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태권도 선수의 스포츠자신감, 성취목표지향성 및 정신건강의 관계분석

        효자(An, Hyo-Ja),김현미(Kim, Hyeon-Mi),이재운(Lee, Jae-Woon),김창모(Kim, Chang-Mo),하인숙(Ha, In-Sook),김공(Kim, Kong) 한국체육과학회 201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No.6

        This thesis aimed at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in sports, direction to accomplishment aims, and mental health that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had, and leaded the conclusion as following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in sports and direction to accomplishment aims, the proof of ability of confidence in sports, the factor of physical/mental prepar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ask aims of the direction to accomplishment aims; social backing of confidence in sports, the factor of physical/mental prepar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aim direction.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in sports and mental health, the model between two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that is a suitability. But, all of the factors such as speaking in detail, the proof of ability of confidence in sports, coaches’ leadership, social backing, and the factor of physical/mental preparation didn’t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t influence on subsidiary areas of mental health.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ion to accomplishment aims and mental health, direction to self-aims of direction to accomplishment aims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 influence on uneasiness. All of the direction to task aims and self- aims of direction to accomplishment ai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depression.

      • KCI등재
      • KCI등재

        후방 공군 병사의 의사소통, 회복탄력성, 정신건강이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효자(Hyo-Ja AN),배영주(Yeong-Ju Bae),조명숙(Myeong-Suk Cho),김은하(Eun-Ha Kim),김영옥(Young-Ok Kim),이영례(Young-Lye Lee),김정(Jeo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후방지역 공군 병사의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N 지역의 병사 160명이었다. 자료는 2015년 11월 16일부터 12월 11일에 수집되었고, 연구 도구는 군 적응, 의사소통, 회복 탄력성, 정신 건강이었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군 적응 평균 점수는 1.25점, 회복탄력성 평균 점수는 3.69점, 정신적 웰빙의 평균 점수는 2.98점, 정신장애의 평균 점수는 1.24이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나이,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진로에 대한 생각이 유의하 게 나타났다. 특히 병사들의 군 적응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상․하 인간관계와 주 상담원은 군내에서 동기가 많았다. 군 적응과 의사소통, 정신 장애는 유의하게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회복 탄력성, 정신적 웰빙은 유의하게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정신 장애와 비난형 의사소통 유형은 군 적응의 설명력 41%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병사들의 정신 장애와 비난형 의사소통 유형이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 장애와 비난형 의사소통 유형 관리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oldiers' military adjustment in the rear air for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160 soldiers in N city from Nov. 16th to Dec. 11th, 2015, using appropriate instruments to assess their military adjustment, type of communication,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and analyzed using IBM SPSS WIN 21. The mean scores for military adjustment, resilience, mental well-being and disorder were 1.25±0.33, 3.69±0.56, 2.98±0.94 and 1.24±0.36,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erceived health and future career.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djustment and placating, blaming and irrelevant communication and mental disorder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djustment and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Mental disorder and blaming communication accounted for 41% of the variance in the military adjust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oldiers' military adjustment is related to mental disorder and blaming communication.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주민으로 참여하기’ 과정 연구

        이형하(Lee, Hyoung-Ha),효자(An, Hyo-Ja),조원탁(Cho, Won-Ta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4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결혼 후 농촌지역에서 생활하는 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주민으로 참여하기’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후 한국에서 생활한지 5년 이상 된 13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자료수집과 질적 연구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제는 ‘낯선 지역에 들어서기’, ‘삶의 개척자로 살아가기’, ‘마을주민으로 참여하기’로 나타났다. ‘낯선 지역에 들어서기’는 ‘기대와 모험’, ‘각본과 다른 무대’, ‘겹겹이 힘듦’으로 구성되었다. ‘삶의 개척자로 살아가기’는 ‘지금 여기에 맞게 살아가기’, ‘경험이란 돌파구’로 구성되었다. ‘마을주민으로 참여하기’는 ‘교류’, ‘자신의 자원을 활용’, ‘동행할 사람이 많아짐’, ‘미래를 향해 감’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에 나타난 3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주민으로 참여하기’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rural immigrant women’s participation as a community resident after their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data through in depth interviews with 13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d lived more than 5 years since they settled in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qualitative approache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ree themes ‘entering a strange area’, ‘living as a pioneer of life’ and ‘participating as a community resident’. The theme ‘entering a strange area’ consisted of ‘expectation and adventure’, ‘a stage different from the scenario’ and ‘difficulties on difficulties". The theme ‘living as a pioneer of life’ consisted of ‘adjustment to new lifestyle’, ‘experiences as breakthrough’. The theme ‘participating as a community resident’ consisted of ‘exchange’, ‘utilization available resources’,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anions’ and ‘moving toward the future’. Focused on the three themes, this study suggested plans to support rural married immigrant women’s participation as a community resident.

      • KCI등재

        한국거주 고려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현복 ( Lee Hyun-bok ),조명숙 ( Cho Myeong-suk ),효자 ( An Hyo-ja ),고정아 ( Ko Jeong-a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20 정신간호학회지 Vol.29 No.4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tress and anxiety on depression in Central Asian Koreans living in Korea. Methods: We used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to survey 159 Central Asian Koreans between July 2 and Dec 17, 2019. To analyze the data, w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with th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Multiple-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ow long the subjects had been living in Korea (β=.07, p=.034), their active problem- solving skills (β=-.47, p=.031), and their anxiety levels (β=1.54, p<.001)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explained approximately 44%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long-term residence and the skills to face and cope with, anxiety and stress can help lower the rates of depression of Central Asians living in Korea.

      •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은미(Lee Eun-mi),이효자(Lee Hyo-ja) 한국교통대학교 상담심리교육연구소 2018 상담심리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집단미술 프로그램 진행을 한 뒤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 프로그램 처치 전후의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 영역인 신의의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서 변함없이 진실하게 약속을 지키며 믿음과 우정관계를 지속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처치 전후의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 변인 중 학교 내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에서 자유롭고, 허용적인 분위기 속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스스로를 인식하면서 긍정적인 자존감을 향상시켜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일반 청소년뿐 아니라 한 부모 가정, 부적응 청소년들이 사회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에게 신의와 관련된 대인관계, 학교내에서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looked at the effects of the collective art program on peer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f teenagers at the local children s center.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a systematic collective art program for 16 teenager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s before and after the collective art progra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region of faith.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having a positive influence by maintaining faith and friendship while keeping promises faithfully in youth relationships. Second,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s before and after the collective art progra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in schools among lower variables. This can be seen as improving positive self-esteem by looking back on yourself in a free and acceptable atmosphere at school. Thus, the collective art program has had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of teenagers at the local children s center. The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a group art program to promote good faith-rel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in schools for young adults in need of social assistance, not just for the average teenager.

      • KCI등재
      • KCI등재

        학교특색활동과 아침자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 인식 및 장애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소영(So-young Park),이효자(Hyo-ja Lee),김영표(Young-pyo Kim),김은주(Eun-ju Kim),이진(J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학교특색활동과 아침자습활동으로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정규 교육과정 시간에 적용한 후,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수용 태도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 인천 지역에 소재한 일반초등학교 저학년 (3학년) 및 고학년(5학년)의 각 한개 학급의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장애 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후 비장애학생들의 장애학생들에 대한 인식과 수용 태도 전체 평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특색활동과 아침자습 활동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장애이해교육은 비장애학생의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일부 하위 요소들을 통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장애 인식 및 수용태도 변화와 관련하여 면밀하게 관심을 가져야 할 요소와 대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Influence of a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t creativity innovation development activities and early morning class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yunggi-do and Inchon. A total of 28 3rd grade students and 32 5rd without disabilities in the one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Differences in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disability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 Based on theses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ideas about how improve students’ disability-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and develop the better inclusive environment.

      • KCI등재

        자기주도적 학습프로그램이 학업유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분석

        이석기 ( Suk Gi Lee ),장성화 ( Sung Hwa Jang ),이효자 ( Hyo Ja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4

        본 연구는 자기주도 학습프로그램을 중학생에게 실시한 후 연구 설계한 가설에 대한 검증을 통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C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4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본인이 희망하는 학생)과 통제집단(실험집단으로 참여한 학생의 앞 번호학생들 중 논문 취지 설명 후 동의서를 작성한 학생)으로 구분하여 각각 23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자기주도 학습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학업 유능감이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기주도 학습프로 그램을 실시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국어과목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영어와 수학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교과목과 여러 영역에서 이 프로그램을 적용시키는 교과와 연계된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by applying such a program to a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sting the hypotheses. The subjects include 46 eighth graders in middle school in C City, Chungcheongbuk Province.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whose members were chosen based on their individual wish) and the control group(whose members were chosen among the students whose numbers came before those of the experiment group members and signed a consent form after listening to the explanations about the intent of the paper), both of which contained 23 each.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to which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was applied recorded higher academic competence than the control group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Second, the experiment group to which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was applied made a bigger improvement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than the control group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glish and math between them. Those findings raise a need to develop various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rs or certain subjects. Based on those conclusion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the present study applied a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o eighth grad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