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국적 제조 기업의 실험주의 시스템

        게리 헤리겔(Gary Herrigel),나지원(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6 아시아리뷰 Vol.6 No.1

        새롭게 거듭 등장하는 초국적 실험주의 시스템은 기존 다국적 기업 거버넌스 연구로는 포착할 수 없는 이론적으로 독특한 특징을 띠고 있다. 다국적 기업 자회사들은 해당 지역 소비자의 선호와 요구에 정확히 부합하면서도 모국의 규범과 표준에 따라 설계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제조업체들은 세 분야에서 지역별 운영 방식 개량에 대한 압박을 받는다. 즉, 생산 노동자의 숙련도, 세련된 공급 기초, 그리고 지역 내 연구 개발, 디자인 및 공학 기술 역량이다. 기업들은 전 지구적 생산 능력에 수출을 최적화시키면서 동시에 개별 공장 차원만이 아니라 거대한 전 지구적 조직에 걸쳐 중앙과 지역을 막론하고 절차와 생산 최적화, 혁신, 비용 절감 및 학습을 위한 지속적이고 긴요한 필요조건들을 조율해야 한다. 이 글은 최고의 다국적 제조 기업이란 혁신과 학습을 장려하는 기제로서 조직의 불안정화와 재편 실험을 체계적으로 유도하는 (초국적) 거버넌스 구조를 만들어내는 기업이라고 주장한다. 새로운 거버넌스 조직은 일상적 관행의 교란을 집단적 자기 검토, 실험, 혁신, 나아가 경쟁력과 체계적으로 연결한다. 새로운 거버넌스 조직은 반복적 학습 조직으로서 다양하고 임기응변을 발휘한 공동 문제 해결, 팀을 기반한 숙의, 위계적 단절과 이해당사자의 포함/배제가 혼합된 이질적이고, 혼성적이며 지속해서 자기 재편을 하는 거버넌스 구조다. 이런 점에서 새로운 다국적 기업에서 대두하고 있는 핵심 제도는 관리 기제가 아니라 교란 기제다. The new recursive and transnational experimentalist systems have theoretically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captured in much of the existing literature on MNC governance. The MNC affiliates must be able to offer products that appeal specifically to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local customers and that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host country regulatory norms and standards. This presses manufactures to upgrade local operations in three areas: production worker skill levels, supply base sophistication, and lastly, local R&D, design, and engineering capability. Firms need to optimize exports with global production capacities while simultaneously reconciling constant imperatives for process and product optimization, innovation, cost reduction and learning. This should be done not only within individual plants, but also centrally and locally across the vast global organizations. We claim that the best manufacturing MNCs are creating (transnational) governance architectures that systematically induce organizational destabilization and recompositional experimentation, as a mechanism to foster innovation and learning. Recursive learning organizations have heterogeneous, hybrid and constantly self-recomposing governance arrangements with varying and highly contingent admixture of joint problem solving, team based deliberation, hierarchical insulation and stakeholder in/exclusion. In this sense, the core emergent institutions in the new multi-nationals are those that disrupt, rather than those that govern.

      • KCI등재후보

        1등 (혹은 2등) : 1894~2014년간의 동아시아 질서에서 일본에 대한 미국의 선호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나지원(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 아시아리뷰 Vol.4 No.2

        역사적으로 부침이 있었지만 사실 일본에 대한 미국의 인식,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역할에 대한 미국의 관점은 양국이 수교를 맺은 이래, 150여 년 동안 상당히 일관적이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기점으로 미국이 태평양으로 눈을 돌리고 동시에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태평양에서 잠재적인 패권 경쟁 구도가 나타날 조짐이 보이기도 했지만 그것은 황색 언론과 대중의 막연한 인종주의적 공포에 기인한 바가 컸던 것이 사실이다. 심지어 워싱턴 해군 회의로 일본이 다시금 영미 국제 체제 내에서 하급 동반자의 위치에 머물렀던 1920년대까지, 아니 1930년대 초반까지도 일본은 (미국과의 대결의 불가피성에 대한 군부의 인식과는 별개로) 대외적으로는 이러한 세계 체제를 묵인하고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태평양전쟁 시기의 일본의 모습은 오히려 예외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전개를 설명하기 위해 니체의 ‘계보’와 ‘생성’이라는 개념을 원용할 수 있을 것인데, 다시 말하자면 역사적으로 결정적인 몇 기의 시기를 통해 서구인들의 인식에 ‘일본’이라는 어떤 특정한 관념이 생성되었고, 그와 동시에 ‘2등으로서의 일본’이라는, 이 시대 전체를 관통하는 계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정은 세계 체제 내에서 격렬한 경제 전쟁과 산업 경쟁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다. 즉, 서구인들이 가진 ‘일본’과 ‘중국’이라는 관념의 부침은 실제로 일본과 중국이 행동을 바꾸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에 대한 서구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재구성되는 변주 과정인 것이다. 니체와 벤야민을 인용했던 푸코의 논지를 다시 빌리자면, 역사란 그 자리에 있던 사실을 발굴하기만 하면 되는 작업이 아니라 존재론적 인식을 우선 가진 상태로 행해지는 주관적 과정이며, 그 와중에 기존 담론의 상실과 말소는 필연적으로 일어난다. 일본에 대한 미국의 인식 변화, 혹은 그것을 관통하는 일관성 역시 이러한 계보와 생성의 상호작용 속에서 미국 스스로도 “인식하지 못한 동기”를 바탕으로 “인지하지 못한 목적”을 이루려고 한 것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현실에서도 상당 부분 구현되었던 케넌과 애치슨의 일본 부흥 계획은 간헐적인 적대 관계를 압도하는 미일 관계의 태생적인 친밀감을 여지없이 보여주는 사례다. 이 역시 1960년대 미국의 상대적 쇠퇴와 일본의 경제적 부흥으로 또 다른 생성을 낳았지만 결과적으로는 1980년대 말 일본의 거품경제 붕괴와 함께, 더 정확히는 중국의 부상과 함께 다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더불어 (유럽의 나토 체제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너무나도 부실한 동아시아의 다자주의적 제도와 규범은 미국이 여전히 양자적 동맹 체제 속에서 동아시아 외교를 꾸려나가는 원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미국이 전후 합의를 통해 스스로 창출한 구조이기도 했다. 그리고 일본 역시 그런 구조 속에서 상대적 이익과 혜택을 누리면서 현상을 적극적으로 개선할만한 의지를 보여주지 못했다. 더욱이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고질병이라 할 수 있는 역사와 민족, 영토 문제는 이러한 미국 중심의 비대칭적 다자 관계를 심화시키는 데에 일조했다. 문제는 현재 미국 정부는 당파와 무관하게 동아시아에서 적극적인 현상 타파를 해야 할 이유도, 명분도, 능력도 없으며(수사와는 별개로) 그럴 필요성이나 위기 역시 실제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동북아의 해묵은 역사 문제로 최근 집권한 각국 지도자들 간의 관계가 악화 일로에 있는 상황 속에서는 동아시아 국제 관계에서는 1등, 자신과의 위치에서는 2등으로서 일본의 입지를 유지하고자 하는 미국의 의도가 뜻대로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The United States view of Japan’s role in the region has been consistent during the past 150 years. Japan accepted the West-dominated international order and its role as a second Japan until the 1930s. Japan during the pacific war was an exception. To the eyes of the Westerners, view of Japan has been incessantly reinterpreted and reconstituted. After the end of the Pacific War, a friendly US-Japan relationship was recovered by the arrival of the Cold War in Asia while multilateralism was fragile. The US-centered asymmetrical relations in East Asia including the US-Japan relations have also been strengthened by historical and territorial problems. Problems with the United States today concern its inability and ignorance of the need for revising the existing order. It is likely that the country will not be able to realize its will of maintaining Japan’s status as a second Japan in the region where inter-state relations have become aggravated with history issu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냉전의 중심, 한국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나지원(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6 아시아리뷰 Vol.5 No.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붕괴된 세계 경제를 되살리고, 공산권에 맞서 ‘자유세계’를 수호하며, 구(舊)식민지들이 수십 개의 독립국으로 세계 정치에 등장한 상황을 통제해야 하는 세 가지 거대한 문제에 직면한 미국은 소련을 봉쇄하고 일본에서 서유럽에 이르는 거대한 초승달 지대를 정치경제적으로 장악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러나 주류 사관이 암묵적으로 전제해온 것과는 달리, 봉쇄(containment)전략 채택은 결코 순탄한 과정이 아니었으며 격퇴(rollback)전략과의 지속적인 변증법을 통해, 그리고 미국 국내 정치에서 일어난 투쟁과 합의도출의 과정이자 결과로서 그 형태를 서서히 갖추어 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미국이 정의한 ‘자유세계’의 경계선 역시 처음부터 명확한 것은 아니었으며, 여러 번의 시행착오― 그리고 결정적 실수와 우연의 연속 ― 라고 할 만한 과정을 통해 점차 획정되었다. 이러한 암중모색(暗中摸索) 과정의 한가운데에 한국이 있었다. 일본의 패전 이후, 미군이 한반도를 점령하고 질서를 부여하는 과정, 그리고 곧바로 이어진 한국전쟁의 전개 과정에서 한반도에서 미국 전략을 설정하며 보여주었던 혼란과 난맥상이야말로 전술(前述)한 세 가지 문제에 대해 세계 차원의 해답을 찾으려 고심하던 패권으로서 미국 전략의 축소판이었다. 하지만 그 결과 도달한 초당파적 합의, 즉 중도적 국제주의 대외정책으로의 수렴조차 세 번째 문제였던 반식민주의(anti-colonialism)와 혁명적 민족주의의 분출은 성공적으로 통제할 수 없었고 한국은 이 문제에서도 미국 냉전 전략의 과정과 그 귀결을 반영하는 거울이었다. After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faced three daunting tasks of revitalizing the global economy, preserving the “free world” against global communism, and managing a changed world of newly independent nationstates that just emerged from colonialism. The U.S. pursued the strategy of containing the Soviet Union and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dominating a vast crescent-shaped area stretching from Japan to western Europe. But unlike what has been taken for granted by mainstream historical perspectives, the containment strategy did not go so smoothly and required a constant dialectic with the rollback strategy, amid the struggles and compromises in domestic politics that helped shape the outcome and the strategy. Furthermore, the “free world” was not so clearly demarcated from the start, but rather gradually defined through a continuum of mistakes, shortcomings, and coincidences. At the very center of this haphazard process of groping in the dark stood Korea. The confusion and chaos evident in the American strategy concerning Korea as the United States occupied the peninsula and attempted to establish order in the wake of Japan’s defeat and during the subsequent Korean War were but a localized epitomization of the difficulties America experienced in finding appropriate solutions to the global challenges the new hegemon faced. However, the resultant bipartisan consensus and convergence towards a moderate internationalist foreign policy could not successfully manage the third problem of erupting anti-colonialism and revolutionary nationalism, of which Korea proved to be a primary reflection of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American Cold War strateg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말레이시아의 조용한 혁명

        고벵란(Beng Lan Goh),나지원(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7 아시아리뷰 Vol.6 No.2

        본고는 ‘이슬람화(化)’가 저항을 마비시킨 양극화된 말레이시아 사회의 급진 정치의 미래를 탐구한다. 무력화된 공적 영역에서 저항이 새로운 공간과 전략을 찾아야만 한다는 것이 본고의 요지다. ‘아시아 간 패러다임(inter Asia paradigm)’을 통한 이론적 혁신과 말레이시아 도시 지역의 대중 종교 및 미술 실천 사례를 원용하여 수면 아래의 일상적 · 개인적 차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조용한 저항이 (동남) 아시아 지역에서 오랜 기간 통용된 윤리 전통을 재구성하면서 급진 정치의 새로운 기반을 위한 사고방식이 부활할 잠재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그러한 윤리 전통을 통해 횡민족적 · 횡문화적이며 활기찬 과거를 복원하고 자아와 공동체에 가해지는 패권의 압력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역량을 되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용한 실천은 급진 정치가 의식적인 자기 변환에서부터 시작해야 함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plores the future of radical politics in a bifurcated Malaysian society whereby Islamization has paralyzed resistance. It argues that in an incapacitated public sphere, resistance has to find new spaces and strategies. Drawing on theoretical innovations from inter-Asian paradigms and evidence of popular religious and artistic practices in urban Malaysia, it makes a case on silent resistance occurring at subterranean, every day and personal levels. This has led to the process of reconfiguring traditions, long in circulation in the (Southeast) Asian region, as bearing promises for a renewal of mindsets as the new basis for radical politics. That this is so is due to the ability to recover trans-ethnic and cultural and convivial pasts to restore the capacity for critical interrogation of the hegemonic impositions on self and community. Such quiet practices show that radical politics has to begin with mindful self-transformations.

      • KCI등재후보

        라틴 아메리카에서 바라본 아시아 세계

        클라우디우 코스타 피녜이루(Claudio Costa Pinheiro),나지원(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6 아시아리뷰 Vol.6 No.1

        지역학은 특정 공간에 대한 학제적 연구에 전념하는 지식인의 역량을 개발해주지만 동시에 학자들을 자족하는 현실에 가둬놓을 수도 있다. 또한 북대서양에서 생산된 지식이 이 분야를 압도하는 현실을 정당화하고 결과적으로 탈식민 시대 주변부들 간의 지적 관찰을 저해한다. 이 글은 아시아에 대한 라틴 아메리카의 호기심을 역사적으로 개괄하면서 북반구(구미)의 분석틀이 가진 패권적 지위에 의문을 제기하며 아시아 지역학을 탈지역화하는 데에 일조한다. 그 호기심은 여러 단계를 거쳤다. 첫째, 처음에는 식민제국의 관점을 모방하는 오리엔탈리즘적 접근법을 통해, 이후에는 개발과 근대성 이론을 통해 정의되었다. 둘째, 19세기에는 귀족적이고 두서없는 호기심에서 출발했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전문적인 학문의 관심 대상이 되었다. 끝으로 세계 주변부 사이의 산발적인 연관관계에서 근대화의 대안적 모델로 변화했다. 필자는 남반구(Global South), 특히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서 아시아 지역연구의 제도화를 지원함으로써 이 분야가 진일보할 수 있고 아시아 지역학이 탈중심화될 수 있으며 학제 간 논의가 촉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분단국가들의 내전

        스티븐 휴 리(Steven Hugh Lee),나지원(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 아시아리뷰 Vol.5 No.1

        제2차 세계대전 직후부터 시작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세계의 네 지역, 즉 팔레스타인, 인도, 베트남, 한국 등의 분단의 역사는 복합적·다원적 차원에서 조망해야 한다. 탈식민지화라는 지구 정치의 맥락은 분단에 연루된 국제적 행위자들의 양상과 분단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게 하며, 통합과 분리라는 국내 정치 엘리트 간의 상반된 정치 구상이 충돌하는 과정은 각 사례들이 분기하게 된 시점과 원인, 국내 공동체 간 분쟁의 격렬성 및 그 결과의 차이를 포착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분단을 냉전, 탈식민주의, 전후 체제의 결과이자 상호 강화하는 관계로 이해할 때, 분단이 네 지역에서 왜 그토록 오래 지속되었으며 역설적으로 각 지역의 불안한 균형을 유지하는 데에 기여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분단이 신생 국가들 내부에서 갈등을 조장하고 분쟁을 격화하는 부정적 역할을 했다는 종래의 분석틀은 정체성 형성과 (특정 공동체 내부의) 결속 강화의 효과를 간과했다. 이것이 분단 장기화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더라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러한 양면성은 분단과 그에 수반된 무력 충돌 및 내전에서 일어난 일련의 폭력 사태와 참극이 실제로는 잠재적 가해자와 잠재적 피해자 간의 모호함에서 유발된 공포와 불확실성 때문에 증폭되었다는 점에서도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한국전쟁 역시 이러한 새로운 분석틀을 통해 바라보면, 단순히 냉전의 출발점으로서가 아니라 세계사의 연쇄작용에서 그 자체로 하나의 고리인 동시에, 전후 고리를 연결해주는 필수불가결한 구성요소로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특정 사건의 세계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분단으로 촉발된 전쟁, 그리고 그 이후 벌어진 일련의 사태를 통해 재생산된 비극과 갈등의 근본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히 짚어내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The history of the partitioned territories that began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World War II, and which mostly continues to this date, can be situated in world history only when it is viewed from the international and local levels; on the one hand, the patterns of international actors involved in the partition process and the interaction among the partitions are to be understood solely by grasping the issue in the context of world politics, namely decolonization; on the other hand, tracing the process of clashes between opposing political agendas among domestic political elites manifested in the form of incorporation and separation is the means to capture the varying consequences and the intensity of the communal conflict among the cases. Moreover, seeing the partitions as one of the mutual amplifiers as well as a result of the Cold War, decolonization and the post-war system is a good way to explain why the partitions lingered for such an extended period of time in the four territories and how, though ironically, they contributed to maintaining an insecure equilibrium in each of the regions.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identity formation and its consolidation (of a particular community within the territory) clearly existed, which has been largely disregarded by the conventional framework highlighting the divisive and aggrieving role of the partition within the newly created states. Also significant is the fact that they may be one, if not the only, contributing factor to the protraction of the partitioned state. This double-sidedness presents itself, albeit indirectly, in a series of violence and atrocities committed during the partition process as well as the consequent armed conflict and civil war, which were intensified by the fear and uncertainty aroused by an ambiguity between potential assailants and potential victims. With this new analytical framework,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War surfaces not only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Cold War, but also as a component in the chain reaction of world history, an indispensable link connecting other links coming before and after itself. Above all, this linking is a necessary task not only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global context of a particular event, but also with a view to pinpointing the root cause of the tragedy and conflict reproduced once through partition violence and again through a series of ensuing in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