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싶다' 구문의 격과 부가어 : HPSG의 확대 논항 구조적 분석 An Extended Argument Structure Analysis in HPSG

        최종주,이남근 대한언어학회 2000 언어학 Vol.8 No.1

        Choe, Jong-Joo and Lee, Nam-Geun. 2000. Case and Adjunct in the Siphta Construction: An Extended Argument Structure Analysis in HPSG. Linguistics 8-1, 133-152. The siphta construction in Korean shows some intriguing properties such as the case alternation in the complement NP of the lower verb and the optional - but not arbitrary - case marking on the adjunct. We will show that the 'argument structure' alone is not enough to deal with the case marking on the adjunct simply because the adjunct cannot be contained in the argument structure. Therefore, in the framework of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HPSG for short), we will take advantage of the new feature DEPS (or dependendy structure) proposed by Bouma, Malouf and Sag (1999). The extended argument structure DEPS will enable us, with the help of Case Principle and the notion of structural/lexical case, to take care of the case alternation and case marking on the adjunct in the siphta construction. (Chosun University)

      •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handicap

        김은주,김동일,박경숙,최종근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3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는 그 동안 국가에서 시행하는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과정에 포함되지 못했던 장애학생들도 그들 각자의 장애특성에 맞는 검사 수정 및 조정 방법을 통해 이러한 평가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지난 2002년에는 일반 평가 과정에 장애학생들이 동등하게 참여하고 평가 방법 및 절차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ㆍ기본학습능력을 평가하여 장애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였다. 2003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에 장애학생을 참여시키며,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대규모 평가과정에서 장애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근거자료를 확보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과 특수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수교사, 일반교사, 장애학생과 그의 학부모, 졸업생 등 5개 집단 총 2,644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결과 분석에 포함된 응답자 수는 2,196명으로서 83.1%의 응답률을 보였다. 응답자 중 특수교사들이 89.4%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졸업생은 72.6%로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대한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 장애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결과들은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항목 별 무 응답자는 제외하였고 각 집단의 응답결과 중 장애영역별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일반교사의 경우 초등과 중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리고 장애특성상 여러 가지 경사 조정을 적용하게 되는 시각장애학생을 위해 국가수준의 평가과정에서 적용하고 있는 시간연장 조건(맹: 1.5배, 저시력: 20분 연장)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2001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와 「2002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의 국어ㆍ수학(중3 및 고1용) 평가지를 이용하여 고1, 고2 시각 장애학생 197명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가 실시되는 전과정에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초등 6학년, 중학 3학년, 고등 1학년 장애학생 총 707명을 동등하게 참여시켜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고 학업성취도 관련 변인을 조사하였다.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는 2004년도 분석될 예정이다. 이와 같이 크게 3가지 연구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대한 필요성에 있어 응답자 대부분이 균등한 교육기회의 보장과 통합교육의 강조, 일반학생들과 장애학생들간의 성취수준 비교, 직접 평가를 통한 질 높은 교육과정의 제공 등을 이유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 다음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들의 학습에 대한 자기점검의 기회,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 교수제공에 필요한 정보 제공, 평가를 통한 장애학생의 동기유발강화, 진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개별화 프로그램 작성에 유용 등을 이유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나, 중증장애 학생들에 대한 평가체제의 미비, 학습과의 연계성 부족 등의 부정적인 견해도 나타나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에 다른 문제들에 있어 학사일정의 중복과 평가로 인한 교사의 수업결손, 평가방법의 미숙과 시간 배정의 문제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이나 시간변인의 조정 등을 통해 개선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외에도 평가실시와 관련된 필요한 지원이나 건의사항에 있어 관리자와 교사 모두 장애의 특성과 수준에 따른 적합한 평가문항의 개발, 평가대상 및 절차의 구체화, 의견 수렴을 통한 인식 공유, 중증 장애 학생을 위한 평가방법의 모색, 평가 시 인적 지원, 문항 수 감축과 평가시간의 확대, 일정에 대한 사전 통보 등이 문제점들로 지적되어 이에 대한 대비 연구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분석 결과이다.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1차 평가에서는 기존의 시간 연장 조건(맹학생은 1.5배 시간연장, 저시력학생은 20분 시간연장)을 그대로 적용하고, 2차 평가에서는 최대 시간 연장이라는 조건(맹학생은 1.5배 시간연장 이상, 저시력학생은 20분 시간연장 이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1차와 2차의 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2차 평가의 경우 1차 평가보다 전반적으로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보였고, 이를 환언하면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검사 시간을 연장할 경우 일반학생들과의 학업성취수준의 편차를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평가에 적합한 시간량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추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실시 및 실시 과정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이다. 「2003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가 10월 23일 실시되어 평가 결과는 2004년도 연구에서 분석할 예정이며, 평가가 실시되었던 48개 특수학교의 학교관리자, 평가감독교사 및 평가관리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실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학교관리자나 특수교사 모두 장애학생의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참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이 평가가 '자기 점검의 기회',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 '평가를 통한 효율적인 학습지도 가능', '일반학생들과의 객관적 비교를 통한 학생의 현재 학업성취도 파악'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용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하지만, 학사일정이 중복되거나 평가로 인한 교사의 수업 결손 등을 이유로 평가 실시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장애학생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평가 문항의 개발 및 다양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되, 일반학생과 함께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해야 할 것이다. 평가 대상은 학생의 배치 상태와 상관 없이 모든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학생 중 초6, 중3, 고1과 고3으로 한다. 평가 교과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교과로 하고 장애학생의 특성상 교과 외 읽기ㆍ쓰기ㆍ셈하기와 정보활용능력, 사회성 능력, 기초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지기주도학습능력 등에 대한 평가도 실시한다. 학생의 성취도 평가, 교육과정의 적절성 판단, 교육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그리고 교육효과 점검에 평가의 활용 목적을 두어야 한다. 평가 시기는 9월~12월 사이 일반학생들과 같은 시기에 하는 것이 적절하며, 평가 결과의 정보 중 각 학생의 성취 수준은 물론 평가와 함께 조사되는 학생의 과목별 흥미도와 선호도도 공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생의 장애인 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장애유형 및 정도를 고려해서 검사조정 방법을 다르게 제공하되 검사 조정한 사실을 공개해야 하며, 평소 이러한 검사조정 방법에 익숙할 수 있도록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거나 수업 중의 조정과 일치하도록 배려해야 한다. 또한 학생의 IEP에 검사조정의 필요성 여부와 검사조정 유형에 대해 기재하고, 검사조정 형태는 장애학생 본인이나 부모의 참여 하에 IEP팀에서 결정해야 한다. 평가 과정에서 장애학생에 대해 검사조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학생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시험에 보다 적극적이고 열심히 시험에 임하거나 좌절감을 덜 느끼게 하며, 시험을 치르는 전략에 변화를 가져오는 등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국가와 학교는 장애학생의 장애유형이나 장애 정도에 적합한 검사조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영역별로 이상적인 검사조정 형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시간연장에 대해 긍정적인 편이지만, 현재의 조건보다 확대된 조건을 있고, 기존에 없던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시간연장도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시각장애학생의 경우 점자정보단말기와 같은 새로운 기자재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어 각 장애영역별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새로운 검사조정 방법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평가 시 대독이나 대필, 수화 응답, 불필요한 자극제거처럼 독립된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검사조정방법이 제기되고 있을 뿐 아니라 독립된 공간 자체를 요구하고 있어 학생이 원하는 경우 독립된 공간에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할 수 있는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기존의 검사조정 방법이 수정되거나 추가 지원 내용들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검토와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지적장애가 없어 일반학생 대상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학생의 경우라도 장애 자체로 인한 학력 결손을 감안하여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은 이 평가에 참여시키되 나머지 장애학생에 대해서는 기초학력평가를 실시하거나 대안적 평가를 실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증화 되어가는 특수학교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할 때 학생의 장애유형뿐 아니라 장애 정도에 따른 평가 방법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도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처럼 체계적인 행정상의 지원을 받아 실시함으로써 평가과정이 사전에 학교 일정에 포함되고, 평가관리 및 감독 교사들의 업무 추진에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전반적인 계획 및 추진 과정에서 장애학생에 대한 참여가 고려되어야 한다. 즉, 문항 개발과정에 특수교육 전문가가 참여하여 가능하면 보편적인 설계방법으로 문항을 개발하여 점역이나 검사도구 조정의 어려움을 방지하고 별도의 검토 과정 및 이중적인 예산낭비를 줄여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resent study followed the previous KISE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2002 :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with appropriate test modification or accommodations. In 2002, we conducted the preliminary study to measure the 'maximum'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rying to find out the 'appropriate' testing modification/accommodations methods or procedures, which guarantee the 'fair'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high-stakes tests without influence of their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3rd grade students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the instruments were the 'Basic Learning Skill Test' and the `Academic Screen Test for Underachievers at Middle School Level'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1. The present study tried to build up or get ready for the appropriate and continuous system for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In pursuit of this purpose, we had som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ally' participate in the 2003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irst of all, 2,644 respondents(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students with disabilities, graduates, and the students' parents) answered their recognition on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relation to time extension was analyzed. Alth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ing the validity of various test accommodations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and testing accommodations option to time extension. Thus, we mainly analyzed the validity of current time extension practices(1.5 times of standard for the blind, 20 minutes extension per session for the weak-sighted) for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The subjects(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were 197(middle school students 86, high school students 111). The instruments were verbal and math tests of 2001 & 2002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e standardized their test scores using the norm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n, we compared the gain scores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tial effect Third, for 750 students with disabilities(6th, 9th, 10th grade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participating in 2003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achievement correlates were analyzed.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nd the 'appropriate' accommodations for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GORLIN AND GOLTZ SYNDROME : A CASE REPORT

        최종호(Choe Jong Ho),방선빈(Bang Sun Bin),이종호(Lee Jong Ho),송용근(Song Yong Geun),김종원(Kim Jong Won)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85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1 No.1

        Gorlin and Goltz 증후군, 즉 Jaw cyst-Basal cell nevus-Bifid rib 증후군은 1951년 Blinkley와 Johnson에 의해 최초로 기술되고 I960년 Gorlin 등에 의해 확립된 증후군으로써, 피부, 치아, 뼈, 눈의 기형 및 신경학적, 성적인 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20세된 한국 여성으로서, 악골의 낭종, 二裂의 늑골, 短中手骨症, 側彎症, 扁平足, 色素性母斑, 類表皮囊腫등의 징후를 보인 경우로서, 재발성악골각화낭종에 의해 발견된 예이며, 이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is is a case report of the so-called Gorlin and Goltz syndrome, or jaw cyst-basal cell nevus-bifld rib syndrome in a 20-year old korean female. She had several stigmata of the syndrome. She displayed multiple jaw cysts, bifid left third rib, short left fourth metacarpal, scoliosis, pes planus, epidermoid cyst, pigmented nevi.

      • KCI등재후보

        4 Dipyridamole (99m)Tc-MIBI SPECT의 육안 분석과 정량적 분석

        최진현 ( Choe Jin Hyeon ),도문홍 ( Do Mun Hong ),이근우 ( Lee Geun U ),신원호 ( Sin Won Ho ),최성란 ( Choe Seong Lan ),함종열 ( Ham Jong Yeol ),최동주 ( Choe Dong Ju ),염명걸 ( Yeom Myeong Geol ),정순일 ( Jeong Sun Il ),최진학 ( C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4

        연구배경 :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하고 병소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그 기능적 의의를 평가하는 비관혈적인 검사법으로 심근 SPECT의 유용성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 저자들은 심근 SPECT의 육안 분석과 정량적 분석방법의 진단적 우위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허혈성 심장 질환을 의심하여 심근 SPECT와 관상동맥 조영술을 모두 실시한 126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Dipyrdamole 0.56mg/kg을 정주하고 ^(99m)Tc-MIBI 15mCi를 투여한 후 rotating gamma camera를 이용하여 부하 스캔을 구하였고, 4시간 후 ^(99m)Tc-MIBI 25mCi를 다시 투여한 후 재분포 스캔을 시행하였다. 단층 영상을 3방향으로 재배치하여 육안적으로 분석하였다. Technetium 흡수의 분포도로부터 전체 좌심실을 대표하는 2차원의 극지도를 그리고, CSMC에 의해 개발된 정상치와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인 병변 극지도를 구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관류 결손의 재관류 여부를 육안분석으로 완전 재관류, 부분 재관류, 무 재관류군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에서의 정량적 관류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관상동맥 질환 진단의 전체적인 민감도는 육안 분석으로 91%, 정량적 분석으로는 94%로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특이도는 각각 76% 및 71%로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개개의 관상동맥 분지의 병변을 육안 및 정량적 분석으로 발견할 수 있는 민감도는 좌전하행지가 각각 89% 및 92%, 우관상 동맥이 84% 및 93%, 좌회선지가 71% 및 77%로 모든 혈관에서 육안 분석보다 정량적 분석이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육안 및 정량적 분석의 특이도는 좌전하행지가 각각 79% 및 70%, 우관상 동맥이 77% 및 82%, 좌회선지가 96% 및 92%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육안 분석에 관류 결손의 완전 재관류는 협심증군에서 심근경색증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육안분석에 의하여 분류된 각 군의 정량적 분포 정도는 완전 재관류군과 무재관류군 사이나, 부분재관류군과 무재관류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완전 재관류군과 부분재관류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Dipyridamole 정주 후 ^(99m)Tc-MIBI SPECT검사의 정량적 분석이 육안 분석보다 더욱 정확한 분석 방법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며, 재관류 평가의 임상적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병변의 심한 정도와 재관류의 정도를 정량화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usefulness of myocardial SPECT in diagnosing coronary artery disease, & assessing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e coronary stenosis is confirmed by many investigators. To determine the superiority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over the visual analysis method in assessing myocardial SPECT this study was performed. Methods: One hundred & twenty six patients with suspicious coronary artery disease had both intravenous dipyridamole ^(99m)Tc-MIBI SPECT and coronary angiougraphy within an interval of 5 days. The scintigraphic findings were assessed visually and quantitatively using two dimensional polar map. The results of visual and quantitative assessments were compared to the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In 85 patients who showed perfusion defect on stress scintigraphy, the reversibility of the defect was evaluated by visual analysis. Results: For detec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the overall sensitivity of the visual and quantitative analyses was 91% & 94% respectively (p>0.05). The overall specificity was 76% by visual and 71% by quantitative analyses(p>0.05). For detection of individual coronary branch diseases,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higher than visual analysis in the sensitivity(LAD: 89% vs. 92%, RCAl 84% vs.93%, LCx: 71% vs. 77%),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pecificities of both visual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similary high(LAD: 79% vs. 70%, RCA: 77% vs. 82%, LCx: 96% vs. 92%),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The reversibility of perfusion defect was assessed by visual analysis. Of the 144 abnormal vascular territories in 85 patients, 49 vascular territories showed complete redistribution and 30 territories showed partial redistribution. The patients with angina ha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complete redistribution (angina: 50% vs. MI: 15%, P<0.05).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quantitative analysis of ^(99m)Tc-MIBI tomography may not be more accurate technique than visual analysis for detec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for localization of individual coronary stenos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