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제 1 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제 I 급 교정 치료 환자의 치료후 악궁의 형태에 관한 연구

        박영철,김형돈 대한치과교정학회 199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4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get the knowledges of the ideal arch form of the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of Koreans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98 individuals with class I malocclusion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uthor found the ideal arch shape of the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2. Equations of ideal arch form of the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were obtained from SPSS.

      • SCOPUSSCIEKCI등재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박영철,신자영,유형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1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은 성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형태로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그 심각성이 더해가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악의 과성장으로 인한 경우, 상악의 열성장으로 인한 경우, 그리고 이 두가지가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그것이다.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의 조기에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장치의 효과 및 측모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외 많은 선학들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치료 후 측모 변화 및 치료 효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중 재진단(follow-up)이 가능한 50명(남:18명, 여:32명)의 환자를 선별하여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강내 장치 종류별로 분류한 뒤, 치료후 나타나는 측모 변화 및 치료의 안정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한국인 정상교합아동 20명(남:10명, 여:1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사이에서 성장량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전과 사용후를 비교한 결과 악안면 골조직과 연조직 및 치아의 계측항목에서 많은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와 상악골 급속 확장장치(R.P.E.)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악안면 골조직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으며 순설측 유지장치(La-Li)를 함께 사용 한 군에서는 치아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3.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착용기간동안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이 치료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4.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제거후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성장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에 있어서 치료군의 성장량이 정상군의 성장량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상악골 전방견인장치를 사용하는 중에는 상악골의 전방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전방견인이 끝난 후에는 상악골 성장의 자극효과가 소멸되어 상악골 열성장의 양상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s are growth-related discrepancies, and the problems are more severe until growth is complete. Cause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re classified into mandibular overgrowth, maxillary deficiency, and combination of the two. Face mask has been recommended for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with maxillary deficiency in the early time of growth. Numerous experiments were performed and clinic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face mask; nevertheless, studies on profile changes and stability after treatment of face mask are considered to be somewhat insufficient. The author selected 50 patients who can be checked for follow-up. They had been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maxillary deficiency and then treated with face mask; the sample group was divided according to sex, treatment beginning age, palatal suture opening(intraoral appliance). For each group, changing pattern of facial profile and stability of treatment observed, and comparison with 20 Korean normal children(Angle`s Class I).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keletal, dental,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indicated more changes in the amounts of maxillary forward movement during face mask treatment. 2. R.P.E.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maxillofacial changes and La-Li group showed more dental changes. 3. Growth changes of maxilla induced in the treatment group during wearing face mask were much more than those of normal group. 4. Growth changes of maxilla in the treatment group after treatment of face mask were less than those of normal group. From the obtained data,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was a stimulative effect on forward growth of maxilla during the use of face mask; however, on removal of face mask, the stimulative effect was eliminated and undergrowth tendency of maxilla resumed.

      • SCOPUSSCIEKCI등재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bracket 부착시의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의 유형

        박영철,유형석,오영근,이승연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bracket 부착시 광조사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plasma arc licht의 임상적 유용성을 visible light 중합시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과 비교해 봄으로써 평가해 보는데 있다. 사람의 상하악 소구치를 포매하여 만든 레진블럭시편에 광중합 접착제인 TransbondR를 사용하여 수종의 bracket을 각각의 조건에 따라 부착한 후 만능 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절양상을 stere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수종의 bracket 접착시 metal bracket과 ceramic bracket의 전단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resin bracket의 경우 다른 bracket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현저히 작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임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값을 나타내었다. 2.Visible light를 이용한 metal bracket의 광중합시 광조사시 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광조사 시 간에 따른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3.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수종의 bracket 접착시 접착제 잔류지수를 통해 접착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metal bracket과 resin bracket의 경우 bracket기저면에 접착제가 반 이상 남아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ceramic bracket의 경우 bracket기저면에 접착제가 반 이상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았다. 4.Metal bracket의 부착시 plasma arc light를 2초간 광조사한 군과 visible light를 10초간 광조사한 군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을 비교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광중합시 광조사 거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bracket의 접착시 전단결합강도 저하의 우려 없이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u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plasma arc light which can reduce the curing time dramatically compared by shear bond strengths and failure patters of the brackens bonded with visible light in direct bracket bonding. Some kinds of brackets were bonded with the TransbondR to the human premolars which were embedded in the resin blocks according to the various conditions. After bonding, the shear bond strength was test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in addition , the amount of residual adhesive remaining on the tooth after debonding was measured by the stereoscope and assessed with adhesive remnant index(AR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When plasma arc light was used for bonding the brackets, the shear bond strength was clinically sufficient in both metal and ceramic brackets, but resin bracke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bond strength but which was clinically useful. 2.When metal brackets were bonded using visible ligh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bond strength due to the light-curing time and the bond strength was clinically sufficient. 3.When the adhesive failure patterns of brackets bonded with plasma arc light were observed by using the adhesive remnant index, the bond failure of the metal and resin bracket occurred more frequently at bracket-adhesive interface but the failure of the ceramic bracket occurred more frequently at enamel-adhesive interface. 4.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between metal bracket bonded for 2 seconds by curing with plasma arc light and 10 seconds by curing with visible light. 6.When metal brackets were bonded using plasma arc light, the shear bond strength de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increased.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plasma arc light can be clinically useful for bonding the brackets without fear of the decrease of the shear bond strength.

      • SCOPUSSCIEKCI등재

        제 1 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제 Ⅰ 급 치조성 양악 전돌 환자의 치료 전·후 비교에 관한 연구

        김형돈,박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s of present study were to evaluate changes in models and lateral cephalometric head film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to compare the amount of incisal retraction and anterior movement of molars with the two approaches of the retraction method of canine(sectional canine retraction vs sliding canine retraction) and the anchorage management(head gears vs no head gears, transpalatal arches vs no transpalatal arches and relation arches vs no relation arches) and to evaluate change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in models with relation to lateral cephalometric head films. 67 Korean women with Angle's Class Ⅰ bialveolar protrusion were selected, whose initial chronologic age was above 16 yrs. Models and lateral cephalometric head film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with four bicuspid extract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Significant decreases were observed in intermolar width, arch length and arch perimeter of maxilla and mandible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intercanine width of maxilla and mandible during treatment period. 2. The linear change of the upper incisor to upper lip was 2.84:1 and the linear change of the lower incisor to lower lip was 1.45:1.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sectional canine retractions vs sliding canine retractions), the two groups(transpalatal arches vs no transpalatal arches) and the two groups(lingual arches vs no lingual arches) in the amount of incisal retraction and anterior movement of molars. There were a greater amount of maxillary incisal retraction and a lesser amount of anterior movement of maxillary molars with the use of head gears than no use of head gears. 4. Change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in models with relation to lateral cephalometric head film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Maxilla Central incisors were moved 3.79㎜ backward, canines were 0.22㎜ laterally and 3.70㎜ backward, and molars were moved 0.535㎜ medially and 2.29㎜ forward. 2) Mandible Central incisors were moved 3.04㎜ backward, canines were 0.145㎜ laterally and 3.92㎜ backward, and molars were moved 0.755㎜ medially and 1.17㎜ forward.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성인 정상교합자 치관의 설측면 특징에 관한 연구

        유형석,박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lingual morphology (size, angulation, contour, eminence)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lingual bracket and lingual arch form in Korean. The subjects (Male : 50, Female : 50) were selected who have normal occlusion and dental casts were prepared. Tooth size, angulation, arch width, horizontal contour, lingual eminence were measured for all 28 teeth both upper and lower 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easuring items of all individual teeth for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obtained. 2. In comparison tests, there was a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intermolar widths(6 to 6) before occlusal reductio and intermolar width(6 to 6,7 to 7) after occlusal reduction only, all the other measuring items showed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3. There was small variation in horizontal contour of lingual surface on lower incisors and upper and lower bicuspids. The other teeth showed somewhat greater variations. 4. There was offset between canine and bicuspid in upper arch while there was no prominent offset in lower arch.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Convergence Approach to the Incidence of Visual Function Problems by the Type of ADHD in Children

        Hyung-Chel Cho,Hyo-Lyun Ro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시각적인 장애를 호소하는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의 유형별 시각 기능의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 다. 연구 대상자는 ADHD로 진단받은 아동 49명으로 시각기능이 정상범위에서 벗어난 경우이다. Korean-ADHD Rating Scale을 이용하여 ADHD 유형을 알아보았고 시각기능 검사를 통해 시각 기능의 문제를 알아보았다. 시각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ADHD 아동들은 부주의 유형(69.4%)이 가장 많았으며 시력은 좋지만 시각 기능 문제가 드러난 경우도 50% 정도 되었다. 주의력결핍 유형에서 근시 관련 시각장애, 과잉활동형 유형에서 난시 관련된 시각장애가 높 게 나타났다. 버전스 기능 장애에서는 폭주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유형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DHD 아동의 유형 별 시각장애의 특성은 차이가 나타나므로 시각 기능 장애의 검사와 선별을 통해 아동의 문제행동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isual function impairment of children with each typ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with visual function out of the normal range. The type of ADHD was investigated using the Korean-ADHD Rating Scale and visual function test. The attention deficit type(69.4%) of ADHD was the most common type among children with ADHD with vision problems. Although their overall naked-eye visual acuity was good, about 50% of the subjects showed problems with visual function. For those with the attention deficit type of ADHD, the myopia-related refractive error was high. For those with the hyperactivity type of ADHD, the astigmatism-related refractive error was higher. For those with vergence function disorder, convergence insufficiency was the most common. A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visual impair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fferent types of ADH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a child's problem behavior through examination and screening for visual function disorders.

      • SCOPUSSCIEKCI등재

        Semi-longitudinal study of adenoid and jaw growth of normal occlusal children aged 6 to 17

        Yu, Hyung-Soeg,Park, Sun-Hyung,Choi, Eun-Bin,Mun, Je-Sang,Park, Young-Chel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6

        림프조직은 비인두 부위에서 Waldeyer's ring의 일부조직으로 tonsil을 이루며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림프조직이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낼 정도로 과증식한 것을 'Adenoid vegetation or Adenoids'라고 이른다. 아데노이드는 일반적으로 유년기에 발생하며 2∼12세때 특징적인 증상을 보인다. 사춘기시기에 이르면 절대적인 아데노이드 크기 감소와 주변의 비인두의 성장으로 인한 상대적 크기 감소가 나타난다. 그리하여 성인이 되면 아데노이드는 퇴화된 상태로 변하게 된다. 아데노이드는 구호흡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며, '아데노이드 얼굴'이라는 특징적인 안면형태를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아데노이드에 의한 구호흡이 안면 형태와 치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은 오래 전부터 제기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으로 이들간의 상호연관정도를 정확히 알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교합 아동에서의 골 연령에 따라 아데노이드와 악골 크기의 정상치와 성장변화량을 제시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골 연령에 따른 남녀별 계측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2.같은 골연령을 비교시 남자는 여자보다 약 2년 가량 성장속도가 느렸다. 3.비인두의 height과 depth는 남자에서는 CVMI 1과 2 때 많은 성장을 보이고, CVMI 4 이후에서는 성장을 보이지 않았으며, 여자에서는 모든 골 연령에서 유사한 정도의 성장이 나타났다. 4.비인두의 상대적 면적은 남자에서 CVMI 1에서 2로 이행되는 시기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비기도의 상대적 면적과의 상관분석에서 남녀 모두에서 아데노이드 항목중에서는 Ad2와 관련된 항목과 uppe pharynx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치열궁과 관련된 항목중에는 상 · 하악의 견치간 너비, 상악의 대구치간 너비, 구개정 높이가 상관관계가 있었다. Reduced nasal breathing can influenc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facial structures. It may have many causes, and enlarged adenoid is the most frequent 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enoids to jaw growth, we must first understand the normal growth of adenoids and jaw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ize of adenoids and the values for the Jaw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re objective standard of nasopharyngeal size and jaw dimension at each bone age, by using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ex(CVMI) of Hassel, from normal occlusion children aged 6 to 17.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 1.At same bone age, female's chronologic age was about 2 year older than male. 2.There was a growth peak of nasopharyngeal(NP) height and depth between CVMI 1 to 2 in male, but in female NP height and depth gradually increase through CVMI 1 to 6. 3.Relative airway of nasopharynx increases the most between CVMI 1 to 2 period in both gender. 4.Among adenoid measurements, Ad2-related variables and upper pharynx, and among dentofacial measurements intercanine width in both arch, maxillary intermolar width and palatal depth ha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adenoid percen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