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he Efficacy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ituitary Adenoma

        Heung Lae Cho(조흥래),Kwang Mo Yang(양광모),Seung Chang Shon(손승창),Hyun Suk Suh(서현숙)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1984년부터 1989년까지 뇌하수체 선종환자 22명이 수술 및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11개월에서 98개월간에 걸친 추적관찰 기간동안 22명중 18명(81.8%)의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 호르몬 감소, 또는 종양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시력감소를 보였던 환자 11명중 10명(91%)이 시력회복을 보였고 시야결손을 보인 12명의 환자에서 11명(92%)의 시야가 회복 또는 정상화 되었다. 이상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수술후 뇌하수체선종에 의한 증상 및 징후의 조절에 방사선치료가 유효하다. (2)거대선종에 있어서 터어키안 위로 2cm 이상인것과 2cm 이하인 것의 치료효과에 있어서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Between 1984 and 1989, 22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The tumor was controlled in 18 of 22 (81.8%) patients for an observed period of 11 to 98 months. Eleven of 12(92%)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 experienced normalization or improvement, and 3 of 5 evaluabl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achieved normalization in one and decrement in two patients. We concluded that: (a)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clearly effective in the controlling of clinical symptoms and signs resulting from pituitary adenoma: (b) In the macroadenoma, the difference of control rate between suprasellar, <2cm. and supeasellar,> 2cm. was not significant.

      • SCOPUSKCI등재

        Volumetric changes in the lumpectomy cavity during whole breast irradiation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Cho, Heung-Lae,Kim, Cheol-Ji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1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9 No.4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 in the lumpectomy cavity volumes before and after whole breast radiation therapy (WBRT)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volume.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9 to April 2010, the computed tomography (CT) simulation data from 70 patients obtained before and after WBRT was evaluated. The lumpectomy cavity volumes were contoured based on surgical clips, seroma, and postoperative chang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ta from pre-WBRT CT and post-WBRT CT were assessed. Multiple variables were examined for correlation with volume reduction in the lumpectomy cavity. Results: The mean and median volume reduction in the lumpectomy cavity after WBRT were 17.6 $cm^3$ and 16.1 $cm^3$, respectively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01). The volume reduction in the lumpectomy cavity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ime from surgery to radiation therapy (R = 0.390). The presence of serom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volumetric change in the lumpectomy cavity after WBRT (p = 0.011). Conclusion: The volume of lumpectomy cavity reduced significantly after WBRT. As the time from surgery to the start ot WBRT increased, the volume reduction in the lumpectomy cavity during WBRT decreased. A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presence of seroma and the reduced volume. To ensure appropriate coverage and to limit normal tissue exposure during boost irradiation in patients who has seroma at the time of starting WBRT, repeating CT simulation at boost planning is suggested.

      • SCOPUSKCI등재

        Radiotherapy of Pineal and Ectopic Pineal Tumors

        조흥래(Heung Lae Cho),손승창(Seung Chang So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1984년 12월부터 1990년 2월까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 백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송과선 및 뇌하수체상부에 위치한 종양으로 진단받은 16명의 환자에 대하여 외부 방사선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진단은 5명에서 가능했고 나머지 11명의 환자는 조직학적 진단 없이 치료를 시작하였다. 방사선조사는 전뇌-척수부위(6명), 전뇌부위(9명), 종양부위(1명)로 시행하였다. 생명표에 의거한 환자의 생존율은 71%였다.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했던 3명, 종양 marker 정상소견을 보인 7명 그리고 beta-HCG 증가를 보인 환자들은 방사선치료에 좋은 반응을 보였으나, AFP의 증가를 보인 환자에서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았다. 척수전이는 AFP 증가를 보인 2예에서 관찰되었다. : 1명은 예방적 척추조사를 받았으나, 다른 한명은 받지 않았다.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AFP의 증가를 보이는 환자에서는 방사선치료 외에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간구되어야 하며, 이런 환자에서는 조직학적 진단 없이 방사선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예방적 목적으로 척수조사를 하는 것은 뇌척수액 세포검사의 양성, 뇌 척수막으로의 전이, 뇌실 침범, 조직학적으로 입증된 생식세포종일 경우에는 고려할 수 있다. From December 1984 to February 1990, 16 patients with tumors of pineal and suprasellar location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Tissue diagnoses were obtained before radiation therapy in 5 patients and 11 were irradiated without histologic confirmation. Initial treatments for these patients were craniospinal plus boost primary irradiation(six), whole brain plus boost primary irradiation (nine), primary tumor site irradiation (one). The 5 year actuarial survival rate is 71%. Three cases with elevated beta-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responded favorably to radiation, but pineal tumors with elevated alpha-fetoprotein (AFP) did not respond well. Spinal metastasis developed in 2 cases (2/15) with elevated AFP : one received prophylactic spinal irradiation, another did not. Our studies suggest that more aggressive treatment would be necessary in patient with elevated AFP and in this patient, radiation therapy may be initiated without pathologic confirmation. From the result of our study, routine use of prophylactic spinal irrdiation for all patients with pineal region tumor is not indicated and use of prophylactic spinal irradiation is considered for the patients with positive cranio spinal fluid cytology, meningeal seeding, disease extension along the ventricular wall and biopsy proven germinoma.

      • SCOPUSKCI등재

        송과선 및 이소성 송과선 생식세포종의 감마 나이프 수술 후 재발 양상

        조흥래(Heung Lae Cho),손승창(Se ung Chang So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 생식 세포종 환자들의 방사선치료 시 가장 적절한 조사 영역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부터 1998년 까지 뇌 생식세포종으로 진단되거나 또는 추정되어 감마 나이프를 시행 받은 환자 19 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송과선 9예, 안상(suprasellar) 1예, 그 외 2군데 이상 다발성 병소가 9예였다. 조직이 확인이 된 예는 7예이었고 배아종(germ cell tumor)이 5명, 내배엽동종(endodermal sinus tumor)이 2명이었다. 종양의 부피는 2.4 cm3부터 74 cm3 까지 이었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치료는 50% 등선량 곡선을 중심으로 10 Gy부터 20 Gy에 걸쳐 조사되었다. 추적 기간은 10개월에서부터 54개월까지였다. 결 과 :총 19명 중 14명(74%)에서 재발을 하였다. 완전 관해와 부분 관해는 각각 2명(11%), 10명(53%)이었다. 무반응은 7명(36%)이었다. 원발 병소가 있었던 자리에서 재발한 경우가 2예, 치료 조사영역을 벗어났으나 원발 병소와 연결되어서 그 주위로 재발한 경우가 6예 이었다. 원발 병소와 떨어져서 뇌실 재발이 된 경우 3예, 척수 전이가 된 경우가 4예 이었다. 종양의 부피가 20 cm3 이하인 경우는 8예이었으며 이중 2예는 치료 조사영역 내에서만 재발한 경우, 4예는 원발 병소와 연이어져서 치료 부위 주위로 재발한 경우, 1예는 척수 전이된 경우이었다. 종양의 부피가 20 cm3 보다 큰 경우는 6예 이었으며 그 중 원발 병소와 연이어져서 치료 부위 주위에 재발한 경우 1예, 원발병소와 떨어져서 뇌실 전이가 된 경우가 2예, 척수 전이를 일으킨 경우가 3예였다. 재발을 하지 않은 5예는 종양의 부피가 20 cm3 이하인 경우이고 모두 단일 병소이며 종양지표가 모두 정상이었다. 척수 전이는 4예(21%)에서 발생하였으며 모두 뇌실 침범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였다. 총 9명의 다발성 병소 중 국소 재발만을 한 경우는 3경우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치료 조사영역을 벗어나 원발 병소와 떨어져서 재발하였다. 결 론 :감마 나이프 치료가 뇌 생식세포종에 대한 치료로서는 부적절한 치료이며 이것은 감마 나이프의 특성인 작은 치료 용적과 조사 선량의 부적절함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뇌 생식 세포종에서 병소 부위 만을 치료하는 경우 종양의 부피와 다발성 병소의 뇌실 침범 유무가 치료 성공의 열쇠이다. 20 cm3 이하, 단일 병소, 뇌실 침범이 없는 경우, 정상적인 종양지표, 등이 가장 이상적인 적응증이 될 수 있다. 다발성 병소에서 뇌실 침범이나 뇌실 병소가 있을 경우는 예방적 뇌 척수 조사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병소의 크기가 20 cm3 보다 클 경우, 다발성 병소인 경우, 종양지표의 증가가 있는 경우에는 확정적인 제안을 하기는 어렵지만 전 뇌실 조사 또는 부분방사선 조사가 시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경우가 선행 화학 요법과 함께 치료할 수 있는 대상이며,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treatment volume of patients treating with adiation therapy for intracranial germ cell tumor. Materials and Methods : From 1993 to 1998, 19 patients with intracranial germ cell tumors treated by gamma knife radiosurgery were analyzed. The location of tumor was as follows; 9 cases on pineal region, 1 case on suprasellar region, and 9 cases of multiple lesion. 7 patients were pathologically verified; 5 cases of germ cell tumor and 2 cases of non germinomatous germ cell tumor. Tumor volume was ranged from 2.4 cm3 to 74 cm3 . Irradiation dose was 10 Gy to 20 Gy with 50% isodose curve. Follow up period was 10 months to 54 months. Results : Recurrences were observed in 14 cases among 19 (74%) patients. Complete remission and partial remission were achieved in 2 (11%) and 10 (53%) respectively. No response was observed in 7 (36%). 2 cases were recurred within original tumor bed. 6 cases were recurred beyond but contiguous with tumor bed. Ventricular relapses separated from pretreatment tumor bed were 3. Spinal recurrences were 4. Among 8 recurred cases of which tumor volume is smaller than 20 cm3 , 2 were recurred within original tumor bed, 4 were recurred beyond but contiguous with tumor bed, and 1 spinal recurrence. Meanwhile, 6 cases of which tumor volume larger than 20 cm3 , 1 case was recurred beyond but contiguous with tumor bed, 2 ventricular recurrences separated with original tumor bed, and 3 spinal recurrences. 5 cases which did not show any recurrence sign showed characteristics of single lesion, tumor volume smaller than 20cm3 and normal tumor marker. All of 4 cases of spinal recurrences happened in the case having ventricular invasion or lesion. Among 9 cases having multiple lesion, only 3 cases recurred within original tumor bed or around tumor bed, the other 6 cases recurred separated from pretreatment tumor bed. Conclusion :Gamma knife radiosurgery is not recommended for the treatment of intracranial germ cell tumor. It is because of small treatment volume and inadequate radiation dose that are characteristics of gamma knife radiosurgery. Tumor volume, ventricular invasion or ventricular lesion in multiple lesion are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the wide field radiation therapy. Tumor volume smaller than 20 cm3 , single lesion, no ventricular lesion or invasion, and normal tumor marker are ideal indications for small involved field radiation therapy. Prophylactic spinal irradiation seems to be necessary whn there is ventricular lesion, ventricular invasion, and multiple lesions. When the tumor volume is larger than 20 cm3 , multiple lesions, abnormal tumor marker, and whole ventricular irradiation or partial brain irradiation would be possible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would be most beneficial in these group.

      • SCOPUSKCI등재

        감마 나이프 방사선 수술시 필름 선량 측정에 의한 조직 불균일성에 대한 연구

        조홍래(Heung Lae Cho),손승창(Seung Chang Sohn),서현숙(Hyun Su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Purpose : Since the mid cranial fossa is composed of various thickness of bone, the tissue inhomogeneity caused by bone would produce dose attenuation in cobalt-60 gamma knife irradiation. The correction factor for bone attenuation of cobalt-60 which is used for gamma knife source is -3.5%. More importantly, nearly all the radiosurgery treatment planning systems assume a treatment volume of unit density; any perturbation due to tissue inhomogeneity is neglec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bone attenuation in mid cranial fossa using gamma knife. Materials and Methods :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after Leksell stereotactic frame had been fixed to the Alderson Rando phantom (human phantom) skull area. Kodak X-omat V film was inserted into two sites of pituitary adenoma point and acoustic neurinoma point, and irradiated by gamma knife with 14mm and 18mm collimator. An automatic scanning densitometer with a 1mm aperture is used to measure the dose profile along the x and y axis. Results : Isodose curve constriction in mid cranial fossa is observed with various ranges. Pituitary tumor point is greater than acoustic neurinoma point (0.2-3.0 mm vs. 0.1-1.3 mm) and generally 14 mm collimator is greater than 18mm collimator (0.4-3.0 mm vs. 0.2-2.2 mm). Even though the isodose constriction is found, constriction of 50% isodose curve which is used for treatment reference line does not exceed 1 mm. This range is too small to influence the treatment planning and treatment results. Conclusion :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of gamma knife does not show significant error to be corrected without consideration of bone attenuation. 목 적 : 감마 나이프에 사용되고 있는 코발트-60의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는 -3.5%이다. 그러나 모든 방사선 수술 치료 계획 시스템은 치료 부위를 단위밀도 (unit density)로 가정하여 계산을 시행하므로 조직 불균일성에 대한 고려를 하지않고 있다. 중두개와 (mid cranial fossa) 부위는 여러 두께의 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마 나이프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시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변인 뇌하수체 종양 지점이나 청신경 초종 지점의 치료시 흡수되는 방사선량은 방사선 수술 계획 시스템에 의하여 계산한 값과 차이가 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변의 치료시 골에 의한 흡수 선량의 감소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Alderson Rando phantom (이하 인체 모형 판톰-human phantom-이라 명명)의 두개골 부위에 4개의 핀에 의해 Leksell stereotactoc frame을 고정시키고 뇌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뇌 단층 촬영 상에 뇌하수체 종양과 청신경 초종(acoustic neurimona)에 해당되는 각각의 지점을 정한 후 먼저 뇌하수체 지점에 인체 모형 판톰의 모양에 맞게 자른 코닥 X-omat V 필름을 사이에 넣고 인체 모형 판톰을 잘 고정한 후에 14 mm 조준기 (collimator)를 부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한 지점당 3회 반복 시행하였다. 18 mm 조준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시행하였다. 두 번째 지점인 청신경 초종 지점에 필름을 넣은 뒤 첫 번째와 동일한 방법으로 14 mm 조준기와 18 mm 조준기를 사용하여 각각 3회 반복 시행하였다. 동일한 실험 조건으로 균일한 밀도로 이루어진 16 cm 지름의 구형 폴리스티렌 판톰 내에 폴리스티렌 카세트에 맞는 필름을 삽입하여 14 mm, 18 mm 조준기 각각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 과정을 3회 반복 시행하였다. 이후 필름들을 현상하여 VXR-12 필름 광학 측정기를 이용하여 등선량 곡선을 얻는다. 여기서 얻어진 등선량 곡선 (isodose curve)을 기초로 하여 off axis ratio 곡선을 얻었다. 결 과 :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소에 대하여 감마 나이프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를 시행할 때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는 뇌하수체 종양 지점이 청신경 초종 지점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0.2-3.0mm vs. 0.1-1.3 mm) 조준기 크기에 따라 14 mm 조준기일 경우가 18 mm 조준기보다 더 많은 흡수 선량 감소 (0.4-3.0 mm vs. 0.2-2.2 mm)를 보였다 결 론 : 흡수 선량 감소가 실제 임상에서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 (1 mm)에서 일어남으로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를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조정해야 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제 3기 비소세포 폐암에서 유도 화학 요법의 효과

        조흥래(Heung Lae Cho),주영돈(Young Don Joo),손승창(Seung Chang Sohn),손창학(Chang Hak So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 적 :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에서 방사선치료 전 시행하는 유도화학요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부터 1995년 까지 본원에서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1명의 환자는 유도화학요법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59명의 환자는 방사선 단독으로 치료를 시행하였다. 항암제는 cispatin 에 기초한 약물로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Co-60 또는 6 MV 선형가속기로 하루 1.8 Gy 씩 50 Gy 내지 80Gy (중앙값, 64.8 Gy) 조사하였다. 두 군간에 반응율, 생존율, 실패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반응율은 유도화학요법 군에서 48%, 방사선 단독 군에서 44% 였다. 80명의 환자중 치료실패에 대한 평가가 46예에서 가능하였다. 유도화학요법 군에 대한 초기 실패 양상은 국소재발 8예 (67%), 원격전이 4예 (33%)가 있었다. 방사선 단독 군은 국소재발 24예 (71%), 원격전이 5예 (29%)가 있었다. 두 군간의 재발 유형에 있어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1년 및 2년 생존율은 유도화학요법 군에서 각각 43%, 14% 였고 방사선 단독군에서 31%, 7%였다 (p= 0.13). 결 론 : 제 3기 비소세포 폐암에서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의 병합요법이 방사선 단독 치료에 비해 생존율에 있어서 좀더 나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원격 전이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유도화학요법이 원격전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Internal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Korea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icacy of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in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Eighty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 - 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from 1989 to 1995 at Pusan Paik hospital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wenty - o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r adiation therapy and Fifty- ni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Chemotherapy regimen consisted of cisplatin - based combination (2 or 3 drugs). All patients were treated by Co- 60 or 6 MV linear accelerators. Radiation dose ranged from 50 Gy to 80 Gy (median, 64.8 Gy). We evaluated response rate, survival rate, and pattern of failure in both treatment groups. Results : Overall response rate in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and radiotherapy alone group were 48% and 45%, respectively. Of the 80 patients, 46 patients were evaluable for pattern of failure. Initial failure pattern in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was as follows: 8 (67%) at locoregional, 4 (33) in distant metastasis. Radiation alone group was 21 (71%) and 5 (29%), respectively.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of distant failure between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and radiation alone group. The 1 and 2 year survival rate in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were 43% and 14%, respectively and in radiotherapy alone group, 31% and 7%, respectiv ely (p=0.135). Conclusion : In stage Ⅲ non-small cell lung cancer,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showed increased tendency in survival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duction chemotherapy seems to have no effect of decreasing distant fa ilure and no survival advantage compared with radiotherapy alone.

      •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의 방사선 치료결과에 대한 고찰

        조흥래 인제대학교 1993 仁濟醫學 Vol.14 No.1

        유방암은 수술적 절제술 후의 국소재발율이 9%에서 24% 정도에 이르며 화학요법으로는 국소재발율을 낮출 수 없는 것으로 보고된다. 한편 국소재발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 대하여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경우 국소재발율을 낮추며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원에서 1983년부터 1990년까지 방사선치료를 받은 후 추적조사가 가능한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을, 국소재발을,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흉벽 방사선 치료를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간의 국소재발율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해봄으로써 방사선 치료를 함으로 국소재발율을 낮출 수 있는 고위험군을 알아 보는데 목표를 두었다. Between 1983 and 1989, thirty two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radation therapy at Inje university Pusan Paik hospital. There were 1 patient with stage I, 10 patients with stage II, 21 patients with stage III. the local control rate was 75% for the entire group. the local control rates for each stage were 80% for stage II, 71% for stage III. The 5 fear overall survival rate for the entire group was 50%. the 5 year survival rates for each stage IIA, IIB, IIIA and IIIB was 100%, 50%, 41% and 20% respectively. Prinary tumor size has been identified as a prognostic factor influencing survival. There was difference of survival and locoregional relapse rates between 3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number of positive axillary nod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Locoregional relapse rate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chest wall radiation therapy is lower than the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but failed to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high risk subgroup by the positive axillary nodes and primary tumor size but failed to find the high risk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ecause of small number of patient.

      • KCI등재

        프로야구 타자에서 발생한 비동시성 양측 내복사근 파열: 증례 보고

        Shin Heung Sub,Cho Hyung Lae,Jin Hong Ki,Jang Won Kyu 대한스포츠의학회 2023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41 No.4

        Abdominal oblique muscle injuries are relatively common in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and can result in substantial loss of playing time. It is usually caused by a sudden movement of the torso in sports involving repetitive activity requiring trunk rotation and it tend to occur on the contralateral side of the dominant arm. We report a unique case of sequentially occurred bilateral abdominal internal oblique muscle rupture in a right-handed professional baseball batter over two seasons. Each internal oblique rupture had a different mechanism of the injury, the non-dominant side occurred during bat swing and the dominant side during bent leg sliding. After rest and rehabilitation, each injury was recovered to play in about 1 month.

      • SCOPUSKCI등재

        감마 나이프 방사선 수술시 필름 선량 측정에 의한 조직 불균일성에 대한 연구

        조흥래,손승창,서현숙,Cho, Heung-Lae,Shon, Seung-Chang,Shu, Hyun-Su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적 : 감마 나이프에 사용되고 있는 코발트-60의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는 -3.5$\%$이다. 그러나 모든 방사선 수술 치료 계획 시스템은 치료 부위를 단위밀도 (unit density)로 가정하여 계산을 시행하므로 조직 불균일성에 대한 고려를 하지않고 있다. 중두개와 (mid cranial fossa) 부위는 여러 두께의 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마 나이프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시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변인 뇌하수체 종양 지점이나 청신경 초종 지점의 치료시 흡수되는 방사선량은 방사선 수술 계획 시스템에 의하여 계산한 값과 차이가 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변의 치료시 골에 의한 흡수 선량의 감소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Alderson Rando phantom (이하 인체 모형 판톰-human phantom-이라 명명)의 두개골 부위에 4개의 핀에 의해 Leksell stereotactoc frame을 고정시키고 뇌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뇌 단층 촬영 상에 뇌하수체 종양과 청신경 초종(acoustic neurimona)에 해당되는 각각의 지점을 정한 후 먼저 뇌하수체 지점에 인체 모형 판톰의 모양에 맞게 자른 코닥 X-omat V 필름을 사이에 넣고 인체 모형 판톰을 잘 고정한 후에 14 mm 조준기 (collimator)를 부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한 지점당 3회 반복 시행하였다. 18 mm 조준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시행하였다. 두 번째 지점인 청신경 초종 지점에 필름을 넣은 뒤 첫 번째와 동일한 방법으로 14 mm 조준기와 18 mm 조준기를 사용하여 각각 3회 반복 시행하였다. 동일한 실험 조건으로 균일한 밀도로 이루어진 16 cm 지름의 구형 폴리스티렌 판톰 내에 폴리스티렌 카세트에 맞는 필름을 삽입하여 14 mm, 18 mm 조준기 각각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 과정을 3회 반복 시행하였다. 이후 필름들을 현상하여 VXR-12 필름 광학 측정기를 이용하여 등선량 곡선을 얻는다. 여기서 얻어진 등선량 곡선 (isodose curve)을 기초로 하여 off axis ratio 곡선을 얻었다. 결과 :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소에 대하여 감마 나이프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를 시행할 때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는 뇌하수체 종양 지점이 청신경 초종 지점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0.2-3.0 mm vs. 0.1-1.3 mm) 조준기 크기에 따라 14 mm 조준기일 경우가 18 mm 조준기보다 더 많은 흡수 선량 감소 (0.4-3.0 mm vs. 0.2-2.2 mm)를 보였다. 결론 : 흡수 전량 감소가 실제 임상에서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 (1 mm)에서 일어남으로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를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조정해야 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Since the mid cranial fossa is composed of various thickness of bone, the tissue inhomogeneity caused by bone would produce dose attenuation in cobalt-60 gamma knife irradiation. The correction factor for bone attenuation of cobalt-60 which is used for gamma knife source is -3.5$\%$. More importantly, nearly all the radiosurgery treatment planning systems assume a treatment volume of unit density: any perturbation due to tissue inhomogeneity is neglec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bone attenuation in mid cranial fossa using gamma knife. Materials and Methods :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after Leksell stereotactic frame had been liked to the Alderson Rando Phantom (human phantom) skull area. Kodak X-omat V film was inserted into two sites of pituitary adenoma point and acoustic neurinoma point, and irradiated by gamma knife with 14mm and 18mm collimator. An automatic scanning densitometer with a 1mm aperture is used to measure the dose profile along the x and y axis. Results : Isodose curve constriction in mid cranial fossa is observed with various ranges. Pituitary tumor point is greater than acoustic neurinoma point (0.2-3.0 mm vs 0.1-1.3 mm) and generally 14 mm collimator is greater than 18mm collimator (0.4-3.0 mm vs. 0.2-2.2 mm) Even though the isodose constriction is found, constriction of 50$\%$ isodose curve which is used for treatment reference line does not exceed 1 mm. This range is too small to influence the treatment planning and treatment results. Conclusion :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of gamma knife does not show significant error to be corrected without consideration of bone attenuation.

      • SCOPUSKCI등재

        The Efficacy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ituitary Adenoma

        조흥래,양광모,손승창,서현숙,Cho Heung Lae,Yang Kwang Mo,Shon Seung Chang,Suh Hyung Su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1984년 부터 1989년까지 뇌하수체 선종환자 22명이 수술 및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11개월에서 98개월간에 걸친 추적관찰 기간동안 22명중 18명($81.8\%$)의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 호르몬 감소, 또는 종양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시력감소를 보였던 환자 11명중 10명($91\%$)이 시력회복을 보였고 시야결손을 보인 12명의 환자에서 11명($92\%$)의 시야가 회복 또는 정상화 되었다. 이상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술후 뇌하수체선종에 의한 증상 및 징후의 조절에 방사선치료가 유효하다. (2) 거대선종에 있어서 터어키안 위로 2 cm 이상인것과 2 cm 이하인 것의 치료효과에 있어서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Between 1984 and 1989, 22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The tumor was controlled in 18 of 22 ($81.8\%$) patients for an observed period of II to 98 months. Eleven of 12 ($92\%$)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 experienced normalization or improvement, and 3 of 5 evaluabl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achieved normalization in one and decrement in two patients. We concluded that: (a)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clearly effective in the controlling of clinical symptoms and signs resulting from pituitary adenoma: (b) In the macroadenoma, the difference of control rate between suprasellar, <2 cm. and suprasellar,> 2 cm. was not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