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velopment of Human Factors Evaluation System for Car Navigation System

        차두원,박범,Cha, Doo-Won,Park, Peom 대한산업공학회 1999 산업공학 Vol.12 No.2

        This paper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detailed structure of Navi-HEGS (Navigation system Human factors Evaluation and Guideline System) which has been developed for the human factors and HMI(Human-Machine Interface) researches for a CNS (Car Navigation System) and a digital map. Navi-HEGS is and integrated system that consists of a digital map UIMS(User Interface Management System), a CNS simulator, various evaluation tools, and a design guideline system. If Navi-HEGS is properly applied and utilized,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substantial users requirements and preferences of a CNS and a digital map and then, these requirements can be simulated and evaluated with various human factors evaluation techniques. Applications of Navi-HEGS can improve the CNS usability, drivers safety and performance that directly affect the success of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Also,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standards and design guidelines for the driver-centered CNS design.

      • 광양 백운산 고로쇠나무 재배지의 식물상 및 식생 특성

        차두원 ( Doo-won Cha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고로쇠나무(Acer pictum Thunb. var. mono (Maxim.) Maxim. ex Franch.)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육 특성은 비옥적윤한 계곡부에 주로 생육하며 내한성이 강한 중용수로 알려져 있다. 고로쇠나무의 용도는 가구재, 악기재, 건축재 등 목재로 활용되었고 수액을 뼈에 좋은 물(骨利水)이라 하여 음용수로 이용하고 있다. 광양 백운산 고로쇠나무 재배지는 해발 280-700m, 경사 15-45°의 험준한 산간지역에 입지해 있으며 계곡부를 따라 분포하는 자생지와 사유림을 개간하여 만든 후계목 조성지에서 수액 채취, 산채류재배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오래전부터 주민들이 물표권(고로쇠를 채취할 수 있는 권리), 추첨제, 윤번제 등의 자치규약을 운영하고 있으며 내용에는 수목 상태 점검, 산림보호, 불법채취 금지 등이 포함되어 있어 산림생태계 보전과 생물 다양성 증진의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광양 백운산 고로쇠나무 재배지를 대상으로 식물상 및 식생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광양 백운산 고로쇠나무 재배지만의 생물다양성을 규명하고 향후 보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의 식물상 및 식생 조사는 2020년 10월부터 2021년 8월까지 계절별로 진행하였다. 이 중 식생 조사는 고로쇠나무 군락지(자생지, 후계목 조성지)를 대상으로 10m×10m(100㎡) 크기에 방형구를 설치하여 11개의 조사구에서 식물군집구조 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식물상의 경우 분류군별 현황, 생활형, 희귀식물, 한국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귀화식물 등, 식생은 TWINSPAN에 의한 군락 분류, 상대우점치(Importance Value)와 평균상대우점치(Mean Importance Value), 종다양성지수, 유사도지수 등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광양 백운산 고로쇠나무 재배지에서 출현한 식물 분류군 수는 88과 208속 280종 22변종 4품종 4아종 총 31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생활형은 반지중식물(H)이 가장 높으며 지중식물(G)>미소지상식물(N)>1년생식물(Th)>소형지상식물(M)>대형지상식물(MM)>반지표식물(Ch)>수생식물(HH) 순으로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7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43분류군, 귀화식물은 8분류 군으로 확인되었다 식생은 TWINSPAN을 통해 군락을 분류한 결과 총 4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군락Ⅰ-Ⅳ까지 고로쇠나무 군락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군락Ⅰ은 교목층에 고로쇠나무, 아교목층에 당단풍나무, 관목층에 매화말발도리가 우점하고 있다. 군락Ⅱ는 교목층에 고로쇠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층은 당단풍나무, 사람주나무, 비목나무가 경쟁관계에 있다. 관목층은 매화 말발도리가 우점하고 있다. 군락Ⅲ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고로쇠나무, 관목층에 초피나무가 우점하고 있다. 군락Ⅳ는 교목 층과 아교목층에 고로쇠나무, 관목층에 음나무가 우점하고 있다. 종다양성지수의 경우 종다양도는 고로쇠나무 군락Ⅱ(1.1240), 균재도는 고로쇠나무 군락Ⅱ(0.7537), 우점도는 고로쇠나무 군락Ⅳ(0.4168)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고로쇠나무 군락Ⅱ는 고로쇠나무 자생지로 보전 상태가 양호하여 상ㆍ하층의 종 구성이 다양한 반면 고로쇠나무 군락Ⅳ는 고로쇠나무 후계목 조성지로 교목ㆍ아교목층에 고로쇠나무 밀도가 높고 하층 관리가 심하여 종 구성이 단순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유사도지수는 고로쇠나무 군락Ⅰ과 군락Ⅱ가 66.67%로 높게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침입외래식물 특성 연구

        차두원 ( Doo-won Cha ),윤다움 ( Da-um Yun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침입외래식물은 비의도적인 경로를 통해 국내에 유입된 외래식물로 인간의 관리 안에서 자라는 식물이 아닌 자연지역에 출현하여 자생식물의 생육지를 점유하는 식물이다. 국내에 유입된 침입외래식물은 전체 37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의 생육 환경은 정주지 주변, 도로변, 절개지, 건설부지, 매립지, 산림 주연부, 도시하천 등 인간 간섭이 잦은 교란 지역에서 주로 출현한다. 특히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는 각종 도시개발과 인구 밀집, 열섬, 녹지 및 수변지역 훼손 등 도시 환경문제로 인해 침입외래식물의 신규 종 출현 가능성과 확산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개발, 이용객 증가 등 인위적 훼손 요인에 노출된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17개소를 대상으로 침입외래식물의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생태적 보전·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인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전가치가 있는 지역을 자연환경보전법, 서울시 자연환경보전조례에 의거하여 지정, 관리하고 있다. 서울시 생태·경관보전 지역 지정 현황으로 청계산 원터골의 습지성 낙엽활엽수림, 불암산 삼육대의 서어나무림, 봉산의 팥배나무림, 인왕산의 소나무림, 관악산의 회양목자생지, 창덕궁 후원의 갈참나무림, 남산의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 등 산림 7개소, 탄천, 성내천 하류, 한강밤섬, 암사동, 고덕동 등 하천 습지 5개소, 둔촌동, 방이동, 진관동, 헌인릉 등 소택형 습지 4개소, 백사실계곡 등 산림 계곡 1개소로 총 17개소이다. 연구대상지 식물상 조사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동안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17개소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은 분류군별(침입외래식물) 현황, 생활형, 원산지, 이입시기, 확산등급, 귀화율 등 침입외래식물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 중 귀화율은 전체 종 수에 대한 귀화식물의 종 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에 분포하는 전체 식물 분류군 수는 133과 475속 89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서울시 관속식물 1,996분류군의 44.8%에 해당된다. 대상지별 식물 분류군 수는 헌인릉>고덕동>탄천>진관동>방이동>한강밤섬>둔촌동>남산>창덕궁후원>관악산>성내천 하류>봉산>인왕산>청계산 원터골>암사동>불암산 삼육대>백사실계곡 순으로 분석되었다. 침입외래식물 전체 식물 분류군 수는 35과 85속 117분류군이며 대상지별로 탄천>한강밤섬>고덕동>암사동>성내천 하류>방이동>진관동>봉산>관악산>둔촌동>헌인릉>창덕궁후원>인왕산>남산>백사실계곡>불암산 삼육대>청계산 원터골 순으로 분석되었다. 대상지별 큰 차이 없이 침입외래식물의 생활형은 1년생식물과 2년생식물이 높게 나타났다. 원산지는 아메리카, 유럽-아프리카, 유럽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입 시기는 3기(1962년-현재)가 가장 높았다. 확산등급은 서울을 포함한 전국적으로 넓게 분포하는 종(5등급)이 다수 출현하였다. 귀화율은 탄천>암사동·한강밤섬>성내천 하류>봉산·고덕동>방이동·관악산>진관동>인왕산>백사실계곡>창덕궁후원>둔촌동>남산>헌인릉>불암산 삼육대>청계산 원터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탄천, 암사동, 한강밤섬의 경우 물리적인 교란으로 인해 귀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헌인릉, 불암산 삼육대, 청계산 원터골은 자생종 수가 많고 숲 내부 교란이 적어 귀화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 밖에도 비누풀, 미국큰고추풀, 길뚝개꽃, 양재금방망이, 물상추, 큰개사탕수수 등 잠재적 확산종(1등급)에 해당되는 식물과 미국좀부처꽃, 땅꽈리, 털까마중 등 남방계 침입외래식물이 해당 지역에서 신규 출현 종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국가중요농어업유산 의성 전통수리농업시스템 소류지의 식물상 및 분포 특성

        차두원 ( Cha Doo-won ),위사양 ( Wei Si-yang ),이준영 ( Lee Jun-young ),오충현 ( Oh Choong-hyeo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21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 Uiseong Traditional Irrigation Agricultural System by identifying plant diversit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e total number of plant taxa was identified as 88 families, 250 genera, 368 species, 7 subspecies, 9 varieties and 384 taxa. In the case of life form, the domancy form was in the therophytes(th), the radicoid form was a R5(monophyte), the disseminule form was the gravity D4(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and the growth form was the erect form was high. The number of plant taxa by land use type was higher inmountainous type reservoirs and plain type reservoirs than other land use types. The distribution of plants by land use type according to the hemeroby grade was plantation in the case of 3 grade(meso-hemeroby) forests, and the understory were mainly photophilic plants.With 4 grade(β-euhemeroby), traditional cemetery, plain type reservoirs, mountainous type reservoirs, stream, and rice terraces are areas with relatively low intensive management and have a wide variety of flora, whereas 5 grade(α-euhemeroby) orchard were mainly distributed with ruderal plant due to high intensive management. As for the number of plant taxa by reservoirs, theWisgol pond in the case of plain type reservoirs, Ungok pond was high in mountainous type reservoirs. The protected species were rare plants 2 classification groups of Vulnerable(VU) species, 4 classification groups of Least Concrned(LC) species, 1 classification group of Data Deficient(DD) species, 5 classification groups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49 classification groups of invasive alien plants, and the total naturalization index was 12.2%.

      • KCI등재

        남한산성 성벽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차두원 ( Cha Doo-won ),최동석 ( Choi Dong-suk ),김지석 ( Kim Ji-su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남한산성 성벽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 조사, 분석을 통해 남한산성 성벽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향후 남한산성성벽 식물 보존 및 관리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한산성 성벽에 분포하는 전체 식물 분류군 수는 77과169속 222종 5아종 19변종 3품종으로 총 249분류군이었다. 생활형은 반지중식물의 출현 비율이 높았으며 희귀식물은 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5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전체 15분류군이며 Ⅳ등급 1분류군, Ⅲ등급 3분류군, Ⅱ등급 2분류군, Ⅰ등급 9분류군이었다. 이 중 병아리풀은 식물구계학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Ⅳ등급으로 본 대상지 이외에 추가 서식이 확인되지 않은 점으로보아 경기도 일대에서 최초의 기재이다. 암벽식생으로 확인된 식물은 2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침입외래식물은 2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흰진범, 자주조희풀, 큰꿩의비름, 병아리풀 등 남한산성 성벽에 분포하는 식물은 성벽 유실, 침입외래식물 확산, 인간 간섭 등으로 인해 종 · 개체수 감소가 우려되므로 보존 및 관리 조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mhan Mountain Fortress Walls vascular plants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Namhan Mountain Fortress Walls and to provide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a plan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mhansanseong Fortress Wall vascular plants.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249 taxa composed of 77 families, 169 genera, 222 species, 5 subspecies, 19 varieties and 3 forms. In terms of life form of Namhan Mountain Fortress Walls, the appearance rate of Hemicryptophytes(H) was high. Rare plants was 1 taxa and Korea endemic plants was 5 taxa. The total number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was 15 taxa, gradeⅠ 9 taxa, gradeⅡ 2 taxa, gradeⅢ 3 taxa, gradeⅣ 1 taxa. Among them, Polygala tatarinowii Regel is considered to the most important(gradeⅣ), and it is first description because in Gyeonggi-do, as no additional forms have been confirmed other than this site. Plants identified as rock vegetation were found in 21 taxa. Invasiv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20 taxa. Plants distributed on the walls of Namhan Mountain Fortress, such as 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Clematis heracleifolia DC. var. tubulosa (Turcz.) Kuntze, 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Ohba and Polygala tatarinowii Regel etc, are feared to decrease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due to the loss of walls, the spread of invasive alien plant and human interference, so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are needed.

      • 완주 생강 전통농업지역의 육상곤충상

        차두원 ( Doo-won Cha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2 No.1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 서식지 감소, 빛 공해, 화학물질 오염 등이 심각해지면서 곤충 종·개체수의 주요 감소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중 화학물질 오염은 농촌지역에서 주로 발생되며 농약, 제초제 사용 등으로 인해 곤충종·개체수 감소, 생물학적 관계 등 부정적 영향 초래 및 농경지 내 곤충다양성 감소를 더욱 가속화시켰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농약·화학비료 사용 저감, 천적 방제, 생물농약 사용 등 농촌 생태계 건강성 회복과 농업 생물다양성 보전을 고려한 유기농업과 전통농업 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연구대상지인 완주 생강 전통농업지역은 완주군 봉실봉(372m) 자락의 구릉지대와 고산천 평야지대에 입지하며 고온다습한 기후, 비옥한 토양, 배수 양호 등 생강 재배환경의 조건을 고루 갖추고 있다. 또한 완주 생강 전통농업지역은 농법 과정 중 이랑에 생강을 파종한 후 볏짚, 갈잎(참나무류), 솔잎(소나무류) 등을 활용하여 이랑을 피복하는 생강풀덮기, 생강 씨종자를 겨우 내 저장·보존하기 위한 온돌식생강토굴 등 독특한 농업방식이 전승된 점에서 보존가치가 높아 2019년 제13호 국가중요농어업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선행 연구의 경우 완주군 생강산업 현황 및 농가실태(장동헌 등, 2017), 완주 생강 전통농업시스템 에코뮤지엄과 관광지 개발(박경숙과 임근욱, 2019) 등 완주 생강의 경제성과 상품성의 현황에 대해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나 생강 재배지 내 서식하는 식물, 육상곤충 등 생물다양성 연구는 시도 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완주 생강 전통농업지역을 대상으로 육상곤충상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완주 생강 전통농업지역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의 육상곤충상 조사 기간은 2021년 9월과 10월에 수행하였으며 조사 장소는 봉동읍과 고산면을 대상으로 멀칭 재료, 관리 강도 유무에 따라 전통농업지, 유기농업지, 관행농업지로 구분하였다. 조사 방법은 육안조사법, 쓸어잡기법(sweeping)을 병행하였으며 분류 및 동정의 경우 각종 분류군별 도감을 참고하였다. 분석은 전체 분류군 및 농업유형별 분류군 현황, 한국고유종·외래종 및 생태계교란 야생생물 등 특이종, 우점종·Shannon의 종다양도·균둥도·우점도 등 군집 순으로 진행하였다. 완주 생강 전통농업지역의 육상곤충 전체 종 수는 12목 52과 105종 1,268개체로 확인되었다. 농업유형별 전체 종수는 전통농업지의 경우 10목 40과 77종 674개체, 유기농업지 8목 37과 51종 144개체, 관행농업지 9목 23과 34종 450개체로 확인되었다. 전체, 농업유형별 모두 경작지 특성상 노린재목이 가장 우세하였다. 특이종은 한국고유종 15종, 외래종 및 생태계교란야생생물 1종으로 확인되었다. 군집 분석 결과, 완주 생강 전통농업지역의 우점종은 홍색얼룩장님노린재(25%), 아우점종은 애긴노린재(22.7%)로 확인되었다. 농업유형별로는 전통농업지의 경우 우점종은 애긴노린재(28%), 아우점종은 끝동매미충(14.8%)으로 확인되었다. 유기농업지의 경우 우점종은 애긴노린재(14.6%), 아우점종은 산바퀴·각시장님노린재·흰띠명나방(각 6.9%)으로 확인되었다. 관행농업지의 경우 우점종은 홍색얼룩장님노린재(55.8%), 아우점종은 애긴노린재(17.3%)로 확인되었다. 산바퀴를 제외한 홍색얼룩장님노린재, 애긴노린재, 끝동매미충, 각시장님노린재, 흰띠명나방 등 경우 초지, 경작지에 흔히 서식하는 일반적인 종이다. 종다양도는 1.4738-0.7820, 균등도는 0.8631-0.5106, 우점도는 0.4894-0.1369의 범위로 나타났다. 유기농업지의 경우 전통농업지, 관행 농업지에 비해 개체수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어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악교정 수술환자의 술전후 하악운동 양상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백상흠,장현중,이상한,김현수,차두원,Baek, Sang-Heum,Jang, Hyun-Jung,Lee, Sang-Han,Kim, Hyun-Soo,Cha, Doo-Won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7 No.3

        저자는 1999년 6월부터 2000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하악골 후퇴를 위해 SSRO 혹은 LeFort I 골 절단술을 동반한 SSRO를 시행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후 1개월, 술후 6개월에 각각 MKG를 이용하여 하악운동량 및 양상을 조사하고 이를 몇 가지 요소에 따라 군으로 나누어 계측치를 측정, 연구한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 성별에 따른 두 군 사이에서, 좌측운동량의 변화 및 최대 개구속도의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그 외의 항목은 차이가 없었다. 2. SSRO만을 시행 받거나 혹은 LeFort I을 동반하여 SSRO를 시행받을 경우, 수술방법에 따른 하악운동량의 변화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하악골이동량에 따른 세 군에서 각 군사이의 하악운동량의 변화는 좌측 측방운동량에서는 $6{\sim}10mm$의 이동군이 가장 우수하였으며(p<0.05), 그 외의 항목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4. 하악골의 개폐구 양상은 전두면 상에서 술전이 복잡편향형, 단순편향형, 복잡편위형, 단순편위형, 직선형 순이었고 술후 1개월에서는 단순편향형, 단순편위형, 복잡편위형, 직선형, 복잡편향형 순이며, 술후 6개월에서는 술전과 같은 순서였다. 또한 시상면상에서는 술전에 비일치형이, 술후 1개월에서는 일치형이 술후 6개월에서는 다시 비일치형이 우세하였다. 5. 술전 관절증의 증상유무에 따른 두 군사이의 하악운동량의 변화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 6. 과두재위치장치를 적용한 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에서, 두 군사이의 하악운동량의 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7. 술전 관절증이 있었던 환자중 술후 관절증의 완화가 나타난 경우가 63% 였으며, 과두재위치장치를 적용하지 않은 군에서 술후 관절증의 완화가 더 유의성있게 나타났다(p<0.05).를 보였으며 복합 레진은 유의차가 없었다. 상악 견치 (8%), 하악 제 1소구치 (5%) 순이었다. 10. I군에서 추정되는 낭의 발생 원인으로는 치수절단술을 받은 유치가 59.2%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심한 우식 및 치료 받지 않은 외상 병력등 기타 가능한 원인들이 있었다. 11.함치성 낭의 치료법으로는 I군의 경우 61.2%에서 조대술이 시행되었고, II군과 III군의 경우 61.1%, 80.0%에서 적출술이 시행되었다.mH I처치시 SM1과 SM2는 4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어 같은 양상을 보였고, GS톤의 경우는 3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었다. Kpn I, Sma I, Xho I 그리고 Pst I에는 절단되지 않았다.s subsp. salicinius와 유전자 유사치가 99.60%, 99.73%를 보여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된 유산균 중 과산화수소를 분비하여 인공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적으로 낮은 수축률과 우수한 물성을 보였으며, 나노필러를 사용한 복합레진의 경우, 기존의 hybrid 필러를 이용한 레진에 비하여 수축응력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나노필러를 이용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the factors which could be influenced by orthognathic surgery especillay SSRO. We measured the amounts of the maximum opening, lateral movements, maximum velocity and pattern of mandibular path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mandible at the following times ; preoperative, 1 month after operation, 6 months after operation respectively using MKG.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categorized subgroup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change of the amounts of mandibular lateral movement and maximum opening velocity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p<0.05), but the others were not. 2.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mandibular movements between the group of SSRO and SSRO plus LeFort I osteotomy (p>0.05). 3. According to the amounts of mandibular movement, the recovery of left lateral movement of the group of $6{\sim}10mm$ was better than the other groups (p<0.05). 4. In the frontal patter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ndible, the complex deflected type (F5), simple deflected type (F4), complex deviated type (F3), simple deviated type (F2), straight type (F1) were obtained in order at the time of preoperative, simple deflected type, simple deviated type, complex deviated type, straight type, complex deflected type in order at the time of 1 month after surgery, and the result at the time of 6 months after surgery was the same with that of the time of preoperative. In the sagittal pattern, non-coincident type (S2) was predominant at the time of preoperative, and coincident type (S1) was predominant at the time of 1 month after surgery. After 6 months, the result was also the same with that of the preoperative in sagittal pattern. 5. There was not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mandibular movement between group of presence of the preoperative TMJ symptoms and non-presence group (p>0.05). 6. There was not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mandibular movement between repositioning device applied group and non-applied group (p>0.05). 7. Sixty three percents of the patients who had preoperative TMJ symptoms were improved after surgery and preoperative TMJ symptoms were more improved after operation in the repositioning device non-applied group statistically (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