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문성 명문석과 신라의 역역 동원 체제

        HASHIMOTO Shigeru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3 新羅文化 Vol.62 No.-

        In the fortress walls of Gwanmun Fortress, there has been found 10 inscription stones. The exact date of the stones is unknown, but there is no doubt that it was in the early days of Unified Silla Period before 722. On the stone are the name of the area responsible for the construction, the “南界 (south boundary)” or “北界 (northern boundary)” indicating the boundary of the wall in charge, and the “受地 (receiving)” distance of the wall in charge. The name of the area is presumed to be Gun (郡), and looking at the wall from south to north, there was a relationship that Gun was in charge of construction in a clockwise direction. “骨估” of the 1st and 2nd stones and “熊” of the 2nd stone are considered Hyeon (현) according to the geography of “삼국사기” but are presumed to have been Gun in the early days of Unified Silla. It is estimated that it was mobilized from all over the count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astle, and the size of the mobilization of Gun wa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people. As for the unit of “Gumgyong (金京)”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they has been considered to be Ri (里) under the Bu (部), or the aristocracy-governde dominion.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and the area in charge of the wall, it is believed that Gumgyong was in charge of about 6-7 districts, and is estimated that six Jung (停), the predecessor of 6gijung (畿停) were in charge. The fact that it is in charge of the same construction as Gun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it is a special military administrative district. In addition, since they are in charge of the same construction distance, the six Jung are artificially set up areas, and it is possible that the troops stationed there were mobilized for the construction. Although the inscription stones of Gwanmun Fortress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now, it is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for considering the rulling system of the early Unified Silla Period.

      • KCI등재

        충주 고구려비의 새 판독과 연대

        HASHIMOTO Shigeru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한국고대사탐구 Vol.42 No.-

        This article reviewed the recently proposed decipherment of Chungju Goguryeo Stele and tried to understand the dating and contents. First, ‘十二月卄三日甲寅’ in line 7 on the front has been the basis for estimating the dating. The conventional kanji (sexagenary cycle) was read as ‘甲寅’, but the new decipherment was revised as ‘庚寅’. This part of the stele is damaged, so both ‘甲寅’ and ‘庚寅’ are possible. The dating cannot be estimated by date. The upper part of the front was newly read as ‘永樂七年歲在丁酉’ and served as the basis for estimating the dating as 397. Upon reconsideration, it was read as ‘□嘉七年己未’ and the dating was estimated to be 479. Some argue that this part was engraved at a different time from the text,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engraved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character location matches the line of the text. Next, we discussed the problems with estimating the dating of the stele to be 479. If 479 is the seventh year, then 473 would be the first year, but since this year falls in the 61st year of the Jangsu-Wang, it is quite possible that the era name was ch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嘉’ and ‘延嘉’ shown on the gilt-bronze Buddha statue is a problem.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is Buddha statue was made in 539, so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different dates. However, the possibility that ‘□嘉’ means ‘延嘉’ remains, since the date of the Buddha statue cannot be completely ruled out as 479.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the expression ‘歲在’ is necessarily included when using the era name in Goguryeo, but there is not in the stele. It is possible that this was omitted because the date appeared on the right side or the rear side, which cannot be read at present. We examined how the contents of the stele could be understood if the date of the monument was estimated to be 479. In February of this year, Silla Jabi Maripgan died and Soji maripgan ascended the throne. In the May article of the stele, ‘寐錦忌’ was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ut it is possible that it is related to the death of Jabi maripgan. In addition, the following ‘太子’ is presumed to be the prince of Silla, the Soji maripgan before the enthronement. And the Goguryeo king giving clothes to the Silla maegeum could be related to the enthronement ceremonies. It has been read as ‘辛酉年’ in line 3 on the left side, but I think the ‘功二百六十(四)’ of the new decipherment is correct. The ‘功’ appearing several times on the left side was interpreted to be related to mobilization of physical labor. However, it was used as a meaning of merit on the monuments or wooden tablets of Silla in the 6th century, so it is presumed that it was used as a meaning of merit, especially a military merit. Finally, we reviewed whether there was a battle in which Goguryeo and Silla joined forces to establish their military merit. There is a record that a rebellion broke out in Baekje in 478 and the defeated fled to Goguryeo, and there is also a record that Japan sent soldiers to fight against Goguryeo during the accession of King Dongseong in 479. It is possible that there was a battle involving Goguryeo in connection with the confusion surrounding the accession of King Dongseong of Baekje. 이 글은 최근에 새로 제시된 충주고구려비 판독문을 재검토하고 그것을 통해 연대나 비문 내용을 새로 이해하려고 한 것이다. 먼저 전면 7행에서 ‘十二月卄三日甲寅’이라고 판독되어 연대 추정의 근거가 되던 부분을 검토했다. 종래 간지가 ‘甲寅’으로 판독되었지만 새 판독이 ‘庚寅’으로 수정하였다. 이 부분은 비석 표면이 파손되어 있어서 甲寅과 庚寅 모두 가능성이 있어 어느 하나로 단정할 수 없고 날짜도 복수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날짜와 간지로 연대를 추정할 수 없다. 또한, 새로 ‘永樂七年歲在丁酉’로 판독되어 397년설의 근거가 된 전면 상단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嘉七年己未’로 판독하였고 479년으로 추정했다. 이 부분이 본문과 다른 시기에 새겨졌다는 주장도 있지만 문자 위치가 본문의 행과 일치하기 때문에 동시에 새겨졌을 가능성이 크다. 다음에 479년으로 추정했을 때의 문제점을 검토했다. 479년에 7년이면 473년이 원년인데 이 해가 장수왕 61년에 해당하기 때문에 개원하였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그리고 연호 ‘□嘉’는 금동불입상에 보이는 ‘延嘉’와의 관계가 문제가 된다. 이 불상은 539년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니 그에 따르면 ‘□嘉’와 ‘延嘉’를 다른 연호로 봐야 하지만, 불상 연대를 479년으로 보고 ‘□嘉’가 ‘延嘉’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고구려에서 연대표기로 연호를 사용할 때 반드시 ‘歲在’라는 표현이 들어가지만 비문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현재 글자를 판독할 수 없는 우측면이나 후면에 연대가 나왔기 때문에 생략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연대를 479년으로 추정했을 때 비문 내용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검토했다. 먼저 이 해 2월에 신라 자비마립간이 죽고 소지마립간이 즉위하였다. 비문의 5월 기사에서 ‘寐錦忌’는 여러 가지로 해석되었지만 자비마립간의 죽음과 관련된 내용일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다음에 나오는 ‘太子’는 신라 태자 즉 즉위하기 전의 소지마립간으로 추정되고 고구려왕이 신라매금들에게 옷을 하사하는 내용은 즉위의례와 관련될 가능성을 지적했다. 좌측면 3행에서 ‘辛酉年’으로 판독되었지만 새 판독의 ‘功二百六十(四)’가 옳다고 생각된다. 좌측면에 몇 번 나오는 ‘功’에 대해 역역 동원과 관련된다고 해석되어 있다. 그런데 6세기 신라 비석이나 목간에 공적의 뜻으로 사용된 사례가 있으니 공적, 특히 전공의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고구려와 신라가 힘을 합쳐서 전공을 세운 전투가 있었는지 검토했다. 478년에 백제에서 반란이 일어나서 패배한 사람들이 고구려로 도망갔다는 기록이 있고, 479년 동성왕 즉위시에 일본이 병사를 파견하여 고구려와 싸웠다는 기록도 있다. 이러한 백제 동성왕 즉위를 둘러싼 혼란과 관련해서 고구려가 참가하는 전투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경산 소월리 목간의 성격에 대한 기초적 검토 - 신라 촌락문서와의 비교 및 형태적 특징을 중심으로 -

        HASHIMOTO Shigeru 한국목간학회 2022 목간과 문자 Vol.- No.29

        이 글은 경산 소월리에서 출토된 목간의 성격에 대해 기초적인 검토를 시도한 것이다. 검토하는 전제로 목간의 연대를 6세기로 단정하기 어려우니 6~7세기경 신라의 것이라고만 봤다. 그리고 목간은 이차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같은 유구에서 출토된 인면장식옹을 비롯한 유물들과는 별도로 검토되어야 하는 것을 지적했다. 이 글은 목간의 내용과 형태에 주로 주목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목간의 기재 내용을 정리하고 신라촌락문서와 비교해 봤다. 목간에는 ‘지명+토지 종류+토지 면적’이 기록되어 있다. 한 촌 전체의 토지에 대해 기록한 촌락문서와 비교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인데 토지 종류에 麻田이 없고 또 토지 면적에서 束 단위가 없는 등 정확도가 낮다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목간에 기록된 토지 면적은 합계해도 촌락문서 한 촌의 15~26%에 불과하다. 촌락문서를 통해서 목간의 토지 범위를 계산해 보면 1.3~2.2㎞ 정도였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면적이나 범위는 새로 개간했다고 추정되는 B촌 薩下知村의 掘加利何木杖谷地와 비슷한 규모이니 목간에 기재된 토지가 새로 개간된 지역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에 목간이 장대한 막대기형인 것에는 어떠한 시각기능이 있었다고 추정하여 일본에서 출토된 막대기형 목간을 참조하였다. 일본의 막대기형 목간에도 토지와 관련된 고지를 쓴 것이 있는데 그것은 지팡이가 경계 표지나 토지 점유 표지의 영적·주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소월리 목간이 장대한 막대기형인 것도 그러한 영적·주적인 힘과 관련되었다고 생각되며 한국에서 토지 경계에 나무나 돌의 기둥을 세우는 사례로 통일신라, 고려시대에 확인되는 장생·장생표를 들었다.

      • KCI등재

        新羅 文書木簡의 기초적 검토 – 신 출토 월성해자 목간을 중심으로

        HASHIMOTO Shigeru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7

        This paper reviews document wooden tablets of Silla. The term ‘document’ in the broad sense are documents, records and letters prepared by various government offices, but here we deal with the document in the narrow sense on which the sender and receiver are written.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s in document wooden tablets of Silla, it is important to compare with those of ancient Japan, such as Jeonbaek mokkan. First of all, we will examine the text and contents of the wooden tablets recently unearthed at the moat of the Wolseong Palace. The contents of the three-sided wooden tablet were that a ‘Dangju’, local government official, sent grain to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capital, and it is presumed that ‘Sobaekin’ came to the capital and reported it. The document wooden tablets of Silla were, just like Japanese Jeonbaek mokkan, presumed to be related to oral communication and mainly used as report to higher officials. At the same time,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sender and date are written on Silla's document, but not on Japanese ones. The shape of Japanese documents are tabular, while Silla’s ones are cylindrical or polyhedrons. It is likely that these morphological features were designed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at they were documents. In particular, large ones are assumed to have served as passes. ‘Muncheok’ who wrote a wooden tablet of the moat of the Wolseong Palace is same as the government post found in the stone monuments of Namsansinseong fortress, indicating that local residents were responsi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documents widely in the provinces. And a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fication Period reveals a change in the method of date marking. Such a change can be confirmed in ancient Japan too,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ppearance of the change. Such difference is presume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introducing the political system of China. 본고는 신라의 문서목간을 검토대상으로 한다. 여기서 문서목간이란 여러 관청에서 작성된 문서, 기록, 편지 가운데 수발 관계를 알 수 있는 협의의 문서목간을 말한다. 신라 문서목간의 특징이나 시대적 변화를 밝히기 위해 고대 일본의 문서목간인 前白木簡과 비교하는 것을 중시한다. 먼저 최근에 출토된 월성 해자 목간의 판독문과 내용을 검토했다. 삼면목간은 지방관인 당주가 왕경에 있는 관인에게 곡물을 보냈다는 내용이며 ‘所白人’은 왕경까지 와서 보고한 사람으로 추정된다. 신라 문서목간은 일본의 전백목간처럼 구두전달과 관계된다고 생각되며 주로 上申文書로 사용되었다. 한편 전백목간과 달리 발신자나 날짜를 명기한다는 등 차이점도 확인된다. 목간의 형태도 전백목간은 판자형인데 신라 문서목간은 원주형목간이나 다면목간이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은 문서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만든 것일 가능성이 크다. 특히 크기가 큰 것은 통행증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월성해자 목간을 쓴 文尺은 남산신성비에 나오는 職名과 똑같으며 지방민이 지방에서 널리 문서행정을 담당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삼국시대와 통일기 문서목간을 비교해 보면 날짜 표기 서식에 변화가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고대 일본에서도 보이는 상황이지만 변화 양상에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중국의 율령제를 도입하는 방식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영천 청제비의 재검토

        하시모토시게루 ( Shigeru Hashimoto ) 수선사학회 2017 史林 Vol.0 No.60

        This paper focuses on Byungjin(丙辰) inscription(AD 536) and Jungwon(貞元) inscription(AD 798) of the Chunje(菁堤) Ste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how did the government mobilize rural people to build irrigation facilities. Based on twice investigations of the original monuments, the transcription were reviewed again and efforts were made to better understand the ston monuments using those results. About Byungjin inscription, “谷(gog)” was newly read in the first line. And I pointed out the possibility that “□□谷(gog)” was the name of the place where the Chunje Stele is located. The breakdown of “Sain(使人)”, dispatched from the capital, was clarified. I newly pointed out the job title “Iljigaegin(一支客人)”, that have not been read so far.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lower-level officers who received instructions from “Sain(使 人)”. In addition, I made clear that “ganji(干支)” of the last line were “wewi(外位)”, and the man with a title of ganji is estimated to be the local chief. It is thought that the people of the capital were mainly mobilized as a labor force for building levees. About Jungwon inscription, “Baek(百)” was newly read on the ninth line. This revealed that the people of the two counties, “Jolfa(切火)” and “Apryang(押梁)”, which were thought to be supplementarily mobilized so far, were actually the mainstay of mobilization. On the twelfth line, 3rd and 4th characters were interpreted as “Sufue(須喙)” and regarded as the name of the Bu(部), but they must be read as “donryang(頓梁)”. And this is the part of the job title and person name.

      • KCI등재
      • KCI등재

        대구 八莒山城 木簡의 재검토 ― 신라의 지방지배와 하찰목간 ―

        하시모토 시게루(Hashimoto, Shigeru)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동서인문 Vol.- No.22

        본고는 대구 팔거산성 목간을 재검토해서 신라 지방 지배의 실태에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팔거산성 목간은 16점이 발굴되었는데 그중 10점에 글자가 있다. 함안 城山山城 목간과 같은 荷札로 추정되고 또 ‘王私’ ‘(城)下麥’이라는 공통된 용어가 있는 것이 주목되었다. ‘王私’에 대해서는 성산산성 목간의 검토를 통해 왕·왕실 직할지와 관련된 말로 추정한 바 있다. 그 후에 성산산성 목간과 팔거산성 목간에는 ‘王私’ 이외에 ‘私’만 있는 목간이 있고 ‘私屬關係’나 ‘私糧’을 뜻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러나 팔거산성 목간의 판독문을 재검토한 결과 ‘私’만 있다고 주장된 목간은 ‘稻’ 등 다른 글자로 판독된다. 그리고 성산산성 목간과 팔거산성 목간 그리고 김해 良洞山城 목간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간지년 표기의 유무. 팔거산성 목간에서는 10점 중 5점에, 양동산성 하찰 목간 3점 중 적어도 1점에 간지년이 있는데 성산산성 목간에서는 245점 중 1점에만 있다. 둘째 곡물명의 차이. 성산산성 목간 245점 중 물품명이 나오는 목간이 114점인데 그 대부분이 ‘稗’이다. 한편 팔거산성 목간은 ‘麥’ ‘稻’ ‘米’, 양동산성 목간은 ‘麥’만 나오고 ‘稗’가 하나도 없다. 셋째 특이한 記載樣式. 팔거산성 1·16호 목간은 ‘安居礼(利) 干支’라는 외위를 가진 인명 다음에 촌명이 오는 기재양식이다. 이러한 기재양식은 성산 산성 목간에 안 보이던 것이다. 이러한 차이가 나는 이유로 성산산성 목간과 팔거산성 목간, 양동산성목간은 같은 하찰 목간이라고 해도 구체적인 용도가 달랐기 때문으로 추측하였다. 성산산성 목간은 산성을 축성할 때 동원된 사람들이 소비한 식량의 하찰로 생각된다. 특히 ‘城下麥’ 목간은 축성이라는 특정 목적을 위해 성에서 곡물이 지출되었을 때의 하찰이었을 것이다. 한편 팔거산성과 양동산성 목간은 성에 곡물을 납부하였을 때의 하찰로 추정된다. 여러 해의 간지년이 보이는 것은 각 해에 납입된 것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팔거 산성 1·16호 [안거리+지명] 목간은 이러한 곡물 납입에 지방 유력자가 책임을 지는 경우가 있었던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This paper aims to approach Silla’s local domination by reviewing wooden slips excavated from Palgeo Mountain Fortress in Daegu. 16 pieces of the wooden slips were excavated, and 10 of them had letters on. These wooden slips and the ones excavated from Seongsan Mountain Fortress in Haman share some similarities, Both are presumed to be used as tags and have the same terms written on, such as ‘王私’ and ‘(城)下麥.’ The review of the Seongsan Mountain Fortress’s wooden slips revealed that ‘王私’ is likely to be the term related to the direct jurisdiction of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It was recently pointed out that there are wooden slips that only had ‘私’ which means personal subordinate relationship or personal food. However, through reviewing the Palgeo Mountain Fortress’s wooden slips,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characters previously read as ‘私’ are actually other characters. Furthermore, this paper compares wooden slips from Seongsan Mountain Fortress, Palgeo Mountain Fortress, and Gimhae Yangdong Mountain Fortress and provides three differences among them. The first difference is the presence of year marks. While 5 out of 10 wooden slips from Palgeo Mountain Fortress and minimum 1 out of 3 wooden slips from Yangdong Mountain Fortress have years marked on, only 1 out of 245 Seongsan Mountain Fortress’s wooden slips have the year mark. The second difference is found in the names of grains. 114 out of 245 Seongsan Mountain Fortress’s wooden slips have item names, most of which are ‘稗.’ However, the wooden slips from the other fortresses do not include ‘稗.’ Yangdong Mountain Fortress’s wooden slips only have ‘麥,’ and Palgeo Mountain Fortress’s wooden slips include ‘麥,’ ‘稻,’ and ‘米.’ The third difference is observed in unique formatting. Palgeo Mountain Fortress’s No. 1 and No. 16 wooden slips have a format where a village’s name comes after a person’s name. This format is not observed in Seongsan Mountain Fortress’s wooden slips. The reason for these differences is assumed to be that even though all wooden slips were tags, the wooden slips of each fortress wer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Seongsan Mountain Fortress’s wooden slips are understood to be the tags of food consumed by the people who were mobilized to build the fortress. On the other hand, the wooden slips from Palgeo Mountain and Yangdong Mountain Fortresses are presumed to be the tags of grain delivered to these fortresses because each wooden slip included a year mark to show that grain was delivered in that year. Palgeo Mountain Fortress’s No. 1 and No. 16 wooden slips reveal that local influential people were responsible for the grain payments.

      • KCI등재

        월지(안압지) 출토 목간의 연구 동향 및 내용 검토

        하시모토 시게루(Hashimoto Shigeru)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00

        월지(안압지)목간은 1975년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목간이다. 지금까지 이뤄진 연구의 논점을 정리하고 세택과 辛番에 대해 검토한다. 어느 정도 내용을 알 수 있는 목간은 40여점 있다. 약재명을 적은 것, 같은 글자를 반복해서 쓴 습서 목간, 문호를 쓴 목간이 몇 점씩 있다. 가장 많은 것은 부찰이며 약 20점 있다. 그중 14점은 〈연월일+作+동물명+가공품명+용기〉라는 기재양식으로 쓰인 식품 부찰이다. 목간에 보이는 유일한 관부인 세택은 종래 시종이나 비서를 담당했다고 생각되었지만 근년에 목간 내용을 통해 궁정 안의 잡역을 담당했다고 하는 주장이 나왔다. 보고서1호 목간은 세택이 ‘二典’한테 보낸 문서 목간이며 지금까지 알려진 유일한 통일신라시대 문서 목간이다. 세택의 관원인 大舍가 만든 목간으로 생각되어 세택은 시종 기관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185호 ‘辛番洗宅’을 비롯하여 여러 목간에 辛番이 나온다. 월지나 그 주변에서도 ‘辛審龍王’ ‘辛番洗宅’ ‘本宮辛番’ 등 관련되는 명문자료가 출토되었다. ‘辛番’과 ‘辛審’이 같은 뜻으로 생각되었지만 같이 나오는 관사명이나 글자를 적는 방법 등을 검토한 결과 이 2 문구는 구별해서 생각해야 하는 것을 지적했다.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Wolji (Anapji) was unearthed in 1975. This paper summarizes the main points of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s 洗宅 and 辛番. There are about 40 wooden tablets which can understand the contents to some extent. Several wooden tablets were written with some medicinal properties, and some were with the same characters repeatedly written on them, and about the guard of gates. The most common were tags, and 14 of them were food tag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at: ‘date+作+animal name+ processed product name+container.’ 洗宅, the only government office written on wooden tablets, was believed to have served as a servant or secretary. But in recent years, it was alleged that it was in charge of the work in the court through the contents of the wooden tablets. The NO.1 wooden tablet of the report is a document sent to 二典 from 洗宅, and is the only wooden documen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known so far. It is considered to be a wooden document written by 大舎, a government official of 洗宅. There are many wooden tablets, including No. 185 ‘辛番洗宅’, written about 辛番 and relative materials such as ‘辛審龍王’ ‘辛番洗宅’ ‘本宮辛番’ were also excavated in and around Wolji. Although “辛番” and “辛審” were thought to mean the same thing, but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 KCI등재

        월성해자 신 출토 목간과 신라 外位

        하시모토 시게루(Hashimoto Shigeru)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4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월성해자 발굴로 묵서가 있는 목간 7점이 새로 출토되었다. 이 논문은 그 목간 가운데 1점의 내용을 검토해서 신라 외위제 운용의 일단을 밝힌 것이다. 먼저 목간에서 ‘波珎日’을 새로 판독했다. 이는 외위 제10등 彼日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이 목간에는 적어도 彼日, 一伐, 干支의 3개 외위가 확인된다. 그리고 이들 외위 앞뒤에는 반드시 ‘受’자가 나오니 한 사람이 외위를 받은 기록으로 생각된다. 즉 이 목간은 외위 승진에 대해 기록한 것이다. 외위 승진의 이유에는 2가지가 있었다고 추정했다. 하나는 목간에 ‘功’ ‘煞功’으로 표현되는 특별한 공적으로 의한 승진이다. 목간의 연대와 같은 시기에 백제와의 전투 기사가 『삼국사기』에 매년 보이는 것과 목간에 보이는 䔉山이라는 지명이 백제와의 최전선에 있었기 때문에 백제와의 전투에서 공적을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戊戌年에는 외위가 승진하지 않았다(‘留’)고 하는데 丙午年에는 특별한 공적이 없는데도 干支에 승진한 것으로 봐서 정기적으로 외위가 승진하는 제도가 있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정기적인 관위 승진 제도는 고대 중국이나 일본에도 있었다. 관위에 대해서는 중앙관청인 位和府가 담당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목간은 위화부가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목간을 쓴 사람은 지방의 군이나 촌에 있었던 文尺, 書尺이었다고 추정된다. The excavation of the moat of the Wolseong Palace, which took place from 2015 to 2017, newly unearthed 7 wooden tablets. Reviewing the contents of one piece of wooden tablet, this paper revealed the operation of Silla’s Woewui(外位) system. First, the words ‘波珎日’ were newly read on the tablet. This is thought to be the 10th Woewui 彼日(波旦). As a result, at least three Woewui 彼日, 一伐, and 干支 are identified on this wooden tablet. And because there are ‘受’ letter before or after these Woewui, this wooden tablet is presumed to have written about the record of one person receiving Woewui.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two reasons for the promotion of Woewui. One is a promotion by special merit, which is expressed as ‘功’ or ‘煞功’ on the wooden tablet. These merits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battle against Baekje. Meanwhile, it is recorded that the Woewui was not promoted(‘留’) in the year of ‘戊戌’. And he was promoted to ‘干支’ even though there was no special achievement in the year of 丙午. So, it is believed that there was a regular promotion system for Woewui. These regular promotion systems also existed in ancient China and Japan. The government office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Woewui is thought to be the 位和府, so it is presumed that this wooden tablet was used by the 位和府. And the person who wrote this wooden tablet would have been local officials of 郡 · 村.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