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의 수목원조성의 특징

        禹保命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1985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6

        國內樹木園造成計劃時에 必要한 귀중한 참고 자료를 구득하고자 日本의 주요한 植物園 및 樹木園을 探訪하고 수집된 資料를 整理하여 그 主要 特徵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樹木園이나 植物園을 造成하고자 計劃할 때에는 무엇보다도 먼저 그 樹木園이나 植物園의 造成基本目的을 분명히 설정해야 된다. 예컨대, 敎育에 있는지, 硏究에 있는지, 敎育·硏究에 있는지, 또는 敎育·硏究·振興(普及)에 있는지를 분명히 하고 기본방침을 수립해야 된다. 一般的으로 大學의 樹木園은 그 조성목적이 敎育·硏究를 강조하고, 林業試驗場의 樹木園은 硏究材料의 活用面을 강조하며, 또 國立科學博物館의 植物園은 硏究와 普及을 강조하고 있다. 2. 國內의 樹木園中에서 서울大學校附屬樹木園만이 保有하고 있는 特徵이 있도록 造成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區域面積뿐만 아니라 造成植栽面積이나 植栽種 및 本數에 있어서도 最大가 되도록 造成한다거나, 「멘델의 포도」와 「뉴톤의 사과」와 같은 유서깊은 樹木이 植栽保存되어야 한다. 3. 樹木園에는 硏究職員이 확보되어 樹木園에 關한 平生硏究가 수행되고, 그러므로서 「精子를 發見한 은행나무」와 같은 연구업적이 나오도록 해야 될 것이다. 4. 樹木園造成地域에서 生育할 수 없는 植物을 키우기 위한 충분한 크기의 溫室施設이 설치되어야 한다. 5. 植物園이나 樹木園의 入園은 반드시 「關係者外有料」制度를 채택하여 樹木園의 귀중함을 인식시키도록 해야 된다.

      • Seasonal Variation in Major Soil Nutrients and Microorganisms at the Plantations of Pinus koraiensis S. et Z. Following Clearcut of Quercus mongolica Fisch

        Park,Hyun,Lee,Don Koo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1991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11

        本 硏究는 京畿道 廣州郡 都尺面 祥林里, 泰樺山에 所在한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附屬 演習林에서, 30年生 신갈나무林과 신갈나무林을 皆伐한 後 植栽한 8年, 18年, 28年生 잣나무 林分을 對象으로, 森林土壤의 主要 養料 및 微生物의 季節的 變異 및 林分間의 變異를 알아보고자 遂行하였으며 그 硏究 結果는 다음과 같다. 土壤의 變異를 나타낸 因子는 全窒素 含量, 炭素含量, 土壤酸度, 有效燐酸 含量, 溶解性 鹽基, 水分 含量 및 암모늄태 窒素 등이었다. 窒素 含量과 有效 燐酸 含量과 암모늄태 窒素 및 溶解性 鹽基, 炭素의 含量은 皆伐에 따라 그 含量이 줄게 되지만, 林分의 生長과 더불어 증가하게 된다. 炭素 및 窒素의 無機化에 관여하는 微生物 數는 皆伐에 의해 影響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신갈나무林의 皆伐후 造成된 잣나무林에서 炭素 및 窒素 含量이 變化를 일으켰지만, 실제로 森林土壤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影響은 매우 심각한 問題는 아니라고 判壇된다. Seasonal variation of the soil microorganisms involved in carb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and major soil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investigated in a 30-year-old Quercus mongolica Fisch. stand and in 8-, 18-and 28-year-old Pinus koraiensis S. et Z. plantations following clearcut of Quercus mongolica Fisch.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ests placed along Mt. Taewha located in Sanglim-lee, Docheok-myon, Kwangju-gun, Kyonggido, Korea. Seasonal variation in soil physicochemical conditions was greatly fluctuated at 8-year-old Pinus koraiensis plantation than at other stands due to clearcutting. The factors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ose stands were contents of total N, C, P, soluble salts, moisture and ammoniun N, and pH.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us gradually decreased after clearcutting, but were recovered after about 20 years. Contents of moisture, ammonium N, soluble salts and total carbon were reduced by the clearcut, but the maturation of the stand improved soil conditions at all of the stands. The populations of soil microorganisms involved in carb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the clearcut. Thus, the establishment of P. koraiensis plantation following clearcut of Q. mongolica changed total nitrogen and carbon contents, but did not disturb greatly the forest soil condition.

      •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in Korea

        Lee, Tchang Bok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1983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4

        우리나라의 管束植物에 대하여 發表한 原記載文獻과 명국표본관에서 所藏하고 있는 基準標本을 調査하여 筆者는 우리나라의 特産管束植物이 다음 表와 같이 407 種類로서 61科, 172屬, 339種, 46變種 및 22品種임을 밝혔다. 우리나라 特産植物의 種類數 =============================================================================== Class Family Genus Species Varietas Forma Filicineae 4 5 11 ― ― Gymnospermae 3 5 3 6 7 Angiospermae 54 142 325 40 15 Monocotyledoneae 8 4 45 7 ― Dicotyledoneae 46 138 280 33 15 ------------------------------------------------------------------------------- Total 61 172 339 46 22 ------------------------------------------------------------------------------- Number of Endemic Taxa in Korea 위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特産羊齒植物 11種은 5種씩이 우리나라와 북한에 分布하고 1種은 남에서 북쪽까지 자라고 있다. 特産裸子植物은 16種類中에서 11종류가 우리의 領域에서 자라고 特産單子葉植物은 33종류가 우리가 갈 수 있는 곳에서 자라고 16종류가 북한에 한정되었으며, 3종류가 남북에 걸쳐서 자라고 있다. 特産雙子葉植物은 175종류가 우리의 손이 미칠만한 곳에서 자라고 81종류가 북한에 한정되었으며 72종류가 남북한에 걸쳐서 자란다. 以上 特産植物全般에 걸쳐서 볼 때 407종류의 特産植物中 224종류가 大韓民國領內에서 자라고 107종류가 北韓에 한정되었으며, 76종류가 남에서 북쪽까지 자람으로 우리나라에는 300종류의 특산 관속식물이 있음을 밝혔다. 특산식물은 남쪽 한라산에서 북쪽으로 白頭山까지 分布되어 있는데 特産植物이 알려진 地域中에서 75종류가 자라는 한라산이 제일 많고 다음은 지리산(46), 백두산(42), 울릉도(36), 금강산(34), 설악산(23), 서울(22), 백양산(16), 광능(16), 낭림산(16), 槐山郡의 君子山(14), 속리산(14), 赴戰高原(12), 冠帽峯(12), 白雲山(12), 等의 順으로 많다. 現植生上으로 볼 때 以上 地域에 나타난 數字는 다소 애매한 점이 있으나 그러나 지난 100年間에 걸쳐서 많은 分類學者와 植物鬼集家들이 이와같이 蒐集한 것만은 確實하다. 例컨대 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는 처음 北漢山에서 수집되었으나 只今은 찾아보기 힘이 든다. 그러나 近者 서울 남쪽에 있는 冠岳山頂 신갈나무와 雜木이 자라는 숲속에서 살아남은 몇 그루가 발견되었다. 서울 近郊에서 자라던 서울제비꽃(Violaseoulensis)과 분취(Saussurea seoulensis) 등도 生育地의 喪失로서 마찬가지 하나 하나 사라져 가고 있다. 筆者는 滅種危機에 처한 망개나무(Berchemia berchemiaefolia)와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의 復元例를 提示하여 特産植物保護는 植物分類學者와 全 國民의 協助로서 비로소 所期의 目的을 達成할 수 있음을 示唆 하였다. 우리 特産植物의 效率的인 保護指針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고저 한 植物分類學者로서 오랜 經驗에 따라 文獻의 所在와 生育場所를 明示한 特産植物 407종류에 대한 目錄을 밝혔다. With a general review of original descriptions and results of studies on type specimens of Korean material the author concluded that 407 taxa which belong to 61 families 172 genera, 339 species, 46 varieties, 22 forms are endemic to Korea as presented below. =============================================================================== Class Family Gedus Species Varietas orma Fillcineae 4 5 11 ― ― Gymnospermae 3 5 3 6 7 Anglospermae 54 162 325 40 15 Monocotyledoneae 8 24 45 7 ― Dicotyledoneae 46 138 280 33 15 ------------------------------------------------------------------------------- Total 61 172 339 46 22 ------------------------------------------------------------------------------- Of the endemic ferns 5 taxa each are growing in the south and north Korea with one species in common. Eleven in 16 endemic gymnospern taxa are growing within our present territory while 33 endemic monocots are distributed in the south and 16 in the north with 3 taxa in common. Of the endemic dicots. 175 taxa are limied to our territory and 81 to the north while 72 taxa are in common. As a conclusion 224 in 407 of total endemic vascular plants are grow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107 in the north with 76 taxa in common. Endemic taxa are distributed from Quelpart Island to Mt. Baegdu, among these localities where endemic members are found Mt, Halla has 75 endemic taxa followed in order by Mt, Jiri (46), Mt. Baegdu (42), Dagelet Island (36), Mt. Diamond (34), Mt. Seorag (23), Seoul (22), Mt. Baegyang (16), Gwangnung (16), Mt. Nangrim (16) Mt. Gunja of Goesan (14), Mt. Sogni (14), Bujeon plateau (12), Mt. Gwanmo (12) and Mt. Baeg-un(12). These numbers of endemic taxa for given localities are very doutful at present but it is true that these numbers of endemics were collected from these areas ascribed during the last century by various taxonomists and plant collectors. For example, Forsythia saxatilis was at first collected from Mt. Bughan, Seoul but it is not found now. Recently it was found at the summit of Mt. Kwanak, in the southern suburbs of Seoul, where several plants are survived under a bush of Quercus mongolica etc. The same in true of Viola seoulensis and Saussurea seoulensis are disappearing gradulally from the Seoul area because of the destruction of their habitats. The author presented examples of the threat posed to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the successful reintrodution of the genus Abeliophyllum to its original habitat, success of which can attained by joint efforts of taxonomists and the whole people of Korea. As a taxonomist he presented herein a list of presently known endemic plants together with their original references and localities based on his long experience in studying the Korean flora, which will serve as a tool for the effective protection of all Korean endemics.

      • A Revision of the Scrophulariaceae in Korea

        Yamazaki, Takasi,Lee, Tchang Bok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1983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4

        日本 東京大學, 京都大學 및 自然史傳物館 그리고 韓國 서울大學校 農科大學附屬 冠岳樹木園에 所藏된 植物標本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玄蔘料植物에 대하여 分類學的으로 硏究한 結果를 다음과 같이 要約 하였다. 개종용속(Lathraea)은 그 外觀上의 類似性으로 인하여 列當科로 취급한 傾向이 많았으나 本屬植物은 2실 자방으로 되었고 名室에 2개씩의 胚珠가 들어있음으로 玄蔘科에 넣은 것이 타당하다고 지적하였다. 꼬리풀속(Veronica)을 Veronica, Pseudolysimachion 및 Veronicastrum등 3속으로 分離하는 타당성을 재강조 하였고 외풀속(Vandelia)은 밭뚝외풀속(Lindernia)으로 통함시켰고, 변종이상의 분류군에 대한 檢索表를 만들어서 識別의 據點을 提示함과 동시에 分類群에 대한 文獻의 所在를 밝혔다. 分類學的인 所見은 全的으로 山崎가 硏究한 結果에 依하였다.

      • 樹木園 所藕標本을 中心으로 한 國內 木本 植物의 分布地에 대해서 (XIII)

        장계선,장진성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2008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6

        Herbarium specimens provide permanent records for a species at a particular time and place and form the basis of reliable distribution maps for plant taxa. Also, the distribution map is used plant taxonomy as well as ecology, forestry, agriculture, and paleobotany. We selected 329 maps of woody plants of Korea using the deposited specimens at the T. B. Lee herbarium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A). Takhtajan propose two provinces (Manchurian and Japanese_Korean) for the Korean peninsula, but based on this current study in terms of woody flora, three provinces seems to be more reasonable classification: Amur Province (= Manchurian provinces, sensu Takhtajan), North Chinese Province, and Korean - Japanese Province (including Central Chinese Province). Among the total flora, Amur Province is ca. 25 to 30%, while Korean - Japanese Province is over 35 to 40%. Also, North Chinese Province is only 10%. Endemic taxa is less than 5% and widely distributed taxa in eastern Asia is ca. 10%. This current study is an on-going project and will be revised based on more specimens deposited at other herbaria in Korea. 식물 건조 표본은 분류, 생태, 임학 및 여러 과학 분야의 기초적 필수적 자료로서 특히 이를 이용한 분포도 작성은 분퓨학은 물론 식물 시회학 및 기타 임학과 농학, 고생물학 등의 분야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樹友표본관(SNUA)에 소장된 표본을 중심으로 한반도에 자생하는 목본식물 67과 167속 359분류군에 대한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Takhtajan의 분류에 의하면 한반도를 만주구계와 한일구계로 양분하였지만 현재 본 연구에 의하면 3개의 구계로 나누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다: 아무르구계(=만주구계), 한일구계 (중국 중부구계 일부 포함), 중국 북부구계. 현 연구의 목본 분포도를 근간으로 대략적인 분석을 시도해 보았는데, 만주구계는 약 25-30%, 한일구계 약 35-40%, 중국 북부구계 약 10%를 차지하며 고유종의 경우는 약 5%, 전국적으로 분포하면서 동북아시아에 넓게 분포하는 종 구성은 약 10%가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계속 진행되는 연구로서 추후 타 대학이나 기관의 소장된 표본을 추가하여 지속적인 보완을 시도하고자 한다.

      • 서울대학교 수목원 전략 계획 보고서 (2008-2012)

        장계선,장진성,고길석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2008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6

        The Arboretum was founded In 1967, and the mission and first strategy plans for five years were made In 2000 to cover all aspects of the scientific, conservation and education value of the living plant collections worldwide. However the first strategy plans have limitations such as the poor budget and man power. Therefore, we set up the second strategy plans for 2008-2012. Recommendations regarding this second plan was results of planning by Arboretum staff, dean, officers and professors of university of Agriculture Life Sciences, and the parties of local governments as province Gyeonggi-do and Suwon city. Seven areas of focus over the next five years were identified for the Arboretum with specific targets, strategies. and action steps within each focus areas. Each components of the plan were made in order to enable us to keep carrying out the vision and mission of The Arboretum.

      • 서울대학교 수원수목원 부속임지(88-11번지) 수목조사

        장계선,장진성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2010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7

        Under the cooperation of Suwon city, our arboretum team completed a comprehensive inventory of the forest trees (sector 88-11).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09, our team worked cataloging the this area's trees. This forest is no doubt the only old forest in Gyeonggi-do (and possibly the nation) with such a comprehensive tree inventory. When the inventory was completed in 2009, the group had completed a very sophisticated inventory of 186 trees with considerable information on each tree (species, location, DBH, and condition). By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existing trees in this forest, the inventory will provide a master plan for determining the species of trees to be plan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our current study will provide us information on developing an Arboretum Tree Inventory using GPS coordinates. 서울대학교 수목원은 2009년 봄과 여름에 걸쳐 부속임지(88-11번지) 내에서 수목조사를 시도하였다. 인위적인 관리가 최소로 이루어져 식생변화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이 가능한 지역으로 판단되며 22개과 49종의 목본과 소리쟁이, 개망초등의 초본이 생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은 여러 외래수종과 자생 식물이 혼재되어 생육하고 있는데,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수목을 지닌 노령림은 경기도 내(어쩌면 남한지역 내)에서이 지역이 유일하다. 조사된 186개 수목들 각각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수종, 위치, DBH, 상태)를 구축하였다. 본 수목조사 결과는 장래에 식재될 수종을 결정할 마스터 플랜을 제시하고자 하며, GPS를 이용한 수목원의 수목조사를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