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문학 : 활쏘기를 통해 본 몽골 신화상의 후흐데이메르겐의 형상과 성격

        이안나 ( An Na Lee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4 비교문화연구 Vol.35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forms of master archer HuhdaiMergen from Mongolian mythology and his character through archery. InMongolian mythology, master archer Huhdai Mergen is usually connected to theregulation of the sun, the moon, and the stars in Heaven and the creation ofstars. Such a series of acts are conducted through archery, which used to beperformed as an incantatory ritual to resolve a disaster in life, dispel an evilspirit, and pray for affluence as well as for hunting. In Mongolian mythology, Huhdai Mergen is a master archer and hunter thatrises to Heaven while hunting a deer and becomes Sirius with the deer becomingOrion. The Mongolian have believed that the two constellations protect themsince ancient times. While Orion is related to the deer totem, Huhdai Mergenor Sirius is related to the wolf totem faith. Huhdai Mergen takes too much pride in his archery skills and ends up causingdamage to himself,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pattern of controlling the powerof personified Huhdai Mergen through excessive natural force. He also hassomething to do with Polaris, which is regarded as the stake to bind his horseto by the Mongolian. They also believe that their ancestral gods reside in thehorse stake or column. The stake is the residence of Huhdai Mergen protectingthe Mongolian people, which reflects his aspect as an ancestral god. He is also depicted as the god of thunder and lightning born in a cow. Thestones he throws and the arrows he shoots in Heaven are the embodiments ofthunder and lightning. The Mongolian have understood lightning of dispellingan evil spirit and striking wicked things as the arrow of Huhdai Mergen. Thegod of thunder and lightning has the attributes of a fertility god such aseliminating bad devils and bringing affluence. Huhdai Mergen is also manifestedas the creator to create the earth and the savior to save mankind. Such formsall derive from his archery skills.

      • KCI등재

        몽골 오이라드 서사시창자의 전통과 사회적 역할

        이안나(Lee An-na)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오이라드 영웅서사시는 수렵생활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제의적 성격을 띠고 발달했다. 서사시를 부르는 창자인 토일치는 일종의 제사장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서사시창자들은 서사시 연행을 통해 지역민들의 삶을 가호하고, 전통 문화를 보존?계승하는 존재로, ‘토일치’라는 명칭은 곧 존경의 칭호로 인식되었다. 토일치들은 자신의 재능보다는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재능이 부여된다고 믿었다. 특히, 서사시를 이끌어 가는 신이한 힘이 톱쇼르와 서사시 속의 주인공이라고 여겼으며, 톱쇼르와 서사시를 신앙시했다. 서사시를 배우는 방법으로는 스승을 통하거나, 스승과 필사본을 병행하는 방법, 스스로 배우는 방법 등이 있었다. 집안이나 지역에 서사시창자가 있는 경우 자연스럽게 서사시 학습이 이루어져 서사시창자가 배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서사시창자가 되기 위해서는 천부적인 재능과 음색이나 치아 등의 신체적 조건을 갖추어야 하며, 어려서부터 부단한 노력과 인내가 요구되었다. 다섯 가지 정도의 큰 서사시를 부를 수 있게 되면, 스승에게 시험을 받은 뒤 토일치가 될 수 있었다. 서사시창자는 첫째, 알타이 산신을 위무함으로써 지역의 안녕을 기원하는 산신의 대리자요, 지역민의 대표자의 역할을 했다. 둘째, 예지적 존재요, 점술가로서 지역민들의 다양한 삶의 문제에 관여했다. 셋째, 지역의 현자이자 마을제의 중심적 존재였다. 넷째, 예능인이자 창작인으로서 민족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왔다. The heroic epics in Oirad advanced in close relation with hunting life and showed a ritual character. The tuul?ch, who perform the chanting of heroic epics, played a role of a kind of priest. By the performance with reciting and chanting of epic poem, they were respected everywhere as the existence who blesse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and succeeded the national culture. The name of tuul?ch was directly recognized as a title of respect. It was believed that tuul?ch were endowed with their flair by invisible force not by themselves. Particularly, people considered tovsuur and heros in epic poem as the mystical and bizarre powers to lead the performance of epic poem with chanting and singing and so believed in tovsuur and heros in epic poem. There were some ways to learn epic poem : the way to be taught directly by teacher, to study manuscripts of epic poem with the teacher in parallel and to study it by himself, etc. Those families, which the musical performer for epic poem -a tuul?ch- belonged to, had produced following tuul?ch by environmental factor as often as not. To become a tuul?ch, the sustained efforts and perseverance from youth was required with a God-given talents and physical conditions such as a tone of voice, the teeth, etc. If a trainee could perform at least five big epic poems, he could become a regular tuu?ch after passing a test and acknowledged by his teacher. The musical performer for epic poem, at first, played a role as a delegate of the mountain god and a representative of local residents to do action for praying for the well-being of local district and residents by soothing the Altai mountain gods. Secondly, he got involved in various issues of life of the local residents as a foreseeing existence and a fortuneteller. Thirdly, he played a central role in ritual ceremony for local village as a sage. Fourthly, he played a central role in preserving and upbuilding national culture as an artist, a creator and a successor of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이안나(An-Na Lee),조성숙(Sung-Sook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개인적 성취, 사회적활동, 사회적 책임)가 자아통합감(삶에 대한 태도, 현재 생활 만족, 과거의 수용, 노령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60대 이상 노인 3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주성분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및 T-test, ANOVA, 회귀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원봉사 활동 만족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적 성취가 자아통합감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자아통합감 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삶에 대한 태도와 현재 생활 만족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과거의 수용 및 노령의 수용 간의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자아통합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the effect of elderly volunteerism satisfaction(personal achievements, social actvity,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ego-integrity(attitude about life, satisfaction of the present life, the acceptance of the past living, the acceptance of aging). For the study, I collected 360 samples from people of 60 year-old adults who reside of in Gyeonggi-do. I used frequency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hierachi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olunteerism satisfaction on the ego-integrity, In the way of the effect of only personal achievements affects positive effects. Second, effect of self-efficacy volunteerism on the satisfaction and the ego-integrity between analysis attitude about life and satisfaction of the present life are meaningful but the acceptance of the past living and the acceptance of aging are not meaningful anout moderating effects. Theird, satisfaction about aged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 level of significance were difference in factors.

      • KCI등재

        계층적 의사결정방법을 통한 학부모와 교사의 장애학생 진로 선택 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이안나 ( Lee An-na ),강은영 ( Kang Eun-young ),이재원 ( Lee Jae-won ),오현경 ( Oh Hyun-k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진로 선택 시 학부모와 교사의 진로결정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AHP 계층적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각 항목간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장애학생의 진로 선택 시 학부모와 교사의 진로결정 선택 요인을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 계층의 상대적 중요도인 가중치는 개인적 요인, 근무지특성 요인, 직업역량발전가능성요인, 환경적 요인, 회사의 사회적 위상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 계층 분석 결과, 개인적 요인에서는 흥미, 적성, 신체적조건, 연령, 성별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나타났다. 환경적 요인에서는 부모의 가치관 및 직업관, 해당분야 종사자의 의견, 가정경제 수준, 부모의 직업 및 교육수준, 각종 대중매체의 정보의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지 특성요인은 고용의 안정성, 직업 환경, 복리후생, 여가시간, 임금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역량발전가능성요인의 하위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자아성취, 재능과 소질의 발휘정도, 능력발휘, 새로운 기술과 지식습득의 기회, 발전가능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회사의 사회적 위상 요인의 하위요인에 대하여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직업에 대한 사회인식도, 회사의 비전, 국가와 사회에 대한 기여도, 회사이미지, 명예/명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진로 선택 시 학부모와 교사의 진로결정 요인의 우선순위를 전체로 분석한 결과 총 25개 중 흥미, 적성, 고용의 안정성, 신체적조건, 직업 환경의 순으로 상위 5개 요인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진로 선택 시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선택에 대한 질 높은 교육과 진로선택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career determination facto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at are decided on by parents and teachers. In addressing the research questions, this work employ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s a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The following are study produces and findings. First, the relative importance weights on five upper hierarchical levels were individual factor, characteristics of working place factor, development possibility of professional empowerment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company’s social status factor. Second, among all 25 items, the top 5 priorities of parents and teachers’ career decision mak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terest and aptitude in individual factor, stability of employment in working place factor, physical condition in individual factor, working circumstance in working place factor. The findings offer insights into w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a career or developing career readiness progr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한국과 몽골의 쥐 상징 고

        이안나 ( Lee An-na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7 국제어문 Vol.39 No.-

        본 논문에서는 몽골과 한국의 구비문학과 민속 가운데 쥐가 어떤 상징성을 갖고 있으며, 두 나라 민족의 쥐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쥐는 12해의 첫 번째 동물로 두 나라 모두 `처음, 시작, 선두`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부와 번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동물이다. 몽골에서는 `주둥이가 흰 쥐`는 다양한 상징성을 가지고 나타나며, 주로 시작, 풍요를 상징하며 선한 영적 존재로 형상화된다. 한국의 경우 쥐는 자연변화에 대한 예민한 감각을 가지고 있어 영물로 여겨지며, 농사와 관련하여 쥐에 대한 풍속이 있어 왔다. 한국에서 생쥐는 인간에게 물과 불의 근본을 알려주는 시원과 관련된 동물로 나타나며, 또 인간의 혼으로 관념되기도 했다. 쥐가 재물과 부를 가져다준다는 인식은 두 나라 모두 쥐의 생태적 특징을 길하고 좋은 쪽으로 해석하는 태도를 드러내준다. 쥐는 매우 영악하고 꾀가 많은 동물로 강자를 이기는 민중의 상징적 존재가 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영악성은 인간으로 둔갑하는 설화적 모티브를 낳기도 했다. 이때 주로 남성으로 둔갑하는데 이것은 쥐가 양기(陽氣) 동물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쥐는 수탈자의 부정적 이미지보다는 긍정적 이미지가 좀더 강한데 이는 두 나라 모두 쥐를 실제적인 존재보다는 상징적 존재로 보는 시각을 드러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paper presents a study of the “rat symbol” on the oral literature and folk customs of Mongolia and Korea. The rat is the first animal of the 12 year`s animals and it symbolizes the initiator, the beginning, the head, and is increasingly becoming a symbol of prosperity. In Mongolia, a “rat with white mouth” symbolizes many things, including origin, plentifulness and it represents a good, godlike animal. In Korea, a rat is known as an animal that has very keen sence on their natural environments. There has also been a traditional belief about the mouse as related to farming. A rat in the home is considered to possess the spirit of a person and teaches people the origin of fire and water. There is a belief in Korea and Mongolia which says that a rat brings prosperities and therefore there are positive sentiments towards the mouse. However, as a mouse is a vivacious animal, it also symbolizes a animal who is able to overcome more powerful existence. This belief has also created a legend in which a rat transforms into a person. In the legend, the mouse often transforms into a man because a rat is considered to be an animal with male characteristics. It shows that a rat has better images instead of bad images to cause damage; it is considered to have more symbolic meanings than in actuality.

      • KCI등재

        제주와 몽골의 "돌 신앙" -신체(神體)의 산육신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안나 ( An Na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7 No.-

        본 논문에서는 제주와 몽골의 돌 신체(神體)의 산육신적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주와 몽골의 포태와 산육신의 기능을 하는 신체의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지역의 산육신으로서의 돌 신체는 자연신앙을 기반으로 만물에 영(정령)이 거한다는 애니미즘을 바탕으로 하지만, 몽골의 경우 페티시즘 및 원시 주술적인 신앙 형태를 좀 더 많이 띤다. 둘째, 두 지역의 자식의 포태와 산육을 돕는 생산신으로서의 바위 신체는 주로 모신(母神)의 특성을 가지며, 물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셋째, 제주의 기자치성의 돌 신체는 주로 ``미륵``으로 불리는데, 이는 전통적인 용신앙과 관련되며 칠성신앙과도 일정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몽골의 경우는, 기자신앙의 신체는 생산과 풍요를 보장하는 대지신앙-지모신 신앙과 관련이 있다. 넷째, 두 지역 모두 포태와 산육신은 여성신격이 지배적이지만 남성신격도 이에 관여한다. 다섯째, 제주의 기자 신체는 무속적 자연신체이면서도 미륵으로 불리거나 절에 모셔지기도 하며, 유·불·무교의 제의의 대상이 되는 혼합적인 성격을 띠기도 한다. 그러나 그 중심은 무속이 지배적인 위치를 점한다. 이에 반해 몽골은 거의 무속의 자연신앙 형태가 중심을 이룬다. 여섯째, 두 지역 모두 자연석을 신체로 삼는데, 제주의 경우 자연석이면서 조야한 인간의 얼굴 모습을 새겨 넣은 것도 있고, 인공적인 석상인 경우도 있다. 몽골의 경우는 대부분 자연석이지만 주로 어떤 특정한 형태를 가진 바윗돌이 신앙시되어 왔다. 또 무덤에 세워졌던 석인상도 모신의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두 지역에 기자신앙의 대상이 되는 돌 신체의 양상에는 몇 가지 차이가 있지만 근본적으로 자연신앙을 중심으로 하는 무속을 근간으로 한다는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it is observed what are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of the divinity for bearing and raising in the stone body of deity showed in Shamanism in Jeju and Mongolia.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of deity which functions as the divinity for conception, bearing and raising in Jeju and Mongolia are as follows. First, the rock body of deity as the divinity of production who helps to conceive, bear and raise the child in two areas, has primari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Goddess and a close relationship with water. Second, the stone body of deity which becomes the object of devotedly praying for the child in Shamanism of Jeju, is mainly called as ``Maitreya``, which seems to have to do with the the traditional faith of dragon and also seems to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a religious belief of the Great Bear(Seven Star). In Mongolia, the body of deity which becomes the object of devotedly praying for the child, is related with the faith of Goddess Mother of the Earth, which is a religious belief of the Mother Earth ensuring production and fertileness. Third, about the divinity for conception, bearing and raising in both area all, the feminine godhood is dominative but masculine godhood is also involved in this. Fourth, the body of deity which becomes the object of devotedly praying for the child in Jeju, has a form of the shamanistic natural body of deity, and also shows the mixed character such as being called as ``Maitreya`` or enshrined in the Buddhist temple or becoming the object of rituals by Confucianism, Buddhism, Shamanism. But Shamanism has the dominative central position among those mixed religious forms, in contrast, almost natural religious form of Shamanism has the central position in Mongolia. Fifth, the natural stone is worshiped as the body of deity in both area all, there are some type of natural stone carved with plain human faces and other type of artificial stone statues in Jeju. In case of the Mongolia, there are almost natural stones but a certain particular form of rocks has been worshiped. Also stone (human) statue erected around the grave has the function as the Mother Goddess. There are a few different aspects of the stone body of deity which becomes the object of devotedly praying for the child but it shows essentially similar characteristics.

      • KCI등재

        몽골 영웅서사시 , 장가르에나타난 여성의 신화적 형상과 의미

        이안나 ( An Na L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3

        ≪장가르≫ 서사시 안에 여성 주인공들은 전통적인 모신의 특성과 함께 고대 자연신앙을 계승한 존재로 변신에 능하고 죽은 자를 살리며, 탁월한 예지력과 지혜, 미모를 두루 겸비한 여신적 존재들이다. 영웅서사시는 표면적으로 남성 중심의 서사와 불교를 중심 종교로 하지만 이면적으로 여성 주인공들을 통해 고대 여신신앙과 무속적 세계관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이들 여성은 영웅의 혼인의 대상으로 그들을 조력하는 역할을 하지만, 실제적으로 남성을 진정한 영웅으로 만드는 존재이며, 죽음이나 위기에 직면한 용사들을 구해 민중들이 염원하는 평화로운 유토피아를 이루는 데 절대적 공훈을 세우는 서사시 속의 또 하나의 영웅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빛의 존재로 형상화되는데, 이것은 여성의 내면적 지혜를 빛과 동일시한 것인 동시에 여신을 천체의 빛으로 인식했던 고대 자연신앙적 관념을 드러내준다. ≪장가르≫ 서사시에 등장하는 부정적인 여성 캐릭터들 역시 해와 달처럼 아름답고 마법적인 능력을 가진존재로 묘사된다. 이들 역시 고대 모신(母神)의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신이한 존재들로 구체적 형상이라기보다 추상적인 의미를 띤다. 이들은 용사들의 가는 길에 유혹자 내지 장애물로 등장하지만 실제적 적이라기보다 남성 주인공이 소기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가는 길에 극복해야 할 위험이나 유혹의 상관물로 형상화된다. The female protagonists of Jangar, a Mongolian epic poem, inheri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ternal deities and ancient natural faith. They are goddess-like beings characterized good transformation skills, ability of reviving the dead, superior foresight and wisdom, and beauty. Heroic epic poems are male-oriented and describe Buddhism as major religion on the surface, but they inherit the tradition of ancient goddess faith and shamanistic world view on the inside through their female protagonists. Women marry remarkable heroes and assist them, but it is them that actually turn men into true heroes, save soldiers at risk of death or crisis, and achieve absolute and brilliant exploits in building a peaceful utopia that people wish for, thus being considered as another group of heroes in epic poems. They are embodied as the beings of light, which identifies women`s inner wisdom as light and reflects an ancient concept of goddess as the light of heavenly bodies. In Jangar, even negative female characters are depicted to have beauty and magical power like the sun and the moon. Derived from the root of ancient maternal deities, they hold abstract significance rather than concrete forms. They appear as seducers or obstacles on the path of warriors, but they are not real enemies but the embodiment of danger or temptation that male protagonists should overcome to achieve their goals.

      • KCI등재

        몽골 유목민의 ‘중심’에 대한 의식과 생태적 세계관 1

        이안나(Lee, An-Na)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본 연구에서는 몽골의 창세신화와 주거공간에 나타난 몽골인의 중심에 대한 모형을 통해 몽골인들의 중심에 대한 의식과 세계관을 살펴보았다. 세계중심은 천상, 지상, 지하의 3계가 만나고 소통하는 영적 장소 내지 대상을 이르며, 이곳은 모든 생활 의례의 중심이 된다. 창세신화에서 세계중심은 창조와 확장이 이루어지는 세상의 배꼽으로, 이 중심 지점에서 인간과 동식물의 창조가 이루어진다. 이때 신들의 협력 내지 갈등에 의해 대지가 만들어지고 확장되며, 인간이 창조되고 활동성을 갖게 된다. 이때 등장하는 악귀는 창조에 참여하고도 부당하게 제 몫을 받지 못한 문화영웅으로, 신들의 대립은 선신과 악신의 갈등이라기보다 음양의 역학적 힘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창조가 이루어지는 세계중심은 근원적으로 음양이 조화되고 활동하는 곳으로 풍요와 다산, 번성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세계중심은 주거형태로 표현되며, 집의 중심 기둥은 세계의 기둥과 동일시된다. 주거는 위의 출구를 가짐으로써 천상계의 중심인 북극성과 축을 이룬다. 주거에서 가장 중요한 중심은 불이며, 움막 형태의 주거에서 기둥은 ‘불의 신체’(神體)로 중심 역할을 했다. 그러나 주거가 게르로 바뀌고 천창이 중심 역할을 하게 되면서 ‘우르흐’가 중요시 되었다. 불을 놓는 자리인 ‘골롬트’, 그 터가 되는 ‘우르’, 화덕인 ‘톨륵’은 세계중심 및 불과 관련하여 신성시되었다. 기둥신앙이나 불신앙은 모두 조상숭배와 관련된다. 세계중심은 매우 실제적이고 이동과 복제가 가능하며 다원적이다. 또한 천신 내지 조상신들이 거하고 교통하는 곳으로 신앙의 터전이 되면서, 인간 삶의 에너지의 원천이 되는 곳이다. 어떠한 종류의 세계중심도 3계를 아우르는 축의 구조를 가지며, 북극성은 천상의 배꼽이자 기둥으로 세계중심에 중심 역할을 한다. 몽골인들은 생활 속에 영적 공간인 세계중심을 구축함으로 생태적 삶을 구현해 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