematically examined different types of disaster and trauma, and have strong methodological weaknesse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ystematic studies are greatly needed to understand the comprehensive aspect of disaster and PTSD, especially focusing on the epidemiology, child and adolescent victims, biological aspects, pharmacotherapy, and psychological treatments.

      • KCI등재

        직장인의 자아 탄력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매개효과

        김예진(Yejin Kim),안현의(Hyunnie Ahn)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6 No.1

        본 연구는 직장인의 성격 기질과 직무 스트레스 지각 수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바라보는 인지적 신념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최근 새롭게 연구되고 있는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개념을 도입하여 국내 20-40대 직장인 328명에게 자아 탄력성,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마인드셋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인구통계학적 차이 확인을 위한 분산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변인들은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높은 자아탄력성은 직장인의 스트레스 지각 수준을 낮췄다. 또한 자아 탄력성과 지각된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cognitive beliefs about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 and perceived stress level of office workers. To this end, 328 Korean workers in their 20s to 40s were recruited to complete an online questionnaire on ego-resilience, perceived job stress, and stress mindse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o identify differences by demographic groups and by hierarchical regression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All studied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nd ego-resilience negatively predicted the level of perceived stress of office workers. In addit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tress mindse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수치심과 죄책감,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매개효과

        김지연(Ji-Yeon Kim),안현의(Hyunnie Ahn)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21 가족과 상담 Vol.11 No.1

        본 연구는 수치심, 죄책감과 우울의 관계를 성별에 따라 알아보고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자기용서가 수치심, 죄책감과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충청 지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57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수치심, 죄책감, 우울에서 유의한 성차를 보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치심은 남녀 모두에게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죄책감과 우울은 여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정도는 미미하였고, 남성은 상관이 없었다. 셋째, 수치심과 우울에서 자기용서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치심과 죄책감이 서로 다른 정서로 자기용서와 우울에 다른 영향을 끼침을 보여주었고, 수치심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ed at figuring out whether shame, guilt, and depression show a gender difference and examining whether self-forgive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guilt and depressio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For this research, 573 men and women aged 18 or older were surveyed in Seoul, the metropolitan area around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meaningful gender difference among shame, guilt, and depression was observed, which means that women showed higher score of each than men. Second, shame had a positivel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depression both in men and in women; however, guilt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but slight correlation with depression only in women. Third, self-forgive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hame and depression. This research found that shame and guilt as a distinct emotion played a different role in relations of self-forgiveness and depression and that. self-forgive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hame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정신건강 전문가의 재난지원활동 여부에 따른 공감만족, 소진, 간접 외상스트레스

        심기선(Sim, Kisun),주혜선(Joo, Hyesun),안현의(Ahn, Hyunni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2

        본 연구에서는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재난지원활동에 참여한 경험 여부가 정신건강전문가의 공감만족, 소진, 간접 외상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공감만족, 소진, 간접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개인 변인과 업무환경 변인을 대상으로 상관분석 및 평균비교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과 재난지원활동 참여 유무 변인을 다중지표 다중원인(MIMIC) 모형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정신건강 전문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6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재난지원활동에 참여한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소진과 간접 외상스트레스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정신건강 전문가의 과거 외상경험이 현재 괴로운 정도가 높을수록 소진과 간접 외상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일수록 소진의 수준이 높고, 남성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공감만족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난지원활동에 참여한 정신건강 전문가들의 전문적 삶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과 추후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isaster activities on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responding to the Sewol Ferry disaster.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from 262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with trauma survivors. Results from MIMIC(Multiple Indicators and Multiple Causes) model revealed that disaster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the level of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the degree of distress for trauma history also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disaste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제도의 시행과 개선에 대한 교사의 인식

        김동일(Kim Dongil),신을진(Shin Eu-jin),안현의(Ahn Hyunni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5 열린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현 교육 상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토대로, '전문상담교사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교육상황을 대부분의 교사들이 위기상황을 지각하였으며, 특히 '학력저하'현상이 가장 뚜렷하다고 지각하였다. 둘째, 생활 지도에 있어 교사들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과 실제 지도가 이루어지는 영역은 차이가 있었고, 특히 '학업'은 필요이상 많은 지도가 이루어지는 영역이었다. 인성교육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학교급별, 전문상담과정이수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전문상담교사제도는 교육과정, 자격증 부여방식, 제도적 지원 등에 있어서 보완 및 수정이 필요하였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제도에 대한 개선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Based on teachers' thought of the problematic nature in the current public educational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ounseling teacher licensur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ly, most teachers viewed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as a crisis, and in particular, they pointed to the "decline in academic performance" as the most manifest evidence of such crisis. Secondly, regarding guidanc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reas where teachers believed were important and those where guidance was actually put into practice. In particular, "academic achievement" was such an area where more guidance than necessary was taking place. For reasons on why character education was difficult to pursue, teachers showed different opinions according to each school level, and whether or not they had completed the professional counseling course. Finally, the counseling teacher licensure programs should be revised and improve in the educational curricula, in the ways the certificate is conferred, and systemic support. With these results, improvement of the counseling teacher licensure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세월호 참사 후 재난심리지원 실무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국내 재난심리지원체계의 한계 및 개선방안

        이나빈(Lee, Nabin),심기선(Sim, Kisun),한상우(Hahn, Sangwoo),이강욱(Lee, Kanguk),심민영(Sim, Minyoung),채정호(Chae, Jeong-Ho),안현의(Ahn, Hyunni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4

        본 연구는 한국의 재난심리지원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세월호 참사 관련 심리지원서비스 제공자들의 시각을 통하여 기존 지원체계의 한계와 보완점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세월호 참사 당시 심리지원을 담당했던 기관 중 3개 기관(안산시 정신건강증진센터, 국립서울병원,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의 실무자 3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이를 녹취하여 내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9개 개념이 도출되었고, 개념들로부터 14개 하위범주가 추출되었으며, 하위범주들은 6개 상위차원으로 기술되었다. 구체적으로 ① 행정체계(관계 부처들)와 수직적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 ② 집행체계 간 수평적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 ③ 실무자가 속한 기관에서 발생한 어려움, ④ 유가족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 ⑤ 실무자 개인차원에서 경험한 어려움, ⑥ 세월호 참사의 특수성 때문에 경험한 어려움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자들의 보고를 통한 국내 재난심리지원체계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점들을 제안하였다. The Sewol Ferry accident in April of 2014 is considered one of the biggest tragedies in modern Korean history since most victims among the 304 deceased wer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going on a field trip. The Sewol Ferry accident also became a milestone in changing the national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system in Korea. New laws and policies are being suggested and developed currently. We interviewed 31 crisis responders from three emergency mental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which worked on the scene immediately after the Sewol Ferry accident with the purpose of finding out how the existing emergency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actually functioned and what could be improved. After an in-depth interview, w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QCA) method. Based on our data, we suggested an integrated model of disaster response systems that could be included in the new policies in Korea.

      • KCI등재

        재난심리지원 실무자를 통해 본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애도반응과 재난심리지원 서비스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나빈(Lee, Nabin),민지원(Min, Jiwon),한상우(Hahn, Sangwoo),이강욱(Lee, Kanguk),심민영(Sim, Minyoung),채정호(Chae, Jeong-Ho),안현의(Ahn, Hyunni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3

        본 연구는 재난심리지원 실무자의 보고를 통해 초기 대응단계에서 유가족이 경험한 어려움이 무엇이었으며, 초기에 제공된 재난심리지원 서비스에 대해 유가족의 경험이 어떠했는지, 이를 통해 유가족에게 도움이 된 것과 한계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유가족이 서비스의 어떤 측면을 긍정적으로 보았는지, 실무자는 어떤 요인을 회복과정의 촉진요인으로 인식하는지를 발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세월호 참사 직후 유가족에게 초기 재난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했던 실무자 35명의 인터뷰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7개 개념이 도출되었고 개념으로부터 16개 하위범주가 추출되었으며 하위범주는 6개 상위차원으로 기술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월호 참사 이후 유가족의 초기 심리사회적 반응과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을 통한 변화과정을 구조화하였으며 논의를 통해 차후 재난심리지원을 위한 실무자 교육이나 서비스 평가, 재난심리지원 정책 수립단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the bereaved family during the initial response stage and how they progressed through the disaster support services by interviewing the disaster support workers. Total of thirty five responders who provided psycho-social support services after the ‘Sewol’ Ferry accident were interviewed indepth. W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CA) method. As a result, 57 meaningful concepts were derived from 57 statements, and fall into 16 categories with 6 dimension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changing process an integrated model of the bereaved family’s grief and through carly psycho-social reactions to the disaster support service after the Sewol disaster.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important components in decision-making for disaster psychosocial support, its practitioner training and service evalua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saster policy issue, training program for disaster workers, support system evaluation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