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iveness of Bellyboard Device for Displacement of Small Bowel in Pelvic Irradiation

        이레나,이경자,서현숙,Lee, Rena,Lee, Kyung-Ja,Suh, Hyunsuk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07 의학물리 Vol.18 No.4

        골반 방사선치료 시 방사선조사부위에서 소장을 제외하여 방사선에 의한 소장의 독성 감소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직장암, S-결장암과 난소암으로 수술 후 골반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14명이다. 환자는 모의치료를 시행하기 1시간 30분 전에 150 ml의 바륨과 방광을 채우기 위해 물 500 ml를 마시고 환자의 자세변화와 벨리보드 사용 유무에 따라 5종류의 조영촬영을 하였다. 첫 번째는 방광을 채운 후 누운 자세로 전 후면과 측면을 촬영한다. 두 번째는 방광을 채운 상태에서 엎드린 자세로, 세 번째는 방광을 비운 후 누운 자세로, 네 번째는 방광을 비운 후 엎드린 자세로, 다섯 번째는 방광을 비운 후 벨리보드를 사용하여 엎드린 자세로 각각의 전 후면과 측면을 촬영한다. 모든 조영촬영 사진에서 방사선조사부위에 포함되는 소장의 용적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방광을 채우거나 비운상태 모두 엎드린 자세가 누운 자세보다 소장의 용적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측면사진에서 더욱 감소되었다. 엎드린 자세에서는 방광을 채운 상태의 소장 용적이 방광을 비운상태에 비해 전후면 사진에서 13%, 측면 사진에서 26%가 감소되었다. 방광을 비운 후 벨리보드를 사용한 상태의 소장 용적이 벨리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엎드린 자세에 비해 전 후면에서 $62.8{\pm}27.1%$, 측면에서 $63{\pm}32.9%$가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골반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경우 방광을 비운 후 벨리보드를 사용함으로써 소장의 용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었다. Various technique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best method for reducing small bowel involvement in pelvic irradiation. Fourteen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in pelvic area were enrolled for this study. Five sets of small bowel images were obtained. Patients were positioned on a simulation couch with full bladder in prone and supine positions and 2 sets of images were taken. Then they were asked to empty their bladder and 2 sets of images were taken in prone and supine positions. A belly board device (BBD) was placed and one set of images was obtained. Using a software, the area of small bowel inside treatment field was contoured, measured, and analyzed. In both full and empty bladder cases, small bowel area reduction was observed in prone position as compared to supine position. Especi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s noted in lateral film. An average decreases of 13% in PA and 26% in lateral direction were noted with bladder distention as compared to empty bladder. With the use of BBD for empty bladder, a significant reduction of $62.8{\pm}27.1%$ and $63.1{\pm}32.9%$ in PA and lateral directions were observed as compared to without BBD in prone position,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best sparing of small bowel concerning the area included in the treatment fields was achieved with BBD in prone position with empty bladder. However, further reduction is expected if the bladder was filled fully because the analysed data with empty vs full bladder study shows increased sparing of small bowel with distended bladder.

      • KCI등재

        The Effect of Breathing Biofeedback on Breathing Reproducibility and Patient's Dose in Respiration-gated Radiotherapy

        안소현,여인환,정재원,서현숙,이경자,최진호,이규찬,이레나,An, Sohyun,Yeo, Inhwan,Jung, Jaewon,Suh, Hyunsuk,Lee, Kyung Ja,Choi, Jinho,Lee, Kyu Chan,Lee, Rena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3 의학물리 Vol.24 No.3

        호흡 연동 방사선 치료 시 사용되는 음성 유도 및 음성-영상 유도의 두 가지 호흡생체자기제어 방식이 호흡 재현성 및 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edical College of Virginia (MCV)에서 획득한 19명의 폐암 환자에 대한 호흡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호흡 데이터는 총 5주간 1주 간격으로 자유 호흡, 음성 유도, 음성-영상 유도의 세 가지 형태로 획득하였으며 선량 평가는 MATLAB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자유 호흡의 경우에는 반복되는 치료에서 호흡재현성이 감소하여 CTV 선량이 약 30.0%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음성-영상 유도 방식을 이용할 경우 5주 후 CTV 선량이 20.0%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환자가 영상을 통하여 자가호흡조절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음성 유도만 사용할 경우에도 호흡재현성을 유지하는 데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We evaluated the effect of two kinds of breathing biofeedback technique such as audio-instruction and audio-visual biofeedback on breathing reproducibility and the CTV coverage during repeated treatment regimes in respiration-gated radiotherapy. In this study, the breathing data of nineteen lung cancer patients acquired from Medical College of Virginia (MCV) during five weeks were used. The dose evaluation algorithm was programmed in MATLAB. In the result, the CTV coverage was decreased as 30.0% due to the breathing irreproducibility for free-breathing. For audio-visual biofeedback, the CTV coverage was improved as 20.0% because patients can learn how control their breathing stably. And the audio-instruction was effective to preserve the breathing reproducibility.

      • KCI등재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시 방광 부피가 비뇨기계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Jihae Lee),서현숙(HyunSuk Suh),이경자(Kyung-ja Lee),이레나(Rena Lee),김명수(Myungsoo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목 적: 국소적 전립선암에 대한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시 3차원 입체조형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또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를 시행하면 직장의 부작 용이 현저히 감소하지만 비뇨기계 부작용의 발생률은 감소하지 않는다. 방사선 치료로 인한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 은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만성 비뇨기계 부작용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비뇨기계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방광을 채운 상태에서 방사선치료를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 경우 방사선 조사야에 포함되는 방 광의 면적이 줄어들어 부작용이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시 방광의 부피가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립선암으로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이 각각 21명씩 포함되었다. 대조군은 본 연구가 계획되기 전에 방광 조절을 하지 않고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무작위로 추출하였고, 실험군은 치료 1시간 전 450 ml의 물을 마셔 방광을 채운 상태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이었다. 모의치료시 설계용 CT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방광의 부피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에서는 방사선 치료 기간 동안 초음파로 매주 방광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결 과: 모의치료시 초음파로 측정한 방광의 부피와 CT로 측정한 방광의 부피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r=0.679) 방광 부피를 측정하는 데 있어 초음파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군에서 같은 양의 물을 마셔도 방광의 부피는 환자에 따라 차이가 컸고(범위 22∼352 ml), 방사선치료 기간 동안 방광의 부피는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모의치료시 방광의 부피가 컸던 환자는 치료기간 중에도 방광의 부피가 큰 경향을 보였다. 실험군의 방광 부피는 평균 299±155 mL이었고 대조군은 평균 187±155 ml로, 일정량의 물을 마시면 방광 조절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방광 부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9), 실험군에서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이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방광의 부피가 클수록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의치료시 CT로 측정한 방광의 부피가 150 ml 이상이면 1등급과 2등급의 비뇨기계 부작용이 현저히 감소하였다(p=0.023). 치료 기간 중의 방광 부피에 따른 부작용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방광의 부피가 클수록 1등급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00 ml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등급의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결 론: 방광을 채우고 방사선치료를 할 때 치료 기간 중 방광의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방광 조절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비뇨기계 급성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의치료시 방광 부피가 150mL 이상인 경우 부작용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전립선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를 할 때 방광을 채우는 것이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and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were found to reduce the incidence of acute and late rectal toxicity compared with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RT), although acute and late urinary toxicities were not reduced significantly. Acute urinary toxicity, even at a low-grade, not only has an impact on a patient’s quality of life, but also can be used as a predictor for chronic urinary toxicity. With bladder filling, part of the bladder moves away from the adiation field, resulting in a small irradiated bladder volume; hence, urinary toxicity can be de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bladder volume on acute urinary toxicity during RT in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orty two patients diagnosed with prostate cancer were treated by 3DCRT and of these, 21 patients made up a control group treated without any instruction to control the bladder volume. The remaining 21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with a full bladder after drinking 450 mL of water an hour before treatment. We measured the bladder volume by CT and ultrasound at simulation to validate the accuracy of ultrasoun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we measured bladder volume weekly by ultrasou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the bladder volume. Result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ladder volume measured by CT and ultrasound was observed. The bladder volume in the experimental group varied with each patient despite drinking the same amount of water. Although weekly variations of the bladder volume were very high, larger initial CT volumes were associated with larger mean weekly bladder volumes. The mean bladder volume was 299±155 mL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opposed to 187±155 mL in the control group.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less acute urinary toxicities than in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trend of reduced toxicity was observed with the increase of CT bladder volume. In patients with bladder volumes greater than 150 mL at simulation, toxicity rates of all grad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patients with bladder volume less than 150 mL. Also, patients with a mean bladder volume larger than 100 mL during treatment showed a slightly reduced Grade 1 urinary toxicity rate compared to patients with a mean bladder volume smaller than 100 mL. Conclusion: Despite the large variability in bladder volume during the treatment period, treating patients with a full bladder reduced acute urinary toxicities in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We recommend that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undergo treatment with a full bladder.

      • KCI등재

        다이오드 검출기를 이용한 초소형 X선관(Miniature X-ray Tube)의 반가층 측정

        김주혜,안소현,오윤진,지윤서,허장용,강창무,서현숙,이레나,Kim, Ju-Hye,An, So-Hyeon,Oh, Yoon-Jin,Ji, Yoon-Seo,Huh, Jang-Yong,Kang, Chang-Mu,Suh, Hyunsuk,Lee, Rena 한국의학물리학회 2012 의학물리 Vol.23 No.4

        X선은 방사선 진단과 치료 분야에 있어서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방사선 치료용 초소형 X선관이 개발되었다. 초소형 X선관은 조사 목적 부위에 직접 삽입하여 사용되므로 제작 시준기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X선 조사가 가능하고, 검사 목적 외의 환자 피폭선량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초소형 X선관의 장점을 이용해서 X선 영상을 획득하는데 적용한다면 X선 진단 분야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초소형 X선관은 본래 치료용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진단용 장비에 적합한 시준기, 필터(added filter)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체 제작한 시준기와 필터를 적용하여 초소형 X선관의 빔 특성이 진단용에 적합한지 평가 하였고, 이를 위해서 다이오드 검출기를 이용하여 반가층을 측정하고 측정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i PIN Photodiode type인 Piranha 검출기(Piranha, RTI, Sweden)를 사용하여 필터 적용 유무에 따른 초소형 X선관의 반가층을 측정하고, 알루미늄 필터를 사용한 측정을 통하여 Piranha 검출기의 반가층 측정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에 따르면 초소형 X선관의 반가층은 필터의 장착에 따라 약 1.9배 증가하여 진단용 방사선 발생 장치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Piranha 검출기의 반가층 자동 측정값은 필터를 미장착한 경우에 실제 반가층 측정값에 비해 50% 높게 측정되어 적용이 불가능하나, 필터를 장착한 경우에는 실제 반가층 측정값과 약 15%의 차이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진단용 필터를 적용했을 경우는 Piranha 검출기의 반가층 자동측정이 가능하여 kV-X선 특성평가를 수월하게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X ray has been widely used in both diagnosis and treatment. Recently, a miniature X ray tube has been developed for radiotherapy. The miniature X ray tube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body irradiated, so that X rays can be guided to a target at various incident angles according to collimator geometry and, thus, minimize patient dose. If such features of the miniature X ray tube can be applied to development of X ray imaging as well as radiation treatment, it is expected to open a new chapter in the field of diagnostic X ray. However, the miniature X ray tube requires an added filter and a collimator for diagnostic purpose because it was designed for radiotherapy. Therefore, a collimator and an added filter were manufactured for the miniature X ray tube, and mounted 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beam characteristics of the miniature X ray tube for diagnostic X ray system and accuracy of measuring the HVL. We used the Si PIN Photodiode type Piranha detector (Piranha, RTI, Sweden) and estimated the HVL of the miniature X ray tube with added filter and without added filter. Through an another measurement using Al filter, we evaluated the accuracy of the HVL obtained from a direct measurement using the automatic HVL calculation function provided by the Piranha detector. As a result, the HVL of the miniature X ray tube was increased around 1.9 times with the added filter mounted on. So we demonstrated that the HVL was suitable for diagnostic X ray system. In the case that the added filter was not mounted on, the HVL obtained from use of the automatic HVL calculation function provided by Piranha detector was 50% higher than the HVL estimated using Al filter. Therefore, the HVL automatic measurement from the Piranha detector cannot be used for the HVL calculation. However, when the added filter was mounted on, the HVL automatic measurement value using the Piranha detector was approximately 15% lower than the estimated value using Al filter. It implies that the HVL automatic measurement can be used to estimate the HVL of the miniature X ray tube with the added filter mounted on without a more complicated measurement method using Al filter. It is expected that the automatic HVL measurement provided by the Piranha detector enables to make kV-X ray characterization easier.

      • KCI등재

        Analysis of the Movement of Surgical Clips Implanted in Tumor Bed during Normal Breathing for Breast Cancer Patients

        Rena Lee(이레나),Eunah Chung(정은아),HyunSuk Suh(서현숙),Kyung-ja Lee(이경자),Jihye Lee(이지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3

        목 적: 정상 호흡에서 외과적 클립을 이용하여 유방 종양의 움직임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방 보존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별로 일반적인 모의 치료 과정에서 형광 투시 영상을 얻었다. 한 환자의 영상만 매초 15프레임의 비율로 기록되었고, 다른환자들의 영상은 1초당 30프레임의 비율로 앞뒤, 옆, 빗나가는 방향에서 기록되었다. 각 클립의 원점에서의 최대, 최소 움직임을 측정하였고 이를 통하여 클립마다 각 방향에서의 최대 움직임을 계산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위-아래 방향으로의 횡경막의 움직임도 측정하였다. 결 과: 앞뒤 방향의 영상으로부터 옆 방향과 위-아래 방향으로의 외과적 클립의 평균 움직임은 0.8±0.5 mm, 0.9±0.2 mm이며, 최대 움직임은 1.9 mm, 1.2 mm였다. 또한, 옆 방향 영상에 나타난 클립들은 평균적으로 앞-뒤 방향으로 1.3±0.7 mm, 위-아래 방향으로 1.3±0.6 mm 움직였으며, 최대 움직임은 각각 2.6 mm, 2.6 mm였다. 빗나가는 방향의 영상에 있는 외과적 클립들의 평균 움직임과 최대 움직임은 비스듬한 방향에서는 1.2±0.5 mm와 2.4 mm였으며, 위-아래 방향으로는 0.9±0.4 mm와 1.7 mm였다. 횡격막은 위-아래 방향으로 평균적으로 14.0±2.4 mm 움직였으며, 최대 18.8 mm 움직였다. 결 론: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클립의 움직임은 횡경막의 움직임에 비해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과적 클립의 움직임은 모든 방향에서 3 mm 이내였다. 이 결과, 유방암의 방사선 치료 시 호흡을 잡아주는 기술이나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movement of surgical clips implanted in breast tumor bed during normal breathing.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receiving breast post-operative radiotherap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Each patient was simulated in a common treatment position. Fluoroscopic images were recorded every 0.033 s, 30 frames per 1 second, for 10 seconds in anterior to posterior (AP), lateral, and tangential direction except one patient's images which were recorded as a rate of 15 frames per second. The movement of surgical clips was recorded and measured, thereby calculated maximal displacement of each clip in AP, lateral, tangential, and superior to inferior (SI) direction. For the comparison, we also measured the movement of diaphragm in SI direction. Results: From AP direction's images, average movement of surgical clips in lateral and SI direction was 0.8± 0.5 mm and 0.9±0.2 mm and maximal movement was 1.9 mm and 1.2 mm. Surgical clips in lateral direction's images were averagely moved 1.3±0.7 mm and 1.3±0.5 mm in AP and SI direction with 2.6 mm and 2.6 mm maximal movement in each direction. In tangential direction's images, average movement of surgical clips and maximal movement was 1.2±0.5 mm and 2.4 mm in tangential direction and 0.9±0.4 mm and 1.7 mm in SI direction. Diaphragm was averagely moved 14.0±2.4 mm and 18.8 mm maximally in SI direction. Conclusion: The movement of clips caused by breathing was not as significant as the movement of diaphragm. And all surgical clip movements were within 3 mm in all direc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breast radiotherapy, it may not necessary to use breath-holding technique or devices to control breath.

      • KCI등재후보

        Evaluation of Electron Boost Fields based on Surgical Clips and Operative Scars in Definitive Breast Irradiation

        Rena Lee(이레나),Eunah Chung(정은아),Jihye Lee(이지혜),Hyunsuk Suh(서현숙)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4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초기 유방암환자에서 보존적 수술 후 전자선을 이용한 추가방사선 조사 시 조사야의 범위 결정에 수술상흔 및 외과적 클립이 미치는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이상적인 조사야 범위 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기 유방암 환자로 병소를 제거한 후 외과적 클립을 4∼7개 삽입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자선의 치료 에너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피부에서부터 흉부벽까지의 거리(SCD)와 병변조직의 가장 뒤쪽에 위치해 있는 클립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수술시 삽입된 클립들을 simulation 필름 상에서 연결하여 방사선학적 tumor bed로 정의하였다. 방사선 조사야의 범위는 3가지 방법에 의해 simulation 필름에 그렸다. 임상방사선 조사야(CF)는 수술 상흔 둘레로 3 cm의 여유를 주었고, 외과적방사선 조사야(SF)는 클립주위로 2 cm의 여유를 주었으며, 마지막으로 이상적 방사선조사야(IF)는 수술 상흔과 클립을 모두 포함하여 2 cm의 여유를 주었다. 그려진 조사야들의 면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치료계획 컴퓨터에 입력되었고 측정된 면적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삽입된 클립들을 CT 상에서 그려 넣었고 클립들의 3차원적인 선량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선량체적표를 얻었다. 결 과: SCD와 가장 깊이 삽입된 clip까지의 거리의 평균차이는 0.7±0.56 cm이다. 12명의 환자의 경우 깊이의 차이가 있다. 수술 상흔과 클립들의 평균 위치의 변화는 상방으로 1.7 cm, 하방으로 1.2 cm, 내측으로 1.2cm, 그리고 외측으로 0.9 cm이다. CF의 면적은 20명의 환자 중 6명의 경우 SF보다 크고 IF보다 크다. SF 와 IF의 면적 차이는 15의 환자에서 5%보다 작다. CF 조사야를 이용할 경우 15명의 환자들에 대해 1개 또는 3개의 클립들을 조사야 내에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클립들의 선량분포를 볼 때 17명의 환자들이 처방선 량의 80% 미만을 받는 즉 선량적으로 부적절한 선량을 받는 클립들이 있었다. 결 론: 수술 상흔을 중심으로 방사선 조사야 범위를 결정 할 경우 병변의 상하 부위를 적절히 포함하지 못하므로 병변 조직의 충분한 선량을 전달하지 못하였다. 외과적 클립만을 이용할 경우는 수술 상흔을 모두 포함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즉 수술 상흔과 외과적 클립을 모두 포함하는 본 기관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전자선 추가 조사야를 그린다면 정상조직의 부작용 및 지리상으로 병변조직의 빠트림을 최소화할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role of surgical clips and scars in determining electron boost field for early stage breast cancer undergoing conserving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to provide an optimal method in drawing the boost field.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who had 4∼7 surgical clips in the excision cav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depth informations were obtained to determine electron energy by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skin to chest wall (SCD) and to the clip implanted in the most posterior area of tumor bed. Three different electron fields were outlined on a simulation film. The radiological tumor bed was determined by connecting all the clips implanted during surgery. Clinical field (CF) was drawn by adding 3 cm margin around surgical scar. Surgical field (SF) was drawn by adding 2 cm margin around surgical clips and an ideal field (IF) was outlined by adding 2 cm margin around both scar and clips. These fields were digitized into our planning system to measure the area of each separate field. The areas of the three different electron boost fields were compared. Finally, surgical clips were contoured on axial CT images and dose volume histogram was plotted to investigate 3-dimensional coverage of the clips. Results: The average depth difference between SCD and the maximal clip location was 0.7±0.56 cm. Greater difference of 5 mm or more was seen in 12 patients. The average shift between the borders of scar and clips were 1.7, 1.2, 1.2, and 0.9 cm in superior, inferior, medial, and lateral directions, respectively. The area of the CF was larger than SF and IF in 6/20 patients. In 15/20 patients, the area difference between SF and IF was less than 5%. One to three clips were seen outside the CF in 15/20 patients. In addition, dosimetrically inadequate coverage of clips (less than 80% of prescribed dose) were observed in 17/20 patients when CF was used as the boost field. Conclusion: The electron field determined from clinical scar underestimates the tumor bed in superior-inferior direction significantly and thereby underdosing the tissue at risk. The electron field obtained from surgical clips alone dose not cover the entire scar properly. As a consequence, our technique, which combines the surgical clips and clinical scars in determining electron boost field,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minimizing the geographical miss as well as normal tissue complications.

      • KCI등재

        자궁경부암에 항암화학요법과 동시 병용요법으로 외부 방사선조사와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예비적 치료 결과

        이경자(Kyung-Ja Lee),이지혜(Jihye Lee),이레나(Rena Lee),서현숙(Hyunsu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3

        목 적: 자궁경부암 환자에 항암화학요법과 동시에 외부 방사선조사와 고선량률의 강내조사를 시행하여 국소제어 율, 생존율 및 독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그 효과와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완치목적의 방사선치료가 필요한 30명 의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조사를 동시에 시행하였다. 환자 나이의 중앙값은 58세(34∼74세)였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29명이 편평상피세포암이고 1명은 선암이었다. FIGO 병기에 따라 IB 7명(23%), IIA 3명(10%), IIB 12명(40%), IIIA 3명(10%), IIIB 5명(17%)이었다. 외부 방사선조사는 골반강에 1회 180 cGy로 총 선량 45∼50.4 Gy (중앙값: 50.4 Gy)를 시행하였다. 강내조사는 외부 방사선조사 41.4 Gy 조사 후 Ir-192를 이용한 고선량률로 point A 에 1회 4 Gy를 주 2회 시행하여 총 4∼8회 조사하여 16∼32 Gy (중앙값 28 Gy) 조사하였다. Point A에 외부조사와 강내조사의 합산 선량의 생물학적 동등선량(biological effective dose, BED)은 77∼94 Gy10 (중앙값 88 Gy10)이었다. ICRU 38에 따른 직장의 선량은 88∼125 Gy3 (중앙값 109 Gy3), 방광의 선량은 91∼123 Gy3 (중앙값 111 Gy3)이였다. 항암제는 cisplatin (60 mg/m2)과 5-FU (1,000 mg/m2)를 외부 방사선조사와 동시에 시작하여 3주 간격으로 정맥 주 입하였으며 총 2∼6회(중앙값 5회) 시행하였다. 방사선조사 완료 후 4주에 진찰소견과 복부-골반 전산화단층촬영 을 시행하여 관해정도를 관찰하였다. 추적기간은 8∼50개월(중앙값 36개월)이었으며 국소제어율, 3년 생존율, 직장 과 방광의 급성 및 만성 합병증을 관찰하였다. 결 과: 방사선조사와 항암화학요법을 동시에 시행하여 완전관해는 30명 중 28명으로 완전관해율은 93%였다. 3년 국소제어율은 87%,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은 93%, 무병생존율은 87%였다. 4명(13%)에서 국소실패를 보였고 1명(3%)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합병증으로 11명(37%)에서 RTOG grade 1-2의 장염을 보였으며 1명은 대장의 천공이 발생하여 수술로 치유되었다. 12명(40%)에서 RTOG grade 1-2의 급성 방광염을 보였다. 3명(10%)에서 RTOG grade 1-2의 백혈구 감소증이 보였으며 1명에서 심한 백혈구 감소증(RTOG grade 4)이 나타났으나 회복되어 치료를 완료하였다. 만성 합병증으로 5명(15%)에서 RTOG grade 1-2의 만성 장염을 보였으며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고 있으며 1명(3%)에서 RTOG grade 2의 만성 방광염을 보였다. 그러나 치료에 의해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 론: 자궁경부암 환자에 항암화학요법과 동시에 외부 방사선조사와 고선량률의 강내조사를 시행한 결과 독성이 심하지 않고 국소제어율과 단기 생존율이 양호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장기 생존율과 만성 합병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ncurre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with highdose- rate brachytherapy for cervic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2, 30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cisplatin and 5-FU) and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The median age was 58 (range 34∼74) year old. The pathology of the biopsy sections was squamous cell carcinoma in 29 patients and one was adenocarcinoma. The distribution to FIGO staging system was as follows: stage IB, 7 (23%); IIA, 3 (10%); IIB, 12 (40%); IIIA, 3 (10%); IIIB, 5 (17%). All patients received pelvic external beam irradiation (EBRT) to a total dose of 45∼50.4 Gy (median: 50.4 Gy) over 5∼5.5 weeks. Ir-192 HDR intracavitary brachytherapy (ICBT) was given after a total dose of 41.4 Gy. HDR-ICBT was performed twice a week, with a fraction point A dose of 4 Gy and median dose to point A was 28 Gy (range: 16∼32 Gy) in 7 fractions. The median cumulative biologic effective dose (BED) at point A (EBRT+ICBT) was 88 Gy10 (range: 77∼94 Gy10). The median cumulative BED at ICRU 38 reference point (EBRT+ICBT) was 131 Gy3 (range: 122∼140 Gy3) at point A, 109 Gy3 (range: 88∼125 Gy3) at the rectum and 111 Gy3 (range: 91∼123 Gy3) at the urinary bladder. Cisplatin (60 mg/m2) and 5-FU (1,000 mg/m2)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at 3 weeks interval from the first day of radiation for median 5 (range: 2∼6) cycles. The assessment was performed at 1 month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by clinical examination and CT scan.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36 months (range: 8∼50 months). Results: The complete response rate after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was 93.3%. The 3-yr actuarial pelvic control rate was 87% and 3-yr actuarial overall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93% and 87%, respectively. The local failure rate was 13% and distant metastatic rate was 3.3%. The crude rate of minor hematologic complications (RTOG grade 1-2) occurred in 3 patients (10%) and one patient had suffered from severe leukopenia (RTOG grade 4) during concurrent treatment. Acute minor enterocolitis (RTOG grade 1-2) occurred in 11 patients (37%) and one patient (3%) was suffered from colon perforation during radiation therapy. Late colitis of RTOG grade 1 occurred in 5 patients (15%). Acute cystitis of RTOG grade 1 occurred in 12 patients (40%) and late cystitis of RTOG grade 2 occurred in one patient (3%). No treatment related death was see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with HDR brachytherapy could be accepted a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cervical cancer.

      • 수막종에서 근치적 및 수술 후 구제요법으로써 방사선치료의 결과

        이지혜,임수미,김명수,서현숙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6 No.2

        Objectives: Radiation therapy has multiple roles in the treatment of meningioma although surgery remains the primary treatment of choice.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report the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for meningioma as definitive, postoperative or salvage therapies. Methods: Seventeen patients diagnosed with meningioma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in our institute from May 2000 to October 2009. Radiation therapies were performed as definitive therapies in 8 patients, as postoperative therapies in 5 and as salvage therapies in 4. Nine patients received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2 patients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FSRT), and 5 patients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Radiation dose were 12 to 20 Gy for SRS, 36 Gy in 9 fractions for FSRT and 50.4 Gy in 28 fractions for 3DCRT. Follow-up imaging study of computed tomography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performed at 6 to 12 months intervals and neurologic exam was performed with an interval less than 6 months. Resul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38 months (range, 12 to 85 months). Tumor progression after radiation therapy developed in one patient. The reduction of tumor volume measured on follow-up images were more than 20% in 4 patients and minimal change of tumor volume less than 20% were observed in 12 patients. Peritumoral edema developed in 4 patients and disappeared without any treatment. One patient had radiation necrosis. Conclusion: Our experience is consistent with the current understanding that radiotherapy is a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modality for meningiomas when the tumor cannot be resected completely or when recurred after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