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반정육면체 알고리즘 및 단결성 성장로의 열해석에의 응용

        이승복,정진수,고상근,Lee, Seung-Bok,Jeong, Jin-Su,Go, Sang, Geun 대한기계학회 199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2 No.7

        View factor determination is very important in thermal analysis problems with surface radiation but it is very difficult to determine view factors for complex geometries. Exact calculation of view factors for crystal growth furnace is essential due to not only its high surface temperature but the radiation shield, complicated heating system. In this study, view factor calculation algorithm is introduced and applied to cylindrical crystal growth furnace. This algorithm is based on the Hemi-Cube Algorithm and the results obtained with this algorithm show good agreements with those of analytical solution. As an application of this algorithm, temperature profiles and heating value distributions for various furnaces are calculated and the shape criteria for better furnace are suggested.

      • KCI등재

        <속사씨남정기>의 성격과 교육적 함의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1 No.-

        이 글에서는 <사씨남정기>의 속편인 <속사씨남정기>를 대상으로 작품의 성격과 교육적 함의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원래 상, 하 두권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작품은 현재 상권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어렵지만 상권만을 통해서도 작품의 대략적인 성격과 의미를 파악할 수는 있다. 이 작품은 前篇의 중심인물인 사정옥이 사후 초월계에서 여인들의 선악을 다스리는 신으로 좌정하는 이야기와, 신이 된 사씨가 현실계의 투기하는 주씨를 다스리는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인물의 측면에서 전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전편에 등장했던 여러 인물들이 속편에도 등장하고 있으나 그 역할은 상당히 축소되어 있다. 이는 작자가 서술의 초점을 다른 사람이 아닌 사씨에게 집중적으로 맞춰 그 현숙함을 부각시키려 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사건의 측면에서도 전편과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씨가 신으로 좌정하는 이야기는 전편의 이비감몽 부분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하였고, 사씨가 주씨의 투기를 제어하는 이야기 역시 전편에서 그 단서를 찾아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작자는 전편을 사씨의 투기하지 않는 婦德의 실현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이해하여 사씨가 신이 되는 이야기에서는 다른 인물들의 태도와 진술을 통해, 사씨가 주씨를 다스리는 이야기에서는 서사적 장치를 통해 사씨를 다시 평가하고 있다. 이는 이 작품이 투기의 측면에서 사씨의 부덕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고, 이를 통해 여성 독자들을 감화시키려는 의도에서 창작된 작품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이처럼 전편과의 관계와 작품의 성격을 살펴본 결과 이 작품이 충분한 교육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곧 이 작품을 통해 속편 창작이 전편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해석의 능력, 그리고 그러한 이해와 해석의 결과를 서사적으로 형상화하는 능력의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방법에 대한 시사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는 고전소설 가운데 연작 관계에 있는 작품들이 지니고 있는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발굴하고, 활용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ksassinamjeonggi and its educational meanings. Soksassinamjeonggi is the sequel of Sassinamjeonggi written by Kim, Man-jung in the 17th century. Soksassinamjeonggi is presumed to be written in the mid-18th century by obscure writer. This work shows the affairs that Sa, Jeong-ok, the heroine of Sassinamjeonggi experiences in the next world. So this work consists of two stories. One is the process that she becomes the god, and the other is the event that she controls the jealous wives. The characters and incidents of these stories are related with those of Sassinamjeonggi. The author of this work accepted Sassinamjeonggi in the focus on woman's jealous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e wrote this work for estimating Sa, Jeong-ok's female virtues. For writing the sequel precise analysis and personal comprehension of the original work are needed. So writing the sequel can cultivate the analytic and comprehensive abilities. And for writing the sequ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comprehension of the original work must be taken narrative shape. Accordingly writing the sequel can develop the narrative shaping ability. We can find the concrete methods to raise these abilities in Soksassinamjeonggi. In this point we can fin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is work.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related aspects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sequel in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heir educational meanings.

      • KCI등재

        <한중록> 임오화변편의 서술양상과 의미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4 No.-

        <한중록>의 성격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한중록>에 수록된 임오화변편의 서술양상과 의미를 검토하였다. 작자는 임오화변의 실상이 왜곡되고 있어 손자인 순조에게 그 실상과 의리를 밝히기 위해 이 글을 썼다고 하면서 세자가 병이 들어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는데 세자가 불행하게 된 책임의 상당 부분을 영조의 태도에서 찾았다. 그리고 작자는 세자의 병으로 종사가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자 영조가 어쩔 수 없이 그런 처분을 한 것이라는 점을 들어 임오화변에 대한 의리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런 점에서 이 글은 역사의 증인을 자처하고 나선 작자의 주체적 자각에 의한 글쓰기라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임오화변의 실상을 밝히는 것은 작자가 자기의 고통스런 지난 삶을 되돌아보는 것이기 때문에 이 글은 세자에 대한 이야기이면서 작자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작자가 세자의 불행을 새삼 들춰내면서 영조에 대한 불만과 원망, 세자로 인한 괴로움과 두려움 등 자기가 겪어야 했던 고통을 끊임없이 토로하고 있는 것은 정조가 세상을 떠나면서 주변 상황이 급속히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과거의 악몽이 되살아나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극심했던 고통을 더 이상 가슴 속에 묻어두기 어려웠던 작자는 그것을 거침없이 토로함으로써 스스로를 달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이 글은 자기위로의 글쓰기라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작자가 주체적 자각에 의해 임오화변의 실상을 밝히는 것은 자기의 고통스런 삶을 되돌아보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작자는 임오화변의 실상을 통해 자기의 고통스런 삶을 재구성하면서 스스로를 위로하고, 작자의 고통스런 삶의 과정과 어우러져 작자가 제시하고자 한 임오화변의 실상은 진실성과 설득력을 획득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descriptive aspects and meanings of Imohwabyeon Section in Hanjungrok written by Hyegyeonggung in the latter period of Choseon Dynasty. Imohwabyeon is the event that Yeongjo the Great killed his son, namely Hyegyeonggung`s husband. She described the truth of Imohwabyeon for the purpose of correcting the wrong arguments. She presented the process that her husband got mental disease and met his end in details. And she tried to find the cause of her husband`s misfortune in his father`s wrong attitude against the son. So we can say that she presented herself as a witness of history, and wrote this book on the ground of independent consciousness. Besides she exposed the pains kept to herself without concealing. This means that she pursued the self-consolation through telling her extreme pains.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characteristics of Hanjungrok in various viewpoints.

      • KCI등재

        옥국재 가사에 나타난 일상성의 양상과 의미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고전문학과 교육 Vol.25 No.-

        이 글에서는 일상에 기반을 둔 작품의 소재, 표현, 미감 등을 일상성이라는 용어로 아우르면서 이러한 일상성이 <세장가>, <착정가>, <임천별곡>, <순창가>, <수로조천행선곡>, <초혼사> 등 옥국재 이운영의 가사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 양상과 의미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옥국재 가사는 작자 자신이나 가족, 혹은 주변 사람들의 일상적 경험이나 삶의 모습이 작품의 소재가 되고 있으며, 사대부로서의 생활과 관련된 작자의 경험이 창작의 계기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작자는 일상에서 흔히 마주칠 수 있는 생생한 삶의 모습을 제시하기 위해 일상적인 사물이나 대상을 열거하거나 상황을 구체화하기도 하고, 작품에 제시된 상황이나 인물에 부합하는 일상적이고 비속한 어휘와 표현을 동원하여 장면의 현실성을 제고하기도 하고, 민요나 무가와 같은 기존 시가 장르들의 구조와 의미, 기능 등을 적극 수용하여 작품을 일상의 영역에 근접시키기도 하였다. 그리고 작자는 자기가 겪은 일을 다룬 작품에서는 사실을 왜곡·과장하거나 엉뚱하게 뒤집으면서 지난 일을 웃음 섞인 시선으로 돌아보기도 하고, 주변에 있었던 일을 형상화한 작품에서는 당황스런 상황에서 허세를 부려 상대를 압도하려 하거나 변명거리를 찾는 인간의 모습이나 대단한 일인 것처럼 벌어진 대단치 않은 일 등을 해학이 묻어나도록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옥국재가 대명의리나 충절과 같은 보편적 이념의 한 끝을 놓지 않으면서도 자기나 주변 인물의 일상적 삶을 웃음과 여유가 있는 시선으로 바라보면서 그것이 지닌 의미나 가치를 찾으려 했고, 이러한 그의 관심이 일상적인 삶의 현장에서 불리는 민요나 무가와 같은 노래로까지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옥국재 가사가 이처럼 일상성에 기반을 두고 있고, 창작 여건과 동기가 충분했으면서도 기행가사와 같은 다른 유형의 가사를 한 편도 남기지 않았다는 데에서 그가 가사를 일상적 삶의 모습과 경험을 담아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장르로 인식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aspects and meanings of the Dailiness of Okgukjae’s Gasa. Okgukjae is the pseudonym of Lee, Un-Yeong who wrote six pieces of Gasa, namely Sejangga. Chakjeongga. Imcheonbyeolgok. Sunchangga. Surojocheonhaengseongok. Chohonsa in 18th century of Joseon Dynasty. The materials for his works are the daily occurrences of his family and those around him. He described them with daily words and expressions. And he accepted the elements of folk song and shaman’s song, the daily songs of those days in his works. Besides the characters and situations of works are described humorously. Accordingly these mean that he gazed at the daily occurrences of his family and those around him from the viewpoint of generosity and humor, and sought their meanings and values. And we can conjecture that he regarded Gasa as the suitable genre for daily life.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natures of Lee, Un-yeong's works and the aspects of Gasa in 18th century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옥환기봉>의 인물 형상과 작가의식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고전문학과 교육 Vol.15 No.-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zation and author's consciousness of Okhwangibong written in about 18th century in Korea. Okhwangibong deals with the historical event in the Later Han of ancient China, that is to say the Empress Gwak's banishment and the royal harem Eum's accession to the queen consort. The author of this work created the focal characters freshly. Particularly Gwak is characterized as the vivid woman who desires the Emperor Kwangmu's love, reproaches his negative attitude toward her wants, and feels pains by reason of his affection to Eum. The author intended to justify Eum's accession to the queen consort through emphasizing Providence and her virtue. But the author's intention could not be realized fully. Because what is called Providence was lost persuasive power, and Gwak was characterized very affirmative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is work represents Gwak's trials and pains caused by Kwangmu. And the discord of the author's intent and the real meaning of the work occurred the dispute about affection and faithfulness between man and wife in following novels. Consequently the historical meaning of Okhwangibong in Korean Novel can be founded in successful characterization and occurring the dispute in following novels.

      • KCI등재

        <한중록> 친정신원편 의 역사적 맥락과 글쓰기 방식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1 No.-

        이 논문에서는 <한중록>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한중록> 가운데 친정신원편 을 대상으로 먼저 역사 기록을 통해 작자의 친정이 겪은 일들의 역사적 맥락을 살피고, 그러한 일들이 억울해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는 것을 작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해명, 설득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작자는 손자인 순조를 독자로 특정하고, 순조가 자기 친정의 억울함을 꼭 해결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글을 썼다. 작자는 친정의 억울함을 해명하기 위해 이면의 맥락과 사실을 제시하여 친정이 당한 일이 적대적 세력이나 인물의 지속적인 모함 때문이었다는 차례로 밝히고, 각각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다양한 근거를 제시하여 그것이 터무니없는 무고에 불과하다는 것을 해명하였다. 그리고 독자인 순조의 공감을 유도하기 위해 작자와 순조의 정서적 유대를 환기하기도 하고, 순조에게 친정 신원을 직접 요청하기도 하고, 자기의 고통을 토로하면서 순조에게 친정 신원을 우회적으로 호소하기도 하였다. 또 친정의 일을 서술하는 과정에 빈번하게 삽입되어 있는 작자의 내면 토로는 작자가 의도했건 아니건 간에 독자로 하여금 작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혀 작자의 처지와 주장에 공감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작자는 친정 신원이라는 목적을 위해 친정의 일이 억울하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해명하고, 감성적 측면에서 독자의 공감을 유도함으로써 후일 친정 신원을 이루어줄 수 있는 순조를 설득해가고 있다. 이처럼 이 글은 해명과 공감 유도의 방식을 적절하고 다양하게 활용하여 독자를 설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글을 자기위로의 측면에서 읽는다고 하더라도 해명의 방식은 고통과 불행의 원인을 직시하면서 자기를 그렇게 만든 대상에게 항변하고 자기를 해명하는 방식으로서, 또 공감 유도의 방식은 손자에게 자기의 고통을 하소연하고, 견딜 수 없는 울분을 토로하는 방식으로서의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의 글쓰기 방식은 친정 신원을 이루어줄 수 있는 순조를 설득하는 방식이면서 동시에 자기 말을 기꺼이 들어줄 손자를 대상으로 자기를 해명하고 하소연함으로써 스스로를 위로하는 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contexts and writing methods of Redressing Grievances of Author's Maiden Home Section in Hanjungrok written by Hyegyeonggung in the latter period of Choseon Dynasty. The author wrote this section for the purpose of informing to her grandson, the King Sunjo of grievances of her maiden home. She anticipated that its grievances were redressed by her grandson. In this work she elucidated that her maiden home was in pains because of hostile power's continuous slanders through various evidences. And she sometimes appealed to him for redressing its grievances, and frequently exposed her pains, angers and resentments. So we can say that the writing methods of this section are composed of the method of elucidation and the method of inducing reader's consensus. This means that the author used not only logical strategy but also emotional strategy for persuading reader.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characteristics of Hanjungrok in various viewpoints.

      • KCI등재

        <한중록>에 나타난 자전적 회고의 양상과 의미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8 No.-

        이 글에서는 <한중록>에 수록된 글들 가운데 작자가 회갑 때 자기의 일생을 회고하면서 쓴 자전적 회고편을 대상으로 거기에 나타난 회고의 양상과 의미를 검토하였다. <한중록>을 친정의 신원을 위한 작자의 의도적 기록물로 바라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는데 <한중록>의 실상과 가치를 제대로 드러내고, 함께 수록되어 있는 글들을 일관된 관점에서 아우르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한중록>을 바라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자전적 회고편에는 출생부터 화성 원행에 이르기까지 작자가 거쳐 온 삶의 과정과, 삶의 각 고비마다에서 느낀 감회가 제시되어 있다. 작자는 글을 쓰는 현재의 시각에서 과거를 돌이켜 보면서 자기의 고통스런 삶을 구성해 가고 있는데 남편인 세자, 친정부모, 아들 정조와의 관계 속에 드러나는 작자의 고통은 작자가 왜 그토록 친정에 몰두하고, 후일 친정의 신원을 위한 또 다른 글을 왜 쓰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짐작하게 한다. 정조의 효성과 정성으로 어느 정도 심신의 여유를 찾은 작자가 굳이 자기의 고통스런 삶을 되돌아 본 것은 자기 삶에 나름의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고, 자기의 호소에 충분히 공감할 조카에게 마음속 응어리를 풀어냄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통한 자기위로를 기대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주목할 것은 작자가 세자의 죽음과 친정의 시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밝히고 있지 않은 점인데 이는 극단적인 고통, 분노, 억울함을 다시 되뇌고 싶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점을 아울러 고려하면 작자는 고통의 토로와 고통의 절제라는 상반된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결합하는 글쓰기를 통해 스스로를 달래고 위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정조가 죽고, 더 이상 견디기 어려운 상황이 전개되면서 작자는 세자의 죽음과 친정의 시련에 대해 그 동안 절제하면서 마음속에 담아두기만 했던 극단적인 고통을 토로하는 다른 글들을 쓰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논의가 <한중록>에 수록되어 있는 글들을 한데 아울러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aspects and meanings of the autobiographical recollection in Hanjungrok written by Hyegyeonggung in the latter period of Choseon Dynasty. The author represented her painful life connected with her husband, father and son. In this work we can understand the real facts of her life, and the reason of her especial relationship with her parents' home. She pursued the self-consolation through telling her painful life, and giving it meaning. But she didn't revealed the extreme pains in the bottom of her heart. Accordingly we can see that she pursued the self-consolation by two contrary methods, namely the expression of pains and the temperance of pains. In latter days the situation grew worse, she wrote two works again for revealing the extreme pains.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characteristics of Hanjungrok in various view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