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ng을 Binary Tree로의 임베딩

        이주한(Joohan Lee),이흥렬(Heungyul Lee),김기석(Kisuk Kim),박승진(Seungjin Park)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A

        본 논문은 2ⁿ-1 개의 노드로 형성된 ring을 complete binary tree network로 임베딩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Ring의 symmetric 성질을 이용한 이 임베딩 알고리즘의 dilation은 최적인 3 이며, incomplete binary tree network로의 임베딩에도 적용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당위-가능성 원리의 중심 생각과 ‘ought’의 간접적, 가치론적 용법

        이주한(Lee, Jooha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70 No.-

        여러 인식론자들에 따르면 믿음의 수의성에 대한 회의적 견해는 의무론적인 인식적 규범에 관한 회의주의를 함축한다. 이로부터 비롯되는 소위 인식적 의무에 관한 역설 문제는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을 불러일으켰다. 그 중 하나의 시도는 인식적 의무는 믿음의 수의성을 함축한다는 논제, 혹은 좀 더 일반적으로, 당위는 가능성을 함축한다는 논제를 비판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형태의 시도가 성공할 수 없음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당위가 가능성을 함축한다는 논제의 중심 생각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논의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이 논제에 대한 두 가지 대표적인 비판 논증을 검토할 것이다. 이 논의 과정에서 ‘∼해야 한다(ought)’는 표현의 직접적/간접적 용법과 의무론적/가치론적 용법의 구분이 중요하게 검토될 것이다. 한편, 최근 맥휴(C. McHugh)는 인식적 의무와 믿음의 수의성 간의 관계에 관해 좀 더 적극적인 형태의 비판을 시도한다. 따라서 필자는 이어지는 논의를 통해 맥휴의 비판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이들 관계에 대한 새로운 종류의 반박 근거를 제시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According to many epistemologists, the view of doxastic involuntarism leads to skepticism of epistemic deontology. The paradox on epistemic duty thereby produced has prompted various lines of attempts to resolve it. One of these attempts has been to attack the thesis that ‘epistemic ought’ implies doxastic voluntarism-or, more generally, the thesis that ‘ought’ implies ‘can’. The article herein argues that this line of attempt fails to succeed. I first address the core idea of the thesis that ‘ought’ implies ‘can’, and then discuss the two most widely presented objections to the thesis.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discussion, special attention will be paid to the two different distinctions in the direct/indirect use of `ought` and the deontological/axiological use of ‘ought’. More recently, McHugh has provided a rather straight form of criticism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epistemic ought’ and doxastic voluntarism. Thus, lastly, I will look into his argument and discuss whether it succeeds in presenting a new objection to the thesis at issue.

      • KCI우수등재

        인식적 의무와 통약 가능성

        이주한(Joohan Lee)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38

        인식적 의무는 전통적으로 믿음에 귀속되는 의무로 이해되어 왔다. 그리고 인식적 의무의 이 특징은 인식적 의무를 다른 종류의 의무들과 구분되게 하는, 그리고 더 나아가 다른 종류의 의무들과 통약 불가능하게 하는 주된 요인의 하나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인식적 의무의 믿음 귀속에 대한 최근의 비판적 논의는 인식적 의무의 독특한 지위에 대해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인식적 의무가 고유한 종류의 의무인지 아니면 다른 종류의 의무들과 통약 가능한 의무인지 논의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인식적 의무의 행위 귀속성을 주장하는 이주한의 견해를 간략히 살펴보고, 그러한 견해 하에서 인식적 의무의 고유성이 어떻게 옹호될 수 있는지 주요 논증을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이 논의를 통해, 실천적 이유 구분 가능성에 기대는 고유성 논증과 인식적 이유 내재성에 기대는 고유성 논증 각각의 중심 생각과 그 문제점들이 드러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인식적 의무는 단순히 고유한 종류의 의무가 아닐뿐더러, 도덕적, 타산적, 미학적 의무 등 다양한 종류의 실천적 의무들과 통약 가능하다는 점이 적극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Epistemic duty is traditionally understood as pertaining to belief. And this feature is taken as one of main reasons to think that epistemic duty is distinct from and also incommensurable with other kinds of duties. A recent criticism against the thought that epistemic duty pertains to belief, however, prompts one to question the unique status of epistemic duty.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discusses whether epistemic duty is of its own kind or commensurable with other kinds of duties. To begin, it reviews the recent discussion of Joohan Lee’s, which argues that epistemic duty pertains to act. And then, in light of this, it addresses mains arguments for the view that epistemic duty is of its own kind. From the discussion it will be revealed that the argument relying on intrinsicality of epistemic reason as well as the one relying on distinguishability of practical reasons will not stand the objections against them. And, more positively, it will be shown that not only is epistemic duty not of its own but commensurable with various kinds of duties such as moral, prudential, aesthetic, etc. ones.

      • KCI등재

        `믿음`과 인식적 수용

        이주한 ( Joohan Lee ) 한국논리학회 2017 論理硏究 Vol.20 No.2

        일상적 표현의 하나인 `믿음`은 다의어로서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한다. 그러나 이 표현의 맥락 의존성은 믿음에 관한 철학적 논의들에서 주의 깊게 다루어지지 않으며, 그로 인해 불필요한 철학적 문제들이 발생하는 결과를 낳는다. 본 논문은 그러한 철학적 문제들의 해결 혹은 해소를 위한 사전 단계로서 표현 `믿음`이 맥락에 따라 어떻게 의미를 달리하는지 탐구한다. 이를 위해 우선, `믿음`이 가리키는 서로 다른 두 심적 태도, 즉, 불수의적 심적 성향으로서의 믿음과 심적 행위로서의 실용적 수용 각각에 관하여 검토하고, 이어서 `믿음`은 이들 두 심적 태도 외에 필자가 `인식적 수용`이라 칭하는 또 하나의 심적 행위를 그 의미의 하나로 가짐을 논의한다. 이를 통해 인식적 수용은 인식적 이유와 비인식적 이유가 서로 경쟁하는 맥락에서 수행되는 이차적인 심적 행위임이 드러날 것이다. 인식적 수용이 어떠한 태도인지 구체적으로 검토한 후, 그에 대하여 제기될 수 있는 몇 가지 물음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답변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인식적 수용의 분석 가능성 여부, 판단 행위와의 관계 등에 관한 문제가 논의된다. 마지막으로, `믿음`이 가리키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심적 태도들을 구분하는 것이 관련된 철학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간단한 전망을 제시한다. The ordinary term `believe` is polysemous and thus its meaning varies depending on contexts. Little attention, however, has been paid to its context sensitivity in philosophical discussions, and thereby unnecessary problems tend to be brought about in philosophy. This article explores the different meanings of the term `believe` to serve as a steppingstone to the solving or dissolving of those problems. To begin, it discusses two different mental attitudes `believe` stands for, i.e., belief as an involuntary mental disposition and pragmatic acceptance as a mental action, and then suggests and explicates another mental action `believe` referes to, which I call `epistemic acceptance`. It will be revealed that epistemic acceptance is a secondary mental action which is performed in a context where epistemic reason and non-epistemic reason compete each other. Then, attention is given to several questions concerning epistemic acceptance and answers to them are provided. The issue of whether epistemic acceptance is analyzable and of the relation between epistemic acceptance and judgment will be addressed in the course of answering them. Finally, a brief prospect is put forward that distinction of different mental attitudes `believe` stands for will bring a new perspective to solve some philosophical problem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issue of the nature of epistemic norm.

      • KCI등재

        초장대교량 대형교통사고 발생 시 대응현황과 문제점

        이주한(Joohan Lee),김윤희(Younhee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건설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교량의 건설기술도 날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5,000미터가 넘는 초장대교량은 바다와 육지를 잇는 수단으로서 더 많이 건설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초장대교량에서의 교통사고 또한 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기상이변과 함께 짙은 안개로 인한 교통사고가 급증하고 있고, 이러한 교통사고는 서해대교나 영종대교와 같은 초장대교량에서 발생했을 때 더 큰 피해를 야기한다. 2006년 10월 3일 서해대교에서 짙은 안개로 인해 발생한 29중 추돌사고로 인해 11명이 사망하고 46명이 부상당하는 대형교통사고가 발생하였고, 2015년 2월 11일 오전 9시 39분에 발생한 영종대교 사고 또한 짙은 안개로 인해 발생한 대형교통사고이다. 이러한 초장대교량에서의 교통사고는 2차, 3차의 후속 사고로 인해 대부분 화재를 동반한 대형교통사고로 발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관계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2차 피해를 막고 인명을 구하는 신속한 대응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영종대교와 서해대교에서 발생한 대형교통사고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초장대교량에서 대형교통사고 발생시 현 대응체계와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초장대교량에서 대형교통사고 발생 시 대응체계의 문제점과 외국의 관련 정책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초장대교량에서 발생한 교통사고가 대형재난으로 전개될 때 효과적인 대응체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As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super long span bridges is also evolving. Particularly, the super long span bridges are often constructed to connect the inland to islands. As the constructions of the super long span bridges are increasing, the traffic accidents on these bridges occur more often. Recently foggy conditions happen often due to the climate changes and this becomes one of the main causes of the large scale traffic accidents in the super long span bridges. When the traffic accidents occur in the super long span bridge,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s are much severe compared to the traffic accidents on the roads. Therefore preparing the prompt and effective response system to prevent the secondary damages and injuries is essential. In this paper, the large scale traffic accidents in Seohae and YoungJong super long span bridges are described and the issues of these emergency responses are discussed. Finally, policy implications for effective responses are presented by comparing the overseas cases.

      • KCI등재

        지식 귀속에 관한 일상적 직관은 지식 귀속의 맥락 민감성 논의를 위한 방법론적 수단이 될 수 있는가?

        이주한(Joohan Lee) 한국분석철학회 2020 철학적 분석 Vol.- No.44

        지식 귀속의 맥락 민감성을 주장하는 여러 이론들은 전통적으로 지식 귀속에 관한 일상적 직관을 존중하고 그것을 이론 수립을 위한 주된 근거의 하나로 사용한다. 인식적 맥락주의와 관심 상대적 불변주의, 그리고 지식에 관한 상대주의는 이러한 방법론적 전통을 충실히 따르는 이론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들 이론은 지식 귀속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에서 일상적 직관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주목하고 그것을 최대한 존중하는 이론이 무엇인지 찾고자 시도한다. 본 논문은 지식 귀속의 맥락 민감성을 주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러한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기존에 제시된 이들 각각의 주요 이론들이 일상적 직관을 수용하는 데 부분적인 한계를 지님을 보이고, 이어서 이들 이론의 한계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따라서 다양한 일상적 직관을 충실히 수용, 반영하는 대안적 이론을 제시할 것이다. 그러나, 이어지는 논의를 통해, 이렇게 수립된 이론의 방법론적 기반인 일상적 직관이 근본적으로 주관적 성격을 갖는다는 것, 따라서 이에 기초한 지식 귀속 판정은 지식의 핵심 요소로 간주되는 사실함축적 속성과 충돌하게 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지식 귀속에 관한 일상적 직관’에 의존하여 지식 귀속의 맥락 민감성을 주장하는 기존 논의들의 방법론적 가정을 재고할 한 가지 이유를 제공할 것이다. People arguing for context sensitivity of knowledge ascription have traditionally been paying attention to ordinary intuitions on knowledge ascription, and using them as one of the main grounds for their views. The epistemic contextualism, interest-relative invariantism, and relativism on knowledge ascription can be understood as views that closely follow this methodological tradition. These views give special attention to what our ordinary intuitions are in a variety of knowledge ascribing situations, and attempt to establish their views on the basis of the intuitions. This paper discusses a problem of this methodology implicitly assumed and widely used to argue for context sensitivity of knowledge ascription. To this end, I first address problems that each of the above views faces in accepting ordinary intuitions, and then suggest an alternative view of a similar vein that copes well with all of the difficulties and thus nicely reflects various ordinary intuitions on knowledge ascription. In the following discussion, however, it will be shown that the ordinary intuition, which is the methodological basis of the view thus suggested, has a fundamentally subjective character, and therefore, assessments of knowledge ascription based thereon are in conflict with the feature of factivity, a necessary element of knowledge.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provide one reason to reconsider the methodological assumption of the views that claim context sensitivity of knowledge ascription relying on ordinary intuitions on knowledge ascription.

      • KCI등재

        증거주의, 부합관계, 내재론적 직관

        이주한(Joohan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1 철학적 분석 Vol.0 No.23

        증거주의는 인식적 정당성이 인식 주체의 심적 증거에 강하게 수반한다는 주장을 핵심 논제로 한다. 이러한 주장의 이면에는 믿음과 증거 사이의 부합 여부가 모든 가능 세계에 걸쳐 동일하다는 가정이 놓여있다. 즉, 외재적 관계인 부합관계가 통세계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것이 정당성의 차이를 낳는 데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전제되어 있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우선 부합관계의 통세계적 동일성 가정을 논박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직관적인 반례 몇 가지를 제시하고 그를 통해 부합관계가 우연적이며 따라서 인식적 정당성 결정에 실질적인 기여를 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이것은 결국 증거주의의 핵심 논제인 수단원리가 틀리다는 것을 함축하게 된다. 다음으로 필자는 증거주의가 의존하는 결정적 근거인 내재론적 직관을 비판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내재론적 직관의 경험 의존성 및 그 사용 한계를 보이고, 이 직관을 내재론적 주장을 위한 근거로 삼는 것은 적절한 사용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임을 논증한다. 이것은 결국 증거주의가 자신이 정초하고 있는 결정적인 지지 기반을 잃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main thesis of evidentialism is that epistemic justification strongly supervenes on subject's mental evidences. Under this thesis is the supposition that the external relation i.e., fittingness of belief into evidence, remains the same across all the possible worlds. According to this, since the fitting relation is the same in all possible worlds it does not contribute to making the difference of epistemic justification at all. First, I will refute this claim of constancy of fitting relation all across the worlds. For this I will provide some intuitive counterexamples which will show that fitting relation is contingent and accordingl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on epistemic justification. Consequently, it will follow that the supervenience thesis which is the main claim of evidentialism is false. Secondly, I will argue against the core ground of evidential ism, i.e., the use of internalistic intuition. For this I will show that internalistic intuition is dependent on our experiences and so has limit in its use, and as a result of this it will turn out that using this intuition to support internalism goes beyond the adequate limit for use. I thus conclude that evidentialism loses its core ground on which it stands.

      • KCI우수등재

        믿음의 불수의성의 필연성

        이주한(Joohan Lee) 한국철학회 2015 哲學 Vol.0 No.124

        믿음의 수의성 여부에 관한 탐구는 그 자체로 믿음의 주요 속성을 해명하는 일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무엇보다 인식적 의무주의 논의에 직접적인 함축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철학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수의주의에 따르면, 믿음은 현실적으로 수의적 제어 하에 놓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존의 불수의주의 견해에 따르면 믿음은 개념적으로, 혹은 우연적으로 수의적 제어 하에 놓이지 않는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믿음이 수의적 제어 하에 놓일 수 없는 것은 필연적 사실임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믿음은 참을 목표한다’는 논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제시하고, 이를 통해 믿음은 증거 상대적으로 참을 산출하는 본성을 지녔다는 것, 그리고 이는 믿음의 형성 기원에 관한 본성을 표현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실천적 이유만에 의해 믿음이 형성된다고 생각되는 경험적 반례들에 대하여 논의하고, 끝으로 필자의 전체 논의가 왜 순환적이지 않은지 답변한다. Doxastic voluntarists claim that it is actually true that we have direct voluntary control over belief at least some cases. In contrary, strong doxastic involuntarists contend that it is conceptually impossible that we have direct voluntary control over belief. Still yet, more modest involuntarists maintain that it is only contingent that we do not have the control. In this article, I will argue that it is necessary that belief is not under direct doxastic voluntary control. For this, first, I suggest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the thesis that belief aims at truth, which will eventually reveal that belief is produced, by nature, to be true relative to evidence. Then, I discuss empirical counterexamples which, purportedly, show that belief can be formed at will out of practical, but without epistemic, reasons. Finally, I address why my overall argument given in this article does not beg the question seman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