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ual signal transduction mediated by a single type of olfactory receptor expressed in a heterologous system.

        Ko, Hwi Jin,Park, Tai Hyun W. de Gruyter 2006 Biological Chemistry Vol.387 No.1

        <P>Controversy exists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MP and IP3 pathways in vertebrate olfactory signal transduction, as this process is known to occur by either of the two pathway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a single olfactory neuron responds to both cAMP- and IP3-producing odorants, suggesting the existence of an olfactory receptor protein that can recognize both ligand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rat olfactory receptor I7, stably expressed in HEK-293 cells, triggers the cAMP pathway upon stimulation by a specific odorant (octanal) at concentrations lower than 10(-4) M; however, the receptor triggers both pathways at higher concentrations. This indicates that a single olfactory receptor, stimulated by a single pathway-inducing odorant, can evoke both pathways at high odorant concentrations. Using this heterologous system, both the dose-dependent response and receptor I7 specificity were analyzed. The dose-dependent Ca2+ response curve, which also includes the release of Ca2+ ions from internal stores at high odorant concentrations, was not monotonous, but had a local maximum and minimum with 10(-10) and 10(-7) M octanal, respectively, and reached a plateau at 10(-2) M octanal. The specificity of the I7 receptor was lower when exposed to higher concentrations of odorants.</P>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장류 및 젓갈 분리 균주 추출물의 비만세포 매개 항염증효과

        Yu-Jin Ko(고유진),Hui-Hun Kim(김희훈),Eun-Jung Kim(김은정),Jin-Yong Kim(김진용),Sang-Dong Kang(강상동),Yong-Hwi Son(손용휘),Sin-Yang Choi(최신양),Seong-Kwan Cha(차성관),Jong-Won Kim(김종원),Jeong-Ok Lee(이정옥),Chung-Ho Ryu(류충호)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에서 장류 및 젓갈 유래 균체를 각각 sonication, 100℃에서 30 min, 125℃에서 15 min의 조건으로 추출하여 HMC-1에 처리하였을 때, 이 추출방법에 따른 HMC-1매개 염증반응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 장류 및 젓갈 유래 균체 J80, G147이 HMC-1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 B (Not treated)와 비교하였을 때 86~96%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장류 및 젓갈 유래 균체에 의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장류 및 젓갈 유래 균체의 모든 전처리구에서 histamine 유리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100℃에서 30min 동안 가열하였을 때 histamine 억제율이 J80에서 28.86%, G147에서 41.14%으로 가장 높게 나타냈다. IL-8분비량은 J80, G147의 모든 전처리구에서 IL-8 분비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J80의 경우 100℃, 30 min에서 처리한구에서 분비량이 0.78 ng/㎖로 대조구 B (Not treated)에 비하여 약 28.45%의 분비억제효과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G147의 경우 125℃, 15 min에서 처리한 구에서 분비량이 0.73 ng/㎖로 약 36.52%의 분비억제효과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IL-6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J80, G147의 모든 실험구에서 IL-6 분비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J80에서는 100℃, 30 min한 D구의 분비량이 0.40 ng/㎖으로 대조구 B (Not treated)에 비하여 약 38.46%의 분비억제효과로 가장 높았으며, G147 역시 100℃, 30 min 동안 처리한 D구의 분비량이 0.27 ng/㎖으로 대조구 B (Not treated)에 비하여 56.45%의 분비억제효과로 가장 높게 나타냈다. TNF-α 분비량 역시 IL-6와 마찬가지로 J80, G147에서 대조구 B보다 낮은 분비량으로 TNF-α 분비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J80의 경우 100℃, 30 min 처리한 D의 TNF-α 분비량이 0.052 ng/㎖으로 66.67%의 분비억제효과로 가장 높았으며, G147의 경우 sonication을 처리한 C구의 TNF-α 분비량이 0.086 ng/㎖으로 41.1%의 분비억제효과로 다른 구에 비해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서 장류 및 젓갈 유래 균체의 3가지 전처리 방법 중 100℃, 30 min 처리 시 염증 반응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를 미루어보아 장류를 섭취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가열하여 찌개로 조리과정 중장류 및 젓갈 속의 균체가 열에 가열되면서 염증억제효과 높일 수 있는 가장 좋은 조리 방법으로 사료되며, 이는 대중들이 가장 가깝게 염증반응 억제효과를 볼 수 있는 식품일 것이다. 또한 염장처리과정만을 거친 젓갈을 섭취하는 것보다 열처리과정을 거친 젓갈을 섭취할 경우 염증억제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mast cell is one of the major effector cells in inflammatory reactions and can be found in most tissues throughout the body. Activated mast cells can produce histamine, as well as a wide variety of other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eicosanoids, proteoglycans, proteases, and several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terleukins (IL-6), IL-8, IL-4, IL-13.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two bacterial strains (J80 and G147) from fermented soybean and Jeotgal,and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ir extracts which were prepared by several pretreatment methods (sonication for 20 min, heating at 100℃ for 30 min, autoclaving at 121℃ for 15 min) on the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 The pretreated bacterial extracts had no cytotoxicity against Human Mast Cell (HMC-1). Among various pretreatments, the extracts treated at 100℃ showed highest inhibition of histamine release (J80, 28.46%; G147, 41.14%). The J80 and G147 extracts treated at 100℃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IL-6 secretion by 38.46% and 56.45%, respectively. The J80 extract treated at 100℃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TNF-α secretion by 66.67%, but G147 extract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effect by 41.1% when treated with son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cterial extracts treated at 100℃ have a higher level of anti-inflammatory effects than other treatments such as sonication or autoclaving.

      • KCI등재

        하동지역 매실 당절임의 표준화 방안 연구

        Yu-Jin Ko(고유진),Hyo-Hyeong Lee(이효형),Eun-Ja Kim(김은자),Hui-Hun Kim(김회훈),Yong-Hwi Son(손용휘),Jin-Yong Kim(김진용),Sang-Dong Kang(강상동),Ji-Hye An(안지혜),Wan-Su Lee(이완수),Chung-Ho Ryu(류충호)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하동 지역에서 제조되고 있는 13종의 매실 당절임 제품을 수집하여 외관, 조직감, 신맛, 단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 관능평가 결과 우수한 제품 5종을 선별하여 이화학적 및 제조 특성을 조사하였다. 5종의 매실 당절임 제품의 수분함량은 45.2~53.3%였으며 pH는 약 2.8 내외로 모든 실험구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산도는 0.4% 내외로 모든 당절임 제품에서 유사하였고 당도는 13번 제품이 다른 실험구들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나 당과 산의 함량이 낮은 제품의 관능적 기호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도 모든 실험구들에서 각각 약 0.4, 0.8% 내외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시 조직감이 가장 우수하다고 선별된 13번 제품의 기계적 경도 값이 다른 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색도는 밝은 색에 황색과 청색에 가까운 제품이 소비자의 관능에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5종의 우수한 매실 당절임 제품의 주요 유기산은 수산, 사과산, 구연산 및 푸마르산으로 나타났으며 구연산 함량은 전체 유기산 함량의 60% 이상 수준이었다. 또한 주요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rhamnose 및 sucrose로 나타났으며 glucose 함량은 전체 유리당 함량에 65% 이상 검출되어 당도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하동지역에서 제조되고 있는 매실 당절임 제품 13종의 관능검사 결과 기호도가 우수한 5종의 제품 중 2, 10 및 11번은 하동지역에서 재배되는 품종을 알 수 없는 재래종이었고 12번 제품은 남고(南高), 13번 제품은 백가하(百加賀) 품종으로 제조된 것이었다. 또한 매실 과육과 자당의 배합비율은 5.5 : 4.5로 제조된 13번 제품을 제외하고 4종의 제품에서 동일한 비율로 제조하였으며 7개월 이상 저온에서 숙성시킨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하동지역에서 주로 생산되고 지역적 상품화가 될 수 있는 매실 당절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백가하 품종으로 과육과 자당을 5.5 : 4.5 비율로 배합하여 5oC의 저온에서 약 7개월 이상 숙성시켜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합 할 것으로 생각된다. Prunus mume is rich in organic acid, and excels in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using Prunus mume is very limited, and characteristics of its produ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gion they are processed in. In this study, we collected 13 kinds of sugar-preserved Prunus mume home-made products in Hadong, and investigated their physical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to select a superior product. 5 kinds of sugar-preserved Prunus mume produc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product No.13 was superior. Moisture contents of the 5 samples ranged from 45.2~53.3%, and pH and acidity showed similar values at about 2.8 and 0.4%, respectively. Sugar content of product No.13 were slightly lower than other products.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were similar at about 0.4 and 0.8%, respectively. Hardness value of product No.13, selected by its texture in sensory evaluation, was higher than others. The main components of organic acids were oxalic, malic, citric and fumaric acid, and citric acid content occupied more than 60% of total organic acid content. Also, the main components of free sugar were glucose and fructose.

      • Perinatal PhthalateI/Adipate Esters Exposure in Rats: Effects on Maternal Body Weight Changes and Developmental Landmarks in Offspring Rats

        Hwi-Cheul Lee,Byoung-Chul Yang,Yeoung-Gyu KO,Dong-Hoon Kim,Jin-Ki Park,Boh-Suk Yang,Hwan-Hoo Seong,Keitaro Yamanouchi,Masugi Nishihara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06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0 No.4

        Di-n-butyl phthalate (DBP), diisononyl phthalate (DINP) and di-(2-ethylhexyl) adipate (DEHA) are ubiquitously distributed chemicals that are widely used as plasticizers and also found at low levels in food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whether perinatal exposure to DBP, DINP and DEHA could alter normal patterns of neonatal development. Dams were provided with pulverized soy-free diet containing 20, 200, 2,000 and 10,000 ppm of DBP, 40, 400, 4,000 and 20,000 ppm of DINP, or 480, 2,400 and 12,000 ppm of DEHA from gestational day 15 to postnatal day 21. Exposure to the high doses of DBP, DINP and DEHA during gestational period significantly decreased food consumption and body weight gain of dams. These chemicals reduced neonatal body weight as well as that of the after maturation. Also, exposure to DINP of all the doses used and the higher doses (2,400 and 12,000 ppm) of DEHA decreased AGD at PND 1 in male neonates, though that to DBP did not affect AGD in males. In female neonates, an increase in AGD was observed in DBP- and DINP-exposed animals at the highest doses. Moreover, these chemicals affected survival rate of pups at PND 5, and delayed onset of eye opening in all chemical-exposed groups at PND 17.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inatal exposure to these chemicals may affect the normal development and / or growth of offsp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