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널데이터모형을 활용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근로장애인의 임금결정요인 연구

        이혜경 ( Lee Hye-kyeong ),이수용 ( Lee Soo-yong ),고아라 ( Ko Ah-ra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패널데이터 모형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직업재활시설 내 장애인의 낮은 임금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 는 전국 374개소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운영실적 자료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패널데이터 모형 검증결과 고정효과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정효과모형에서는 직업재활시설의 매출액과 이익금 그리고 고용장려금 수급 여부가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의 임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매출액과 이익금 그리고 고용장려금 수급여부는 사실상 직업재활시설의 규모와 관련된 변수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보호작업장에 비해 규모가 큰 근로사업장인 경우 매출이나 이익금이 더 많을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지속적인 매출액 증가는 장애인의 임금 상승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직업재활시설이 일정 규모 성장하기까지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low wage level of disabled peopl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hich are continuously raised by using the panel data model. The data used in the study are the performance data of 374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Jap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nel data model test showed that the fixed effect model is appropriate. In the fixed effect model, only the sales and profit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and the employment incentive receipt / Revenues, profits, and employment subsidies are in fact variables related to the siz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large-scale workplaces, sales or profits are inevitably higher than those of relatively small-scale conservation workplaces. In conclusion, sustained growth in sale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raising wag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o government support is needed until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grow to a certain level.

      • 직업재활시설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이혜경 ( Lee Hye-kyeong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장애인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지난 3년간의 직업재활시설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추가적인 자료조사를 통해 직업재활시설의 운영 실태와 직업재활시설 유형별 운영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직업재활시설의 운영에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태조사 결과로 직업재활시설 유형, 즉 근로사업장과 보호작업장 간의 운영상 차이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사업장은 생산중심의 활동으로 인해, 근로장애인의 임금수준이 높고, 운영상 애로사항에서도 인력과 같은 인프라에 대한 것 보다는 생산품의 경쟁력, 판로 등과 같은 문제들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보호작업장은 최저임금 이하의 장애인이 많고, 근로장애인들 중에서도 최저임금 적용제외 신청 비율이 근로사업장 보다도 높았다. 또한 보호작업장은 재정 지원의 부족과 인력 부족 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으며, 시설의 운영 개선방안에서도 전문인력 지원 확대, 보조금 확대 등을 제기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직업재활시설 운영상 가장 큰 어려움은 인력부족과 예산부족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행 종사자 배치기준을 현실화하여 직업재활시설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확대 배치하여야 하며, 직업재활시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원 사업에 대한 성과분석을 통해 재정지원 이외 물리적 환경개선, 프로그램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직업재활시설 생산품에 대한 대국민 홍보와 행정적 지원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present sta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to suggest improvement of oper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it was found deficiency professional and budget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it was difficult to sale and marketing of products manufactur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too. In order to improv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irst it has to support and placement reasonably professional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study. Second, it has to promote actively and improve recognition for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it has to extend to private and business section preferential purchasing system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backup consulting, marketing, and quality control for the products.

      • KCI등재

        직업재활과정에서의 효율적인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재활상담사와 내담자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혜경 ( Hye Kyeong Lee ),나운환 ( Woon Hwan Na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최근 재활패러다임의 변화로 직업재활과정에 내담자의 참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고,이는 내담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직업재활과정에 장애인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효과적이고 개별적인 중재전략이 수립될 수 있기 때문에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재활상담사는 내담자와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내담자에게 적절한 원조와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성공적인 관계형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직업재활 결과에 대한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담사와 완전한 파트너를 이루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용결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재활상담사와 내담자의역할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내담자와 재활상담사간의 효과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ive partnership ascertai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between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client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survey was carried out 47 rehabilitation counselors who are working in rehabilitation center,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association of the disabled and 109 clients who are served in such agenc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lients participate more passive than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Clients express and require their needs in follow up service, vocational training and placement, and intake process. Rehabilitation counselors mostly active in intake, vocational training and placement, and follow up service process. They also offer informations of servic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ocused on clients needs. Second, rehabilitation counselors are satisfied with their work and co-workers. Cli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rehabilitation counselors, so they participate more activ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Third, rehabilitation counselors satisfaction was not associated with the clients. Howev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clients satisfaction through increasing satisfaction of co-workers and agencies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For this reason,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system in order to participate more activ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more clients participat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the more satisfaction with rehabilitation counselors, finally vocational rehabilitation outcomes will be improved. Second, a system to communicate with rehabilitation counselors and client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will be required. Finally, rehabilitation counselors are able to participate more activ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through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co-workers and job-changing. Therefore clients participate actively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and with the result of 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outcome will be accelerated.

      • KCI등재

        중증장애인 고용 활성화 방안 연구

        이혜경(Hye kyeong L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3 재활복지 Vol.27 No.1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교육, 고용, 사회참여 등 많은 영역에서 평등한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으며, 중증장애인의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중증장애인은 고용에서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중증장애인의 고용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증장애인의 직업지원 및 직업재활서비스를 실시하는 보건복지부 중심의 사업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중증장애인 고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증장애인 고용 활성화를 위해 보건복지부 추진사업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첫째,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의 연계를 통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 질 제고, 둘째, 중증장애인 고용 확대 및 고용 후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인력 지원, 셋째, 직업재활시설 이용장애인에 대한 추가급여 지원, 마지막으로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직업재활시설과의 연계를 통한 장애인의 고용 유지 방안 모색 등으로 제시하였다. The disabled population continues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significant disabilities such as autism and mental disorders continues to increase by type of disability. In particular, the significantly disabled are experiencing greater difficulties in employment, so we tried to find ways to revitalize employment for the significantly disabled. To this e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centered projects and previous studies that provide vocational suppor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significantly disabled were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ways to revitalize employment for the significantly disabled. First, efficient service provision and service quality improvement through the linkage of job projects, Second,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supporting manpower to expand employment and support after employment for person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Third, support for additional benefi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 KCI등재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과 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갈등대처행동과 부부갈등의 매개역할

        이혜경(Lee Hye-Kyeong),이은희(Lee Eun-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부와 모의 자아분화수준이 갈등대처행동에 따른 부부갈등을 통하여 자녀의 문제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K도의 5개의 시 지역에 소재한 8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24학급의 남녀 아동 399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399쌍, 798부)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의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회피대처, 부정적 감정 및 행동표출 대처 및 외부도움요청 대처를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의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회피대처, 부정적 감정 및 행동표출 대처를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와 모의 자아분화 수준은 직접적으로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감정적 대처행동을 통하여 부부갈등 심화시키고, 심화된 부부갈등이 자녀의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아동들을 면담할 때에 부모의 자아분화수준까지를 고려하는 상담적 개입이 필요하며,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이 낮은 경우에서는 부부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갈등대처전략에 관한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process in which paternal and maternal parent’s self-differentiation levels impact upon marital conflict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issues to behavior problems in their childre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conflict cop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parent’s self-differentiation levels and conflicts within their marriage. Data were collected from 399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8 elementary schools (the fifth- and sixth-year students from 24 classes) and their parents from. 6 cites in K Provi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al parent’s self-differentiation, the less use is made of requests for external assistance. Higher levels of parental self-differentiation was also accompanied by a higher incidence of avoidance, as well a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physical acting-out in the context of conflict within the couples. Moreover, the higher the level of maternal parent’s self-differentiation, the less use is made of avoidanc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physical acting-out in the context of conflict within the couples. Thes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maternal parent’s self-differentiation, the frequency of marital conflict is perceived to be lower. There was an indication that the paternal and maternal parent’s self-differentiation level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behavior problems in their children. However, it did have an influenced on their marital conflict, This was manifested throug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r physical acting-out coping behavior in the context of marital conflict. These findings have a number of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behavior problems in adolescenc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