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American Responsibility and the Massacres in Cheju Conference on Overcoming the Past: Healing and Reconciliation -- Cheju and the World in Comparison

        Bruce Cumings 세계환경사회거버넌스학회 2016 World Environment and Island Studies Vol.6 No.4

        On Cheju Island something happened in ‘peacetime’ under the American Occupation-namely a major peasant war-and after decades of repression Cheju people finally have came forward to tell their stories and demand compensation, and no special pleading about the exigencies of wartime will suffice to assuage the American conscience. What formerly classified American materials document is a merciless, wholesale assault on the people of this island. No one will ever know how many died in this onslaught, but the American data, long kept secret, ranged between 30,000 and 60,000 killed, with upwards of 40,000 more people having fled to Japan (where many still live in Osaka). There were at most 300,000 people living on Cheju Island in the late 1940s.1 This happened when the U.S. was legally responsible for actions taken under its command, but as it happened, instead of punishing the criminals, American leaders directed the suppression of the rebellion and were pleased when it was crushed. The effective political leadership on Cheju until early 1948 was provided by strong leftwing people’s committees that first emerged in August 1945, and later continued under the American Occupation (1945-1948). The Occupation preferred to ignore Cheju rather than to do much about the committees; it appointed a formal mainland leadership but let the people of the island run their own affairs. The result was an entrenched leftwing, one with no important ties to the North and few to the South Korean Workers Party (SKWP) on the mainland; the island was also well and peaceably governed in 1945-47, particularly by contrast to the mainland. In early 1948 as Syngman Rhee and his American supporters moved to institute his power in a separate southern regime, however, the Cheju people responded with a strong guerrilla insurgency that soon tore the island apart.

      • KCI등재

        On the History and Practice of Unilateralism in East Asia: Or, the More Things Change, the More They Remain the Same

        Bruce Cumings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08 Pacific Focus Vol.23 No.2

        This paper argues that multilateralism continues to be weak in East Asia, an outcome that traces back to the post-World War II settlement and the Korean War. Hot war and cold war divisions hindered (and often completely blocked) horizont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s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Most diplomatic communication was vertical, that is, from the foreign ministries in Tokyo, Seoul, Manila or Taipei to Washington and back again. This vertical diplomacy was punctured horizontally by economic forces, which since the 1960s have eroded and bypassed Cold War boundaries, bringing former adversaries together—but primarily through business contacts and pop culture, not through multilateral institutions. The key anomaly in the past 60 years is China, which was the subject of the single most important breach in the structure and logic of American Cold War power in the region—the Nixon/Carter opening to China in the 1970s. If the first phase of the Cold War emphasized security considerations and divided the region, and the second phase exemplified the ascendanc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accelerated regional integration,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both these tendencies occurred primarily because of basic shifts in American foreign policy and the resulting pressures on East Asian states. Again, China’s turn outward to the world economy and its rapid growth is the best expression of this tendency today, but China is also replicating what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did in the past. Contemporary obstacles to deeper integration in the region also trace back to Washington (although not only to Washington). Rightly or wrongly, the U.S. still holds the key to East Asian regional security and cooperation. The U. S. remains the key enabler of either multilateralism or unilateralism in East Asia, and East Asian leaders are still on the outside looking in.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냉전의 중심, 한국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나지원(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6 아시아리뷰 Vol.5 No.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붕괴된 세계 경제를 되살리고, 공산권에 맞서 ‘자유세계’를 수호하며, 구(舊)식민지들이 수십 개의 독립국으로 세계 정치에 등장한 상황을 통제해야 하는 세 가지 거대한 문제에 직면한 미국은 소련을 봉쇄하고 일본에서 서유럽에 이르는 거대한 초승달 지대를 정치경제적으로 장악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러나 주류 사관이 암묵적으로 전제해온 것과는 달리, 봉쇄(containment)전략 채택은 결코 순탄한 과정이 아니었으며 격퇴(rollback)전략과의 지속적인 변증법을 통해, 그리고 미국 국내 정치에서 일어난 투쟁과 합의도출의 과정이자 결과로서 그 형태를 서서히 갖추어 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미국이 정의한 ‘자유세계’의 경계선 역시 처음부터 명확한 것은 아니었으며, 여러 번의 시행착오― 그리고 결정적 실수와 우연의 연속 ― 라고 할 만한 과정을 통해 점차 획정되었다. 이러한 암중모색(暗中摸索) 과정의 한가운데에 한국이 있었다. 일본의 패전 이후, 미군이 한반도를 점령하고 질서를 부여하는 과정, 그리고 곧바로 이어진 한국전쟁의 전개 과정에서 한반도에서 미국 전략을 설정하며 보여주었던 혼란과 난맥상이야말로 전술(前述)한 세 가지 문제에 대해 세계 차원의 해답을 찾으려 고심하던 패권으로서 미국 전략의 축소판이었다. 하지만 그 결과 도달한 초당파적 합의, 즉 중도적 국제주의 대외정책으로의 수렴조차 세 번째 문제였던 반식민주의(anti-colonialism)와 혁명적 민족주의의 분출은 성공적으로 통제할 수 없었고 한국은 이 문제에서도 미국 냉전 전략의 과정과 그 귀결을 반영하는 거울이었다. After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faced three daunting tasks of revitalizing the global economy, preserving the “free world” against global communism, and managing a changed world of newly independent nationstates that just emerged from colonialism. The U.S. pursued the strategy of containing the Soviet Union and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dominating a vast crescent-shaped area stretching from Japan to western Europe. But unlike what has been taken for granted by mainstream historical perspectives, the containment strategy did not go so smoothly and required a constant dialectic with the rollback strategy, amid the struggles and compromises in domestic politics that helped shape the outcome and the strategy. Furthermore, the “free world” was not so clearly demarcated from the start, but rather gradually defined through a continuum of mistakes, shortcomings, and coincidences. At the very center of this haphazard process of groping in the dark stood Korea. The confusion and chaos evident in the American strategy concerning Korea as the United States occupied the peninsula and attempted to establish order in the wake of Japan’s defeat and during the subsequent Korean War were but a localized epitomization of the difficulties America experienced in finding appropriate solutions to the global challenges the new hegemon faced. However, the resultant bipartisan consensus and convergence towards a moderate internationalist foreign policy could not successfully manage the third problem of erupting anti-colonialism and revolutionary nationalism, of which Korea proved to be a primary reflection of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American Cold War strategy.

      • KCI등재후보

        1등 (혹은 2등) : 1894~2014년간의 동아시아 질서에서 일본에 대한 미국의 선호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나지원(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 아시아리뷰 Vol.4 No.2

        역사적으로 부침이 있었지만 사실 일본에 대한 미국의 인식,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역할에 대한 미국의 관점은 양국이 수교를 맺은 이래, 150여 년 동안 상당히 일관적이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기점으로 미국이 태평양으로 눈을 돌리고 동시에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태평양에서 잠재적인 패권 경쟁 구도가 나타날 조짐이 보이기도 했지만 그것은 황색 언론과 대중의 막연한 인종주의적 공포에 기인한 바가 컸던 것이 사실이다. 심지어 워싱턴 해군 회의로 일본이 다시금 영미 국제 체제 내에서 하급 동반자의 위치에 머물렀던 1920년대까지, 아니 1930년대 초반까지도 일본은 (미국과의 대결의 불가피성에 대한 군부의 인식과는 별개로) 대외적으로는 이러한 세계 체제를 묵인하고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태평양전쟁 시기의 일본의 모습은 오히려 예외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전개를 설명하기 위해 니체의 ‘계보’와 ‘생성’이라는 개념을 원용할 수 있을 것인데, 다시 말하자면 역사적으로 결정적인 몇 기의 시기를 통해 서구인들의 인식에 ‘일본’이라는 어떤 특정한 관념이 생성되었고, 그와 동시에 ‘2등으로서의 일본’이라는, 이 시대 전체를 관통하는 계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정은 세계 체제 내에서 격렬한 경제 전쟁과 산업 경쟁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다. 즉, 서구인들이 가진 ‘일본’과 ‘중국’이라는 관념의 부침은 실제로 일본과 중국이 행동을 바꾸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에 대한 서구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재구성되는 변주 과정인 것이다. 니체와 벤야민을 인용했던 푸코의 논지를 다시 빌리자면, 역사란 그 자리에 있던 사실을 발굴하기만 하면 되는 작업이 아니라 존재론적 인식을 우선 가진 상태로 행해지는 주관적 과정이며, 그 와중에 기존 담론의 상실과 말소는 필연적으로 일어난다. 일본에 대한 미국의 인식 변화, 혹은 그것을 관통하는 일관성 역시 이러한 계보와 생성의 상호작용 속에서 미국 스스로도 “인식하지 못한 동기”를 바탕으로 “인지하지 못한 목적”을 이루려고 한 것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현실에서도 상당 부분 구현되었던 케넌과 애치슨의 일본 부흥 계획은 간헐적인 적대 관계를 압도하는 미일 관계의 태생적인 친밀감을 여지없이 보여주는 사례다. 이 역시 1960년대 미국의 상대적 쇠퇴와 일본의 경제적 부흥으로 또 다른 생성을 낳았지만 결과적으로는 1980년대 말 일본의 거품경제 붕괴와 함께, 더 정확히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다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더불어 (유럽의 나토 체제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너무나도 부실한 동아시아의 다자주의적 제도와 규범은 미국이 여전히 양자적 동맹 체제 속에서 동아시아 외교를 꾸려나가는 원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미국이 전후 합의를 통해 스스로 창출한 구조이기도 했다. 그리고 일본 역시 그런 구조 속에서 상대적 이익과 혜택을 누리면서 현상을 적극적으로 개선할만한 의지를 보여주지 못했다. 더욱이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고질병이라 할 수 있는 역사와 민족, 영토 문제는 이러한 미국 중심의 비대칭적 다자 관계를 심화시키는 데에 일조했다. 문제는 현재 미국 정부는 당파와 무관하게 동아시아에서 적극적인 현상 타파를 해야 할 이유도, 명분도, 능력도 없으며(수사와는 별개로) 그럴 필요성이나 위기 역시 실제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동북아의 해묵은 역사 문제로 최근 집권한 각국 지도자들 간의 관계가 악화 일로에 있는 상황 속에서는 동아시아 국제 관계에서는 1등, 자신과의 위치에서는 2등으로서 일본의 입지를 유지하고자 하는 미국의 의도가 뜻대로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The United States view of Japan’s role in the region has been consistent during the past 150 years. Japan accepted the West-dominated international order and its role as a second Japan until the 1930s. Japan during the pacific war was an exception. To the eyes of the Westerners, view of Japan has been incessantly reinterpreted and reconstituted. After the end of the Pacific War, a friendly US-Japan relationship was recovered by the arrival of the Cold War in Asia while multilateralism was fragile. The US-centered asymmetrical relations in East Asia including the US-Japan relations have also been strengthened by historical and territorial problems. Problems with the United States today concern its inability and ignorance of the need for revising the existing order. It is likely that the country will not be able to realize its will of maintaining Japan’s status as a second Japan in the region where inter-state relations have become aggravated with history issu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