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주의의 형성과 전개 : 고전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기철(Gi-Cheol Han) 한국도덕교육학회 2016 道德敎育硏究 Vol.28 No.3

        이 연구는 ‘인문주의’라는 용어와 그것이 추구하는 이상을 고전주의적 맥락을 참조하여 교육사상사적 관점에서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먼저 우리말 ‘인문주의’의 원어에 해당하는 서양어 ‘휴머니즘’이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는지, 그리고 한자어 우리말 ‘인문주의’는 또 어떤 과정을 통해서 ‘휴머니즘’의 번역어로 쓰이게 되었는지에 대한 논의로부터 시작한다. 인문주의라는 역사학적 개념은 원래 14세기 이후 르네상스 시대 유럽의 이념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었지만, 그 내용들은 사실 고대 헬라스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 그리고 공화정 말기 고대 로마 시대를 포함해야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연구자는 특히 기원전 1세기 로마 학자 키케로가 ‘후마니타스’라는 말을 사용할 때 지녔던 문제의식에 주목하고 그것을 토대로 인문주의와 인문학의 이념이 형성되고 전개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This study aims at discussing historically the concept of ‘Humanism’, its ideals and the etymological origin, in the classical context. The study begins from investigating the term ‘humanism’ itself or its German term ‘humanismus’, with the issues of who began to use it, when and in what context it began to be used. The author also discusses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word by referring to the Chinese classical text, Iching―The Book of Changes. The word ‘humanism’ was for the first time used by German scholars in order to point the Renaissance Italy, and yet it cannot be fully understood until we go back as far as to the 5th-4th century BC Ancient Greece, the Hellenistic era, and the first century BC Ancient Rome. The study puts special focus on the Sophists and Socrates because they were the main figures who transferred the themes of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from natural world to ‘human life’ which the author regards as the root of humanism. Also is Cicero a specially important figure in that he was the successor of Socrates in viewing the main purpose of academic study as living the human life well, and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 as growing excellent orators.

      • KCI등재
      • KCI등재

        차례 : ``가르치기 어려움``의 의미와 그 극복을 위한 제언

        한기철 ( Gi Cheol Han ) 한국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in school classrooms of Korea have become much more severe than before, to define what it means to say that it has become much more difficult today than before to teach in school, to investigate why it is so, and to search for ways to solve the problem. Since the word ``teching``, like ``education``, is used very widely, it is necessary to define its meaning, especially in academic discussions. The author defines the meaning of ``being difficult in teaching`` as that the school teache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teaching their students. The most important reason of the problem is diagnosed as the collap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in classroom, which could result in the collapse of the whole system of school communities. To alleviate the situation and further to improve it, the author suggests that philosophers of education go forward much more actively to communicate with ordinary people their ideas about the right ways to teach and educate children, and strengthen the solidarity with them in order to get over with the environment of the limitless competition that characterizes the contemporary educational system of Korea.

      • KCI등재
      • KCI등재

        16-7세기 서양 교육사상 탐구 경향에 대한 비판적 논의: 휴머니즘과 리얼리즘을 중심으로

        한기철 ( Gi Cheol Han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6 No.-

        이 논문은 16-7세기 서양교육사상의 흐름을 세 단계 리얼리즘의 단계적 발전 과정으로 서술하고 있는 Ellwood P. Cubberley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쓰인 것이다. 논의 대상이 되는 Cubberley의 관점은 다음 네 가지 질문으로 제시된다. 첫째, Cubberley가 16-7세기 교육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리얼리즘`이라는 용어는 어떤 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둘째, 르네상스 이후 교육사상의 흐름을 인문주의적 리얼리즘, 사회적 리얼리즘, 감각적 리얼리즘의 세 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발전해 가는 과정으로 파악하는 것은 올바른 관점인가? 셋째, 16세기 인문주의적 리얼리즘과 사회적 리얼리즘을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상반되는 사상으로 파악하는 것은 올바른 관점인가? 넷째, Johann Amos Comenius로 대표되는 17세기 감각적 실물주의를 16세기 비판적 인문주의자들의 사상을 계승한 것으로 보는 것은 올바른 관점인가? 연구자는 이 네 가지 질문을 차례대로 검토한 후 이 시기 교육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그것은 첫째, Cubberley가 인문주의적 리얼리즘, 사회적 리얼리즘으로 분류한 John Milton이나 Michel de Montaigne 등의 사상은 르네상스 인문주의와의 단절 위에 새로 시작된 사상이 아니라, 넓게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사상적 테두리 속에 포섭될 수 있는 사상이라는 것과 둘째, Cubberley가 감각적 리얼리즘이라고 지칭한 Comenius의 사상은 인문주의적 리얼리즘과 사회적 리얼리즘이 발전해서 형성된 사상이라기보다는 그것과 계통을 달리 하는 사상적 흐름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논문의 말미에서 연구자는 이 두 가지 관점을 발전시키기 위한 과제로서 국내 교육학계에서 르네상스 인문주의에 대한 보다 철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과 Francis Bacon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This essay critically investigates the way in which Ellwood P. Cubberley describes the educational ideas of the 16th and the 17th century Europe in his renowned book, The History of Education published in 1948. Cubberley`s points examined are formulated as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First, what does the term `realism` that Cubberley uses to explain the 16th and the 17th century educational ideas exactly mean, in what way is it used by him? Second, is it the right way to see the movement of the 16th and the 17th century educational ideas as a gradual progress or development of three stages as Cubberley does-humanistic realism, social realism, and sense realism? Third, is it right to regard `humanistic realism` and `social realism` as opposed to renaissance humanism? And fourth, is it right to regard the 17th century `sense realism` represented by Jahann Amos Comenius as one that succeeded to the ideas of the 16th century critical humanists? These four questions are investigated in order and then the author proposes an alternative view for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ideas of these centuries. It is firstly that the ideas of John Milton and Michel de Montaigne and others that are classified by Cubberley as humanistic realism and social realism respectively are not so much new ideas separated from the renaissance humanism as those that can be subsumed in the category of renaissance humanism; and secondly that the ideas of Comenius that Cubberley calls `sense realism` is not so much an idea that succeeded and developed humanistic realism and social realism as that which should be regard as one that developed in a different tradition from those `realisms`. At the end of the essay, the author suggests that in order to develop this new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deeply the educational ideas of the renaissance humanism and further the ideas of Francis Bacon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프랙티스: 허스트 교육이론의 재조명

        한기철 ( Gi Cheol Ha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허스트(P. H. Hirst)의 후기 교육이론을 그것의 핵심 개념으로 간주되고 있는 프랙티스(practices)를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후기 허스트의 관점은 전기 허스트에 대한 비판에서 나온 것이므로, 우선은 논문의 초반부에서 지식의 형식들 개념을 기반으로 기술된 전기 허스트의 이론을 먼저 검토하고 그것의 어떤 점이 허스트 스스로에 의해 부정되는지를 확인한다. 그 후에 프랙티스 개념을 기반으로 형성된 후기 허스트의 관점이 전기의 그것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 허스트에게 그 전환의 동기를 제공한 것은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한다. 논문의 종반에서는 후기 허스트의 프랙티스 개념을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적 개념과 연결시켜 이해하는 일의 난점과 함께 그것으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개념적 혼란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후기 허스트의 전반적인 관점을 재구성한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examine the late educational theory of P. H. Hirst focusing on the concept of ``social practices``. Since Hirst`s late view came from criticizing his own early view, the essay firstly reviews Hirst`s early view that is based on the conception of the forms of knowledge and then identifies what he himself denies in the conception. Later the essay analyzes how his educational ideas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practic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his early days, what motivated him to change his positions about the roles of theory and its relationship with practices. At the end of the essay, some important difficulties are discussed about the ideas that connect the late Hirst`s view with the Aristotelian ethical concepts, and finally the essay tries to reconstruct the general features of the late Hirst`s perspective.

      • KCI등재

        수사학 교사 이소크라테스의 교육사상 연구

        한기철(Han Gi cheol)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3

        이 논문은 기원전 4세기 아테네 수사학 교사 이소크라테스의 교육사상을 재발견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이소크라테스의 교육연설문 두 편-『소피스트들에 대하여』와 『안티도시스』-을 통해 그의 교육사상을 때때로 동시대 경쟁자였던 플라톤의 그것과 비교하면서 분석한다. 제Ⅱ장에서는 이소크라테스가 당대 한 사람의 소피스트였다는 점을 주목하여, 기원전 5세기 아테네 사회에서 활동했던 소피스트들의 사상을 절대적 지식에 대한 회의주의적 관점과 상대주의적 지식관을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검토한다. 제Ⅲ장에서는 이소크라테스 자신이 당대 다른 소피스트들에 대해서 갖고 있었던 비판적인 생각들을 『소피스트들에 대하여』를 통해서 정리한다. 이소크라테스는 이 연설문에서 두 부류의 교사, 곧 윤리학 영역에서 공론만을 일삼는 논쟁주의자 교사들과 소위 정치연설의 기법을 가르친다고 공언하는 수사학학교 교사들을 비판한다. 그리고 제Ⅳ장에서는 지식이라는 것, 그것을 다루는 철학이라는 것, 그리고 그것을 통한 교육이라는 것에 대해서 이소크라테스가 보이고자 했던 생각들을 『안티도시스』를 통해서 분석한다. 이소크라테스의 시각에서 보면 '말을 잘 하는 것'은 모든 문화와 교육의 원천이 된다. 그는 수사학적 능력, 곧 훌륭한 연설을 행하는 능력을 인간에게 허용된 건전한 이해와 판단의 능력을 입증하는 지표로 본다. 한 영혼이 탁월성과 성실성을 지니고 있다는 말은 곧 그가 진실되고 적법하며 정의로운 담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말과 같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iscover the educational ideas of the Athenian rhetoric teacher, Isocrates, on the basis of his two discourses, "Against the Sophists" and "Antidosis". In chapter 2, the author analyzes the philosophical ideas of the people who were called the 'sophists' in the 5th century Athene in that Isocrates was himself a sophist. The focus is made on how those teachers thought about the view that there is an absolute knowledge about absolute beings, and what they argued about the relativity of kowledge, In chapter 3, the author investigates how Isocrates speaks about other sophists of his days. He blames those corrupted and degenerated teachers who, on the one hand, were called the 'eristics' in the field of ethics and, on the other hand, claimed to teach every technique by which to win the opponent in the court. These sophists are the one who gave the corrupted image to the honorable name, 'sophist'. And in chapter 4, what Isocrates argues about the knowledge that humans can have, the discipline called 'philosophia' that studies about it, and the education through this discipline is analyzed. From Isocrates' view, excellent speech is the fountainhead of all cultures and education. He regards the ability of speech as the indicator of sound understanding and judgment owned only by humans. He argues that one who possesses excellence and faithfulness is one who has the ability to make faithful, just, and legally proper speeches.

      • KCI등재

        철학의 본래 의미와 교육철학의 성격

        한기철(Han, Gi-Cheol)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3

        이 논문의 목적은 교육철학의 가장 기본적인 성격을 철학의 본래 의미에 비추어 연구자 나름으로 정의하는 데 있다. 교육철학을 교육이라 불리는 인간 활동에 대한 철학적 탐구라고 할 때 우리는 그 방법의 측면, 곧 철학적 방법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교육이라는 활동은 그 어떤 객관적 실체로 먼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탐구하는 철학적 방법에 따라 달리 규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철학'을 고대희랍적인 의미에서의 '필로소피아'로 한정 짓고 그것이 처음 시작될 때 사람들이 가졌던 문제의식, 곧 그것은 그 이전의 신화적 사고와 어떻게 구별되었는지, 최초의 자연철학으로부터 기원전 5세기경 그 탐구 대상이 인간의 삶으로 확장될 때 그것의 핵심 개념으로서의 '아레테'는 무엇을 의미했는지, 그리고 현대적인 의미에서 아레테를 한 활동의 내적 목적으로 해석하는 일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분석적으로 탐색할 것이다. 논문의 말미에서는 교육철학이 '교육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대한 탐색이라고 할 때 이 질문은 기본적으로 어떤 성격을 지니며 그것을 탐구할 때 기본적으로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들을 결론을 대신해서 서술할 것이다. This essay investigates a basic purpose of philosophy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al meanings of philosophy. When we conceive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a philosophical inquiry about the human activities called education, it is quite necessary that we study its method, namely the philosophical method in terms of when it was started, where and by whom, etc. This is because 'education' is never a predetermined substance that exists prior to our inquiry but something determined by our various philosophical methods. In this essay the author regards philosophy as a discipline originated from the ancient Greek 'philosophia' and investigates what was the problem of the early natural philosophers, how it differed from the previous 'mythical thinking', how it extended into the wider human concerns that needed the philosophy not only of natural phenomenon but also of human conduct in the 5th century BC, what was the meaning of the core concept of 'arete' in the philosophy of human conduct, and how we can interpret it in a rather analytic way as the internal meaning or purpose of an activity in modern terms. At the end of the essay, the author discusses what ar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 'What is education?', and what we should have in mind in studying this question as a question of philosophy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