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제희선 ( Je Hui-seon ),박리나 ( Park Reen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담론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인성교육의 내용 및 실천과 관련된 비판적 사유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활용한 그림책 9권을 중심으로 Faircough의 담론분석을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서를 위한 통제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다. 둘째, 목적을 위한 협력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다. 셋째, 공존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으나 타인과 환경에 대한 대상화, 타자화 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넷째, 동질화된 주체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으며 이는 고정화된 주체에 대한 담론으로 확대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담론에 따라 인성교육이 다원적인 가치를 존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선회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인성교육을 위해 동화책을 사용하는 성인 역시 담론의 재생산자가 아닌 반응적인 청자로서 유아의 반응과 배움의 과정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aise critical thinking about the contents and practice of personality education by analyzing discourse focusing on picture books which are used in children’s personality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used Fairc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cused on 8 children' s books that were used in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scourse reveals that the individual has to conform to and follow the control. Second, discourse about the passive role of individuals for macro goals was revealed. The value of cooperation is a priority rather than individual voluntary and free negotiation. Third, uniformity of subjectivity of elderly people and women appeared. Fourth, for the coexistence and co - operation, the discourse emphasizing the normalized and idealized standards was revealed, and separation and exclusion appeared if they did not meet these standar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urn personality education in a direction that respects the pluralistic value. Thus, the adult who mediates the picture book needs to listen to the reaction and learning process of the child as a responsive audience.

      • KCI등재

        한국의 영유아기 능력에 관한 인식의 변천연구 : 유아교육과정(1969~2019)을 중심으로

        제희선(Je hui-seon),한현정(Han h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아동관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유아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영유아의 능력이 구조화되어가는 문맥을 계보학적 접근으로 서술, 분석한 것이다. 영유아의 능력은 시대별로 권력과 지식의 관련 속에서 조건 지워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능력을 유아교육과정의 변천 속에서 국가, 과학, 평등을 둘러싼 힘의 역학관계로 재구조화하면서 다음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첫째, 초기의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영유아를 국가를 위한 인재로 규정하고 전체 인구조절의 계획 하에 건강한 신체를 가진 자로 양성하도록 하는 아동관이 형성되었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통계학, 예방학, 우생학 등 과학 규범이었다. 이를 통해 영유아기는 가정으로부터 벗어나 국가의 소국민으로 규정되기 시작했다. 둘째, 1980년대부터 유아교육과정에서는 과학적 증거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대학과 연구소는 영유아기 능력의 표준적 발달을 생산, 보급하는 에이전트의 역할을 담당했다. 이는 가정, 교사, 기관으로 전파되었는데 동일 연령 영유아에게 동일한 능력이 있으며 발달에 적기가 있다는 영유아에 대한 신념이 확대되었다. 셋째, 유아교육이 보편화됨에 따라 유아교육과정에서는 영유아기의 능력 개발을 교육기회 평등의 관점에서 조명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유아교육기관 팽창기에 전개된 기회 평등론은 영유아기 발달 능력의 동일성을 전제하여 결핍된 환경에 놓인 아동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 논리가 2000년대에는 경제적 인과관계로 변모하여, 영유아기의 투자를 성인기의 산출에 연관시키면서 모든 가정의 아이들에 대한 지원의 구도로 변천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능력에 대한 관점이 교육정책과 이를 지지하는 학문에 의해 형성되어왔음을 확인하였으며, 현재의 아동관 및 교육관에도 영향을 끼치는 신념을 상대화하고 재구성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 view of Korean society by describing the context in which young children’s competency is structured through the genealogical approach of kindergarten curriculum.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discourses. First, perspectives about childhood were formed to prescribe young children as talents for the nation and to educate them to have a healthy body under the plan of total population control. Second, since the 1980s, scientific evidence has begun to be taken seriously in the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gents in producing and distributing the standar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ompetency. This led to the belief that young children have the same amount of ability and they have the right time for development. Third, the equality discour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ated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the child in a deprived environment, presupposing the equality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ability. This logic has been transformed into economic causality in the 2000s.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the viewpoint of young children’s competency was formed by the policies and the supporting academic disciplines in the social context.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강점의 영향

        제희선 ( Je Hui-se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유아 자아존중감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강점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유아 179명을 상대로 교사가 자아존중감과 강점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군집분석을 통해 자아존중감의 양상을 살펴본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강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 집단은 요인에 따른 유형으로 구분되기 보다는 높낮이로 구분되는 특징을 가져 상위 자아존중감 집단, 하위 자아존중감 집단으로 나뉘었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 군집에 따라 모든 강점 영역에 차이가 있었으며 상위 자아존중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든 강점 영역의 점수가 높았다. 셋째, 상위 자아존중감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강점은 자연탐구, 활력 및 긍정성, 놀이 세 가지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유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서 이러한 강점들을 교육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필요성 및 행동적으로 드러나는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uster of self - esteem of young children and to identify the strengths of young children which have influence on self esteem cluster. For this purpose, Self - esteem and strength test were administered to 149 young children. After measuring these, self - esteem groups was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an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strengths of young children that have a effect on self esteem clust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lf - esteem group was divided into high self - esteem group and low self - esteem group.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all strengths according to the children’s self - esteem cluster, and the high self - esteem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in all strengths. Third, the children’s strengths influencing high self - esteem group were nature inquiry activities, vitality and affirmation, and play.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supporting these strengths was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the self - esteem of children in education field.

      • KCI등재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도구 개발 연구

        제희선 ( Je Hui-seon ),황해익 ( Hwang Hae-i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척도 시안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연구로 유아의 행동적으로 드러나는 자아존중감을 긍정심리학의 성품적 관점에서 관찰하고 문항및 준거를 개발하여 도구의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반 유아 170명 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델파이 연구를 통해 전문가 검증을 거쳐 개발한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3차의 델파이 과정을 거쳐 총 30문항이 개발되었으며 시안의 문항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신뢰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 관계, 자기가치, 성취, 자기책임의 네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최현미ㆍ신동주(2011)가 개발한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도구와의 유의미한 상관이 도출되었다. 또한 문항의 전체 신뢰도와 요인별 신뢰도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도출되었다. 시안의 평가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 반응분포와 상ㆍ하 집단간의 차이 값을 구한결과 응답이 극단적으로 치우치는 문항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모든 문항에서 상ㆍ하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평가양호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ssessment items and criteria geared toward having a teacher observe and rate the self-esteem of preschoolers that might be revealed in their behaviors. Delphi research was implemented to develop items and criteria. A Delphi panel was composed of five experts in theories of early childhood self-esteem, positive psychology and assessment and nine experts in teaching,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content adequacy and necessity of the item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and to suggest what modifications should be made. After the third survey was completed, the draft of early childhood self-esteem inventory was finalized. To check the item quality and test appropriateness of the draft, main survey was conducted on 170 five-year-old preschoolers in the city of Bu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As a result of mak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whose eigen value was above 1 were selected, which were respectively named relationship, self-value, achievement and self-responsibility. Also Cronbach alpha of this tool was .969. and concurrent validity between it and Choi Hyun-mi & Shin Dong-joo(2011)``s inventory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So the inventory turned out to be an inventory to make a valid assessment of preschooler self-esteem.

      • KCI등재

        유아의 강점에 대한 의미탐색

        황해익(Hwang Hae Ik),제희선(Je Hui Seon),채혜경(Chae Hye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에서는 유아와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강점을 비교하고 차이가 나타난 이유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강점을 산출하기 위해 표준화된 검사를 활용하였으며 유아가 인식한 자신 의 강점을 살펴보기 위해 유아와의 반구조화된 면담을 이용하였다. 이후 유아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강점을 비교한 후, 교사 면담을 실시하여 차이가 나타난 의미에 대해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와 교사는 강점을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 양면적 정서를 포함하는 것, 주관적 이유에 의해 발견되는 것, 내적 목표에 의해 정의되는 것 네 가지로 그 특성을 묘사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유아와 교사가 인식한 강점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결과도 있었다. 교사는 이러한 불일치에 대해 유아의 발달적, 성격적 특성과 양육 환경의 특성을 그 이유로 들었다. 또한 강점에 대한 인식과 정의 차이와 강점을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환경의 부제로 인해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밝혔 다. 이를 통해 유아의 강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표준화된 검사 이외에 유아의 의견과 목소리를 반영함으로써 강점 교육에서 유아를 중심에 둘 필요성이 In this study, we extracted the strengths of children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children, and examined the components of strengths for early childhood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children own s perception about strengths. For this purpose, the strength of the children was calculated using the standardized test tools used by the homeroom teachers and the strengths of the children were explored using semi - structured interviews with children. After the strengths of children recognized by chilren and homeroom teachers was compared, interviews with homeroom teacher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ause about their differences in strength recognition perceptions. The children and homeroom teacher described their characteristics as being defined by their inclusion of both ‘doing well thing’ and ‘favortie thing’, inclusion of ambivalence affect, found by subjective reasons, and internal goals. Second, the perceived strengths of the children and the homeroom teacher were partially identical but not all of them. The reason for this discrepancy is because of the development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and feature of e parenting environment. An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teacher s perception of strengths and the subtitle of the environment that supports to discover strengths is the reason to this result.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engths of childre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children’s in strength by reflecting own’s opinions and voices of children.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평가에 대한 이야기: 놀이에서 배움을 발견하는 평가를 위하여

        황해익 ( Hwang¸ Hae Ik ),제희선 ( Je¸ Hui Seon ),이은정 ( Lee¸ Eun 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5

        본 연구는 현장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 평가영역의 안착을 돕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학계 전문가 3인과 현장의 교직원 3인에게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과정에서 녹음된 내용을 전사하였으며, Creswell(2013/2015)이 제안한 나선형 방식을 활용하여 코드를 부여하고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는 참여자들은 첫째, 변화된 평가의 방향성으로 발달과 성취에서 유아의 놀이와 삶을 평가하는 방향으로의 전환과 위에서 주어지는 획일화된 평가가 아닌 교사가 현장에서 만들어 가는 평가로 변화해야 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평가의 실제에 있어서 유아의 특성과 시간에 따른 변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과 놀이를 위한 교사의 놀이 지원 과정을 평가의 내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평가의 방법으로는 교사에게 숙제와 같고 구조화된 양식에서 벗어나 쉽고 간소화 한 방법을 교사가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셋째, 지원방안으로는 원 구성원 간의 평가결과를 공유하는 환경 마련과 기관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기관평가 체계 구축, 평가를 돕는 전문적 교사학습공동체의 마련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ree academic experts and three faculty members in the field to prepare basic data to help establish the 2019 revised Nuri program at education site. During the interview, the recorded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codes were given and categorized using the spiral method proposed by Creswell (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direction of the renovated evaluation should change its focus from development and achievement, to the direction of evaluating children’s play and life. Moreover, it should preclude the unilateral evaluation directed from above, and progress into the evaluation made by the teacher in the field. Second, in the practice of eval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 degree of change over time, and the teacher's play support process for play were recognized as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In addition, as for the method of evaluation, it was considered important for teachers to voluntarily select an easy and simplified method. Third, as a support pla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a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 in which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ared among members. There was also a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that respects the institution's autonomy, and a professional teacher-learning community that would assist the evaluation.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이강훈 ( Lee Kang-hoon ),제희선 ( Je Hui-se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통해 유아창의인성에 대한 개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아 + 창의 + 인성’을 키워드로 rawDATA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2차 정제과정을 마친 데이터들 중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키워드 200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1-mode 매트릭스 데이터 셋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창의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서 ‘교육’, ‘프로그램’, ‘놀이’가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방법 관련 요인(놀이, 동화, 책, 독서, 숲, 상상, 생활, 생각, 통합), 교육내용관련 요인(창의성교육, 미술, 과학, 사회, 수학, 리더십, 창의력, 감성), 교육주체 관련 요인(유치원, 학교, 교사, 초등, 학생, 교육청, 센터), 교육원리 관련 요인(체험, 활동, 활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유아의 창의인성은 특히 교육, 프로그램, 놀이와 연관이 있었다. 이는 실제적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드러난 유아창의인성과 관련된 개념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based on big data. For this purpose, ‘young children + creativity + personality’ key words were used with big data Textom to collect the data.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words, 200 words were select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filtering processes, which were converted to 1-mode matrix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Concepts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had a common relation to ‘education’, ‘program’ and ‘play’. It also showed that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closely related to teaching method, content of education, subject of education and principles of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related to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exposed in actual data networks.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ways to support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살펴본 유아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황해익(Hwang, Hae-Ik),제희선(Je, Hui-Seon),이강훈(Lee, Kang-H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행복한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고 행복한 교직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와 G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담임교사 3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들은 “행복한 유아교사는 ______ 이다. 왜냐하면 ______이기 때문이다”라는 문장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처리를 수행하였으며, Excel 2014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결과를 작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는 정성적 분석(귀납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교차검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의 은유적 이미지에 기반하였을 때 294개의 은유와 3개 영역, 12개 범주의 주요개념이 범주화되었다. 또한, 연구대상의 경력, 연령 및 주요 개념 범주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에게 행복이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지를 검토해 보았으며, 유아교사의 행복한 교직생활을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obtain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he happy teaching career by investiga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through metaphor analysis. For this purpose, 350 homeroom teachers of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in South Korea,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nts completed the prompt “A happiness is like … because …” to indicate their conceptualizations of happines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procedure, and the results were compiled using Excel 2014 and SPSS 23.0 program. Specifically,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i.e., induc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ly (i.e., crosstabu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294 valid personal metaphors, 3 areas and 12 main conceptual categories, based on the participants’ metaphorical images, were identified.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among participants’ career, age and main conceptual categorie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give a chance to review what the meaning of happiness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ns for a happy teaching career.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황해익 ( Hwang Hae-ik ),이강훈 ( Lee Kang-hoon ),제희선 ( Je Hui-s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적 인식과 주제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자아존중감 이해 및 증진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유아 + 자아존중감’을 키워드로 rawDATA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2차 정제과정을 거쳐 추출단어 빈도를 바탕으로 키워드 200개를 선정하였으며, 1-모드 매트릭스를 작성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주제들은 유아의 내적변인과 관련된 키워드(능력, 정서, 행동, 학습, 행복, 발달, 긍정, 심리, 효능감), 외적변인 중 미시적 환경 변인(교사, 부모, 어머니, 친구)과 거시적 환경 변인(학교, 유아교육기관, 교육)과 관련된 키워드, 증진방안에 관련된 키워드(프로그램, 양육, 의사소통, 그림책, 놀이, 활동, 숲, 미술, 체험)로 나타나 유아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들이 논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거시적, 미시적 중심성 분석을 토대로 유아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후속 연구 및 증진방안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understanding and promot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by examining the overall social perception and theme of self-esteem of children through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raw data was collected with key words ‘children + self-esteem’, based on the Big Data provided by Textom. Based on the frequency of words, 200 words were selected after the first & second filtering processes, which were converted to 1-mode matrix.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related to the self-esteem of children were key words related to children’s internal variables (ability, emotion, behavior, learning, happiness, development, affirmation, psychology, efficacy), key words related to micro environmental variables (teacher, parent, mother, friend), macro environmental variables (schoo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education), and key words related to methods promoting self-esteem (program, parenting, communication, picture book, play, activity, forest, art, experience).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topics were discussed focusing on children’s self-esteem. Also, based on the macro-and micro-centric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a follow-up research on improvement methods related to the self-esteem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