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을 역사화하기 ― 국가사회주의, 인구이동, 그리고 냉전사학

        안드레슈미드 ( Andre Schmid ) 한국사회사학회 2019 사회와 역사 Vol.0 No.124

        한반도에서 냉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그간 사회주의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은 국가가 전능한 권력을 행사한다는 냉전 시대의 가정에 문제를 제기해 왔지만, 한국사, 특히 한반도 북쪽의 역사는 트랜스내셔널 반공주의(transnational anti-Communism) 유산의 깊은 영향 하에 머물러 있다. 이 글은 북한을 소련, 중국, 동독 같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와 함께 비교사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국가 너머의 사회적 구성력(constitutive power)을 북한사 서술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사회적 구성력의 한 사례로 이 글은 인구이동에 주목한다. 일본 제국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된 사람들의 이동은 항상 한반도의 두 국가 간 정치적 문제가 되어 왔다. 많은 역사학자가 인구이동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지만, 이 연구들은 북한 정권이 생산한 자료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때문에 북한 정권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에도, 북한에 대한 역사 서술은 북한 정권이 개인숭배를 목적으로 만든 주요한 가정을 역사학적 분석틀 내에서 재생산하고 말았다. 그 결과, 북한 국가는 희화화되어 묘사되고 있다. 이 글은 북한의 다양한 대중매체를 활용해서, 북한 정부의 행정명령과 김일성의 훈시에도 불구하고, 도시 이주민, 공장 지배인, 중앙 경제계획 담당자의 다양한 이해가 서로 충돌하는 가운데 많은 북한 주민이 도시로 이주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한다. 국가의 전체주의적 능력을 당연시하는 대신 국가의 한계에 질문을 던지는 것은 분단의 정치가 여전히 한반도에서 맹위를 떨치는 상황에서 냉전의 역사학적 유산을 벗어나는 하나의 방법이 될것이다. The Cold War is far from over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history―especially for the northern half―remains deeply shaped by the legacies of transnational anti-communism even as historians who study socialism in other settings have shed many of the Cold War- era assumptions about the extensive power of the state. By putting North Korea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other socialist countries such as the USSR,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this article suggests ways of integrating the constitutive power of social forces beyond the state into our histories of North Korea, as seen through an examination of population movement. Beginning with the dissolution of the Japanese Empire, the mobility of people has always been a politicized issue between the two Koreas. Historians have taken up this issue, yet dependence on sources produced by the North Korean state has led many narratives―however harshly critical of the regime―to reproduce within their own analytical frameworks key assumptions originally produced in Pyongyang in support of the personality cult. The result has been a cartoonish depiction of the North Korean state. By using a diverse set of public media as sources, this article shows that due to conflicting interests of migrants, factory managers, and central economic planners, many North Koreans moved into the cities despite administrative injunctions and the admonishments of Kim Ilsung. Asking questions about the limits of the state, rather than assuming its totalitarian capacity, becomes one way of escaping the historiographical legacies of the Cold War even as the politics of division continue to rage on the peninsula.

      • KCI등재
      • KCI등재

        “My Turn to Speak”

        Andre Schmid(안드레 슈미드)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1 No.2

        이 글에서는 한국 전쟁이 끝난 이후 1950년대 북한에서 존재했던 계급, 이데올로기 그리고 비판 사이의 복잡하고 곤란한 관계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비록 조선노동당이 단일한 범주로서 계급을 대표하긴 했지만, 실제로 북한에서는 그 기간 동안 계급에 대한 다양한 글쓰기 방식들이 존재했다. 이 글은 단일하고 ‘권위적인’ 계급의 정의를 위한 조선노동장의 높은 차원의 자료보다 노동자들의 지역적이고 사회적인 세계에서 다루어졌던 이야기들을 분석하였다. 이 글은 먼저 자기/집단 비판의 시행에 의해서 만들어진 불안과 이러한 불안과 걱정을 달래기 위해 사용되었던 수단들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노동자신문’에서 출간된 노동자들의 그들 동료들에 대한 비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글들은 노동자들 사이의 계급 담론이 자기 평가와 자기 혁신을 촉진시키기 위해 계급에 대한 전통적인 맑시즘 담론에서 좀 더 문화적인 범주로 변화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vexed and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class, ideology and criticism in 1950s North Korea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Although the KWP presented class as an unitary category, there were in fact many ways of writing about class in these years. Rather than use high-level KWP sources for a single ‘authoritative’ definition of class, this paper examines sources read in the local social worlds of workers.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anxieties created by the implementation of self and group criticism and the measures taken to mollify these worries. It next considers workers’ criticisms of their colleagues published in the Nodongja sinmun. These writings show how class discourse among workers vacated traditional Marxist discourses on class to become more of a cultural category designed to promote self-evaluation and self-re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