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식물의 종자성숙기에 관한 고찰 (Ⅱ) : 목본식물을 중심으로 Determination of the best dates for seed collections of woody plants

        張珍成,金輝,李善姬 서울대학교 수목원 2001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1

        The seeds of 163 taxa at front the diverse wild population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by our staffs of the Arboretum for six years (1995-2000). More then 138 taxa (ca, 85%) were collected mainly from September to October. Successful long-terml survey is recommended to determine the befit dates for seed collections of woody plants in Korea.

      • 강원도 고성군 및 인제군에 소재한 神仙峯과 隣近 山地의 植物相

        張桂羨,張珍成,金輝,姜佑昌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2003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3

        인제·속초(01-05) 소권역중 대표단위인 신선봉 지역을 중심으로 2002년 5월부터 9월까지 6회에 걸쳐 채집, 조사하였다. 신선봉과 인근 마산, 780고지에서 채집된 식물은 모두 62과 151속 231분류군이었다. 본 조사 지역에서 확인된 특정식물종 5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4등급 7분류군, 3등급 9분류군, 2등급 9분류군, 1등급 14분류군으로 모두 39개 분류군의 특정식물종이 확인되었다. 특히 조사 소권역중 대표단위인 신선봉의 경우 총 36개 분류군의 특정식물종이 관찰되었다. 확인된 특정식물종을 등급별로 나누어 등급별 종수와 등급별 평가점수를 곱하여 합산한 산지별 평가점수는 소권역 전체의 총점이 174점이었고 신선봉이 16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마산 24점, 780고지 6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권역에서 발견된 특정식물종 중 4등급에 해당하는 눈측백나무, 등대시호, 회리바람꽃, 앉은부채, 꽃개회나무 등은 신선봉 지역에서 발견된 종들로 대부분 인적이 드문 곳에 위치하여 인위적 및 자연적인 위협 용인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Sin-sun-bong (alt. 1,204m) and adjacent regions located on the northern side of Seol-at National Park, in province Gangwon-do, from April to September, 2002.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nlist vascular plant species of Mt. sin-sun-bong, Ma-san (alt.1,252m) and 780 peak (alt. 780m) and to inventory rare and endangered plants. During the exploration, we found 62 families, 151 genera, and 231 taxa (including species, subspecies, varieties and forma). The flora of Mt. Sin-sun-bong included thirty-nine taxa as the endangered species. Each sites were scored by the standard points, and these were estimated by the multiplication the number of taxa as their grade. It was shown that the evaluation points of Mt. Sin-sun-bong had the highest score, 160 points, following by Ma-san (24 points) and 780 peak (6 points). Five species (Thuja koraiensis Nakai, Anemone reflexa Steph. et Willd.,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Symplocarpus renufolius Schott, Syringa wolfii C.K. Schneid.), of the 4th level of conservation priority. However, it seems to be no apparent artificial and natural threat at hand.

      • KCI등재

        Changes in Renal Function after Different Tandem Hematopoietic Stem-cell Transplantation Approaches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Kang, Seok Hui,Hwang, Hyeon Seok,Park, Hoon Suk,Sun, In O,Choi, Sun Ryoung,Chung, Byung Ha,Choi, Bum Soon,Yang, Chul Woo,Kim, Yong Soo,Min, Chang Ki,Park, Cheol Whee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2011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6 No.10

        <P>This study was done to observe the alteration of th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in multiple myeloma patients according to type of tandem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Forty-on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wenty patients underwent autologous HSCT (auto-HSCT) and 21 patients underwent allogeneic HSCT (allo-HSCT). The changes in eGFR after the two tandem HSCT modaliti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onor of stem cells (<I>P</I> = 0.016). In the auto-HSCT group, the eGFR, recorded 12 months after secondary HSC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eGFR recorded before stem cell mobilization (<I>P</I> = 0.00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rend showed that the eGFR after allo-HSCT decreased from the previous HSCT until a month after secondary HSCT. In addition, after 6 months of secondary HSCT, the eGFR recovered to the level recorded prior to the HSCT (<I>P</I> = 0.062). This difference may be due to total body irradiation, a calcineurin inhibitor, or maintemance therapy. Changes in renal function would be monitored closely for these patients. The recovery of the eGFR would be a main focus for the patients treated with the total body irradiation or the calcineurin inhibitor, a progressive decline of the eGFR would be also crucial for the patients treated with maintenance therapy.</P>

      • KCI등재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에서의 신선편이 농산물 사용실태 및 요구도 평가

        손시혜(Shih-Hui Sun),김주희(Ju-Hee Kim),김수진(Su-Jin Kim),박혜영(Hye-Young Park),김기창(Gi-Chang Kim),김행란(Haeng-Ran Kim),윤기선(Ki-Sun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6

        본 연구는 전 지역의 학교급식 영양사와 외식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에서의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사용실태와 농산물 이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요구도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업종형태에서는 학교급식이 181명(29.8%)이었고, 외식산업은 64명(26.1%)이었다. 학교급식의 운영형태는 148개교(81.8%)가 직영급식으로, 33개교(18.2%)가 위탁급식으로 운영되었으며, 외식업체는 프랜차이즈 레스토랑(45.3%)이 가장 많았다. 식재료 공급업체 선정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 모두에서 식재료의 품질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2순위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학교급식의 경우 공급업체의 위생시설(HACCP인증 여부)이 외식산업의 경우 식재료의 가격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에서의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구매 시 어려운 점으로는 식재료의 품질 및 신선도 저하가, 검수 시 어려운 점으로는 식재료의 품질여부를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움이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사용에 있어서는 식재료의 품질에 가장 큰 비중을 두었다. 또한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조리시 가장 큰 문제점은 학교급식에서는 재세척의 필요성이, 외식업체에서는 일정하지 않은 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운영형태에 따른 계약기간으로 직영에서는 1개월이 39.2%로 가장 많은 반면 위탁에서는 1년 이상이 81.8%로 가장 많아 운영형태에 따른 계약기간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사용 확대 가능성에 대해 급식 및 외식에서 각각 44.4%와 58.1%가 앞으로 계속 사용이 증가할 것이며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크기 규격화도 과반수 이상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위생 상태에 대한 불신으로 학교급식의 96.0%, 외식산업의 78.3%가 개봉 후 다시 세척을 하고 있었으며 위생 상태에 대한 불신이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주로 이용하고 있는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형태에서는 학교급식과 외식산업 모두 일반농산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를 사용하는 주된 용도로는 학교급식과 외식업체 모두 볶음과 무침으로 나타났다. 전처리 식재료의 유통기간 연장을 위해 저온 유통과 포장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졌으며 또한 향후 식재료의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학교급식 및 외식업체 모두 포장 개봉 후 갈변 예방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한편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처리단계 요구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학교급식의 경우 엽채류는 흙먼지제거 단계(36.4%)까지, 외식산업의 경우 다듬기 단계(36.8%)까지 원하였고, 나물류는 학교급식의 경우 40.4%가 데치기 단계까지 원한 반면, 외식업체의 경우 33.3%가 다듬기 단계까지를 원해 업종 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학교급식과 외식업체에서는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 사용에 대한 요구도는 크지만 공급업체에 대한 불신, 식재료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사용률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정부는 대다수의 식재료 공급업체가 중소기업으로 자체적으로 고품질의 안전한 식재료를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매우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안전한 식재료를 생산하기 위한 시설 및 공정별 HACCP 모델 개발 등과 같은 연구지원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표준화된 식재료가 생산될 수 있도록 전처리 농산물 식재료의 표준규격 및 기준을 제정하고 안전한 식재료 생산을 위한 공정개선 및 소독제의 효과, 유통기한연장, 품질보존 등 다양한 연구가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and and use of fresh-cut produce in school foodservice and restaurant industries. The subjects of this survey study were 200 school nutritionists and 70 cooks or managers in the restaurant industry nationwide.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administered or e-mail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window (ver. 12.0) program including frequency, χ²-test and t-test. Survey questions assessed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respondents, and the supply, use, and demand of fresh-cut produce in school foodservice and restaurant industries. Over 74% of the subjects have used fresh-cut produce. Most of the school foodservice (84.0%) kept fresh-cut produce for one day, while restaurant industry (28.3%) kept them up to three days. The nutritionists of school foodservice and managers of restaurant industry considered origin and date of produc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spectively, when fresh-cut produce were being used. Fresh-cut root vegetable, such as potato and carrot was used mostly. The main reason not to use the fresh cut produce was due to the distrust of the fresh-cut produce safety in school foodservice and cost in restaurant industry. The main problem in fresh-cut produce use was the need of rewashing (29.9%) in school foodservice and irregular size (39.0%) in restaurant indust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standard and size specification must be prepared with production guideline of safe fresh-cut produce.

      • SCOPUSKCI등재

        냉장 저장 중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특성 변화

        손시혜(Shih-Hui Sun),김수진(Su-Jin Kim),김기창(Gi-Chang Kim),김행란(Haeng-Ran Kim),윤기선(Ki-Sun Yoo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는 신선편이 농산물에서 사용 요구도가 높은 식재료인근채류(감자, 고구마, 당근, 무)와 과채류(호박, 오이, 피망)을 선택하여 절단된 형태와 유통되는 온도에 따라 품질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냉장저장 중 신선편이 농산물의 수분함량은 10℃에 저장한 세척 절단된 오이, 호박에서만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한(p<0.05) 반면 4℃에 저장한 경우 모든 품목에서 저장기간 동안 수분을 보유할 수 있었다. 갈변에 민감한 세척 절단된 감자와 고구마는 두 온도에서 모두 L값(명도)이 감소하였지만 4℃에 저장한 경우 보다 더 완만하게 감소하여 갈변 발생이 늦어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백화현상으로 인하여 쉽게 품질이 변할 수 있는 세척 절단된 당근의 경우 10℃에서만 백화지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4℃에 저장함으로써 품질을 최대 3일까지 더 유지할 수 있었다. 절단 형태에 따른 경도 변화에서는 사각썰기 형태의 경우 호박에서, 채썰기 형태는 고구마에서 경도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나 품목의 특성에 따라 경도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고, 4℃에 저장할 경우 경도의 감소폭이 완만하고 변화율이 적어 저장기간 동안 조직감이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세척 절단된 감자와 고구마는 두 온도에서 PPO 활성도가 증가하여 갈변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키진 못했지만 저온인 4℃에 저장함으로써 10℃ 보다 낮은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갈변 발생을 최대 2일까지 연장시킬 수 있었다. 신선편이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세척 절단된 오이만 다른 품목에 비해 균수가 낮고 저장 후기까지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6가지 품목(감자, 고구마, 당근, 무, 호박, 피망)은 모두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미생물의 증가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 온도가 미생물 증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세척 절단된 피망은 다른 품목에 비해 초기 오염농도가 높았고, 세척 절단된 고구마는 오이와는 다르게 미생물의 성장률이 가장 빠르므로 세척 절단된 고구마와 피망은 저장 시 다른 품목보다 특히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은 농산물의 품목에 따라 다르고 유통 및 저장하는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각각의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목에 맞는 온도관리를 통해 품질을 더 오래 유지시킬 수 있는 온도에 보관함으로써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We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roduce (potato, sweet potato, carrot, radish, zucchini, cucumber, and green bell pepper) washed with sodium hypochlorite, which were vacuum packaged, and stored at 4 and 10℃. The L-values of the fresh-cut potato and sweet potato decreased during storage. Lower PPO activities of potato and sweet potato were observed at 4℃ than those at 10℃ and development of potato and sweet potato browning was delayed at 4℃. Total aerobic count and coliform increased continuously at 10℃ during storage. Diced zucchini and shredded sweet potato had the greatest reduction in hardness among the fresh-cut produce during storage. Differences in the rate of quality change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kinds and cut types of produce. Thus, a quality maintenance period for each type of fresh-cut produce must be determined, which will lead to the safe use of fresh cut produce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 일차종발생자료를 이용한 상록활엽수의 분포와 다양성 -식물표본자료를 중심으로-

        장계선 ( Kae Sun Chang ),장진성 ( Chin Sung Chang ),김휘 ( Hui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표본자료를 이용하여 남한지역에 분포하는 상록성의 활엽수종의 분포특성과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Brahms DB를 이용하여 산림청 국가생물종연구 지식정보시스템에 기록된 표본자료와 과거 1945년 이전 종발생자료를 통합하였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에 수집 상록성활용수 64종 중 관속식물 데이터중 좌표가 부여 되있거나 지리참조 연산을 통하여 좌표를 부여할 수 있는 종발생자료의 총량은 16,678건이었다. 전체 종의 풍부도는 각각 58종과 56종이 확인된 제주도 남부 서귀포지역과 북부 제주시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상록수중중 종구성에 있어 가장 많은 수종이 확인된 과는 녹나무과 였으며 다음으로는 참나무과 차나무과등이 확인되었다. 종발생자료(표본)의 양으로는 차나무과가 가장 많이 확인되고 녹나무과 차나무과 순으로 나타났다. 종의 풍부도 혹은 다양도의 분석결과 제주도와 남해안의 기존 난대림 지역이 이들 종분포의 hotspot지역으로 학인되었고 특히 주요한 기온 분포와 다양도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We analysed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evergreen broad-leaved woody species in Korea from herbarium data. Brahms database was used to create primary species occurrence data, which was combined with online database (http://www.nature.go.kr) and historic herbarium collections before 1945. Southern (56 species) and northern (54 species) mesh of Jeju island, exhibited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index for evergreen broad-leaved woody species. Dominant families were Lauraceae, Fagaceae, and Theaceae in order of dominance, however, Dominant collection richness were Theaceae, Lauraceae, and Fagaceae in the orde of richness. Jeju island and sourth shores were hotspot for th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were highly correlate with temperature factors in bioclim data.

      • KCI등재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Oral Intestinal Sorbent AST-120 on Renal Function Deteriora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Renal Dysfunction

        Cha, Ran-hui,Kang, Shin Wook,Park, Cheol Whee,Cha, Dae Ryong,Na, Ki Young,Kim, Sung Gyun,Yoon, Sun Ae,Han, Sang Youb,Chang, Jae Hyun,Park, Sue K.,Lim, Chun Soo,Kim, Yon Su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2016 CLINICAL JOURNAL-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Vol.11 No.4

        <P>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notion that oral intestinal sorbent AST-120 slows renal disease progression has not been evaluated thorough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ong-term effect of AST-120 on renal disease progression (doubling of serum creatinine, eGFR decrease >50%, or initiation of RRT) in patients with advanced CKD. Design, setting, participants, & measurements We prospectively recruited 579 patients (CKD stage 3 or 4) from 11 medical centers in Korea from March 4, 2009 to August 31, 2010 and randomized them into an AST-120 arm and a control arm. Patients in the AST-120 arm were given 6 g AST-120 in three divided doses per day, and those in the control arm received only standard conventional treatment (open-label design) for 36 months or until the occurrence of primary outcomes. Results Levels of serum and urine indoxyl sulfate and beta 2-microglobulin decreased throughout the study period in both treatment arms;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 in uremic toxins in the AST-120 and control arms. The two arms were not different in the occurrence of composite primary outcomes (100 events in 272 individuals in the AST-120 arm and 100 events in 266 individuals in the control arm; hazard ratio, 1.12; 95% confidence interval, 0.85 to 1.48; log-rank P=0.45). The decline in eGFR and change in proteinuria were similar in the two treatment arms over time (Prandomization-time=0.64 and Prandomization-time=0.16,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tality (nine deaths in the AST-120 arm and 11 deaths in the control arm; log-rank P=0.73) or unplanned hospitalizations (102 in the AST-120 arm and 109 in the control arm; log-rank P=0.76) in the two treatment arm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core between the two arms. Conclusions Long-term use of AST-120 added to standard treatment did not change renal disease progression, proteinuria, mortal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vanced renal dysfunction.</P>

      • SCOPUSKCI등재

        Hyperuricemia is a risk factor for the progression to end-stage renal disease in minimal change disease

        ( Su Hyun Song ),( Tae Ryom Oh ),( Hong Sang Choi ),( Chang Seong Kim ),( Dong Ryeol Ryu ),( Sung Gyun Kim ),( Sun-hee Park ),( Seong Kwon Ma ),( Soo Wan Kim ),( Eun Hui Bae ) 대한신장학회 202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40 No.3

        Background: Minimal change disease (MCD)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nephrotic syndrome worldwide. Hyperuricemia increases the end-stage renal disease (ESRD) risk in glomerulonephriti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igh serum uric acid levels on the progression to ESRD in MCD. Methods: A total of 800 patients diagnosed with MCD by kidney biopsy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We determined the relation-ship of hyperuricemia with the progression to ESRD in MC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The primary outcome was defined as the initiation of dialysis or kidney transplantation. Results: A total of 42 patients (5.3%) progressed to ESRD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 the restricted cubic spline curve, serum uric acid levels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SRD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MCD. In the fully adjusted model, the risk of MCD progression increased by 29% for every 1 mg/dL increase in the baseline serum uric acid level (hazard ratio [HR], 1.29; 95% confi-dence interval [CI], 1.09-1.54; p = 0.004). Falling into the high uric acid group (serum uric acid level > 7 mg/dL in men and > 6 mg/ dL in women) was also a risk factor for progression of MCD to ESRD (HR, 3.40; 95% CI, 1.59-7.31; p < 0.001).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hyperuricemia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the progression to ESRD in patients with MC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