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와 부모의 체험관 경험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태도의 차이

        홍혜경 ( Hong Haeky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유아와 부모가 함께하는 박물관에서의 체험관 경험이 유아와 부모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유아와 부모의 박물관 체험관 경험(참여형태, 참여활동유형, 체험관 경험인식)에 따라 과학적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G광역시 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 276명과 그들의 부모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와 부모의 체험관 경험의 현황」에 대한 질문지와 「유아 과학적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x2,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과학박물관과 어린이 박물관에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연 6회 이하, 주로 주말이나 휴일에 1-2시간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활동 유형은 단순히 전시물을 조작해보는 접촉형이 많았고, 부모와의 상호작용도 단순 질문이나 언급을 하는 반응형이 많았으며, 체험관 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유아의 탐색활동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관 유형이 과학박물관일 때, 방문빈도가 연 7회 이상일 때 유아의 과학적 태도가 높았으나 체험활동 유형과 상호작용의 유형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결과는 부모와 유아와의 체험관 활동이 유아의 지속적인 탐구활동과 연계되고 과학적 소양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e of children’s participation experiences with parents in hands-on museum and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Two hundreds seventy- six kindergartener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s reported on the practice of children’s participation experience in hands-on museum.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young child was assessed with 1-5 rating scale. Results showed that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visited more science museum than other museum, less than 6 times per a year, in week-end or holiday, and stayed one or two hours. They engaged in sensory exploration for exhibitions with simple reposes of parents. Young children who had visits in science museum with more than 7 times per a year show higher score at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types of participation activity and verbal intera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oughtful supports for children’s in-depth inquiry activities in hand-on museum.

      • KCI등재

        유아 수학동화책의 반복적 읽기활동 과정에 나타난 수학화 유형의 분석

        홍혜경(Hong Hae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수학동화책의 반복적 읽기활동 과정에 나타난 수학적 담화의 변화에 대한 특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 W유치원의 만 5세아 반 21명의 유아가 참여하였다. 이들은 한 수학동화책을 1주일에 3회씩 반복적으로 읽고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총 6주간 18회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 동안 참여관찰과 녹음을 병행하여 자료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전사 자료를 토대로 수학화 유형별로 범주화 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추후 지속된 반복적 읽기에서는 첫 번째 읽기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던 추상화하기, 일반화하기, 재창안하기 등의 다양한 수학화 유형이 나타났다. 둘째, 반복적 읽기가 진행됨에 따라 각 수학화 유형에서도 보다 높은 수준의 인지적 사고가 요구되는 수학화로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수학동화의 반복적 읽기는 다양한 수학화의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보다 높은 수준의 인지적 사고를 요하는 수학적 관계를 탐색하게 하므로 현장 적용적 가치가 큼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athematizing processes in math talk during repeated math storybook reading with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enty-one 5 years old children from W kindergarten in G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udio recording and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type of mathematizing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ew mathematizing processes, such as generalizing, abstracting, reinventing, were emerged from math talks during repeated reading. Second, the mathematizing processes were changed to deeper level of explo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peated math storybook reading can b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math talk with more, deeper, and various mathematizing processes.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유아공학교육의 적용에 대한 고찰

        홍혜경 ( Hong Haeky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유아 융합인재교육(STEAM)을 추구하는 시점에 유아공학교육의 적용을 위해 발달적 적합성과 타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이를 토대로 구체적 방향과 과제를 조명하는 기초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유아공학교육의 의미 및 필요성, 유아공학교육에 대한 동향과 입장을 살펴보고, 유아의 공학적 행동 출현의 근거, 유아 공학활동에서의 공학적 사고, 공학 설계과정의 적용 사례연구를 통해 발달적 적합성을 도출하였으며, 유아공학교육의 적용을 위한 핵심요소 및 모형, 누리과정 및 STEAM 분야와의 통합, 유아공학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교수원리와 전략을 모색하였다. 본고는 유아공학 교육의 필요성 및 이론적 타당성을 토대로 가능한 적용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추후 유아공학교육의 적용을 위한 논의와 구체적이고 다양한 효과적 교수-학습방안을 모색하는 작업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how early childhood engineering education is related to young children based on STEAM education. First section are included the following topics such as the meaning of engineering education, trend and pos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vidence of emergent early engineering behaviors, and engineering thinking.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sis, possible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uch as teaching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engineering education, integrating themes with key elements in Nuri curriculum and STEAM concepts, and teaching-learning models for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engineering education are addressed. Finally, these literature reviews will lead to more research and discussions about application for future engineering 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유아의 쌓기 활동에 나타난 공학적 사고와 공학설계 과정

        홍혜경 ( Hong Haekyung ),안유경 ( Ahn Yu Ky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유아들의 쌓기 활동 상황에서 나타나는 행동의 관찰을 통해 유아의 공학적 사고와 공학설계과정의 출현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Y와 W어린이집의 만 5세아 2개반, 각 18명씩 총36명(남아 19명, 여아 17명)이었으며, 각 주 2회 8주 동안 총 32회 쌓기 활동 행동을 관찰하고 동영상 촬영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공학적 사고와 공학설계 과정을 범주화하고 사례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쌓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공학적 사고는 목적 지향적 사고, 문제해결 사고, 대안 통합, 패턴의 반복, 설계 검증으로 모든 하위요소가 유아의 쌓기 활동과정에서 나타났다. 둘째, 쌓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공학설계 과정은 설계도 그리기를 활용하는 반에서는 목표설정, 설계하기, 시도하기, 재조정/검증하기, 공유/평가하기의 모든 과정이 포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유로운 쌓기 활동만을 제공하는 반에서는 시도하기, 재조정/검증하기, 공유/평가하기의 과정만이 나타났으며, 목표설정과 설계하기에 관련된 행동이 가시적으로 표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구성물에 대한 의도를 반영하는 행동을 통해 암묵적으로 목표설정과 계획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나타난 유아의 공학 출현에 대한 구체적 사례는 유아에게 공학교육의 적용이 발달적으로 적합하다는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ngineering thinking and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 building with blocks. Thirty-six children aged five-years-old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for two months in construction area during free play sessions. Qualitative analysis of data showed the young children demonstrated engineering thinking skills, such as goal-oriented thinking, problem-solving thinking, synthesis based on multiple designer`s interaction, pattern repetition, and design testing and applied engineering design process, such as set up goal, plan it, try it, test it, and share it. These findings lend supports to the `emergent engineering` and the relevance for early childhood engineering education.

      • KCI등재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이진희(Lee Jin-Hee),홍혜경(Hong Hae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이 영아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연구자가 개발한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교사 27명, 정부위탁 기관에서 실시한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에 참여한 비교집단 27명의 교사이다.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교사 효능감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ANC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의 연수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영아 보육교사 효능감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효능감의 두 가지 하위영역인 개인적 효능감과 일반적 효능감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 교사들은 비교집단 교사들보다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영아 보육교사를 위한 현직연수 프로그램으로서의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that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Infant and Toddler Teacher has on the teacher’s efficacy and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include 27 teacher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in-service training developed in our previous study and 27 teachers, the comparison group, who received training by a government-contracted training center.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e ANC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eacher’s efficac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with pre-training test score as the covariate and post-training score the dependant variable; t-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eacher’s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For the two sub-categories of teacher’s efficacy, personal efficacy and general efficacy, the experimental group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Moreover, th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a possibl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in practice as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infant and toddler teachers.

      • KCI등재

        심미적 탐색을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현은순(Hyun Eunsoon),홍혜경(Hong Hae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심미적 탐색을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효과적인 그림책읽기 교수방법을 제공하는데 묵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J시에 위치한 S유치원 2개 반의 만 5세 유아 44명이었으며, 실험집단(22명), 비교집단(22명)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의 그림을 탐색하고 감상하는 활동을 포함한 심미적 탐색을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을 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동화 들려주기 활동을 하였다. 검사결과 심미적 탐색을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이야기 이해력뿐만 아니라 그리기 표상능력에서도 더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심미적 탐색을 통한 그림책 읽기가 유아교육 현장에서 그림책 읽기 교수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based on aesthetic exploration o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to provide effective reading strategi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 children who attended two classes of S kindergarten in J city. Their mean age was 5 years and six months old.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of 22 children and a comparative group of 22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based on aesthetic exploration and the comparative group engaged in based on content reading activities with picture books. For pre and post tests, same tests in story comprehension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verall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based on aesthetic exploration was more effective for promoti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is finding showed that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based on aesthetic exploration can be applied to effective reading strategies.

      • KCI등재

        유아교사 요구에 기초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연수프로그램이 교사효능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현정(Kim Hyun-jeong),홍혜경(Hong Hae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 요구에 기초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연수프로그램이 통합교육 교사효능감과 만족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가 개발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22명과 정부기관에서 위탁 통합교육 일반연수에 참여한 통제집단 교사 22명으로, 현재 유아교육현장에서 장애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일반유아교사이다. 본 연구의 도구로는 통합교육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배재정(2005)이 번역하여 사용한 교사효능감의 도구와 김정주(2005), 조광순과 황인갑(2003), 조운주(2004)가 사용한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통합교육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통합교육 교사효능감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한 ANCOVA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의 두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검증을 하였다. 장애유아 통합교육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합교육 교사효능감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매우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교사효능감의 두 가지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에서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매우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 교사들은 통제집단 교사들보다 연수에 대한 만족도에서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 training program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hildcare teachers' demands on the teachers' efficacy and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rdinary childcare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xecuting inclusive education for ordinary and disabled young children. We applied a training program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22 ordinary childcare teachers, and a training program of inclusive education entrusted by institutions to the control group of 22 teachers. In this study,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efficacy was measured with the teacher efficacy scale translated by Bae Jae-jeong (2005) and teachers' satisfaction was measured with the scale of satisfaction with training programs used by Kim Jeong-joo (2005), Cho Gwang-soon and Hwang In-gap (2003) and Cho Woon-joo (2004). In data analysis, the difference in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through ANCOVA with the score of pretest on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efficacy as a covariate and the score of posttest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programs between the two groups was examined by t-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the effect of the training program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wo sub-areas of teacher efficiency -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score of satisfaction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아동복지법 안전교육 기준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실태

        허기 ( Gi Heo ),형근혜 ( Geonhye Hyoung ),홍혜경 ( Haekyung Ho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아동복지법 안전교육 기준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과 실태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해 보았다. 연구목적을 위해 320명의 어린이집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복지법 안전교육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인식 및 실태를 비교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F검증과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복지법 안전교육 기준에 대한인식 보다 실제 현장에 적용하고 있는 실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별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통안전교육의 ‘안전장구 착용의 생활화’, ‘실습 또는 현장학습’, 약물 오남용 예방교육의 ‘현장방문학습’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안전교육 관련 기준과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기준에 적합한 영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천적 방법을 찾아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safety education standards on the Child Welfare Law and the its actual condition applied to the child-care centers. Three hundred twenty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 answer the questionnaire of the safety education standards on Child Welfare Law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test was done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n the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In addition, F-test and Ducan-test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s one the materials.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degree of actual condition applied to the child-care centers was more higher than the degree of teachers’ recognition. It also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s on all areas excepting some area, which were ‘familiarization of wearing safety equipment’, ‘practical exercises or field trips’ in a traffic safety education and ‘the site visit’ in a drug misuse or abuse prevention education. Under a circumstance that the government strengthens the criteria, the management and the supervision related to safety education, this research would be a help to find practical ways to develop and apply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suited to the standards.

      • KCI등재후보

        인형극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금숙(Lee GeumSuk),김현(Kim Hyeon),홍혜경(Hong Hae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인형극 활동을 통한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인형극의 교육적인 활용방법에 대해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인형극 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역할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형극 활동을 수행한 실험집단이 역할놀이 활동을 수행한 비교집단에 비해 언어표현력의 ‘단문’과 ‘수식어’에서, 창의성의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uppet drama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nd creativity abiliti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 puppet drama activities have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Second, what effects do puppet drama activities hav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sisted of 40 young children aged five who attended I kindergarten in G metropolitan city. The selected two classes were respectively distribut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uppet drama activitie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measure were administered in the sam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verification with SPS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uppet drama activities evaluated young children's ability of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developed significantly sub-categorized items like the number of a simple sentence, number of a compound sentence, number of modifier except number of a compound sentence. Second, puppet drama activities meaningly evaluated young children's creativity. It also made an progress in sub-categorized items such as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elaborateness, closure, etc. As a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uppet drama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김세루(Kim Se-Ru),홍지명(Hong Ji-Myeong),홍혜경(Hong Hae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10개소의 만 5세 반 어머니 189명과 그들의 유아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연구자가 유아와 일대일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이들 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정적상관이 나왔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하위영역인 반응성, 합리적 지도, 애정성 순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왔다. 그러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부적상관이 나왔다. 한편 자아존중감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변인이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임을 밝혔으며, 부모교육 및 유아들의 자아존중감 교육에 시사하는 바 크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 among mother's behavior toward rearing, mother's rearing-stress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consisted of 189 five-years-old children and their mother.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r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behavior toward rearing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rear-stress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Third, mother's behavior toward rearing and mother's rearing-stress are reliable predictors of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indicate that we need to actively develop programs to increas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through parent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