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ublic Relations Undergraduate Education How is Communication Continuum Theory of Public Relations Being Continued?

        Ahnlee Jang(장안리)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2 No.2

        지난 30여 년 동안 국내의 홍보학문은 커리큘럼 측면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가지고 온 다양한 기술 및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다양화를 직면하고 있는 현재 국내의 홍보학 커리큘럼의 현황 및 방향성을 Communication Continuum Theory of Public Relations 이론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홍보’라는 용어가 학과 명칭에 포함되는 33개의 국내 홍보학과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였다. 내용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도출된 결과에 따르면 현재 국내 홍보학 커리큘럼은 현재와 미래를 준비시켜 주고 있으며 타 인접학문을 홍보학문과 연계하여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윤리와 관련된 수업은 부족하며 광고수업에 비해 PR이론 및 실무 수업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학교에서 홍보학과는 경영대와는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ommunication Continuum Theory of Public Relations이론을 사용하여 현재 33개 홍보학과의 커리큘럼을 수업단위로 분석한 것과 앞으로 홍보학문의 커리큘럼을 보완할 수 있는 제안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Public relations undergraduate programs in Korea experienced much growth during the past 30 years. Quickly advancing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channels call for examination of current status in PR education and discussion on future direction of the pedagogy. Based on the Communication Continuum Theory of Public Relations, the current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of 33 programs to explore how 5 principles in public relations education are being implemented in undergraduate programs in Korea. Finding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need of more emphasis on ethics; on the right track in preparing students for the present and future; all programs teaching other academic disciplines; limited PR theory and applied courses compared to advertising and media/journalism/broadcasting courses; and PR program positioned far away from business/management schools. Discussion on current status of PR studies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in case of Korea are discussed, followed by limitations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in Collegiate Institutions: Power Dynamic in Faculty-student Relationship in a High-power Distance Culture

        ( Ahnlee Jang ) 한국PR학회 2022 AJPR Vol.5 No.1

        The current study examines how collegiate institutions in a Confucius value-laden society engage in communication with its internal publi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hool public relations approach using five dimensions of relational constructs (trust, control mutuality, relational satisfaction, relational commitment, face-work). Interviews with 26 undergraduate students at a 4-year institution in Korea revealed that students identified three relationships in their OPR, namely, university-student, department-student, and professor-student. Findings show that students identified the university's main goal ought to be providing employment opportunities to college students; and department-student relationship as impersonal and one-directional. In terms of the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students identified that trust and commitment are established with professors' expertise and efforts, but the presence of imbalanced power due to social and contextual factors; wanting to be closer to professors but feeling distant and keeping distance intentionally to maintain professors' and their own faces are at work.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OPR, School Public Relations and relational construct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Korea’s Policy on Overseas Koreans: Factors that Strengthen Korean Americans’ Sentiment towards the Motherland

        Ahnlee Jang(장안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2

        한국 정부의 주요 해외 공중 집단 중 하나는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로서 정부는 이들을 인적자원으로 인식하여 2000년대 초반부터 재외동포정책을 수립하여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동포 자녀들에게 민족주의 제고를 위해 한국어 교육지원 사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지원사업의 대상인 재미한인들이 한국어학교를 통해 현재까지 진행된 교육 지원 사업에 대한 경험에 의거한 생각과 효과를 탐색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재미한인들에게는 한국어 학교 보다는 부모님이 가르쳐 준 한국 문화 및 가치 그리고 직접적인 한국 문화체험이 한국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한국 혈통으로서의 자부심을 형성하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본인들도 한국문화 및 언어를 더 배울 뿐 아니라 추후 자녀에게도 계승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동기부여는 전반적으로 세계 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한국문화에 대한 평가가 향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앞으로 재미동포와의 관계발전을 위한 재외동포 정책 방향 및 차세대 재미한인들을 위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Since Kim Dae-jung’s administr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policy for overseas Koreans to provide nationalism education to their descendants. While the policy is still in effect today, as to how the recipients of the support in the USA make meaning of the programs given much changes in the social climate in respect to Korean culture, has not been examined in-depth. Therefo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Americans, the current study examined how the recipien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perceive policy on education program towards Korean Americans and whether it has strengthened their nationalism or sentiment towards motherland. The study further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s their sentiments towards the motherland as identified by Korean Americans. The findings show that exposure to the culture and parents’ teachings of the Korean values have helped them embrace Korean heritage. Moreover, findings revealed that their sense of Koreanness were due to positive memories from visits they had when they were young and changes in Korea’s status in the global arena. Future direction of the policy and suggestion for specific programs for Korean Americans,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in Collegiate Institutions: Power Dynamic in Faculty-student Relationship in a High-power Distance Culture

        Ahnlee Jang Korean Academic Society For Public Relations 2022 Asi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Vol.5 No.1

        The current study examines how collegiate institutions in a Confucius value-laden society engage in communication with its internal publi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hool public relations approach using five dimensions of relational constructs (trust, control mutuality, relational satisfaction, relational commitment, face-work). Interviews with 26 undergraduate students at a 4-year institution in Korea revealed that students identified three relationships in their OPR, namely, university-student, departmentstudent, and professor-student. Findings show that students identified the university's main goal ought to be providing employment opportunities to college students; and department-student relationship as impersonal and one-directional. In terms of the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students identified that trust and commitment are established with professors' expertise and efforts, but the presence of imbalanced power due to social and contextual factors; wanting to be closer to professors but feeling distant and keeping distance intentionally to maintain professors' and their own faces are at work.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OPR, School Public Relations and relational construct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Korean American’ 용어에 대한 재미한인들의 개념 정의 및 내포에 대한 연구

        장안리(Ahnlee Ja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2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들은 약 250만여 명에 달하며 미국으로의 한인이주 역사는 올해로 116년을 맞이하였다. 현재까지 한국계 미국인들을 칭하는 용어로 ‘Korean American’이 사용되어 왔으나 미국 한인사회의 세대교차, 1세와 2세의 타인종/민족과의 혼인으로 인한 혼혈아들의 증가, 입양인들과 3세 이상의 한인들의 증가 등의 원인으로 ‘Korean American’은 인종/민족적으로, 세대적으로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orean American’이 생각하고 있는 용어의 정의 및 내포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을 사용하여 용어의 정의 및 내포를 귀납법적으로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개념에 대한 정의는 추후 한국계 미국인 관련 연구뿐 아니라 재외동포정책에 있어서도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year 2019 marks the 116th year since the first group of Koreans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Today, there are approximately 2.5 million Korean Americans living in America. The term “Korean American” has been used to refer to Koreans living in America, yet, as the group reaches its 3rd generation, Korean American adoptees and multi-racial Korean Americans are on the rise as result of an increase in inter-racial marriage among 1.5 and 2nd generation Korean American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examine the current definition of the term, Korean American. The current study examines how those who identify as Korean American make meaning of the term, and whom they consider to be included in the definition. Findings of in-depth interviews and a survey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the term remains relatively narrow, and that the scope needs to be further expanded to include Korean American adoptees, the 3rd generation and above, multi-racial Korean Americans, and others. Implication and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 관련 제도 및 정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미디어의 영향 중심으로

        장안리 ( Ahnlee Ja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이 다문화가정 자녀 관련 법적 제도 및 정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인식 형성에 매체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서울과 충청권에 있는 1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인식, 이들과 관련된 제도 및 정책들에 대한 의견, 인식 형성에 있어 매체의 영향 및 다문화공존에 대한 생각들 및 방향성을 소그룹 인터뷰(FGI)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다문화가정자녀들과 동시대에 살며 경쟁상대, 또래 집단으로 성장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인식은 상당부분 매체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사회의 약자, 시혜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가정 자녀를 동일시하였으며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한국에서 한국인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법적인 권한이나 의무에 있어서 특별한 혜택 없이 선주민 자녀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자신들과 “다름”에 의해 사회에서 주변화 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로 거듭나는 것이 시급하며 그 해결책의 일환으로 ‘사이문화’ 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 ways in which nativ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their legal rights, and government policies that effect them. Specifically,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3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study asked participants how they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policy and legal right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what they make meaning of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The findings show that college students have divided perception on multicultural children. They were found to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socially marginalized minority and object of compassion because of the ways media has framed multicultural families, yet, at the same time, they were found to perceive them as their competitors because of competitive job market. In terms of perception on policy and legal rights,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multicultural children should have the same legal rights as Korean native children; equal responsibilities and benefits, no less and no more. In order to prevent multicultural children from becoming perpetual minority in Korea, participants suggested “in-between culture”, a combination of salad-bowl and melting-pot approach, which respects individual uniqueness and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